[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1422Y1 -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 - Google Patents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422Y1
KR200471422Y1 KR2020120011308U KR20120011308U KR200471422Y1 KR 200471422 Y1 KR200471422 Y1 KR 200471422Y1 KR 2020120011308 U KR2020120011308 U KR 2020120011308U KR 20120011308 U KR20120011308 U KR 20120011308U KR 200471422 Y1 KR200471422 Y1 KR 200471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air
air cleaner
lower housing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3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병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한
Priority to KR20201200113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4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42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F02M35/0202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terials for air cleane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83Manufacturing or assembly; Connectors; Fix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조네이터가 구비된 에어클리너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 공기흡입구 및 유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출구가 형성된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는 내부에 레조네이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조네이터가 구비된 에어클리너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The air cleaner resonator detachable}
본 고안은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클리너의 내측에 흡기시 발생하는 소음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한 레조네이터를 분리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은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가 각종 연료 공급장치를 통과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혼합되어 엔진의 실린더로 분사됨과 동시에 엔진이 흡입, 압축, 폭발, 배기의 행정을 반복하여 동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엔진을 구동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데에는 필연적으로 일정량의 공기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공기는 흡기계통을 통해 차량의 외부로부터 유입된다.
상기와 같은 차량의 흡기계통은 차량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에어덕트와, 상기 에어덕트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에어클리너 및 흡입공기의 유동으로 인한 소음을 저감시키는 레조네이터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레조네이터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 및 레조네이터 넥(Resonator neck)을 통해 공명(共鳴, Resonance) 현상을 일으킴으로써, 특정주파수에 해당하는 소음을 상쇄시키는 장치로, 통상 에어덕트를 통해 에어클리너와 체결된다.
도 1은 종래 레조네이터가 에어덕트를 통해 에어클리너와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체결구조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레조네이터(20)는 내측이 빈 공간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레조네이터 넥(21)이 돌출 형성된다. 에어덕트(10)는 외기(外氣)와 연통되어 흡입공기를 에어클리너(30)로 안내하는 직선형의 유로로 형성되며, 일측에 레조네이터 넥(21)이 체결되는 홀(1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레조네이터(20)가 에어덕트(10)를 통해 에어클리너(30)와 결합되는 방식으로 고정설치되었다.
이로 인해, 차량의 엔진룸 내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설치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으며, 상기 레조네이터(10)를 에어덕트(10)를 통해 에어클리너(30)와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구조가 다소 복잡한 구조를 이루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은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한 에어클리너의 내측에 흡기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한 레조네이터를 분리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우에 따라 볼륨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상기 레조네이터를 분리하고, 볼륨이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레조네이터를 에어클리너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소음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한 레조네이터와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한 에어클리너를 일체화하여 그 구조를 간소화하고, 또한, 엔진룸의 공간을 넓혀 다른 엔진부품들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공기의 흡기시 공기 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면서, 내측에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한 레조네이터를 분리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에어클리너 내측에서 레조네이터를 분리 또는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상기 에어클리너 내측에서 레조네이터를 분리해 사용하고, 공간이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에어클리너 내측에 레조네이터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은 에어덕트를 사용하지 않고 레조네이터를 에어클리너 내측에 설치함으로써, 그 구조를 간소화하고, 또한, 레조네이터를 에어클리너 내측에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엔진룸 공간을 넓혀 다른 엔진 부품의 설치가 용이하다.
도 1은 종래 레조네이터가 에어클리너와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체결구조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의 상부하우징을 분리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조네이터가 구비된 에어클리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는 에어클리너의 하우징 내측에 레조네이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레조네이터와 에어클리너 간의 결합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차량의 엔진룸 내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에어클리너의 수용공간을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어 기존 에어클리너에 비해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의 상부하우징을 분리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조네이터가 구비된 에어클리너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에어클리너(110)와, 상기 에어클리너(110)의 하부하우징(130) 외측으로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커버부(140) 및 상기 하부하우징(13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부(140)와 결합을 통해 빈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레조네이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클리너(110)는 배출구(122)가 형성된 상부하우징(120)과, 상기 상부하우징(120)과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부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하우징(120)과 하부하우징(130)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 에어필터(16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하우징(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에어클리너(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출구(1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하우징(130)은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개방된 하부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하우징(120)과 마찬가지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 공기흡입구(132)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필터(160)는 상기 상부하우징(120) 및 하부하우징(130) 내에 위치되는 것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공기 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필터(160)는 상기 상부하우징(120)과 하부하우징(130)이 결합되는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는 하부하우징(13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흡입구(13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향하는 내벽 일면에, 하부하우징(130)의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관통공(134)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34)을 감싸도록 외측으로 커버부(1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40)는 상기 하부하우징(130)과 결합되어 상기 관통공(134)을 밀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부(140)와 열융착을 통해 영구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140)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빈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하부하우징(130)과 결합되는 면을 개방되도록 형성하여 하부하우징(130)과 결합시 유입되는 공기가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에어클리너(110) 내의 공간을 확장시켜 공간이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공기를 확산시켜 에어필터(160)의 정화력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부(140)를 상기 하부하우징(130)에 열융착을 통해 영구 결합되도록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선 볼트 결합을 통해 결합할 수도 있는 등, 상기 하부하우징(130)에 커버부(140)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면 결합방식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덧붙여, 상기 하부하우징(130)과 커버부(140) 사이에는 면과 면의 접촉시 발생할 수 있는 틈새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씰링부재(S)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씰링부재(S)는 상기 하부하우징(130)과 접촉되는 면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관통공(134)이 형성된 하부하우징(130)의 내측에는 레조네이터(1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조네이터(15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하부하우징(130)의 공기흡입구(13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특정주파수를 통해 소음을 상쇄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조네이터(1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통공(152)이 형성되어 상기 공기흡입구(13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타측이 상기 관통공(134)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조네이터(150)는 전술한 커버부(140)와의 상호 접촉에 의해 공간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이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조네이터(150)는 상기 관통공(134)에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레조네이터(150)와 하부하우징(130)의 관통공(134) 사이에는 씰링부재(S)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조네이터(150)와 하부하우징(130)의 관통공(134) 사이에는 씰링부재(S)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조네이터(150)를 하부하우징(130)의 관통공(134)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하도록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선 볼팅 결합할 수도 있는 등 상기 하부하우징(130)에 레조네이터(150)를 견고히 결합할 수 있는 결합방식이라면 제한을 두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110)는 하부하우징(130)의 일측에 커버부(140)를 고정설치하고, 내측으로 상기 커버부(140)와의 결합을 통해 빈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레조네이터(150)를 억지끼움방식으로 쉽고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어클리너(110) 내의 수용공간을 확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흡입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으며, 또한, 에어클리너(110) 내의 수용공간을 넓혀 에어필터(160)의 공기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소음을 감쇄시키는 레조네이터(150)를 에어클리너(110) 내측에 설치함으로써, 기존 에어덕트(10)를 통해 에어클리너(30)와 결합되던 레조네이터(20)와의 결합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클리너(30) 내측에 레조네이터(20)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엔진룸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등, 타 엔진부품의 설치가 용이해 질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0 : 에어클리너 120 : 상부하우징
122 : 배출구 130 : 하부하우징
132 : 공기흡입구 134 : 관통공
140 : 커버부 150 : 레조네이터
160 : 에어필터

Claims (6)

  1. 공기흡입구(132)와 배출구(122)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부하우징(120)과 하부하우징(130)으로 이루어지며 상호 결합을 통해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에어클리너(110)와,
    상기 하부하우징(130)의 외측으로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커버부(140)와,
    상기 커버부(140)가 설치된 하부하우징(12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부(140)와의 결합을 통해 빈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레조네이터(15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하우징(130)은
    상기 공기흡입구(13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향하는 내벽 일면에 상기 하부하우징(130)의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관통공(134)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140)와 연통되는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조네이터는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 통공이 형성되는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조네이터는 상기 하부하우징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억지끼움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와 상기 하부하우징 사이에는 씰링부재가 설치되는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조네이터와 상기 하부하우징 사이에는 씰링부재가 설치될 수 있는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

KR2020120011308U 2012-12-04 2012-12-04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 Expired - Lifetime KR200471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308U KR200471422Y1 (ko) 2012-12-04 2012-12-04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308U KR200471422Y1 (ko) 2012-12-04 2012-12-04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422Y1 true KR200471422Y1 (ko) 2014-03-12

Family

ID=51484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308U Expired - Lifetime KR200471422Y1 (ko) 2012-12-04 2012-12-04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42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9601A (zh) * 2019-09-06 2020-10-16 杭州富阳新远新能源有限公司 一种汽车风沙环境使用的空滤装置
CN111779602A (zh) * 2019-09-06 2020-10-16 杭州富阳新远新能源有限公司 一种汽车用的空滤
CN113574266A (zh) * 2019-03-15 2021-10-29 沃尔沃卡车集团 车辆的空气滤清器壳体
US12017174B2 (en) 2019-02-14 2024-06-25 Volvo Truck Corporation Filter element for mounting in an air cleaner housing of a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6887Y2 (ja) * 1990-09-28 1997-02-26 株式会社土屋製作所 レゾネータ付エアクリーナ
JP2548381Y2 (ja) 1990-10-31 1997-09-17 株式会社テネックス 消音器付エアクリーナ
JP2010180773A (ja) 2009-02-05 2010-08-19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エアクリー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6887Y2 (ja) * 1990-09-28 1997-02-26 株式会社土屋製作所 レゾネータ付エアクリーナ
JP2548381Y2 (ja) 1990-10-31 1997-09-17 株式会社テネックス 消音器付エアクリーナ
JP2010180773A (ja) 2009-02-05 2010-08-19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エアクリーナ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17174B2 (en) 2019-02-14 2024-06-25 Volvo Truck Corporation Filter element for mounting in an air cleaner housing of a vehicle
CN113574266A (zh) * 2019-03-15 2021-10-29 沃尔沃卡车集团 车辆的空气滤清器壳体
US12104563B2 (en) 2019-03-15 2024-10-01 Volvo Truck Corporation Air cleaner housing for a vehicle
CN111779601A (zh) * 2019-09-06 2020-10-16 杭州富阳新远新能源有限公司 一种汽车风沙环境使用的空滤装置
CN111779602A (zh) * 2019-09-06 2020-10-16 杭州富阳新远新能源有限公司 一种汽车用的空滤
CN111779600A (zh) * 2019-09-06 2020-10-16 杭州富阳新远新能源有限公司 一种汽车空滤设备
CN111779602B (zh) * 2019-09-06 2021-05-25 杭州富阳新远新能源有限公司 一种汽车用的空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422Y1 (ko)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
TW201732158A (zh) 用於真空泵的過濾元件及關聯的安裝裝置
US7993424B2 (en) Air cleaner
US9303602B2 (en) Intake apparatus of engine for outboard motor
KR20130013386A (ko) 에어클리너와 레조네이터의 일체형 구조
CN104329194A (zh) 一种带有排尘口的空滤器
KR200472761Y1 (ko) 레조네이터가 구비된 에어클리너
KR20130033579A (ko) 차량용 배터리 냉각형 흡기 장치
CN203296973U (zh) 空气滤清器结构
KR101428548B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KR200468893Y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구조
US9586663B2 (en) Intake apparatus of engine for outboard motor
KR20140005181U (ko)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
KR200460794Y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CN206448324U (zh) 一种可撕面盖出水装置
KR101611359B1 (ko) 레조네이터 일체형 에어클리너
KR101562869B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KR101314550B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JPS62121859A (ja) 内燃機関のエアクリ−ナ
KR20090065379A (ko) 자동차용 흡기시스템
JP6136818B2 (ja) 船外機用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6136817B2 (ja) 船外機用エンジンの吸気装置
KR20120094244A (ko) 흡기장치의 공명기능을 갖는 차량용 엔진커버
CN101487431A (zh) 摩托车的空气滤清装置
KR20130060012A (ko) 자동차용 에어클리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120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121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2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3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