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397Y1 - Waist trai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Waist train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1397Y1 KR200471397Y1 KR2020090015041U KR20090015041U KR200471397Y1 KR 200471397 Y1 KR200471397 Y1 KR 200471397Y1 KR 2020090015041 U KR2020090015041 U KR 2020090015041U KR 20090015041 U KR20090015041 U KR 20090015041U KR 200471397 Y1 KR200471397 Y1 KR 20047139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ist
- support member
- vertical
- beams
- horizont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wais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18—Trunk or parts thereof
- A61F2007/0023—Wais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인체의 허리 부분을 집중적으로 운동 단련시킬 수 있고, 지속적인 운동을 통해 허리 교정 효과도 이룰 수 있으며, 특히 다른 허리 운동 기구에 비하여 안정성이 좋고 사용성이 용이하여 노년층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허리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직 수평 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가로 빔에 구성되며, 인체의 다리부가 위치되는 연결부재; 수직 수평 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바닥에 지지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일정 간격을 갖고 위치되는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소정 높이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허리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허리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specifically, to intensively exercise the waist of the human body, and to achieve a waist correction effect through continuous exercise, in particular, it is more stable and easier to use than other waist exercise device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aist exercise equipment that can be easily used by older people.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vertical horizontal beam is support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A connecting member which is formed in the horizontal beam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and in which the leg of the human body is located; A second support member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vertical horizontal beams and supported on the floor and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it provides a waist exercise mechanism comprising a waist contact member that is freely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허리운동기구, 지지대, 높이조절대, 길이조절대, 조립식, 교정효과 Waist exercise equipment, support, height adjustment, length adjustment, assembly type, correction effect
Description
본 고안은 허리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인체의 허리 부분을 집중적으로 운동 단련시킬 수 있고, 지속적인 운동을 통해 허리 교정 효과도 이룰 수 있으며,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운반이 뛰어나고, 특히 다른 허리 운동 기구에 비하여 안정성이 좋고 사용성이 용이하여 노년층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허리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ist exercise device, specifically to exercise the waist portion of the human body intensively, to achieve a waist correction effect through continuous movement, easy disassembly and assembly is easy to carry, especially other waist Compared to the exercise equipment is good stability and easy to use and relates to a waist exercise equipment that can be easily used by the elderly.
일반적으로 운동기구라 함은 건강 증진과 체력 단련 등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운동 방식과 단력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운동 기구가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exercise equipment is used for health promotion and physical fitness, and various types of exercise equipments are used according to the exercise method and the body part to be energized.
운동 기구의 종류로는 근력보다 지구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트레이드 밀이나 사이클 등의 유산소 운동과, 근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근력 운동으로 구분된다.Kinds of exercise equipment are classified into aerobic exercise such as trade mills and cycles for improving endurance, and strength exercise for improving strength.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운동을 생활화되고 있다. 이에 반하여 건강을 위해 급격하게 운동을 하다가 오히려 허리를 다치 는 사람들 역시 발생하게 된다.Recently, with increasing interest in health, exercise is becoming a lifestyle of all ages. On the contrary, people who exercise rapidly for health but rather hurt their back will also occur.
통상 허리 통증은 자연적으로 치유될 수 있지만, 한번 통증이 유발된 환자의 절반은 다시 재발될 우려가 있을 정도로 대략 85% 정도가 정확한 원인을 밝힐 수 없다고 한다. 현재까지 개발된 첨단 의학에 따른 장비를 이용하여도 근육이나 뼈를 연결하는 인대의 손상을 판별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Normally, back pain can be cured naturally, but roughly 85% of the cases where pain has once been triggered may recur, suggesting that the exact cause cannot be identified.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damage to the ligaments connecting muscles or bones even with advanced medical equipment developed to date.
종래 허리근육과 배근육을 강화시키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운동 요법이 알려져 있다. 즉, 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서는 서 있는 자세에서 앉았다가 일어나는 운동, 누운 자세로 윗몸을 일으키는 운동, 다리를 뻗고 앉은 자세에서 허를 구부리는 운동, 무릎을 구부리고 누워 엉덩이를 상하로 움직이는 운동 등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기구를 이용하는 종래의 허리 운동용 기구는 건강한 사람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허리의 상태가 좋지 않은 사람들은 활용하기가 어렵고, 오히려 허리 통증을 심화시킬 우려가 있다.Conventionally, various exercise therapies are known as methods for strengthening the back muscles and the abdominal muscles. In other words, as a method of not using the instrument, it is suggested to sit and stand in a standing position, to raise the upper body in a lying position, to bend the legs in a stretched position, to bend the knees, and to move the hips up and down. It is becoming.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nventional waist exercise apparatus using the apparatus is designed on the basis of a healthy person, it is difficult to utilize those who have a poor state of the waist,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back pain is exacerbated.
또한, 지속적인 잘못된 습관으로 인하여 허리가 굽어지거나 휘어짐에 따라 허리 통증을 유발하거나 기존 운동 기구에는 적용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hat can not be applied to existing exercise equipment or causing back pain as the back is bent or curved due to persistent wrong habits.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인체의 허리 부분을 집중적으로 운동할 수 있고, 남녀노소 누구나 용이하게 운동할 수 있는 허리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ist exercise apparatus that can intensively exercise the waist portion of the human body, and which can be easily exercised by all ages.
또한, 본 고안은 반복적인 운동 효과를 통해 허리 근력의 단련뿐만 아니라 척주의 교정 효과도 이룰 수 있는 허리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back exercise device that can achieve the correction effect of the spinal column as well as the training of the back muscles through the repetitive exercise effect.
또한, 본 고안은 분해 조립이 쉬어 운반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쉽게 조정할 수 있는 안정성과 사용성이 뛰어난 허리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waist exercise device with excellent stability and ease of use, easy disassembly and assembly, easy to transport, easy to adjust to the user's body siz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허리 운동 기구는, 수직 수평 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가로 빔에 구성되며, 인체의 다리부가 위치되는 연결부재; 수직 수평 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바닥에 지지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일정 간격을 갖고 위치되는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소정 높이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허리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허리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waist support mechanism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vertical horizontal beam is supported on the floor; A connecting member which is formed in the horizontal beam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and in which the leg of the human body is located; A second support member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vertical horizontal beams and supported on the floor and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it provides a waist exercise mechanism comprising a waist contact member that is freely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를 연결하며,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길이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가능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member that is expandable and contractib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telescopic manner.
상기 제1 지지부재는 바닥에 지지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수평빔과, 상기 각 수평빔에 직교되게 연장되는 수직빔; 및 상기 수직빔 사이에 구성되는 연결빔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는 바닥에 지지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수평빔과, 일단이 상기 제1 수평빔에 각각 직교되게 연장되는 수직빔; 상기 수직빔의 타단에 연결되며, 제1 수평빔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수평빔; 및 상기 수직빔 사이에 구성되는 연결빔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includes a pair of horizontal beams extending to be supported on the floor, and a vertical beam extending perpendicular to each of the horizontal beams; And a connecting beam configured between the vertical beams, wherein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includes a pair of first horizontal beams extending to be supported on the floor, and vertical beams having one end extending orthogonally to the first horizontal beams, respectively. ; A pair of second horizontal beam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beam and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first horizontal beam; And a connection beam configured between the vertical beams.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연결빔을 유압 구동 방식으로 구동시켜 제1 지지부재의 수직빔을 따라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시키는 높이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ment unit for driving the connecting beam of the first support member by a hydraulic drive method to configure the height adjustable along the vertical beam of the first support member.
상기 연결빔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제1 지지부재의 수직빔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원통부재; 및 상기 원통부재를 관통하여 제1 지지부재의 수직빔에 볼트 결합방식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Cylindrical member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beam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vertical beam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And a fixing member penetrating the cylindrical member and fixed to the vertical beam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by a bolt coupling method.
상기 허리 접촉 부재는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수직빔 사이에 구성되는 연결빔을 회전축으로 하여 설치되고, 상기 연결빔은 자유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waist contact member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beam formed between the vertical beams of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as a rotation axis, and the connecting beam is configured to be freely rotatable.
상기 허리 접촉 부재에는 외면에 돌기를 형성하거나, 길이 방향으로 요철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발열선을 내장한 발열유닛 및 발열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허리 접촉 부재를 유압 구동 방식으로 구동시켜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시키는 높이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ist contact member may be provided with protrusions on the outer surface, or may be formed with irregulariti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a heating unit and a heating unit incorporating a heating line; And a height adjusting unit configured to drive the waist contact member in a hydraulic driving manner so that height adjustment is possible.
상기 허리 접촉 부재를 정역 회전가능하게 구동시키도록 허리 접촉 부재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정역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motor coupled to a rotational axis of the waist contact member to drive the waist contact member in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상기 연결 부재는 제1 연결빔; 상기 제1 연결빔의 내경 또는 외경을 따라 연장 또는 수축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빔; 및 상기 제1 연결빔과 제2 연결빔이 확장 또는 수축된 상태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first connecting beam; A second connecting beam connected to extend or contract along the inner or outer diameter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And a fixture for fixing a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beams in an expanded or contracted state.
본 고안의 허리 운동 기구에 따르면, 수직 수평 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가로 빔에 구성되며, 인체의 다리부가 위치되는 연결부재; 수직 수평 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바닥에 지지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일정 간격을 갖고 위치되는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양단이 연결되는 U자형의 허리 접촉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aist movement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member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e vertical horizontal beam is supported on the floor; A connecting member which is formed in the horizontal beam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and in which the leg of the human body is located; A second support member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vertical horizontal beams and supported on the floor and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a U-shaped waist contact belt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상기 제1 지지부재는 바닥에 지지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수평빔과, 상기 각 수평빔에 직교되게 연장되는 수직빔; 및 상기 수직빔 사이에 구성되는 연결빔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는 바닥에 지지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수평빔과, 일단이 상기 제1 수평빔에 각각 직교되게 연장되는 수직빔; 상기 수직빔의 타단에 연결되며, 제1 수평빔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수평빔; 및 상기 수직빔 사이에 구성되는 연결빔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허리 접촉 벨트에는 그 허리 접촉 벨트가 상하로 요동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includes a pair of horizontal beams extending to be supported on the floor, and a vertical beam extending perpendicular to each of the horizontal beams; And a connecting beam configured between the vertical beams, wherein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includes a pair of first horizontal beams extending to be supported on the floor, and vertical beams having one end extending orthogonally to the first horizontal beams, respectively. ; A pair of second horizontal beam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beam and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first horizontal beam; And a connecting beam configured between the vertical beams, and the waist contact bel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waist contact belt to swing up and down.
본 고안에 따른 허리 운동 기구는 허리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운동 효과에 더불어 척주의 교정 효과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waist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strengthen the back muscle strength, but also has the effect of achieving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spinal column in addition to the continuous exercise effec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used by all ages.
본 고안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Fur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에 따른 허리 운동 기구는 수직 수평 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가로 빔에 구성되며, 인체의 다리부가 위치되는 크로스바(연결빔); 수직 수평 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바닥에 지지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일정 간격을 갖고 위치되는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소정 높이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허리 접촉 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ist motion mechanism comprising: a first support member configured to be a combination of a vertical horizontal beam and supported on a floor; A crossbar (connected beam) formed in the horizontal beam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having a leg portion of the human body; A second support member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vertical horizontal beams and supported on the floor and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a waist contact member installed freely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를 연결하며,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길이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가능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member that can extend and contra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telescopic manner.
여기에서, 상기 각 구성요소들은 조립 및 분해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each of the components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허리 운동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허리 운동 기구를 분해하여 나타낸 구성도이다.Hereinafter, a waist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b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waist movement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도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허리 운동 기구(100)는, 수직 수평 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제1 지지부재(200); 수직 수평 빔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바닥에 지지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200)와 일정 간격을 갖고 위치되는 제2 지지부재(300); 및 상기 제2 지지부재(300)의 소정 높이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허리 접촉 부재(4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a and Figure 1b, the
상기 제1 지지부재(200)는 바닥에 지지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수평빔(211)과, 상기 수평빔(211)에 직교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빔(212); 및 상기 수직빔(212) 사이에 구성되는 연결빔(213)으로 구성된다.The
여기에서, 상기 연결빔(213)은 수직빔(212)을 따라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 조절 가능한 구성의 일 예로, 연결빔(213)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수직빔(21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원통부재(214); 및 상기 원통부재(214)를 관통하여 수직빔(212)에 볼트 결합방식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재(215)로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상기 높이 조절 가능한 구성의 다른 일 예로서는, 유압 구동 방식으로 연결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예의 높이 조절 구성은 연결빔(213)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수직빔(21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수직빔을 따라 이동가능한 원통부재; 및 상기 연결빔에 직교되게 연결되며, 유압 방식으로 구동시키는 유압구동수단(일 예로, 피스톤 유압 구동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height-adjustable configur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onnecting beam in a hydraulic drive method. Another example height adjustment configuration includes a cylindrical member formed at both ends of the
다음으로, 상기 제2 지지부재(300)는 바닥에 지지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수평빔(311)과, 일단이 상기 제1 수평빔(311)에 각각 직교되게 연장되는 수직 빔(312); 상기 수직빔(312)의 타단에 연결되며, 제1 수평빔(311)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수평빔(313); 및 상기 수직빔(312) 사이에 구성되는 연결빔(314)으로 구성된다.Next, the
상기 허리 접촉 부재(400)는 원통형 부재로서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부재(300) 일측에 자유회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허리 접촉 부재(400)는 수직빔(312) 사이에 구성되는 연결빔(314)을 회전축으로 하여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연결빔(314)은 자유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The
상기 허리 접촉 부재(400)는 그 외면에 쿠션감을 주기 위한 발포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허리 운동 기구를 구성하는 허리 접촉 부재의 다른 실시 형태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리 운동 기구의 허리 접촉 부재(400)는, 인체의 허리가 위치된 경우, 허리에 지압 효과를 줄 수 있도록 도 2a에서와 같이 외면에 돌기(410)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도 2b에서와 같이 그 허리 접촉 부재(400)의 길이 방향으로 요철(420, 430)이 형성될 수도 있다.2A and 2B show other embodiments of the waist contact member constituting the waist mo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a and 2b, the
한편, 상기 허리 접촉 부재(400)에는 허리와의 접촉 시 찜질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발열선을 내장한 발열유닛(미도시) 및 발열유닛의 온/오프나 온도 등 발열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본 고안의 허리 운동 기구는 상기 허리 접촉 부재(400)의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는 높이조절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유닛의 일 예로는 유압 구동 방식을 채용하거나, 높이 설정 후 수직빔에 볼트 결합을 통해 고정시키는 볼트고정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ist movement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ment unit (not shown)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구체적으로, 상기 높이조절유닛은 상기 허리 접촉 부재(40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직교되게 연결되어 유압 방식을 선형 이동시키는 유압구동유닛(예를 들면, 피스톤 구동 유압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eight adjustment unit is a rotation shaft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상기 높이조절유닛의 다른 일 예로는, 상기 허리 접촉 부재(40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구비되며, 수직빔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원통부재; 상기 원통부재를 관통하여 높이 조절된 원통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볼트 결합 방식의 고정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Another example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the rotation shaft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또한, 본 고안의 허리 운동 기구는 허리 접촉 부재(400)를 회전가능하게 구동시키는 구동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허리 접촉 부재(400)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온/오프 및 정역회전 반복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ist movement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rive unit (not shown) for rotatably driving the
한편, 본 고안의 허리 운도 기구는 사용의 안정성과 견고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ist cloud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이 경우, 상기 제1 지지부재(200)는 수직빔(212)의 자유단에 연결용 빔(216)이 일체로 더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500)는 제1 지지부재(200)의 각 수평빔(211)과 제2 지지부재(300)의 각 수평빔(311, 313)의 대향 단부를 연결한다.In this case, the
상기 연결 부재(500)는 길이방향으로 길이조절가능하게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텔레스코픽 방식의 연결 부재(500)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연결 부재(500)는 제1 연결빔(510); 상기 제1 연결빔(510)의 내경 또는 외경을 따라(도면에서는 외경을 따라) 연장 또는 수축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빔(520); 및 상기 제1 연결빔(510)과 제2 연결빔(520)이 확장 또는 수축된 상태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체(530)를 포함한다.The
상기 고정체(530)는 제1 연결빔(510) 또는 제2 연결빔(520)을 관통하여 내측에 위치되는 연결빔에 볼트 결합방식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체이다.The
도 1a 및 도1b 에서 미설명부호 315는 사용자의 허리 접촉 부재(400)에 허리를 위치시킨 후,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고리이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허리 접촉 부재(400)에 허리를 위치시킨 후, 제2 지지부재(400)의 제2 수평빔(313)을 파지할 수도 있지만, 이와 별개로 파지고리(315)를 형성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In FIG. 1A and FIG. 1B,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허리 운동 기구를 구성하는 허리 접촉 부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제2 지지부재(300)의 제2 수평빔(313)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U자형의 허리 접촉 벨트(600)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허리 접촉 벨트(600)의 양단은 구동 유닛에 연결되어 상하 요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3 shows another form of the waist contact member constituting the waist movement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haped waist contact is fixed at both ends to the second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 운동 기구의 설치 및 사용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installation and use of the waist mo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먼저 제1 지지부재(200)를 일측에 위치시키고, 사용자는 자기 신체에 맞게 상기 제1 지지부재(200)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제2 지지부재(300)를 위치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각 지지부재(200, 300)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조립 후 설치하게 된다. First, the
여기에서, 연결부재(5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경우에는 연결부재(500)의 제1 연결빔(510)과 제2 연결빔(520)을 상대 이동시켜 제1 지지부재(200)와 제2 지지부재(300) 간의 간격을 조정한 후 그 위치를 고정시킨다.In this case, when the
그런 다음, 사용자는 허리를 허리 접촉 부재(400)에 지지한 채, 제2 지지부재(300)의 제2 수평빔(313)이나 파지고리(315)를 파지하고, 다리를 제1 지지부재(200)의 연결빔(213)에 올려놓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다리를 움직이고, 허리 접촉 부재(400)에 지지된 허리는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Then, the user grips the second
여기에서, 사용자는 허리 운동 기구의 사용 전 또는 사용 중에 다리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200)의 연결빔(213) 및/또는 허리 접촉 부재(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user may adjust the height of the
한편, 허리 접촉 부재(4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구동유닛의 제어수단을 제어하여 허리 접촉 부재(400)를 자동 구동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발열유닛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허리 접촉 부재에 열을 발생시켜 찜질 효과도 동시에 부여하면서 허리 근력 운동을 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본 고안자에 따르면, 본 고안의 시제품을 제작하여 실험해 본바, 허리 근력 운동뿐만 아니라, 허리 교정 효과도 가져올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ors, the prototype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produced and tes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not only the waist strength exercise but also the waist correction effect could be brought.
본 고안은 인체의 허리 부분의 근력 강화를 위한 허리 전용 운동 기구이지만, 이러한 운동 효과와 아울러, 지속적인 운동 결과로서 허리 교정 효과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간단한 설치와 안정되고 용이한 사용성으로 인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공원이나 등산로의 체육 시설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고안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waist-only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the strength of the waist of the human body, but in addition to this exercise effect, it provides a waist correction effect as a result of continuous exercise. In particular, due to its simple installation and stable and easy usability, it can be used by anyone of all ages, and is designed to be easily applied to sports facilities of parks and hiking trails.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의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도 1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허리 운동 기구를 조립한 사시도.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ing waist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허리 운동 기구를 분해한 분해사시도.Figure 1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exploded waist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허리 운동 기구를 구성하는 허리 접촉 부재의 다른 실시 형태들을 각각 나타낸 구성도.2A and 2B are diagrams each showing other embodiments of the waist contact member constituting the waist mo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허리 운동 기구를 구성하는 허리 접촉 부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구성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form of the waist contact member constituting the waist mo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주요 도면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Short description of the major reference marks *
100: 허리 운동 기구 200: 제1 지지부재100: waist exercise mechanism 200: first support member
300: 제2 지지부재 400: 허리 접촉 부재300: second support member 400: waist contact member
500: 연결부재 600: 허리 접촉 벨트 500: connecting member 600: waist contact belt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5041U KR200471397Y1 (en) | 2009-11-19 | 2009-11-19 | Waist train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5041U KR200471397Y1 (en) | 2009-11-19 | 2009-11-19 | Waist train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5221U KR20110005221U (en) | 2011-05-25 |
KR200471397Y1 true KR200471397Y1 (en) | 2014-02-21 |
Family
ID=4929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15041U Expired - Lifetime KR200471397Y1 (en) | 2009-11-19 | 2009-11-19 | Waist train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1397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0289B1 (en) | 2014-07-31 | 2015-12-24 | 이효섭 | Exercising apparatus for correcting spinal column |
KR20160072389A (en) | 2014-12-12 | 2016-06-23 | 이태현 | Multi-functional waist training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6952B1 (en) * | 2013-04-15 | 2015-01-30 | 유현종 | physical therapy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55719U (en) * | 1998-06-08 | 1998-10-07 | 홍동기 | Indoor exercise machine |
KR20010099164A (en) * | 2001-09-07 | 2001-11-09 | 박명석 | Device for treating a waist |
JP2002306519A (en) | 2001-04-13 | 2002-10-22 | Seiichi Fujimaki | Stretch training device |
US6733018B2 (en) * | 2002-01-24 | 2004-05-11 | Eli Razon | Adjustable leg support and seated to stand up walker |
-
2009
- 2009-11-19 KR KR2020090015041U patent/KR200471397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55719U (en) * | 1998-06-08 | 1998-10-07 | 홍동기 | Indoor exercise machine |
JP2002306519A (en) | 2001-04-13 | 2002-10-22 | Seiichi Fujimaki | Stretch training device |
KR20010099164A (en) * | 2001-09-07 | 2001-11-09 | 박명석 | Device for treating a waist |
US6733018B2 (en) * | 2002-01-24 | 2004-05-11 | Eli Razon | Adjustable leg support and seated to stand up walk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0289B1 (en) | 2014-07-31 | 2015-12-24 | 이효섭 | Exercising apparatus for correcting spinal column |
KR20160072389A (en) | 2014-12-12 | 2016-06-23 | 이태현 | Multi-functional waist train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5221U (en) | 2011-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47591B2 (en) | Universal fitness apparatus | |
US5529560A (en) | Stretch therapy apparatus for physical fitness, rehabilitation and medical treatment | |
US4674740A (en) | Exercise machine for simulating swimming motions | |
KR101904468B1 (en) |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bed-ridden patient | |
JP2992286B2 (en) | Exercise device and its use | |
KR101459696B1 (en) | Training device for legs | |
KR101287134B1 (en) | Chiropractic and paraspinal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apparatus | |
US8016731B2 (en) | Abdominal exercise machine | |
US10470961B2 (en) | Multifunctional apparatus for passive physical rehabilitation | |
CN104324480A (en) | Multifunctional comprehensive training machine with multiple fixed modes | |
US20190217154A1 (en) | Portable stretching equipment | |
KR102671071B1 (en) |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for knee joint | |
KR20140022993A (en) | Exercise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 |
US9713735B2 (en) | Polyvalent apparatus for physical therapy | |
KR200471397Y1 (en) | Waist training apparatus | |
US11040239B2 (en) | Smart trainer | |
KR101252723B1 (en) | Lower Body Reinforced Sliding Exercise Equipment | |
KR20180060065A (en) | Traning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 |
KR102000626B1 (en) | Exercise device to preserve ankle and knee joint while exercising upper leg and hip | |
KR20210042232A (en) | Squat exercise apparatus | |
JP4802336B2 (en) | Gravity load exercise device | |
JP2008237785A5 (en) | ||
KR101559703B1 (en) | A inversion apparatus | |
JP2006043406A (en) | Fitness apparatus | |
WO2013163755A1 (en) |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1119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50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9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062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402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21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0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