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1029Y1 - 직립식 승마 운동기 - Google Patents

직립식 승마 운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029Y1
KR200471029Y1 KR2020120011062U KR20120011062U KR200471029Y1 KR 200471029 Y1 KR200471029 Y1 KR 200471029Y1 KR 2020120011062 U KR2020120011062 U KR 2020120011062U KR 20120011062 U KR20120011062 U KR 20120011062U KR 200471029 Y1 KR200471029 Y1 KR 2004710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ocking
horse riding
riding exercise
exercise mach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충-친 양
Original Assignee
로, 유안-훙
수, 준-주이
충-친 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 유안-훙, 수, 준-주이, 충-친 양 filed Critical 로, 유안-훙
Priority to KR2020120011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0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02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elements, i.e. platforms, having a circulating, nutating or rotating movement, generated by oscillating movement of the user, e.g. platforms wobbling on a centrally arranged spherical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8On a track which is itself moving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04Standing on the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립식 승마 운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직립식 승마 운동기는 받침판, 두 개의 판체 및 두 개의 탄력부품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 상기 받침판 중앙 상측의 좌우 양측의 허공에는 이와 대응되는 방식으로 두 개의 판체가 설치되며, 상기 각 판체 하측에는 탄력부품이 설치되며, 이를 통해 인체의 양쪽 다리가 상기 두 개의 판체를 밟고 상하로 뛸 때, 상기 탄력부품의 탄력으로 인해 마치 서서 승마를 하는 상태가 되어 인체가 상하 운동을 할 수 있게 도와주며, 그 결과 운동 및 헬스, 레포츠 활동 등과 같은 운동성 및 오락성, 상품적 가치를 골고루 갖출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직립식 승마 운동기{Upright horse riding exercise machine}
본 고안은 직립식 승마 운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운동 헬스 기구의 새로운 구조를 말하며 더욱 정확하게는 본 고안의 구조를 이용해 소비자가 선 자세로 뛰면서 승마 동작까지 같이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직립식 승마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생활 공간이 협소하고 바쁜 일상과 스트레스로 인해 심폐 기능이 점점 열악해지고 근육 역시 점점 약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바쁜 현대인들은 조금만 바쁜 걸음을 걸어도 숨이 차거나 심지어 몸이 약해져 각종 질병에 시달리고 있으며, 그 주요 원인이 운동부족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많은 사람들이 운동의 중요성을 깨닫고 있으며, 그로 인해 여가 시간을 이용해 최대한 운동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실상, 시간이 없어 운동을 못한다는 것은 일종의 변명에 불과하며 집이나 사무실에서도 간단한 실내 헬스 기구나 운동 기구를 이용하면 운동이 가능하고, 날씨나 거리와 무관하게 언제나 가벼운 운동을 즐길 수가 있다. 현재 시중에 공급되는 실내 운동 기구는 이미 수백 종류가 넘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서 런닝머신, 중력 단련기, 워킹 머신, 아령 등등을 들 수 있다. 비록 실내 운동 기구가 상당히 많은 편이고 계속 새로운 운동 기구가 개발되어 나오고 있기는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운동 기구에 대한 흥미를 쉽게 잃어 버리며 업계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끊임없이 새로운 제품을 선보이며 소비자들을 유혹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바탕으로 본 고안자는 새로운 구조와 사용 형태에 관해 꾸준한 연구 개발을 통해 남녀노소 모두가 흥미를 느끼는 승마춤을 바탕으로 이를 운동 기구에 결합시켜 최신 유행의 운동 기구를 고안해 내게 되었다.
운동 기구가 소비자들에게 더욱 주목을 받게 하기 위해, 본 고안인 직립식 승마 운동기를 제공하며, 그 주요 목적은 최신 유행하는 승마춤을 운동 기구와 결합시켜 인체가 서있는 상태로 상하로 뛰면서 승마춤의 형태까지 겸할 수 있는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운동 기구에 대해 더욱 흥미를 느끼며 판매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직립식 승마 운동기를 제공하며 상기 직립식 승마 운동기는 받침판, 두 개의 판체, 두 개의 탄력부품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받침판은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은 H자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 양측 외부 끝 테두리에는 이와 대응되는 슬라이드이동판이 연장되어 설치된다.
상기 바닥판에는 복수 개의 깔개부가 설치된다.
상기 바닥판의 중앙 상측에는 연결판체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연결판체는 U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판체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판체에는 두 세트의 외부관통구멍이 관통되어 설치된다.
상기 연결판체에는 한 외부 테두리면에 두 개의 관통구멍이 설치된다.
상기 판체는 탄력부품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판체 바닥부에는 결합홈이 설치된다.
상기 탄력부품은 그 구조 중 한 끝에 축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축구멍은 연결판체 내부의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축구멍은 상기 외부 축구멍과 대응되며 축부품이 이곳을 관통하여 이 둘을 서로 연결해 주게 된다.
상기 탄력부품은 그 구조 중 고정판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고정판은 축구멍의 옆 테두리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판 외부에는 걸림결합판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결합판 한쪽 끝 바닥부에는 아크형판이 설치되며, 상기 아크형판 바닥부 끝단에는 슬라이드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바퀴는 상기 받침판의 슬라이드이동판과 서로 대응되어 연결된다.
상기 고정판은 판체의 결합홈과 서로 결합 설치된 후, 상기 고정판은 다시 걸림결합판과 서로 결합된다.
상기 연결판체에는 막대체가 설치되며, 상기 막대체는 그 바닥부에 잠금판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판 상에는 구멍이 관통되어 설치되며, 잠금부품을 이용해 잠금판을 연결판체의 관통구멍 상에 잠금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잠금판 상측의 막대체 하부 테두리에는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막대체 꼭대기부에는 손잡이가 설치된다.
본 고안인 직립식 승마 운동기는 상기 탄력부품의 탄력을 이용해 사용자가 마치 서서 승마를 하는 상태가 되어 인체가 상하 운동을 할 수 있게 도와주며, 그 결과 운동 및 헬스, 레포츠 활동 등과 같은 운동성 및 오락성, 상품적 가치를 골고루 갖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입체 조합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측면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입체 실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을 하면 아래와 같다.
도1과 도2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본 고안인 직립식 승마 운동기는 받침판(1), 두 개의 판체(2), 두 개의 탄력부품(3)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받침판(1)은 바닥판(11)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11)은 H자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11) 양측 외부 끝 테두리에는 이와 대응되는 슬라이드이동판(12)이 연장되어 설치된다. 상기 바닥판(11)에는 복수 개의 깔개부(13)가 설치된다. 상기 바닥판(11)의 중앙 상측에는 연결판체(14)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연결판체(14)는 U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판체(14)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판체(14)에는 두 세트의 외부관통구멍(141)이 관통되어 설치된다. 상기 연결판체(14)의 한 외부 테두리면에 두 개의 관통구멍(142)이 설치된다. 상기 판체(2)는 탄력부품(3)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판체(2) 바닥부에는 결합홈(21)이 설치된다. 상기 탄력부품(3)은 그 구조 중 한쪽 끝에 축구멍(31)이 설치되고, 상기 축구멍(31)은 연결판체(14) 내부의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축구멍(31)은 상기 외부 관통구멍(141)과 대응되며 축부품(32)이 이곳을 관통하여 이 둘을 서로 연결해 주게 된다. 상기 탄력부품(3)은 그 구조 중 고정판(33)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33)은 축구멍(31)의 옆 테두리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판(33) 외부에는 걸림결합판(3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33)은 먼저 판체(2)의 결합홈(21)과 서로 결합 설치된 후, 상기 고정판(33)은 다시 걸림결합판(34)과 서로 결합된다. 상기 걸림결합판(34) 한쪽끝 바닥부에는 아크형판(35)이 설치되며, 상기 아크형판(35) 바닥부 끝단에는 슬라이드바퀴(36)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바퀴(36)는 상기 받침판(1)의 슬라이드이동판(12)과 서로 대응되어 연결된다. 상기 연결판체(14)에는 막대체(4)가 설치되며, 상기 막대체(4)는 그 바닥부에 잠금판(41)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판(41) 상에는 구멍(42)이 관통되어 설치되며, 잠금부품(43)을 이용해 잠금판(41)을 연결판체(14)의 관통구멍(142) 상에 잠금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잠금판(41) 상측의 막대체(4) 하부 테두리에는 스프링(44)이 설치되며, 상기 막대체(4) 꼭대기부에는 손잡이(45)가 설치된다. 상술된 구조로 조합 완성된 본 고안은, 도3과 도4의 내용에서 와 같이, 사용자가 두 다리(5)로 각각 두 개의 판체(2)를 밟고 상하로 뛸 때, 탄력부품(3)의 아크형판(35)에서 발생하는 탄력을 이용할 수 있게 되며, 인체의 중량으로 인해 아래로 힘이 가해질 때, 각 아크형판(35) 아래로 변형되며, 또한 각 슬라이드바퀴(36)는 각 슬라이드이동판(12) 상에서 외부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각 판체(2)가 아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아크형판(35)의 탄력을 이용하여 판체(2)가 위로 탄력을 받아 돌아돌때, 각 슬라이드바퀴(36)는 각 슬라이드이동판(12) 상에서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제자리로 돌아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마치 서서 승마를 하는 상태가 되어 인체가 상하 운동을 할 수 있게 도와주며, 그 결과 운동 및 헬스, 레포츠 활동 등과 같은 운동성 및 오락성, 상품적 가치를 골고루 갖출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막대체(4)는 인체의 양손이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평행을 잡을 수 있게 도와주는 데 사용된다.
이상 상술된 내용은 단지 본 고안의 특징과 장점 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 본 고안 청구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정신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기타 변형 등의 과정을 통한 경우에도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모두 포함된다.
1 받침판
11 바닥판
12 슬라이드이동판
13 깔개부
14 연결판체
141 외부관통구멍
142 관통구멍
15 덮개체
2 판체
21 결합홈
3 탄력부품
31 축구멍
32 축부품
33 고정판
34 걸림결합판
35 아크형판
36 슬라이드바퀴
4 막대체
41 잠금판
42 구멍
43 잠금부품
44 스프링
45 손잡이
5 다리

Claims (9)

  1. 받침판;
    두 개의 판체; 및
    두 개의 탄력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판은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 중앙 상측에는 연결판체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두 개의 판체는 각각 상기 두 개의 탄력부품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탄력부품 각각의 꼭대기 부는 상기 판체와 서로 결합 설치되며, 상기 판체의 한 끝단에 축구멍을 설치하며, 상기 축구멍은 축부품과 상기 연결판체를 통해 서로 축연결이 되어지며, 상기 탄력부품 구조 중에 걸림결합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결합판 한쪽끝 바닥부에는 아크형판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아크형판 바닥부 끝단에는 슬라이드 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식 승마운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H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식 승마운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는 복수 개의 깔개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식 승마운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체는 U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판체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체에는 두 세트의 외부 관통구멍이 관통되어 설치되고, 상기 탄력부품은 그 구조 중 한쪽 끝에 축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축구멍은 상기 연결판체 내부의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축구멍은 상기 외부 관통구멍과 대응되며 상기 축부품이 이곳을 관통하여 이 둘을 서로 연결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식 승마운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부품은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 외부에는 걸림결합판이 형성되고, 상기 판체 바닥부에는 결합홈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과 상기 걸림결합판은 상기 판체 바닥부의 결합홈과 서로 결합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식 승마운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체에는 막대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식 승마운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체는 그 바닥부에 잠금판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판 상에는 구멍이 관통되어 설치되며, 상기 연결판체에는 관통구멍이 설치되고, 잠금부품을 이용해 상기 잠금판을 상기 연결판체의 관통구멍 상에 잠금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식 승마운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판 상측의 상기 막대체 하부 테두리에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막대체 꼭대기부에 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식 승마운동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 양측 외부 테두리에는 이와 대응되는 슬라이드이동판이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기 아크형판 바닥부 끝단에는 슬라이드바퀴가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바퀴는 상기 받침판의 상기 슬라이드이동판 상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식 승마운동기.
KR2020120011062U 2012-11-29 2012-11-29 직립식 승마 운동기 Expired - Lifetime KR200471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062U KR200471029Y1 (ko) 2012-11-29 2012-11-29 직립식 승마 운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062U KR200471029Y1 (ko) 2012-11-29 2012-11-29 직립식 승마 운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029Y1 true KR200471029Y1 (ko) 2014-01-24

Family

ID=51418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062U Expired - Lifetime KR200471029Y1 (ko) 2012-11-29 2012-11-29 직립식 승마 운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0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7580A1 (zh) * 2018-10-29 2020-05-07 山东宝德龙健身器材有限公司 一种主动式骑马健身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8058A (ja) 2003-06-06 2004-12-24 Aitekku:Kk 電動ステッパー
KR20090077987A (ko) * 2008-01-14 2009-07-17 조위현 하체단련용 운동기구
KR20100075809A (ko) * 2010-06-15 2010-07-05 김재영 허리운동이 가능한 회전판형 트위스트 스텝퍼
KR20110103112A (ko) * 2010-03-12 2011-09-20 강신기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8058A (ja) 2003-06-06 2004-12-24 Aitekku:Kk 電動ステッパー
KR20090077987A (ko) * 2008-01-14 2009-07-17 조위현 하체단련용 운동기구
KR20110103112A (ko) * 2010-03-12 2011-09-20 강신기 운동기구
KR20100075809A (ko) * 2010-06-15 2010-07-05 김재영 허리운동이 가능한 회전판형 트위스트 스텝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7580A1 (zh) * 2018-10-29 2020-05-07 山东宝德龙健身器材有限公司 一种主动式骑马健身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3145B2 (en) Exercise pedal
US10272286B2 (en) Climbing exerciser
US9504871B2 (en) Wall structure for exercising and attaching fitness and physical activity elements
KR101553277B1 (ko) 볼 스윙 구조를 갖는 트위스트 운동기구
US20140162860A1 (en) Upright horse riding exercise machine
US20140113774A1 (en) Leg exerciser
KR200471029Y1 (ko) 직립식 승마 운동기
WO2016079542A1 (en) Exercise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100006523U (ko) 다용도 체육기구의 지지베이스
US20150360067A1 (en) Vault Shaped Miniature Trampoline
KR101578447B1 (ko) 하체 운동기구
GB2508359A (en) Upright horse riding exercise machine with bouncing or spring-like foot pedals
CN202015449U (zh) 跳舞机
JP3181454U (ja) スタンド式乗馬運動器
CN202951218U (zh) 立式骑马运动器
JP3195102U (ja) 足踏み健康器
CA2590880C (en) Exercise bench platform with multiple functions
TWI616222B (zh) Multifunctional leg training machine
GB2447846A (en) Aerobic exercise apparatus
JP3176473U (ja) 家庭用健康器具
TWM460686U (zh) 立式騎馬運動器
CN201453943U (zh) 用以模拟踏步或滑步的运动装置
KR20140092045A (ko) 스카이 슬라이드
CN111068242B (zh) 多台相异功能结构形态运动器材的组并结构
CN203329282U (zh) 踏步健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112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1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