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0361Y1 - Shoes having elastic band - Google Patents

Shoes having elastic b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361Y1
KR200470361Y1 KR2020130007483U KR20130007483U KR200470361Y1 KR 200470361 Y1 KR200470361 Y1 KR 200470361Y1 KR 2020130007483 U KR2020130007483 U KR 2020130007483U KR 20130007483 U KR20130007483 U KR 20130007483U KR 200470361 Y1 KR200470361 Y1 KR 200470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long hole
fastening long
shoe
elastic ba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48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준규
Original Assignee
이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규 filed Critical 이준규
Priority to KR20201300074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36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361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81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hook-and-loop typ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6Shoes with flaps; Footwear with divided u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43B3/102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 A43B3/103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toestrap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2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upper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합성수지를 일체로 발포 성형하여 제작되는 신발로서, 발바닥의 모양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신발 밑창과, 발등을 감싸기 위해 상기 신발 밑창의 전방측 가장자리에서 연장형성되는 발등 갑피와, 발뒷꿈치를 감싸기 위해 상기 신발 밑창의 후방측 가장자리에서 연장형성되는 발뒷꿈치 갑피와, 상기 발등 갑피의 후방측에 상호 대향되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 1 및 제 4 밴드 체결 장홀과, 상기 발뒷꿈치 갑피에 상호 대향되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 2 및 제 3 밴드 체결 장홀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밴드 체결 장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신축 밴드를 포함하여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가 개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with a stretch ban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e manufactured by integrally foaming a synthetic resin, a shoe sole mad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ole and the upper of the foot extended from the front edge of the shoe sole to surround the foot And a heel upper extending from the rear side edge of the shoe sole to cover the heel, first and fourth band fastening long hole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pposite to the rear side of the upper of the instep, and the heel The elastic band is provided comprising a second and third band fastening long hol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pposite to the upper, and an elastic band which is fastened through the first to fourth band fastening long hole sequentially A shoe is disclosed.

Description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Shoes having elastic band}Shoes having elastic band}

본 고안은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 수지가 발포 성형된 신발의 발등 갑피와 발뒷꿈치 갑피에 상호 대향하는 4개의 밴드 체결 장홀을 형성하고, 이들을 삽입 및 관통하여 신축 밴드를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각 착용자의 발의 특성에 부합되게 신축 밴드를 늘리거나 조여줄 수 있으므로 발포 신발의 착화감을 개선시키고 신축 밴드의 자유로운 교체를 통해 패션 효과를 향상시킨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provided with a stretch band, more specifically, the synthetic resin is formed of four band fastening long holes facing each other on the instep upper and the heel upper of the foam-molded shoes, inserting and penetrating them By tightening the elastic band, the elastic band can be stretched or tighte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wearer's foot, so that the shoes are equipped with elastic bands that improve the wearability of foam shoes and improve the fashion effect by freely replacing the elastic bands. It is about.

합성 수지를 일체로 발포 성형하여 제작된 다양한 형태의 신발이 사용되고 있다. Various types of shoes made by integrally foaming a synthetic resin are used.

예를 들어, 에틸렌 공중합체(Ethylene Copolymer) 가운데 하나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는 유연성, 충격흡수성, 질감성, 단열성, 보온성 등을 고루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이를 발포 성형하여 일체형의 신발을 제조하는데 사용되고 있다.For example, Ethylene Vinyl Acetate (EVA), one of the ethylene copolymers, has the flexibility, impact absorption, texture, heat insulation, and heat retention, so that it is foamed to form an integrated shoe. It is used to manufacture.

이와 같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를 발포 성형하여 제작된 일체형 신발은 가볍고 제작 방법의 편리성으로 인해 실내용 특히 욕실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여름용 패션 샌들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As such, the integrated shoes produced by foam molding of ethylene vinyl acetate (EVA) are used for indoors, especially for bathrooms, due to lightness and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methods, and have recently been used for summer fashion sandals.

그러나, 종래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 신발은 발과 밀착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 동작에 따라 잘 벗겨지고 착화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ethylene vinyl acetate foam shoes are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foot,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eeling off well and wearability is reduced according to the user's foot operation.

더구나, 이러한 발포 성형 신발은 모든 공정이 몰드(mold)의 범위 안에서 이루어 지기 때문에 완성 후 크기의 가변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다양한 착용자의 발의 동작에 부응하지 못하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se foam molded shoes have a problem in use because it is difficult to ensure the variability of size after completion because all processes are made in the range of the mold (mold) and are made in one piece so as not to respond to the operation of the foot of various wearers.

또한,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신발이 고정된 색상의 외형을 가질 수밖에 없음으로 인해, 사용자가 다양한 색상의 변화를 느끼고자 하는 패션화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shoe has a fixed color appearance because it is integrally manufactured, there is a limit in satisfying the desire for fashion shoes for the user to feel various color changes.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71353 호 (2002.03.28)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71353 (2002.03.28)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합성 수지가 발포 성형된 신발의 발등 갑피와 발뒷꿈치 갑피에 상호 대향하는 4개의 밴드 체결 장홀을 형성하고, 이들을 삽입 및 관통하여 신축 밴드를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각 착용자의 발의 특성에 부합되게 신축 밴드를 늘리거나 조여줄 수 있으므로 발포 신발의 착화감을 개선시킨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synthetic resin is formed of four band fastening long holes facing each other in the instep upper and heel upper of the foam-molded shoes, inserting and penetrating them through the elastic band By tighten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or tighten the elastic ban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wearer's foot to provide a shoe with an elastic band that improves the wearing feeling of foam shoes.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발포 성형된 신발로부터 신축 밴드를 탈부착이 가능함으로, 신축 밴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슬리퍼나 샌들로서 활용이 가능한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with an elastic band that can be used as a slipper or sandals when the elastic band is detachable from the foam molded shoe, and when the elastic band is not used.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신축 밴드를 블랙, 카키, 네이비, 퍼플 등과 같이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착용자의 색상 변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패션 신발이 가능한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with a stretch band capable of fashion shoes that can meet the color change needs of the wearer by using the stretch band in a variety of colors, such as black, khaki, navy, purple, etc. It is.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은, 합성수지를 일체로 발포 성형하여 제작되는 신발로서, 발바닥의 모양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신발 밑창과, 발등을 감싸기 위해 상기 신발 밑창의 전방측 가장자리에서 연장형성되는 발등 갑피와, 발뒷꿈치를 감싸기 위해 상기 신발 밑창의 후방측 가장자리에서 연장형성되는 발뒷꿈치 갑피와, 상기 발등 갑피의 후방측에 상호 대향되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 1 및 제 4 밴드 체결 장홀과, 상기 발뒷꿈치 갑피에 상호 대향되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 2 및 제 3 밴드 체결 장홀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밴드 체결 장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신축 밴드를 포함하여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Shoes provided with an elastic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is a shoe produced by integrally molding a synthetic resin, a shoe sole mad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ole and the shoe outsole to wrap the foot A foot upper extending from the front edge of the foot, a heel upper extending from the rear edge of the shoe sole to cover the heel, and a first and a vertical direction formed to face each other at the rear side of the foot upper; Including a fourth band fastening long hole, the second and third band fastening long hol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pposite to the heel upper, and an elastic band which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first to fourth band fastening long hole Characterized in that made.

여기서, 상기 제 1 밴드 체결 장홀과 상기 제 2 밴드 체결 장홀 사이의 공간과, 상기 제 4 밴드 체결 장홀과 상기 제 3 밴드 체결 장홀 사이의 공간에는 절개 공간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n incision space is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band fastening long hole and the second band fastening long hole and a space between the fourth band fastening long hole and the third band fastening long hole.

또한, 상기 신축 밴드는 탄성 고무, 천 또는 합성 수지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band may be elastic rubber, cloth or synthetic resin.

또한, 상기 신축 밴드는, 밴드 몸체와, 상기 밴드 몸체 양단에 형성되며 벨크로(Velcro)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뤄진 암 벨크로부와, 상기 밴드 몸체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접혀진 상기 암 벨크로부와 대응되도록 된 수 벨크로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band may include a band body, a female velcro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band body and configured to allow Velcro coupling, and a female velcro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band body and folded. It is preferable that it consists of a velcro part.

또한, 상기 신축 밴드는, 밴드 몸체와, 상기 밴드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밴드 체결 장홀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 돌기와, 상기 밴드 몸체의 타단에 형성되며 벨크로(Velcro)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뤄진 암 벨크로부와, 상기 밴드 몸체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접혀진 상기 암 벨크로부와 대응되도록 된 수 벨크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band is formed on one end of the band body, the band body and the engaging projection fixed to the first band fastening long hole, the arm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band body and made to enable Velcro coupling (Velcro) Velcro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band body may be made of a male velcro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folded female velcro portion.

또한, 상기 신축 밴드는 상기 제 2 밴드 체결 장홀와 상기 제 3 밴드 체결 장홀 사이에서 상기 발뒷꿈치 갑피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면접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band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r the outer side of the heel upper between the second band fastening long hole and the third band fastening long hole.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합성수지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일 수 있다.
Also, preferably, the synthetic resin may be ethylene vinyl acetat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에 의하면, 합성 수지가 발포 성형된 신발에 신축 밴드를 삽입하여 각 착용자의 발의 특성에 맞게 발의 내외측 및 뒷꿈치를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신축 밴드를 늘이고 조일 수 있어 착화감이 보다 개선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hoe provided with the elastic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inserting the elastic band in a shoe molded of synthetic resin foam and stretch the elastic band while cover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oot and the heel as a who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wearer's foot It can be tightened, and the feeling of wearing is improved.

또한, 신축 밴드를 발포 성형된 신발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함으로, 신축 밴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슬리퍼나 샌들로서 활용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band is removable from the foam-molded shoes,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be utilized as slippers or sandals when the elastic band is not used.

또한, 다양한 색상을 갖는 신축 밴드의 수시교체가 가능함으로, 착용자의 색상 변화 욕구에 따라 패션화 신발처럼 연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elastic band having a variety of colors from time to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oduced as a fashion shoe according to the wearer's desire to change color.

또한, 신축 밴드의 신축성이 떨어진 경우에는 새로운 신축 밴드로 교체가 가능함으로 오랜 기간 동안 새로운 신발처럼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and is reduced, it can be replaced with a new elastic b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like a new shoe for a long tim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밴드의 체결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밴드의 체결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밴드의 체결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oe provided with an elastic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shoe provided with an elastic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fastening process of the elastic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fastening process of the elastic b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fastening process of the elastic b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main featur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examples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limitedly.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in order to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밴드의 체결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들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oe with a stretch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oe with a stretch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to 3c As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fastening process of the elastic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together for convenienc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1)은, 합성 수지를 발포 성형하여 제작되는 신발로서, 발바닥의 모양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신발 밑창(10)과, 발등을 감싸기 위해 상기 신발 밑창(10)의 전방측 가장자리에서 연장형성되는 발등 갑피(20)와, 발뒷꿈치를 감싸기 위해 상기 신발 밑창(10)의 후방측 가장자리에서 연장형성되는 발뒷꿈치 갑피(30)와, 상기 발등 갑피(20)의 후방측에 상호 대향되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 1 및 제 4 밴드 체결 장홀(40, 41)과, 상기 발뒷꿈치 갑피(30)에 상호 대향되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 2 및 제 3 밴드 체결 장홀(50, 51)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밴드 체결 장홀(40, 50, 51, 41)을 순차 관통하여 체결되는 신축 밴드(60)로 이루어진다.As shown, the shoe 1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oe made by foam molding a synthetic resin, the shoe sole 10 mad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ole and Foot instep upper 20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front edge of the shoe sole 10 to wrap the foot, and heel upper 30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rear side edge of the shoe sole 10 to wrap the heel ), The first and fourth band fastening long holes 40 and 41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ace each other at the rear side of the instep upper 20 and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formed to face the heel upper 30 to each other. The second and third band fastening long holes (50, 51) and the first to fourth band fastening long holes (40, 50, 51, 41) are sequentially made through the elastic band 60 is fastened.

여기서, 본 고안에서 기재된 '전방(前方)'은 신발(1)을 기준으로 앞쪽(도시된 예에서는 좌측) 방향을 지칭하며, '후방'은 신발(1)을 기준으로 뒷쪽(도시된 예에서는 우측)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는 신발 착용자가 신발을 착용했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방향을 나타내고자 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Here, the 'front' described in the present design refers to the front (left side in the illustrated exampl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hoe 1, and the 'back' refers to the rear side (in the illustrated example) with respect to the shoe 1. Right),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is is intended to indicate the direction based on when the shoe wearer wears the shoe.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신축 밴드(60)가 1 내지 제 4 밴드 체결 장홀(40, 50, 51, 41)에 순차 삽입되어 체결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제 4 밴드 체결 장홀(41)을 삽입의 시작 지점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역방향으로 순차 삽입되어 체결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illustrated example, although the elastic band 60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first to fourth band fastening long holes 40, 50, 51, and 41 sequentially, the fourth band fastening long hole 41 is inserted. In the case of the starting point, the fastening may be sequentially inserted in the reverse direction.

먼저, 신발 밑창(10), 발등 갑피(20), 및 발뒷꿈치 갑피(30)로 이루어지는 신발(1)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공중합체(Ethylene Copolymer) 가운데 하나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를 발포 성형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된다.First, the shoe 1 consisting of the shoe sole 10, the instep upper 20, and the heel upper 30 is preferably ethylene vinyl acetate (EVA), which is one of ethylene copolymers (Ethylene Vinyl). Acetate) is molded into one piece by foam molding.

이러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유연성, 충격흡수성, 질감성, 단열성, 보온성 등을 고루 갖추고 있는 특징이 있다.The ethylene vinyl acetate has a feature that is uniformly equipped with flexibility, shock absorption, texture, heat insulation, heat retention.

즉,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의 발포 성형은 IP(Injection Phylon) 공정을 주로 이용하여 제작되며, 입자 상태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를 열로 녹여서 원하는 틀(mold)에 주입(injection)하고 일정시간의 숙성 후 틀로부터 제품을 분리하여 발포가 이루어 지고 일정 시간의 냉각과정과 세척을 거쳐 완성된다. That is, the foam molding of ethylene vinyl acetate (EVA) is mainly manufactured using an injection phylon (IP) process, and a desired mold is prepared by melting ethylene vinyl acetate (EVA) in the form of heat with heat. After injecting into the product and ripening for a certain time, the product is separated from the mold and foam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를 바람직한 재질로서 제안하지만, 유사한 발포성과 유연성,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합성 수지 재질이라면 다른 재질이 사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ethylene vinyl acetate (EVA) is proposed as a preferred material, but other materials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can provide similar foamability, flexibility, and durability.

상술한 발포 성형시에, 발등 갑피(20)의 후방측에 상호 대향되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 1 및 제 4 밴드 체결 장홀(40, 41)과 발뒷꿈치 갑피(30)에 상호 대향되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 2 및 제 3 밴드 체결 장홀(50, 51)이 함께 일체로 형성된다.In the above-described foam molding, the first and fourth band fastening long holes 40 and 41 and the heel upper 30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face each other at the rear side of the instep upper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ormed second and third band fastening long holes 50 and 51 are integrally formed together.

상기 제 1 내지 제 4 밴드 체결 장홀(40, 50, 51, 41)은 상하로 대략 슬릿(Slit) 형태로 제작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신축 밴드(60)가 체결되어 결속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to fourth band fastening long holes 40, 50, 51, and 41 are manufactured in a slit shape to vertically up and down, so that the elastic band 60 can be fastened and bound as described below.

또한, 상술한 발포 성형시에, 상기 발등 갑피(20)와 상기 발뒷꿈치 갑피(30)의 사이, 즉 제 1 밴드 체결 장홀(40)과 제 2 밴드 체결 장홀(50) 사이의 공간과, 제 4 밴드 체결 장홀(41)과 제 3 밴드 체결 장홀(51) 사이의 공간에는 절개 공간부(도면 번호 미부여)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신축 밴드(60)가 체결되어 결속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된다.Further, at the time of the above-mentioned foam molding, the space between the instep upper 20 and the heel upper 30, that is,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and fastening long hole 40 and the second band fastening long hole 50, A space between the 4-band fastening long hole 41 and the third band fastening long hole 51 is formed with an incision space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as described later, a space in which the elastic band 60 may be fastened and bound. To form wealth.

물론, 신축 밴드(60)가 체결되어 결속되지 않은 상태의 신발(1)의 경우에는 이러한 절개 공간부의 형성에 의해 슬리퍼나 샌들로 활용되어 착화될 수 있게 된다.
Of course, in the case of the shoe (1) in the state in which the elastic band 60 is not fastened and fastened, it is possible to be utilized by slippers or sandals by the formation of such a cutting space.

상기한 신축 밴드(60)는 전체가 신축성을 갖는 밴드 몸체(61)와, 상기 밴드 몸체(61) 양단에 형성되며 벨크로(Velcro)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뤄진 암 벨크로부(62)와, 역시 상기 밴드 몸체(61)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암 벨크로부(62)와 대응되도록 되어 암 벨크로부(62)가 붙을 수 있도록 된 수 벨크로부(6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암수 벨크로부(62, 63)는 표현의 편의상 암수를 구분하여 제시된 것이며, 암수의 구성을 상호 반대로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The elastic band 60 is a band body 61 having the elasticity as a whole, the female velcro portion 62 formed on both ends of the band body 61 and made of a Velcro coupling, and also the band It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body 61 to correspond to the female velcro portion 62 is composed of a male velcro portion 63 to be attached to the female velcro portion 62. The male and female Velcro parts 62 and 63 are presented for the convenience of expression by dividing the male and female, and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configuration of the male and female opposite to each other.

여기서, 신축 밴드(60)의 재질은 신축성 있는 탄성 고무가 바람직하나, 본 고안에 있어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신축성이 있는 천이나 합성 수지 등의 재질도 가능함은 물론이다.Here, the material of the elastic band 60 is preferably elastic elastic rubber, but the material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f course possible to use a material such as elastic fabric or synthetic resin.

또한, 신축 밴드(60)의 색상도, 예컨데, 블랙, 카키, 네이비, 퍼플 등과 같이 다양한 컬러 색상으로 제작되어 착용자의 색상 변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olor of the elastic band 60 is also made of a variety of color, such as black, khaki, navy, purple, etc. to satisfy the wearer's color change needs.

이러한 신축 밴드(60)를 발포 성형된 신발에 체결고정하는 과정을 도 3a 내지 도 3c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fastening and fastening the elastic band 60 to the foam molded sho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C as follows.

상기한 신축 밴드(60)는 먼저 그 일단부를 발등 갑피(20)에 형성된 제 1 밴드 체결 장홀(40)내로 끼운 후(제 1 밴드 체결 장홀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 암 벨크로부(62)를 접어서 대응하는 수 벨크로부(63)에 부착 고정하여 신축 밴드(60)의 일단부를 제 1 밴드 체결 장홀(40)에 고정시킨다(도 3a 참조).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제 1 밴드 체결 장홀(40)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을 끼우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끼우는 형태도 가능하다.The elastic band 60 is first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first band fastening long hole 40 formed in the instep upper 20 (outward from the inner side of the first band fastening long hole), the female Velcro part 62 It folds and attaches and fixes to the corresponding male velcro part 63, and fixes the one end part of the elastic band 60 to the 1st band fastening long hole 40 (refer FIG. 3A). Here, in the illustrated example, but the form of fitting the outer direction i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band fastening long hole 40, it is also possible to fit in the outer direction inward.

이어서, 신축 밴드(60)의 타단부를 발뒷꿈치 갑피(30)에 형성된 제 2 밴드 체결 장홀(50)내로 끼운 후(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발뒷꿈치 갑피(30)의 내측면을 경유(면접촉)하여 제 3 밴드 체결 장홀(51)내로 끼운다(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도 3b 참조).Subsequently, after inserting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band 60 into the second band fastening long hole 50 formed in the heel upper 30 (from outside to inward direction), the inner side of the heel upper 30 passes through Surface contact) to be inserted into the third band fastening long hole 51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see FIG. 3B).

계속해서, 제 3 밴드 체결 장홀(51)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끼워진 신축 밴드(60)의 타단부는 제 1 밴드 체결 장홀(40)에 대응되는 방향에 형성된 제 4 밴드 체결 장홀(41)내로 끼워 지고(제 4 밴드 체결 장홀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도시예) 또는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그 타단부에 형성된 암 벨크로부(62)를 접어서 대응하는 수 벨크로부(63)에 부착 고정함으로써 착화감을 갖도록 한 신축 밴드(60)의 체결이 완성되어진다(도 3d 참조).Subsequently,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band 60 fitted in the outward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third band fastening long hole 51 into the fourth band fastening long hole 41 formed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and fastening long hole 40. By fitting (fixing the female velcro portion 62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in the inward direction (example) or inward to outward direction of the fourth band fastening long hole) and attaching and fixing to the corresponding male velcro portion 63; The fastening of the elastic band 60 to have a feeling of wearing is completed (refer FIG. 3D).

암수 벨크로의 신축 밴드 상의 부착 위치 및 결합 위치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신축 밴드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착화감을 사용자 발 특성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다.
Since the elastic band can be adjusted to various lengths according to the attachment position and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male and female Velcro elastic bands, the wearing feeling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feet.

도 4a 내지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밴드의 체결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4A to 4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fastening process of the elastic b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은, 신발 밑창(10), 발등 갑피(20), 발뒷꿈치 갑피(30), 제 1 및 제 4 밴드 체결 장홀(40, 41), 제 2 및 제 3 밴드 체결 장홀(50, 51), 및 신축 밴드(60)로 이루어지는 점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신축 밴드(60)를 발포 성형된 신발에 체결고정하는 방법 및 과정에서 차이가 있으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4, the shoe provided with a stretch b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e sole 10, instep upper 20, heel upper 30, first and first The shoe (1) having the elastic band shown in FIGS. 1 to 3 in that it consists of a four band fastening long hole (40, 41), second and third band fastening long holes (50, 51), and an elastic band (60).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ethod and process of fastening the elastic band 60 to the foam-molded shoes,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의 신축 밴드(60)를 발포 성형된 신발에 체결고정하는 과정을 도 3a와 도 4a 및 도 4b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fastening and fastening the elastic band 60 of the shoe with the elastic b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oam molded sho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4A and 4B.

먼저, 신축 밴드(60)의 일단부를 발등 갑피(20)에 형성된 제 1 밴드 체결 장홀(40)내로 끼운 후(제 1 밴드 체결 장홀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 암 벨크로부(62)를 접어서 대응하는 수 벨크로부(63)에 부착 고정하여 신축 밴드(60)의 일단부를 제 1 밴드 체결 장홀(40)에 고정시킨다(도 3a 참조). First, one end of the elastic band 60 is inserted into the first band fastening long hole 40 formed in the instep upper 20 (the direction from the inner side of the first band fastening long hole to the outside), and then fold the female velcro part 62 to correspond. Attaching and fixing to the male velcro portion 63 to fix one end of the elastic band 60 to the first band fastening long hole 40 (see FIG. 3A).

이어서, 신축 밴드(60)의 타단부를 발뒷꿈치 갑피(30)에 형성된 제 2 밴드 체결 장홀(50)내로 끼운 후(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발뒷꿈치 갑피(30)의 외측면을 경유(면접촉)하여 제 3 밴드 체결 장홀(51)내로 끼운다(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도 4a 참조).Subsequently,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band 6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and fastening long hole 50 formed in the heel upper 30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direction), and then passes through the outer side of the heel upper 30 ( Surface contact) and insert into the third band fastening long hole 51 (from outside to inside) (see Fig. 4A).

계속해서, 제 3 밴드 체결 장홀(51)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끼워진 신축 밴드(60)의 타단부는 제 1 밴드 체결 장홀(40)에 대응되는 방향에 형성된 제 4 밴드 체결 장홀(41)내로 끼워 지고(제 4 밴드 체결 장홀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도시예) 또는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그 타단부에 형성된 암 벨크로부(62)를 접어서 대응하는 수 벨크로부(63)에 부착 고정함으로써 착화감을 갖도록 한 신축 밴드(60)의 체결이 완성되어진다(도 4b 참조).
Subsequently,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band 60 fitted in the inward direction from the outside of the third band fastening long hole 51 into the fourth band fastening long hole 41 formed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and fastening long hole 40. By fitting (fixing the female velcro portion 62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in the inward direction (example) or inward to outward direction of the fourth band fastening long hole) and attaching and fixing to the corresponding male velcro portion 63; The fastening of the elastic band 60 to have a feeling of ignition is completed (refer FIG. 4B).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밴드의 체결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5a to 5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fastening process of the elastic b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은, 신발 밑창(10), 발등 갑피(20), 발뒷꿈치 갑피(30), 제 1 및 제 4 밴드 체결 장홀(40, 41), 제 2 및 제 3 밴드 체결 장홀(50, 51), 및 신축 밴드(60)로 이루어지는 점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의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신축 밴드(60)의 일부 구성에서 차이가 있으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5, the shoe provided with a stretch b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e sole 10, the upper upper 20, the heel upper 30, the first and In terms of the fourth band fastening long holes 40 and 41, the second and third band fastening long holes 50 and 51, and the elastic band 60, the shoe 1 having the elastic ban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The same configura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some configurations of the elastic band 60,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200)의 신축 밴드(60)는 전체가 신축성을 갖는 밴드 몸체(61)와, 상기 밴드 몸체(61)의 일단에 형성되며, 제 1 밴드 체결 장홀(40)의 내측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 돌기(64)와, 상기 밴드 몸체(61)의 타단에 형성되며 벨크로(Velcro)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뤄진 암 벨크로부(62)와, 역시 상기 밴드 몸체(61)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암 벨크로부(62)와 대응되도록 되어 암 벨크로부(62)가 붙을 수 있도록 된 수 벨크로부(63)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 돌기(64)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고무(TPR; Thermo Plastic Rubber) 재질로 구성된다. Stretch band 60 of the shoe 200 is provided with a stretch b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one end of the band body 61 and the band body 61, The locking projection 64 is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band fastening long hole 40 and the female velcro portion 62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band body 61 and made to enable Velcro coupling, and It is formed of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band body 61 is made of a male velcro portion 63 so as to correspond to the female velcro portion 62 can be attached to the female velcro portion 62. The locking protrusion 64 is preferably made of a thermoplastic rubber (TPR) material.

즉, 본 실시예에서는, 신축성 밴드(60)의 일단부가 첫 번째 실시예와 같이 벨크로 타입의 암 벨크로부(62)와 수 벨크로부(63)로 된 것이 아니라, 걸림 돌기(62)가 형성되어 제 1 밴드 체결 장홀(40)의 내측(외측으로도 가능)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one end of the elastic band 60 is not made of the Velcro-type female velcro portion 62 and the male velcro portion 63, as in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engaging projection 62 is formed. The first band fastening is to be fixed to the inner side (possible to the outside) of the long hole 40.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200)의 신축 밴드(60)를 발포 성형된 신발에 체결고정하는 과정을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5a to 5c the process of fastening and fastening the elastic band 60 of the shoe 200, the elastic band is provided with a foam molded sho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신축 밴드(6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 돌기(62)를 제 1 밴드 체결 장홀(40)의 내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신축 밴드(60)의 타단부를 제 1 밴드 체결 장홀(40)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끼워서 잡아당기면, 걸림 돌기(62)는 제 1 밴드 체결 장홀(40)의 내측으로 걸려 고정되어진다.First,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band 60 of the first band fastening long hole 40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projection 62 formed at one end of the elastic band 60 is located inside the first band fastening long hole 40. When pulled inward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the locking protrusion 62 is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band fastening long hole 40.

물론, 도시된 예에서는 걸림 돌기(62)가 제 1 밴드 체결 장홀(40)의 내측으로 걸려 고정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반대로 제 1 밴드 체결 장홀(40)의 외측으로 걸려 고정되는 방법도 가능하다.Of course, in the illustrated example, but the locking projection 62 is shown to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band fastening long hole 40, but the method is also possible to be fix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and fastening long hole (40). .

이어서, 신축 밴드(60)의 타단부를 발뒷꿈치 갑피(30)에 형성된 제 2 밴드 체결 장홀(50)내로 끼운 후, 발뒷꿈치 갑피(30)의 내측면(첫 번째 실시예) 또는 외측면(두 번째 실시예)을 경유(면접촉)하여 제 3 밴드 체결 장홀(51)내로 끼운다.Subsequently,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band 6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and fastening long hole 50 formed in the heel upper 30, and then the medial side (first embodiment) or the lateral side of the heel upper 30 ( The second embodiment is fitted into the third band fastening long hole 51 via (surface contact).

계속해서, 제 3 밴드 체결 장홀(51)에 끼워진 신축 밴드(60)의 타단부는 제 1 밴드 체결 장홀(40)에 대응되는 방향에 형성된 제 4 밴드 체결 장홀(41)내로 끼워지고, 그 타단부에 형성된 암 벨크로부(62)를 접어서 대응하는 수 벨크로부(63)에 부착 고정함으로써 착화감을 갖도록 한 신축 밴드(60)의 체결이 완성되어진다.
Subsequently,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band 60 fitted into the third band fastening long hole 51 is inserted into the fourth band fastening long hole 41 formed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and fastening long hole 40. By fastening the female velcro portion 62 formed at the end and attaching and fixing the female velcro portion 62 to the corresponding male velcro portion 63, the fastening of the elastic band 60 to have a feeling of ignition is completed.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different and obv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is descrip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described to include many such variations.

1: 본 고안에 따른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
10: 신발 밑창 20: 발등 갑피
30: 발뒷꿈치 갑피 40: 제 1 밴드 체결 장홀
41: 제 4 밴드 체결 장홀 50: 제 2 밴드 체결 장홀
51: 제 3 밴드 체결 장홀 60: 신축 밴드
61: 밴드 몸체 62: 암 벨크로부
63: 수 벨크로부 64: 걸림 돌기
1: shoes with elastic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shoe sole 20: instep upper
30: heel upper 40: first band fastening long hole
41: fourth band fastening long hole 50: second band fastening long hole
51: third band fastening long hole 60: elastic band
61: band body 62: female velcro portion
63: male velcro part 64: engaging projection

Claims (7)

합성수지를 일체로 발포 성형하여 제작되는 신발로서,
발바닥의 모양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신발 밑창과,
발등을 감싸기 위해 상기 신발 밑창의 전방측 가장자리에서 연장형성되는 발등 갑피와,
발뒷꿈치를 감싸기 위해 상기 신발 밑창의 후방측 가장자리에서 연장형성되는 발뒷꿈치 갑피와,
상기 발등 갑피의 후방측에 상호 대향되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 1 및 제 4 밴드 체결 장홀과,
상기 발뒷꿈치 갑피에 상호 대향되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 2 및 제 3 밴드 체결 장홀과,
상기 제 1 내지 제 4 밴드 체결 장홀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신축 밴드를 포함하여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
Shoes made by foam molding synthetic resin integrally,
Shoe sole mad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ole,
An instep upper extending from the anterior edge of the shoe sole to cover the instep;
A heel upper extending from the rear edge of the shoe sole to cover the heel,
First and fourth band fastening long hole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face each other at a rear side of the instep upper,
Second and third band fastening long hole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ace each other on the heel upper,
Shoe provided with an elastic b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band which is fastened through the first to fourth band fastening long holes sequential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밴드 체결 장홀과 상기 제 2 밴드 체결 장홀 사이의 공간과, 상기 제 4 밴드 체결 장홀과 상기 제 3 밴드 체결 장홀 사이의 공간에는 절개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
The method of claim 1,
Shoe provided with an elastic b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space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and fastening long hole and the second band fastening long hole, and the space between the fourth band fastening long hole and the third band fastening long hole.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밴드는 탄성 고무, 천 또는 합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
The method of claim 1,
The stretch band is provided with a stretch b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rubber, cloth or synthetic res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밴드는, 밴드 몸체와, 상기 밴드 몸체 양단에 형성되며 벨크로(Velcro)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뤄진 암 벨크로부와, 상기 밴드 몸체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접혀진 상기 암 벨크로부와 대응되도록 된 수 벨크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
The method of claim 1,
The elastic band includes a band body, a female velcro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band body and configured to allow Velcro coupling, and a male velcro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emale velcro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band body and folded. Shoes provided with a stretch band, characterized in that ma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밴드는, 밴드 몸체와, 상기 밴드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밴드 체결 장홀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 돌기와, 상기 밴드 몸체의 타단에 형성되며 벨크로(Velcro)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뤄진 암 벨크로부와, 상기 밴드 몸체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접혀진 상기 암 벨크로부와 대응되도록 된 수 벨크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
The method of claim 1,
The elastic band is formed on one end of the band body, the band body and the engaging projection fixed to the first band fastening long hole, and the female velcro portion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band body and made to allow Velcro coupling And a plurality of Velcro parts formed to the other end of the band body to correspond to the folded female Velcro parts.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밴드는 상기 제 2 밴드 체결 장홀와 상기 제 3 밴드 체결 장홀 사이에서 상기 발뒷꿈치 갑피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And said elastic band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said heel upper between said second band fastening long hole and said third band fastening long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
The method of claim 1,
The synthetic resin shoe having a stretch b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ethylene vinyl acetate.
KR2020130007483U 2013-09-05 2013-09-05 Shoes having elastic band Expired - Fee Related KR20047036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483U KR200470361Y1 (en) 2013-09-05 2013-09-05 Shoes having elastic b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483U KR200470361Y1 (en) 2013-09-05 2013-09-05 Shoes having elastic ba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361Y1 true KR200470361Y1 (en) 2013-12-10

Family

ID=5075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48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0361Y1 (en) 2013-09-05 2013-09-05 Shoes having elastic b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361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588A (en) * 2014-10-30 2016-05-11 주식회사 토박스코리아 Easy to wear and take off baby shoes
KR20200117515A (en) 2019-04-04 2020-10-14 배효만 shoes
KR20220116979A (en) 2021-02-16 2022-08-23 배효만 Shoes
KR20240160912A (en) 2023-05-03 2024-11-12 배효만 Sho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5403A (en) * 1993-04-28 1994-11-15 Top Uin Japan Kk Sneakers
KR200413008Y1 (en) 2006-01-06 2006-04-05 노대석 sandal
KR200419527Y1 (en) 2006-04-13 2006-06-21 학교법인 동서학원 Shoes with elastic band
JP2007215825A (en) 2006-02-17 2007-08-30 Kyoto Institute Of Technology footwea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5403A (en) * 1993-04-28 1994-11-15 Top Uin Japan Kk Sneakers
KR200413008Y1 (en) 2006-01-06 2006-04-05 노대석 sandal
JP2007215825A (en) 2006-02-17 2007-08-30 Kyoto Institute Of Technology footwear
KR200419527Y1 (en) 2006-04-13 2006-06-21 학교법인 동서학원 Shoes with elastic ban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588A (en) * 2014-10-30 2016-05-11 주식회사 토박스코리아 Easy to wear and take off baby shoes
KR101649149B1 (en) * 2014-10-30 2016-08-19 주식회사 토박스코리아 Easy to wear and take off baby shoes
KR20200117515A (en) 2019-04-04 2020-10-14 배효만 shoes
KR20220116979A (en) 2021-02-16 2022-08-23 배효만 Shoes
KR20240160912A (en) 2023-05-03 2024-11-12 배효만 Sho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586472U (en) Three-dimensional socks shoes of utensil stiffness
US10470517B2 (en) Method of making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shoe
JP5940075B2 (en) A sole for a shoe having one or more vertical elements folded on top of each other, made extensible and permanent in varying widths of upper built-in shoe molds and variations in foot form Conformable sole
US20120047766A1 (en) Two-piece transformable boot
US9032643B2 (en) Elastic strap sandal
EP1603739A1 (en) Toe protection sandal
KR200470361Y1 (en) Shoes having elastic band
US121935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boot comfort and style
US20110308111A1 (en) Decorative boot accessory
CN107232689B (en) Shoe and rear sleeve component thereof
US20230055536A1 (en) Structure and procedure for making a shoe with knitted upper
EP2870892B1 (en) Open shoe comprising a textile layer and means of fixation
CN210929871U (en) Comfortable shoes capable of changing in various forms
US9192206B2 (en) Reinforced elastic strap sandal
JP2023526516A (en) An improved stretchable shoe that can grow with the wearer's/user's foot over 3 sizes
KR101314663B1 (en) Unification portable shoese
KR101498683B1 (en) Sandal
KR200419527Y1 (en) Shoes with elastic band
KR101222159B1 (en) Slipper transformable sho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16363853U (en) Lace slippers
KR101445752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lipper
JP2014168493A (en) Sandal
KR100767602B1 (en) Shoes with elastic band
KR20130067351A (en) Detachable shoes
CA2957975A1 (en) Rigid three-dimensional sock-sho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9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11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05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12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70904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U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7090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8091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904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