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70011Y1 - 다기능 핸드폰 완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핸드폰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011Y1
KR200470011Y1 KR2020110010317U KR20110010317U KR200470011Y1 KR 200470011 Y1 KR200470011 Y1 KR 200470011Y1 KR 2020110010317 U KR2020110010317 U KR 2020110010317U KR 20110010317 U KR20110010317 U KR 20110010317U KR 200470011 Y1 KR200470011 Y1 KR 2004700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utton
operated
gear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3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185U (ko
Inventor
선우윤
Original Assignee
선우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우윤 filed Critical 선우윤
Priority to KR20201100103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011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1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1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0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0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30Imitations of miscellaneous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lephones, weighing-machines, cash-registers
    • A63H33/3016Telepho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63H31/08Gear-control mechanisms; Gears for imparting a reciprocating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30Imitations of miscellaneous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lephones, weighing-machines, cash-registers
    • A63H33/3066Watches or cl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완구의 상하측에 각각 시계부와 버튼조작부를 구성하여 버튼 조작에 따라 저장된 음성 또는 멜로디 등이 스피커를 통해 발생됨과 함께 시각을 나타내는 숫자마다 구성된 조명램프가 점멸되도록 하고, 이와 별도로 외부에서 시침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놀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측에 구성되어 시계놀이가 가능하도록 시침과 분침이 구성되고, 각 시각을 나타내는 숫자에는 점멸이 가능한 조명램프가 구성되어 투명창을 통해 점멸상태가 외부로 보여지도록 구성된 시계부; 하측에 구성되어 각 버튼마다 다른 음향이 발생되도록 조작되고, 버튼 조작에 따른 음향발생과 시계부의 각 시각 숫자에 구성된 조명램프가 연동되도록 조작되는 복수 개의 조작버튼부; 시계부에 구성된 시침이 움직이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시계조작부; 및 조작버튼부의 버튼 조작에 따라 조작된 버튼에 해당하는 음향을 외부로 발생시키는 음향발생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기능 핸드폰 완구{Multi-purpose mobile phone toy}
본 고안은 다기능 핸드폰 완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완구의 상하측에 각각 시계부와 버튼조작부를 구성하여 버튼 조작에 따라 저장된 음성 또는 멜로디 등이 스피커를 통해 발생됨과 함께 시각을 나타내는 숫자마다 구성된 조명램프가 점멸되도록 하고, 이와 별도로 외부에서 시침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놀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인 핸드폰 완구는 일정한 배열의 형태로 위치한 다수개의 다이얼 버튼 을 갖추고 있어서, 상기 각각의 다이얼 버튼을 누르면 미리 입력 저장된 음향이 발생하는 것으로서 놀이의 다양성이 없기 때문에 쉽게 흥미를 잃고 버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좀 더 다양한 놀이가 가능한 핸드폰 완구가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실용신안등록 제0373443호(2005. 01. 06 등록)의 ‘액자 겸용 거울이 부설된 핸드폰 완구’, 실용신안등록 제0322971호(2003. 08. 01 등록)의 ‘다기능 휴대폰 완구’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등록기술들은 핸드폰 본체 일측에 형성된 작동버튼을 누르면 후광조명이 발광되면서 핸드폰 덮개 전면에 형성된 거울을 통해 사진 또는 그림이 나타날 수 있도록 구성된 핸드폰 완구이거나, 휴대폰 본체에 녹음 및 재생이 가능하고 후레쉬 기능은 물론 만화경의 기능을 구비하여 보다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완구의 상하측에 각각 시계부와 버튼조작부를 구성하여 버튼 조작에 따라 저장된 음성 또는 멜로디 등이 스피커를 통해 발생됨과 함께 시각을 나타내는 숫자마다 구성된 조명램프가 점멸되도록 한 다기능 핸드폰 완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시침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다기능 핸드폰 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다기능 핸드폰 완구는, 상측에 구성되어 시계놀이가 가능하도록 시침과 분침이 구성되고, 각 시각을 나타내는 숫자에는 점멸이 가능한 조명램프가 구성되어 투명창을 통해 점멸상태가 외부로 보여지도록 구성된 시계부; 하측에 구성되어 각 버튼마다 다른 음향이 발생되도록 조작되고, 버튼 조작에 따른 음향발생과 시계부의 각 시각 숫자에 구성된 조명램프가 연동되도록 조작되는 복수 개의 조작버튼부; 시계부에 구성된 시침이 움직이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시계조작부; 및 조작버튼부의 버튼 조작에 따라 조작된 버튼에 해당하는 음향을 외부로 발생시키는 음향발생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시계조작부는 시계부의 중앙에 위치한 시침의 일단부에 연결된 축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시침이 축을 중심으로 움직이도록 회전구동되는 제1기어와, 제1기어에 치합되면서 외부로 일정부분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기어의 배면에는 사용자의 제2기어를 통한 시침 조작시 시침이 각 시각을 표시하는 숫자에 위치할 때마다 스톱기능을 발휘하도록 12개의 홈과 이 홈의 형성에 따라 자연적으로 형성된 돌기가 번갈아 형성된 스톱퍼가 제1기어에 연동되도록 제1기어의 배면으로부터 소정높이 돌출 구성되고, 시침이 각 시각에 위치할 때마다 스톱퍼의 움직임이 일시 정지되도록, 스톱퍼에 번갈아 형성된 홈에 걸리는 돌기가 형성된 스톱부재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제2기어는 그 중앙에 일정직경의 통공이 형성되어 완구의 내측부재에 사출형성된 돌기에 삽입됨으로써 돌기가 축 역할을 하여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조작버튼부의 버튼 조작에 따라 조작된 버튼을 감지하고 그에 해당하는 음향을 발생함과 동시에 시계부의 각 시각 숫자에 구성된 조명램프의 점멸이 행해지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조작된 버튼에 해당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음향을 외부로 발생시키는 음향발생부로 구성되고, 컨트롤러는 조작버튼부의 '12' 버튼이 조작되면 이를 판단하여 메모리로부터 해당하는 음향을 출력시키고, 시계부의 각 시각 숫자에 구성된 조명램프를 점멸시킴과 동시에 안테나에 구성된 조명램프도 점멸시키도록 프로그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기능 핸드폰 완구에 따르면, 완구의 상하측에 구성된 시계부와 버튼조작부가 서로 연동하여 버튼 조작에 따라 저장된 음성 또는 멜로디 등이 스피커를 통해 발생됨과 함께 시각을 나타내는 숫자마다 구성된 조명램프가 점멸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단순한 놀이에 비해 놀이의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또한 외부에서 시침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하나의 완구로서 다기능의 놀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기능 핸드폰 완구의 외형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기능 핸드폰 완구의 시계조작부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기능 핸드폰 완구의 제어 구성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기능 핸드폰 완구의 외형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기능 핸드폰 완구의 시계 조작부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기능 핸드폰 완구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기능 핸드폰 완구는, 기구적으로 상측에 구성된 시계부(10)와, 하측에 구성된 복수 개의 조작버튼부(20)와, 시계조작부(30)와, 음향발생부(40)로 이루어진다.
시계부(10)는 각 시각을 나타내는 숫자마다 다양한 칼라를 발생할 수 있는 조명램프가 설치되어 조작버튼부(20)의 버튼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음향에 맞추어 점멸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각 시각표시 및 조명램프의 점멸동작은 투명창(15)을 통해 외부로 보여진다.
또한 시계부(10)는 분침은 12에 고정시키고, 시침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계조작부(30)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조작버튼부(20)는 복수 개의 버튼마다 제각기 다른 음향(음성 및 노래)을 발생하도록 각 버튼이 컨트롤러(50)에 연결된다.
컨트롤러(50)에서는 조작된 버튼을 인지하여 그에 대응하여 저장된 음향을 메모리(60)로부터 출력하여 음향발생부(40)를 통해 외부로 발생하도록 한다.
컨트롤러(50)는 또한 조작버튼부(20)의 각 버튼에 해당하는 음향과 이에 부합되어 시계부(10)의 각 시각을 표시하는 숫자에 구성되어 점멸되는 조명램프를 연관시켜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 관리된다.
본 고안은 또한 안테나(80)가 완구의 상측에 설치되고, 이 안테나(80)도 조명램프가 구성됨으로써 조작버튼부(20)의 ‘12’라는 버튼을 사용자가 눌렀을 경우, 컨트롤러(50)가 이를 감지하여 안테나(80)에 구성된 조명램프의 점멸동작도 행해지도록 컨트롤러(50)에 프로그램되어 있다.
시계조작부(30)는 시계부(10)의 시침을 움직이기 위한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부(10)의 중앙에 위치한 시침의 일단부에 연결된 축(31)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시침이 축(31)을 중심으로 움직이도록 회전구동되는 제1기어(32)와, 제1기어(32)에 치합되면서 외부로 일정부분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기어(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기어(32)의 배면에는 사용자의 제2기어(33)를 통한 시침 조작시 시침이 각 시각을 표시하는 숫자에 위치할 때마다 스톱기능을 발휘하도록 12개의 홈(35a)과 돌기(부호 생략)가 번갈아 형성된 스톱퍼(35)가 제1기어(32)의 배면으로부터 소정높이 돌출 구성된다.
따라서 스톱퍼(35)는 제1기어(32)의 회전시 자동적으로 회전되는 것이며, 시침이 각 시각에 위치할 때마다 움직임이 일시 정지되도록, 홈(35a)에 걸리도록 돌기(36a)가 형성된 스톱부재(36)가 축(36b)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축(36b)은 부재(70)에 고정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기어(33)의 조작에 따라 제1기어(32)가 회전하면서 스톱퍼(35)가 이에 연동하는데, 스톱부재(36)의 돌기(36a)가 스톱퍼(35)의 홈(35a)에 삽입되면서 회전이 정지되더라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좀 더 힘을 주면 돌기(36a)가 홈(35a)을 이탈하면서 또다시 스톱퍼(35)가 회전되는 것으로써, 사실상 스톱부재(36)는 회전되는 것이 아니고, 본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스톱퍼(35)의 사용자에 의한 강제적인 회전에 의해 단지 돌기(36a)가 번갈아 홈(35a)에 번갈아 삽입되었다가 이탈되었다가를 반복하는 것이다.
제2기어(33)는 그 중앙에 일정직경의 통공(33a)이 형성되어 완구의 내측부재(70)에 사출형성된 돌기(33b)에 삽입됨으로써 돌기(33b)가 축 역할을 하여 회전이 가능해진다.
한편, 핸드폰 완구는 전후면 부재가 나누어져 제조된 후 나사를 이용하여 조립되는 것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제2기어(33)의 소정부분의 외부로의 돌출을 위해 전후면 부재 조립시 직사각형 형상의 홈(3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핸드폰 완구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조작버튼부(20)의 임의 버튼을 누르면, 누름신호가 컨트롤러(50)에 입력되어 눌러진 버튼이 판단되며, 이에 따라 컨트롤러(50)에서는 그 버튼에 해당하는 음향을 메모리(60)로부터 출력하여 음향발생부(40)를 통해 발생시킨다.
이와 동시에 컨트롤러(50)는 시계부(20)에 구성된 시각 표시 숫자마다 구성된 조명램프를 동작시켜 눌러진 버튼에 해당하여 음향발생부(40)를 통해 발생되는 음향의 박자에 대체로 부합되는 점멸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버튼을 누를 때마다 컨트롤러(50)의 제어에 의해 각기 달리 발생되는 음향을 음향발생부(40)를 통해 들을 수 있으며, 그 음향에 대체로 부합되는 박자로 점멸되는 시계부(20)의 동작을 볼 수 있어 시각적인 놀이 및 청각적인 놀이가 동시에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시계놀이를 할 경우에는, 제2기어(33)를 축 역할을 하는 돌기(33b)을 중심으로 임의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치합된 제1기어(32)가 제2기어(33)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에 연결된 시침을 축(31)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며, 각 시각에 시침이 위치되도록 제2기어(33)가 조작되면 제1기어(32)의 배면에 구성된 스톱퍼(35)에 형성된 걸림홈(35a)에 스톱부재(36)의 돌기(36a)가 걸리면서 일시정지됨으로써 시침이 임의 시각에 위치하였음을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한다.
10 : 시계부 20 : 조작버튼부
30 : 시계조작부 40 : 음향발생부
50 : 컨트롤러 60 : 메모리
70 : 내부부재 80 : 안테나

Claims (3)

  1. 상측에 구성되어 시계놀이가 가능하도록 시계조작부(30)에 의해 조작되는 시침과, 분침이 구성되고, 각 시각을 나타내는 숫자에는 점멸이 가능한 조명램프가 구성되어 투명창(15)을 통해 점멸상태가 외부로 보여지도록 구성된 시계부(10);
    하측에 구성되어 각 버튼마다 다른 음향이 발생되도록 조작되고, 버튼 조작에 따른 음향발생과 시계조작부(30)에 의해 조작되는 시계부(10)의 각 시각 숫자에 구성된 조명램프가 연동되도록 조작되는 복수 개의 조작버튼부(20);
    상기 시계부(10)에 구성된 시침의 움직임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 시계부(10)의 중앙에 위치한 시침의 일단부에 연결된 축(31)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시침이 축(31)을 중심으로 움직이도록 회전구동되는 제1기어(32)와, 상기 제1기어(32)에 치합되면서 외부로 일정부분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기어(3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기어(32)의 배면에는 사용자의 제2기어(33)를 통한 시침 조작시 시침이 각 시각을 표시하는 숫자에 위치할 때마다 스톱기능을 발휘하도록 12개의 홈(35a)과 홈(35)의 형성에 따라 자연적으로 형성된 돌기가 번갈아 형성된 스톱퍼(35)가 제1기어(32)에 연동되도록 제1기어(32)의 배면으로부터 소정높이 돌출 구성되고, 시침이 각 시각에 위치할 때마다 스톱퍼(35)의 움직임이 일시 정지되도록 스톱퍼(35)에 번갈아 형성된 홈(35a)에 걸리는 돌기(36a)가 형성된 스톱부재(36)가 축(36b)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기어(33)는 그 중앙에 일정직경의 통공(33a)이 형성되어 완구의 내측부재(70)에 사출형성된 돌기(33b)에 삽입됨으로써 돌기(33b)가 축 역할을 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 시계조작부(30); 및
    상기 시계조작부(30)에 의해 조작되는 시계부(10)의 각 시각 숫자에 구성된 조명램프가 연동되도록 조작되는 조작버튼부(20)의 각 버튼에 해당하는 음향을 외부로 발생시키는 음향발생부(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핸드폰 완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부(20)는, 시계부(10)의 각 시각 숫자에 구성된 조명램프의 점멸이 음향발생부(40)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의 박자에 맞추어 행해지도록 '12' 버튼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핸드폰 완구.
KR2020110010317U 2011-11-21 2011-11-21 다기능 핸드폰 완구 KR2004700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317U KR200470011Y1 (ko) 2011-11-21 2011-11-21 다기능 핸드폰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317U KR200470011Y1 (ko) 2011-11-21 2011-11-21 다기능 핸드폰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185U KR20130003185U (ko) 2013-05-29
KR200470011Y1 true KR200470011Y1 (ko) 2013-11-20

Family

ID=50741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317U KR200470011Y1 (ko) 2011-11-21 2011-11-21 다기능 핸드폰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0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114B1 (ko) * 2016-10-14 2018-05-31 이성윤 해머 동작을 이용한 기구 동작 학습용 종이 공작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1161U (ja) * 1996-05-14 1996-11-22 株式会社ウイズコーポレーション 時計玩具
JP3089848U (ja) * 2002-05-09 2002-11-15 株式会社学研トイホビー 携帯電話機玩具
JP2007319444A (ja) 2006-06-01 2007-12-13 Olympia:Kk パチンコ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1161U (ja) * 1996-05-14 1996-11-22 株式会社ウイズコーポレーション 時計玩具
JP3089848U (ja) * 2002-05-09 2002-11-15 株式会社学研トイホビー 携帯電話機玩具
JP2007319444A (ja) 2006-06-01 2007-12-13 Olympia:Kk パチンコ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114B1 (ko) * 2016-10-14 2018-05-31 이성윤 해머 동작을 이용한 기구 동작 학습용 종이 공작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185U (ko)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7000C2 (ru) Игрушка-конструктор с функциональными блоками
JP4552050B2 (ja) パチンコ遊技機
JP7375095B2 (ja) 演出出力玩具
US6802757B1 (en) Developmental toy
CN201257299Y (zh) 发电机驱动的娱乐装置
US6769952B1 (en) Mobil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A2431087C (en) Toy with correlated audible and visual outputs
WO2016088480A1 (ja) 演出玩具
WO2024067701A1 (zh) 玩具
CN112704886A (zh) 演出输出玩具
WO2024067700A1 (zh) 玩具
KR200470011Y1 (ko) 다기능 핸드폰 완구
JP4325776B2 (ja) 電飾装置を備えた遊技機
JP2023054830A (ja) 演出出力玩具
JP2014124449A (ja) 遊技機
JP2014140664A (ja) 遊技機
JP2013169288A (ja) 可動役物装置
KR20190065133A (ko) 연출 출력 완구 및 연출 출력 완구용의 물품
CN202822800U (zh) 声光相机玩具的结构
CN203275892U (zh) 玩具手表
US6343971B1 (en) Christmas tree shaped toy structure
CN214551175U (zh) 一种琴型拼接玩具及琴型拼接玩具系统
CN215538415U (zh) 一种街机型拼接玩具及街机型拼接玩具系统
JP4127922B2 (ja) オルゴール玩具
JP6925480B2 (ja) 演出出力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112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1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07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11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2062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2062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20621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62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U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2062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