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69905Y1 - 야외시설물 설치용 기초파일 및 그 시공에 사용되는 설치가이드대 - Google Patents

야외시설물 설치용 기초파일 및 그 시공에 사용되는 설치가이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905Y1
KR200469905Y1 KR2020130003444U KR20130003444U KR200469905Y1 KR 200469905 Y1 KR200469905 Y1 KR 200469905Y1 KR 2020130003444 U KR2020130003444 U KR 2020130003444U KR 20130003444 U KR20130003444 U KR 20130003444U KR 200469905 Y1 KR200469905 Y1 KR 2004699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ndation pile
installation
pile
pretze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훈
김남수
김경환
최승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톤
주식회사 한별조경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톤, 주식회사 한별조경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톤
Priority to KR2020130003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9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9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9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6Screw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4Guide devices; Guide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세하게는 시공이 용이하며, 지지력도 우수하여 야외시설물을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야외시설물 설치용 기초파일 및 그 시공에 사용되는 설치가이드대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금속판을 꼬아서 형성되는 꽈배기몸통부(110); 및 상기 꽈배기몸통부(110)의 상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131) 또는 나사산(132)이 형성된 연결부(1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시설물 설치용 기초파일 및 그 시공에 사용되는 설치가이드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야외시설물 설치용 기초파일 및 그 시공에 사용되는 설치가이드대{Support fundamental pile and installation guider}
본 고안은 야외시설물 설치용 기초파일 및 그 시공에 사용되는 설치가이드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이 용이하며, 지지력도 우수하여 야외시설물을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야외시설물 설치용 기초파일 및 그 시공에 사용되는 설치가이드대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안내 표지판이나 이정표를 비롯하여 각종 시설물의 설치시에는 흔히, 땅속에 콘크리트 기초를 설치하고 그 위에 시설물의 지주를 앙카 등으로 결합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이 땅속에 콘크리트 기초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땅을 굴착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하는 등 작업이 번거롭고 이러한 작업을 위한 기계장비들도 요구된다.
더욱이 등산로에 이정표를 설치하는 등과 같이, 산속에 시설물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작업을 위한 장비와 재료들을 산속으로 운반하여야 하므로 상당히 힘이 든다.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가 양생될 때까지 기다려서 후속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공사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또한, 시설물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지중에 매설된 콘크리트 기초에 의해 콘크리트 폐기물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기초파일을 형성하는 축부재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기초파일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초파일은 축부재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으로서, 나사산에 의해 기초파일의 지지력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한다. 따라서 시설물이 견고하게 설치되지 못하여 시설물이 전도되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7573호(2010. 05. 04.)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시공이 용이하여 공기가 단축되고, 지지력이 우수하여 시설물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사진 지형에도 수평을 맞추어 시설물을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야외시설물 설치용 기초파일 및 그 시공에 사용되는 설치가이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르면,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해 지중에 설치되는 기초파일에 있어서,
금속판을 꼬아서 형성되는 꽈배기몸통부(110); 및
상기 꽈배기몸통부(110)의 상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131) 또는 나사산(132)이 형성된 연결부(1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시설물 설치용 기초파일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130)는 원형관으로 이루어져서 상단부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상기 나사산(132)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130)의 상단에는 회전용 돌림쇠(10)를 끼우기 위한 돌림쇠끼움홈(134)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30)의 상기 나사산(132)이 형성된 부위보다 하측에는 지지용 꺽쇠(300)를 끼우기 위한 장공(13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시설물 설치용 기초파일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130)에 결합되는 장착구(4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장착구(400)는 다수개의 수직관통공(412)이 형성된 플레이트부(410); 및
상기 플레이트부(410)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130)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4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시설물 설치용 기초파일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한 기초파일(100)을 땅에 박을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원형의 통공(512)이 형성된 사각베이스판(510);
상기 통공(512)의 둘레부에서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가이드관(520);
상기 사각베이스판(510)의 좌우 양단부 상면에 서로 나란하게 구비된 한 쌍의 제1슬라이드관(530);
상기 사각베이스판(510)의 전후 양단부 저면에 서로 나란하게 구비된 한 쌍의 제2슬라이드관(540);
하단부가 상기 제1, 2슬라이드관(530, 540) 내부로 삽탈되는 나사축(552)이 구비된 고정나사(5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제1, 2슬라이드관(530,540)에 끼워지는 연결바아(560)에 의해 다수개 연결조립되며,
상기 기초파일(100)을 상기 수직가이드관(520)에 삽입하여 기초파일(100)을 땅에 박으면, 상기 기초파일(100)이 상기 수직가이드관(520)에 의해 가이드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파일용 설치가이드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한 기초파일(100)은 금속판을 꼬아서 만든 꽈배기몸통부(110)를 가진다. 이 꽈배기몸통부(110)는 금속판을 전체적으로 비틀어서 나선형태의 꼬임이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축부재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종래의 기초파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가진다. 따라서 지중에 설치시 흙과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므로 우수한 지지력을 가지며, 따라서 시설물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꽈배기몸통부(110) 전체가 나선형의 꼬임으로 이루어지므로, 땅을 파고드는 힘이 우수하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도 시공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축부재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종래의 기초파일은 나사산이 부식되면 기초파일의 지지력이 약화되나, 본 고안은 꽈배기몸통부(110)의 둘레부 일부가 부식되어도 지지력이 약화되지 않고 시공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또, 본 고안의 기초파일(100)은 회전시키거나 또는 타격하는 두 가지 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시공할 수 있고, 또는 2가지 방식을 혼용하여 시공할 수 있어서 시공이 용이하다.
또, 장착구(400)를 이용하여 시설물의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직가이드관(520)을 가지는 설치가이드대(500)를 사용하면, 기초파일(100)이 수직가이드관(520)에 가이드되어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으로 박히게 되므로 시공이 편리하다. 그리고, 기초파일(100)을 복수개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수개의 설치가이드대(500)를 격자형태로 연결하여 사용하면 기초파일(100)의 간격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기초파일의 정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설치가이드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설치가이드대의 요부단면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기초파일의 시공상태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기초파일을 이용하여 안내판을 설치한 상태도.
도 7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기초파일과 종래 기초파일의 지지력 비교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9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기초파일의 시공상태도.
도 10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기초파일의 다른 시공상태도.
도 11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기초파일의 또 다른 시공상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정면도.
도 13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초파일과 그 시공에 사용되는 액세서리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기초파일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기초파일(100)을 시공하기 위한 액세서리로는 지지용 꺽쇠(200)와, 기초파일(100)을 타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타격용 보호캡(300)과, 시설물을 기초파일(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장착구(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초파일(100)은 꽈배기몸통부(110)와, 이 꽈배기몸통부(110)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꽈배기몸통부(110)는 상하로 긴 사각형태의 철판을 꽈배기형태로 꼬아서 성형된다. 바람직하게는 꽈배기몸통부(110)는 냉연강판을 꼬아서 성형된다. 이러한 꽈배기몸통부(110)는 철판을 꼬아서 형성되기 때문에, 꽈배기몸통부(110) 전체가 나선형태의 꼬임을 이룬다.
도 2를 참고하면, 꽈배기몸통부(110)는 꼬임에 의해, 좌우 폭이 좁은 네크부(114)와, 좌우 폭이 넓은 솔더부(116)가 상하로 교호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기초파일(100)을 땅에 박으면, 상기 네크부(114)에 선단지지력이 작용되어 기초파일(100)이 전체적으로 우수한 지지력을 갖는다.
특히, 꽈배기몸통부(110)가 금속판을 전체적으로 비틀어서 나선형 꼬임을 가지기 때문에, 지중에 설치되면 흙과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고, 이에 의해서도 우수한 지지력을 가진다.
상기 꽈배기몸통부(110)의 하단은 뾰족한 팁부(118)를 이룬다. 따라서 꽈배기몸통부(110)가 딱딱한 지면에도 효과적으로 파고들어 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30)는 상단부 외주면에 나사산(132)이 형성된 원형관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결부(130)의 상단에는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한 쌍의 돌림쇠끼움홈(134)이 형성되며, 연결부(130)의 상기 나사산(132)보다 하측에는 한 쌍의 장공(136)이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돌림쇠끼움홈(134)은 기초파일(100)을 회전시켜 박는 경우에, 회전용 돌림쇠(10)를 끼우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공(136)은 상기 지지용 꺽쇠(200)를 끼우기 위한 것이다.(도 5 참조)
이 지지용 꺽쇠(200)는 양단부가 하향으로 절곡된 것으로서, 좌우 폭이 상기 연결부(1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용 꺽쇠(200)를 상기 장공(136)에 끼우면, 지지용 꺽쇠(200)의 양단부가 연결부(130) 외부로 돌출되어 연결부(130)를 가로지르게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지지용 꺽쇠(200)에 의해 기초파일(100)의 지지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타격용 보호캡(300)은 기초파일(100)을 타격하여 땅에 박는 경우에, 기초파일(100)의 상단, 즉, 연결부(130)의 상단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타격용 보호캡(300)은 저면이 개구된 원형캡형상으로 되어 연결부(130)의 상단에 씌워진다.
타격용 보호캡(300)은 연결부(130)에 나사결합되거나 또는 연결부(130)에 단순히 씌워질 수도 있다. 미 설명부호 302는 타격용 보호캡(300)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보호캡끼움공으로서, 이 보호캡끼움공(302)은 상기 연결부(130)에 형성된 돌림쇠끼움홈(134)과 정렬되어, 타격용 보호캡(300)을 씌운 상태에서 연결부(130)에 회전용 돌림쇠(10)를 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장착구(400)는 상기 기초파일(100)에 시설물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장착구(400)는 시설물의 지주(20)가 결합되는 플레이트부(410)와 플레이트부(410)의 하측에 형성되어 기초파일(100)의 연결부(130)에 결합되는 나사결합부(4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이트부(410)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수직관통공(412)이 형성된다. 그리고 나사결합부(430)는 내주면에 나사산(432)이 형성된 원형관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플레이트부(410)의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장착구(400)가 기초파일(100)의 연결부(130)에 나사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장착구(400)의 높이가 조절된다. 장착구(400)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장착구(400)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이 더 구비된다. 이 회전방지수단은 장착구(400)의 나사결합부(430)에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볼트공(434)과, 이 볼트공(434)에 체결되어 선단이 상기 연결부(130)의 외주면에 가압되는 한 쌍의 회전방지볼트(440)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는 상기 기초파일(100)를 손쉽게 수직으로 설치하기 위한 설치가이드대(500)가 더 구비된다. 설치가이드대(5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통공(512)이 형성된 사각베이스판(510)과, 상기 통공(512)의 둘레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수직가이드관(520)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사각베이스판(510)의 좌우 양측 상면에는 한 쌍의 제1슬라이드관(530)이 나란하게 구비되고, 사각베이스판(510)의 전후 양측 저면에는 한 쌍의 제2슬라이드관(540)이 나란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설치가이드대(500)는 다수개의 연결바아(560)에 의해 전후좌우 격자형태로 연결조립된다. 설치가이드대(500)는 연결바아(560)를 따라 전후좌우로 슬라이드되며, 따라서 설치가이드대(500)의 간격이 조절된다.
미 설명 부호 550은 설치가이드대(500)의 조절된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나사이다. 상기 제1, 2슬라이드관(530,540)에는 수직방향으로 나사공(531,54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나사(550)에는 상기 나사공(531,541)을 통해 선단부가 제1, 2슬라이드관(530,540) 내부로 삽탈되는 나사축(552)이 구비된다. 따라서 고정나사(550)를 상기 나사공(531,541)에 조이면, 나사축(552)의 선단이 상기 연결바아(560)의 외주면에 가압되어 설치가이드대(500)의 조절된 위치가 고정된다.
기초파일(100)을 다수개 설치하는 경우에는 기초파일(100)의 설치간격을 정확하게 맞추어야 하는데, 기초파일(100)을 설치할 간격에 맞추어서 설치가이드대(500)를 전후좌우로 슬라이드시켜서 설치가이드대(500)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러한 설치가이드대(500)를 이용하면 설치파일(100) 간의 거리를 정확하게 셋팅할 수 있어서 편리할 뿐만 아니라, 기초파일(100)이 기울어지지 않고 상기 수직가이드관(520)에 가이드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시공방법을 도 5와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가이드대(500)를 기초파일(100)을 설치할 거리에 맞게 슬라이드시켜서 간격을 조절하고, 고정나사(550)를 이용해 설치가이드대(500)의 조절된 위치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기초파일(100)의 꽈배기몸통부(110)를 설치가이드대(500)의 수직가이드관(520)에 삽입하고, 기초파일(100)을 땅에 박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파일(100)에 타격용 보호캡(300)을 씌우고, 망치로 가격하여 기초파일(100)을 임의의 깊이로 박는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지지용 손잡이(30)를 기초파일(100)에 끼우고 작업을 하면, 타격시 손을 다칠 우려가 없어서 안전하다. 또한, 기초파일(100)이 설치가이드대(500)의 수직가이드관(5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땅에 박히기 때문에 기초파일(100)이 수직가이드관(520)에 가이드되어서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으로 박히게 되므로 작업이 편리하다.
기초파일(100)이 어느 정도 박히면, 지지용 꺽쇠(200)를 연결부(130)에 끼우고 기초파일(100)을 박는다. 지지용 꺽쇠(200)가 끼워짐에 따라 기초파일(100)의 지지력이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타격용 보호캡(300)을 제거하고, 회전용 돌림쇠(10)를 이용하여 기초파일(100)의 깊이를 좀 더 정확하게 조절한다.
이와 같이 하여 기초파일(100)을 원하는 깊이로 박은 다음, 설치가이드대(500)를 제거한다. 그리고 장착구(400)를 기초파일(100)에 결합시키고, 설치될 시설물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장착구(400)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어서 회전방지볼트(440)를 장착구(400)의 나사결합부(430)에 체결하여 장착구(400)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이와 같이 한 다음, 시설물의 지주(20)를 장착구(400)에 결합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지주(20)가 결합되는데, 지주(20)의 플랜지는 장착구(400)의 플레이트부(410)에 볼트체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꽈배기몸통부(110)가 금속판을 꽈배기형태로 꼬아서 형성되어, 꽈배기몸통부(110) 전체가 나선형의 꼬임을 이루기 때문에 지지력이 우수하다. 따라서 시설물이 견고하게 설치되어 전도될 우려가 없으므로 시설물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기초파일(100)과, 종래의 나사산이 형성된 기초파일 및 봉형상 휀스파일의 지지력을 비교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이 형성된 기초파일과 봉형상의 휀스파일은 수평방향의 선단지지력이 형성됨에 반해, 본 고안에 의한 기초파일은 꽈배기몸통부(110)의 네크부(114)에 45°사선방향으로 선단지지력이 작용되어 기초파일이 강한 지지력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연결부(130)의 외주면에 나사산(132)이 형성되고, 연결부(130)의 상단부에 회전용 돌림쇠(10)를 끼우기 위한 돌림쇠끼움공(135)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산(132)에는 너트체(138)가 결합된다.
그리고 장착구(400)의 나사결합부(430)는 내부에 나사산(432)이 형성된 원형관으로 이루어지며, 장착구(400)의 플레이트부(410)와 나사결합부(430) 사이에 보강리브(414)가 형성된다.
또한, 꽈배기몸통부(110)의 상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보조끼움공(112)이 형성된다. 이 보조끼움공(112)은 기초파일(100)을 회전시켜서 땅에 박을 때, 꽈배기몸통부(110)에 회전용 돌림쇠(10)를 끼워서 기초파일(1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부(130)에 형성된 돌림쇠끼움홈(134) 또는 돌림쇠끼움홈(135)에 회전용 돌림쇠(10)를 끼워서 기초파일(1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기초파일(100)의 길이가 1m 이상으로 상당히 긴 경우에는 연결부(130)에 회전용 돌림쇠(10)를 끼워서 기초파일(100)을 회전시키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위치되는 꽈배기몸통부(100)에 회전용 돌림쇠(10)를 끼워서 회전시키는 것이 힘이 덜 든다.
따라서 꽈배기몸통부(110)에 회전용 돌림쇠(10)를 끼우기 위한 보조끼움공(112)이 형성되면, 좀 더 용이하게 기초파일(100)을 회전시켜 박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의한 기초파일(100)을 이용하여 이정표를 설치하는 공정을 보인 것이다. 이 경우에는 하나의 기초파일(100)만 설치하면 되므로, 설치가이드대(500)를 연결바아(560)에서 분리하여 하나만 사용한다. 설치가이드대(500)를 기초파일을 설치할 위치에 셋팅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기초파일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설치가이드대(500)를 하나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설치가이드대(500)가 유동될 우려가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별도의 고정못 등으로 설치가이드대(500)를 땅에 고정시켜 사용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의한 기초파일(100)에 장착구(400)를 사용하지 않고 지주(20)를 직접 결합시킨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홀이 형성된 지주(20)가 제공되고 있는데, 이러한 지주(2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장착구(400)를 사용하지 않고 기초파일(100)의 연결부(130)에 지주(20)를 직접 연결시킨다.
상기 연결부(130)에 체결된 너트체(138)를 임의의 위치로 위치시키고, 너트체(138) 위에 지주(20)의 바닥을 안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지지판(140) 끼운다. 지지판(140)은 너트체(138)에 의해 지지되어 끼워진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지주(20)를 연결부(130)에 끼워서 나사체결시킨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의한 기초파일(100)을 이용하여 경사면에 테크로드를 설치한 것을 보인 것으로서, 테크로드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길이가 다른 장착구(400)를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구(4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시설물의 수평을 맞추는데, 경사가 심한 경우에는 장착구(400)의 높이조절을 통해서 수평을 맞추기 곤란한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를 위해 장착구(400)의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함으로써, 시설물의 수평을 효과적으로 맞출 수 있다.
도 12와 도 1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와 사용상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꽈배기몸통부(110)를 이루는 철판이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연결부(130)의 상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설치공(131)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131)은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기초파일(100)을 회전시켜 시공할 때 회전용 돌림쇠(10)를 끼우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의한 기초파일(100)은 텐트나 천막을 설치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이 적합하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초파일(100)를 이용하여 텐트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설치공(131)에 회전용 돌림쇠(10)를 끼우고 기초파일(100)을 회전시켜서 땅에 박은 다음, 상기 연결부(130)의 설치공(131)에 텐트줄(40)을 연결시켜서 텐트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을 이용하여 텐트나 천막을 설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꽈배기몸통부(110)의 우수한 지지력에 의해 텐트나 천막이 견고하게 설치된다.
10. 회전용 돌림쇠 20. 시설물 지주
30. 파일지지용 손잡이 40. 텐트줄
100. 기초파일 110. 꽈배기몸통부
112. 보조끼움공 114. 네크부
116. 솔더부 118. 팁부
130. 연결부 131. 설치공
132. 나사산 134. 돌림쇠끼움홈
135. 돌림쇠끼움공 136. 장공
138. 너트체 140. 지지판
200. 지지용 꺽쇠 300. 타격용 보호캡
302. 보호캡끼움공 400. 장착구
410. 플레이트부 412. 수직관통공
430. 나사결합부 432. 나사산
434. 볼트공 440. 회전방지볼트
500. 설치가이드대 510. 사각베이스판
512. 통공 520. 수직가이드관
530. 제1슬라이드관 531, 541. 나사공
540. 제2슬라이드관 550. 고정나사
552. 나사축 560. 연결바아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한 기초파일(100)을 땅에 박을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원형의 통공(512)이 형성된 사각베이스판(510);
    상기 통공(512)의 둘레부에서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가이드관(520);
    상기 사각베이스판(510)의 좌우 양단부 상면에 서로 나란하게 구비된 한 쌍의 제1슬라이드관(530);
    상기 사각베이스판(510)의 전후 양단부 저면에 서로 나란하게 구비된 한 쌍의 제2슬라이드관(540);
    상기 제1, 2슬라이드관(530,540)에 형성된 나사공(531,541)에 나사결합되어 선단이 상기 제1, 2슬라이드관(530, 540) 내부로 삽입되는 나사축(552)이 구비된 고정나사(5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제1, 2슬라이드관(530, 540)에 끼워지는 연결바아(560)에 의해 다수개 연결조립되며,
    상기 기초파일(100)을 상기 수직가이드관(520)에 삽입하여 기초파일(100)을 땅에 박으면, 상기 기초파일(100)이 상기 수직가이드관(520)에 의해 가이드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파일용 설치가이드대.

















KR2020130003444U 2013-05-02 2013-05-02 야외시설물 설치용 기초파일 및 그 시공에 사용되는 설치가이드대 KR2004699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444U KR200469905Y1 (ko) 2013-05-02 2013-05-02 야외시설물 설치용 기초파일 및 그 시공에 사용되는 설치가이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444U KR200469905Y1 (ko) 2013-05-02 2013-05-02 야외시설물 설치용 기초파일 및 그 시공에 사용되는 설치가이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905Y1 true KR200469905Y1 (ko) 2013-11-13

Family

ID=50741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444U KR200469905Y1 (ko) 2013-05-02 2013-05-02 야외시설물 설치용 기초파일 및 그 시공에 사용되는 설치가이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90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4235A (zh) * 2019-04-23 2019-06-28 广东中人岩土工程有限公司 一种旋挖桩用防塌孔装置
KR102038913B1 (ko) * 2019-06-11 2019-10-31 강찬성 급류 유속 완화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91212B1 (ko) * 2019-12-24 2020-03-19 에스에이 주식회사 파일을 이용한 기초구조를 갖는 방음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79836B1 (ko) 2022-07-05 2022-12-21 제이이앤씨 주식회사 건설장비 전도 방지 가설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7349A (ja) * 1998-09-08 2000-03-28 Tsuneo Goto アンカー
KR20110134295A (ko) * 2010-06-08 2011-12-14 이윤표 시설물지주 보강재
KR101247672B1 (ko) * 2012-02-24 2013-04-02 주식회사 캬라반이에스 온실 기초 시공방법 및 그 시공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7349A (ja) * 1998-09-08 2000-03-28 Tsuneo Goto アンカー
KR20110134295A (ko) * 2010-06-08 2011-12-14 이윤표 시설물지주 보강재
KR101247672B1 (ko) * 2012-02-24 2013-04-02 주식회사 캬라반이에스 온실 기초 시공방법 및 그 시공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4235A (zh) * 2019-04-23 2019-06-28 广东中人岩土工程有限公司 一种旋挖桩用防塌孔装置
KR102038913B1 (ko) * 2019-06-11 2019-10-31 강찬성 급류 유속 완화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91212B1 (ko) * 2019-12-24 2020-03-19 에스에이 주식회사 파일을 이용한 기초구조를 갖는 방음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79836B1 (ko) 2022-07-05 2022-12-21 제이이앤씨 주식회사 건설장비 전도 방지 가설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1030B2 (ja) アンカーボルトセット装置
KR200469905Y1 (ko) 야외시설물 설치용 기초파일 및 그 시공에 사용되는 설치가이드대
JP2010037765A (ja) 雪崩・落石等防護体の支柱とこれを用いた防護体並びにその支柱の施工方法
JP2009197539A (ja) 支柱用支持具
KR101674435B1 (ko) 연약지반용 시설물 설치 지주
JP2981213B1 (ja) 基礎杭と建物・建築物躯体構造
WO2000001893A1 (en) Improved constructional support
US20130263532A1 (en) Device and Method for Straightening and Supporting a Leaning Pole or Post
JP2011080195A (ja) アンカー装置およびアンカーの施工法
KR101364586B1 (ko) 그리드 네일링 사면보강공법용 네일 조립체, 보강시설 및 이를 이용한 그리드 네일링 사면보강공법
JP5721059B2 (ja) 防護柵及び既設の防護柵の嵩増し工法
KR101127475B1 (ko) 띠장 연결장치
JP4690781B2 (ja) 落石防止柵
JP6033806B2 (ja) 支柱固定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固定具
JP2000273833A (ja) 土中建込柱
KR100950683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대좌
JP3146282U (ja) 防護柵
RU176898U1 (ru) Пустотелая винтовая свая
CN218758664U (zh) 连墙组件
JP2016010187A (ja) 太陽光パネル架台用基礎杭
JP4766996B2 (ja) 土木施設用ロープのアンカー装置
JP5032255B2 (ja) 落石防護兼雪崩予防施設
KR102059373B1 (ko) 펜스용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WO2015015218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ollards and barriers
JP2004019369A (ja) 防護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50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6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2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080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110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3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