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291Y1 - Chair with hammok - Google Patents
Chair with hammo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9291Y1 KR200469291Y1 KR2020130005323U KR20130005323U KR200469291Y1 KR 200469291 Y1 KR200469291 Y1 KR 200469291Y1 KR 2020130005323 U KR2020130005323 U KR 2020130005323U KR 20130005323 U KR20130005323 U KR 20130005323U KR 200469291 Y1 KR200469291 Y1 KR 20046929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member
- chair
- hammock
- support
- support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22—Hammocks; Hammock spreaders
- A45F3/24—Stands;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28—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10—Camp, travelling, or sports stool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의자로 사용 시 상면으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커버, 평단면 형상이 수용공간의 평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고,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지지플레이트, 일단부는 지지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에 힌지결합하여, 휴대시에는 지지플레이트에 인접하게 접어져 커버에 삽입되고, 의자로 사용시에는 지지플레이트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접어져 의자 다리역할을 하고, 해먹으로 사용시에는 지지플레이트와 수평한 방향으로 펼쳐지는 복수개의 제1지지부재, 일단부는 제1지지부재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하여 의자로 사용시에는 제1지지부재에 절첩되게 포개지고, 해먹으로 사용시에는 상제1지지부재로부터 펼쳐져 타단부에 해먹용 그물망이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 및 일단부는 제2지지부재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1지지부재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상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경사를 유지하는 경사스토퍼부를 포함하는 해먹 겸용 의자를 제공한다.
따라서 휴대시에는 모든 구성을 커버의 수용공간에 삽입하여 휴대가 용이하며, 의자와 해먹 각각으로의 전환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가능하여 사용이 간편하고,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휴대용 의자 및 해먹으로도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그 활용가치가 대단히 높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ox-shaped open bottom,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inside, the user can sit on the upper surface when used as a chair,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i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ceiving space, the receiving space Support plate is inserted into the hinge, one end is hinged to the edge of the support plate, when carrying is folded adjacent to the support plate and inserted into the cover, when used as a chair fol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plate to act as a chair leg When used as a hammock,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members that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support plate, one end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member is folded to be fold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when used as a chair, When used as a hammock,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extended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to the hammock ne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It is fixed to the material, and the other end provides a first support fitted removably to a member, funeral hammock comprising a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ing the inclined stopper member for maintaining the inclination of the chair combination.
Therefore, when carrying, it is easy to carry by inserting all the components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over, and it is easy to use as it is possible to switch between the chair and the hammock by simple operation, and can be used as a portable chair and hammock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Its use value is very high.
Description
본 고안은 해먹 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의자로도 사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 시 해먹으로도 사용가능한 해먹 겸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mmock combined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mmock combined chair that can be used as a hammock as well as can be used as a portable chair.
최근 들어 캠핑, 등산 또는 낚시 등의 레저활동을 하는 인구가 점차 늘어남에 따라, 이에 따른 레저활동 장비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비 중에는 휴대의자도 포함하고 있다.Recently, as the population of leisure activities such as camping, hiking or fishing increases, the demand for leisure equipment is also increasing, and such equipment includes a portable chair.
이에 종래의 휴대의자는, 대부분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휴대시에는 포개져 있다가 필요시 사용자가 의자형태로 펼쳐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52487호에 접이식 휴대의자가 개시된 바 있다.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portable chair is structured so that most of the folding chai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folded and then folded in the form of a chair when the user needs to use them. The portable folding chair is 20-0452487 for the Republic of Korea registration example. A chair has been disclosed.
한편, 해먹(Hammock)은 주로 야외에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사람이 누울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그물망 양측 끝단을 나무 등에 각각 연결하여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고, 상기 그물망에 사람이 누워 좌,우로 흔들리는 상태로 하여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On the other hand, hammocks (Hammock) are mainly used outdoors, the ends of the net having a size enough to lie down by connecting the end of the tree to each other, such as to avoid touching the ground, the person lays on the net shakes left and right It is used as a state.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해먹은 주로 야외에서 나무와 나무 사이에 설치하거나, 기타 고정된 장애물 등이 있어야만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장소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별도의 침구 없이도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높은 효용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널리 사용 및 보급되고 있지는 않고 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hammock is mainly installed outdoors between trees and trees, or other fixed obstacles can be used only because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restrictions on the place of use, and also can rest without a separate bedding Despite its high utility value, it is not widely used and disseminated.
본 고안은 휴대의자로서의 사용은 물론, 필요 시 사용자가 해먹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해먹 겸용 휴대의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hammock combined portable chair that can be used as a hammock by the user as well as use as a portable chair.
본 고안은,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의자로 사용 시 상면으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커버; 평단면 형상이 상기 수용공간의 평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고,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지지플레이트; 일단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에 힌지결합하여, 휴대시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인접하게 접어져 상기 커버에 삽입되고, 의자로 사용시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접어져 의자 다리역할을 하고, 해먹으로 사용시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수평한 방향으로 펼쳐지는 복수개의 제1지지부재; 일단부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하여 의자로 사용시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에 절첩되게 포개지고, 해먹으로 사용시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로부터 펼쳐져 타단부에 해먹용 그물망이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제2지지부재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지지부재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경사를 유지하는 경사스토퍼부를 포함하는 해먹 겸용 의자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is opened,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box shape, the cover that the user can sit on the upper surface when used as a chair; A support plate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One end is hinged to the edge of the support plate, and is folded adjacent to the support plate when carrying, and inserted into the cover, and when used as a chair, it is fol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plate and serves as a chair leg. When used as a hammock,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members that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support plate; One end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member is folded to be fold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when used as a chair, when used as a hammock is unfolded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when the hammock ne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2 support member; And an inclined stopper portion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other end detachably fitt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to maintain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To provide.
여기서, 상기 제2지지부재는,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가변부재들로 형성되고, 상기 가변부재들은 양단부 각각이 힌지 결합하여 선회하면서 서로가 절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formed of a plurality of variable members so as to vary the length, it is preferable that the variable members are folded to each other while the hinges of both ends are pivotally coupled.
또한, 상기 해먹 겸용 의자는 양측부가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제1지지부재 각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바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hammock combine chair is preferably further provided with a frame bar for supporting the first support member by detachably coupled to each of the pair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djacent to both sides.
또한, 상기 해먹 겸용 의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1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일단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에 힌지결합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1지지부재에 힌지결합하며, 굽힘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복수개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hammock combined chair is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one end is hinged to the edge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material is bendabl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formed.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는, 절첩 시 내측으로 포개질 수 있도록 종단면형상이 'ㄷ'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hape is formed in the '''shape so as to be folded inwards when folded.
본 고안에 따른 해먹 겸용 의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Hammock combine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휴대시에는 모든 구성을 커버의 수용공간에 삽입하여 휴대가 용이하다.First, when carrying, it is easy to carry by inserting all the components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ver.
둘째, 의자와 해먹 각각으로의 전환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가능하여, 사용이 간편하다. Second, it is possible to switch between the chair and the hammock by simple operation, so it is easy to use.
셋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휴대용 의자 또는 해먹으로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그 활용가치가 대단히 높다.Third, the utilization value is very high because it can be used as a portable chair or hammock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넷째, 휴대용 의자뿐만 아니라 해먹으로도 가능하기 때문에, 의자와 해먹 각각을 별도로 구입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다.
Fourth, because it can be used as a hammock as well as a portable chair, it is economical because you do not need to purchase each chair and hammock separately.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해먹 겸용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해먹 겸용 의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해먹 겸용 의자의 휴대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해먹 겸용 의자를 해먹으로 사용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경사스토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mmock combined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ammock chair of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when carrying the hammock chair of Figure 1;
4 to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for using the hammock combined chair of Figure 1 as a hammock.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clined stopper part of FIG. 5.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해먹 겸용 의자(800)는, 커버(100)와, 지지플레이트(200)와, 연결부재(300)와, 제1지지부재(400)와, 제2지지부재(500)와, 경사스토퍼부(600)를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hammock combined
상기 커버(100)는, 하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의자로 사용 시 상면으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와, 상기 연결부재(300)와, 상기 제1지지부재(400)의 일측 단부 일부가 삽입된다. The
상기 커버(100)는, 의자로 사용 시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다리역할을 하는 상기 제1지지부재(400)의 일측 단부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110) 내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1지지부재(400)가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구속하는 역할도 한다. 이에, 상기 커버(100)는 상기 제1지지부재(400)가 벌어지지 않도록 일정 높이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높이는 상기 제1지지부재(400)의 구조 및 배열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The
한편, 상기 해먹 겸용 의자(800)는, 의자로 사용 시 상기 제1지지부재(400)가 내측으로 오므려지지 않도록 프레임바(7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ammock combined
상기 프레임바(700)는 의자로 사용 시 다리역할을 하는 상기 제1지지부재(40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4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 상기 프레임바(700)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양단부가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제1지지부재(400)의 외측에 결합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400)가 벌어지거나 내측으로 오므라들지 않도록 한다. The
이때, 상기 프레임바(700)와 상기 제1지지부재(400)는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며, 이러한 착탈구조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지지부재(400)와 상기 프레임바(700)를 관통하는 끼움핀구조, 또는 상기 제1지지부재(400)에 삽입부를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바(700)가 스냅식(암수 결합식)으로 끼움 결합하는 구조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In this case, the
한편, 이와 달리 상기 해먹 겸용 의자(800)는 상기한 프레임바(700)와 달리 후술하는 경사스토퍼부(600)와 유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400)가 내측으로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above-describe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의자로 사용 시 상기 제1지지부재(400)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 외에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와, 상기 연결부재(300)와, 상기 제1지지부재(400)와, 상기 제2지지부재(500)를 포함하는 일련의 구성을 모두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삽입하여 휴대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상기 지지플레이트(200)는, 평단면 형상이 상기 수용공간(110)의 평단면 형상과 그 크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측에 인접하게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10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00)는 각각 사각형상인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였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그 형상 등은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상기 연결부재(300)는, 복수개로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가장자리부 모서리에 각각 배치되며, 일단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에 각각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1지지부재(400)와 연결되어 있다. The connecting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와 힌지부(310)를 통하여 힌지 결합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선회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300)는 해먹으로 사용 시 인접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300) 끼리 서로 모아지도록 각도가 변경되어 해먹용 그물망(10)을 양측 두 군데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4 to 6, the
한편, 상기 연결부재(300)는, 굽힘이 가능한 유연한 재질 또는 접힘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400)를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각도를 변경하여, 의자 및 해먹으로도 사용 가능하고, 휴대시 상기 제1지지부재(400)가 포개어지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즉, 상기 연결부재(300)는, 의자로 사용시에는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400)가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에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지게 하고, 해먹으로 사용 시에는 수평한 방향으로 펼쳐져 상기 제1지지부재(400)가 수평한 방향으로 뉘어질 수 있게 하며, 휴대 시에는 'U'자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400)가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에 맞대어 지도록 하여 상기 수용공간(110)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the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굽힘이 가능하면서도 안정적인 내구성을 지닐 수 있는 재질이라면 모두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접힘이 가능한 구조 또한 공지의 접힘 구조라면 모두 적용가능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 the
상기 제1지지부재(400)는, 소정 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의자로 사용 시에는 다리 역할을 하고, 해먹으로 사용 시에는 지면상에 놓여져 해먹용 그물망(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한편, 상기 제1지지부재(400)는, 해먹으로의 변환이 용이하도록 상기 연결부재(300)에 대하여 각도를 변경할 수 있게 상기 연결부재(300)와 힌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제2지지부재(500)는, 상기 제1지지부재(400)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하고 있어 상기 제1지지부재(400)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2지지부재(500)는 의자로 사용시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400)에 포개지도록 절첩되고, 해먹으로 사용시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400)에 대하여 소정이 각도로 경사지게 펼쳐져 타단부에 해먹용 그물망(10)이 연결된다. The
이때, 상기 제1지지부재(400)와 상기 제2지지부재(500)의 경사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경사스토퍼부(600)를 더 구비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At this time, in order to maintain the inclination of the
상기 제2지지부재(50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타단부에 해먹용 그물망(10)이 연결될 수 있는 연결홀을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의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상기 제2지지부재(500)는, 길이를 가변할 수 있는 복수개의 가변부재(510,520)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해먹 겸용 의자(800)는, 상기 가변부재(510,520)들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해먹용 그물망(10)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가변부재(510,520)들은 도면에서와 같이 절첩이 가능하도록 서로가 힌지 결합되어, 펼침 또는 접힘에 따라 그 길이를 가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변부재(510,520)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힌지 결합 외에 텔레스코핑 구조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도면에서는 상기 제1지지부재(400) 하나에 대하여 한 쌍의 가변부재(510,520)들로 이루어진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그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제1지지부재(400)와, 상기 제2지지부재(500)들 및 상기 가변부재(510,520)들은, 절첩 시 내측으로 포개질 수 있도록 종단면형상이 'ㄷ'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400)와 상기 가변부재(510,520)들은 절첩 시 그 부피를 상당히 줄일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해진다.The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경사스토퍼부(600)는, 상기 제2지지부재(500)가 상기 제1지지부재(400)에 대하여 내측으로 꺾이지 않고 소정의 경사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 상기 경사스토퍼부(600)는, 경사바(610)와, 걸림부(6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상기 경사바(610)는, 일단부는 고정단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50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단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4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경사바(6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회동이 가능한 경첩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2지지부재(500)에 고정되어, 의자로 사용시에는 회동시켜 상기 제2지지부재(500)에 인접하게 하고, 해먹으로 사용시에는 상기 걸림부(620)에 걸쳐지도록 하여 상기 제2지지부재(500)의 회전을 제한한다. The
상기 걸림부(620)는, 상기 제1지지부재(400)에 구비되어 상기 경사바(610)의 타단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고, 착탈에 따라 상기 경사바(610)의 타단부의 위치를 고정 또는 해제한다. 도면에서, 상기 걸림부(620)는, 상기 제1지지부재(400)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경사바(610)의 타단부가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경사바(610)의 회전을 제한한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걸림부(620)는 상기한 걸림턱구조 외에 걸림홈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engaging
한편, 상기 걸림부(620)는 제1지지부재(400)의 내측에 고정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경사각의 조절을 위해 위치 가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지지부재(400)의 양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홀이 형성되고, 걸림부(620)에도 홀이 형성되어 제1지지부재(400) 내에서 걸림부(620)를 임의의 위치에 배치시킨 후 볼트와 너트 또는 핀에 의해 걸림부(620)를 제1지지부재(400)에 고정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상기한 바에 따라, 상기 경사스토퍼부(600)는 의자 또는 휴대용으로 사용시에는 상기 경사바(610)의 타단부를 상기 걸림부(620)로부터 해제하여 상기 제2지지부재(500)가 절첩되도록 하고, 해먹으로 사용 시에는 상기 경사바(610)의 타단부를 상기 걸림부(620)에 안착시켜 상기 제2지지부재(500)가 소정의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이에, 상기 해먹 겸용 의자(800)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우선 의자로 사용시에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부재(500)를 상기 제1지지부재(400)에 포개어 지도록 절첩하고, 상기 제2지지부재(500)가 포개진 상기 제1지지부재(40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에 수직으로 세운 뒤 상기 커버(100)를 씌워 의자형태로 만든다. 그런 다음, 상기 제1지지부재(400)의 외측에 상기 프레임바(700)를 결합시켜 의자로 사용한다. Thus, looking at the method of using the hammock combined
이와 달리 해먹으로 사용시에는, 상기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100)를 벗겨 낸 후 상기 지지플레이트(200)를 뒤집어서 지면에 놓고, 그런 다음 상기 제1지지부재(400)와 상기 제2지지부재를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펼친 다음 상기 제2지지부재의 노출단부에 해먹의 그물망을 설치하여 해먹으로 사용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used as a hammock, after removing the
이렇게 의자 또는 해먹으로 사용이 끝나면, 상기 제1지지부재(400)와 상기 제2지지부재(500)를 서로 포개어 지도록 절첩한 뒤, 상기 제1지지부재(400)를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에 맞대어 지도록 접은 후 상기 커버(100)의 수용공간(110)에 넣어 휴대한다. After the use as a chair or hammock,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해먹 겸용 의자(8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휴대용 의자 및 해먹으로도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캠핑과 같은 레저활동에 있어서 그 활용가치가 대단히 높으며,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의자와 해먹으로 각각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휴대시에는 모든 구성을 커버(100)의 수용공간(110)에 삽입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hammock combined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 scope.
10... 해먹용 그물망 100... 커버
200... 지지플레이트 300... 연결부재
400... 제1지지부재 500... 제2지지부재
510,520... 가변부재 600... 경사스토퍼부
610... 경사바 620... 걸림부
700... 프레임바 800... 해먹 겸용 의자10 ... hammock net 100 ... Cover
200 ...
400 ...
510,520
610 ...
700 ... framebar 800 ... hammock chair
Claims (5)
평단면 형상이 상기 수용공간의 평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고,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지지플레이트;
일단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에 힌지결합하여, 의자로 사용시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각도가 변환되어 의자 다리역할을 하고, 해먹으로 사용시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수평한 방향으로 펼쳐지는 복수개의 제1지지부재;
일단부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하여 의자로 사용시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에 절첩되게 포개지고, 해먹으로 사용시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로부터 펼쳐져 타단부에 해먹용 그물망이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제2지지부재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지지부재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경사를 유지하는 경사스토퍼부를 포함하는 해먹 겸용 의자.
A space in which an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in a box shape having an open lower portion, and a cover which allows a user to sit on an upper surface when used as a chair;
A flat plate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a flat cross-sectional shape of the accommodation space, the support plate being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One end is hinged to the edge of the support plate, when used as a chair, the angle is conver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plate to act as a chair leg, and when used as a hammock to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support plate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members;
One end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member is folded to be fold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when used as a chair, when used as a hammock is unfolded from the first support member when the hammock ne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2 support member; And
One end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the other end is detachably fitt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hammock combined chair comprising an inclined stopper to maintain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상기 제2지지부재는,
서로 힌지 결합하여 선회에 따라 서로가 절첩되면서 길이를 가변할 수 있는 복수개의 가변부재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먹 겸용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support member,
A hammock combined chair comprising a plurality of variable members capable of varying lengths while being hinged to each other and being folded together upon turning.
양측부가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제1지지부재 각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바를 더 구비하는 해먹 겸용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ammock combined chair further comprising a frame bar that detachably couples each of the pair of first support members adjacent to each other to support the first support member.
일단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에 선회가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하고, 타단부는 상기 제1지지부재에 선회가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하며, 굽힘이 가능한 재질 또는 접힘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복수개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해먹 겸용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One end is hinged to the edge of the support plate to be pivotable,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to be pivotable,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made of bendable material or foldable are further provided. Hammock combined chair included.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는,
종단면형상이 'ㄷ'형상으로 형성된 해먹 겸용 의자.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A hammock chair with a longitudinal profile in the shape of the 'c'.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5323U KR200469291Y1 (en) | 2013-07-01 | 2013-07-01 | Chair with hammo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5323U KR200469291Y1 (en) | 2013-07-01 | 2013-07-01 | Chair with hammo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9291Y1 true KR200469291Y1 (en) | 2013-10-02 |
Family
ID=50737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532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69291Y1 (en) | 2013-07-01 | 2013-07-01 | Chair with hammo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9291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2909Y1 (en) * | 2014-02-17 | 2014-05-29 | 이돈 | Hammock support with table |
KR101791239B1 (en) * | 2015-10-07 | 2017-10-27 | 이영진 | Adjustable furnitur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3637Y1 (en) | 2002-11-14 | 2003-02-11 | 김인섭 | folding a desk |
KR20120002687U (en) * | 2012-03-07 | 2012-04-19 | 채종술 | Folding chair |
-
2013
- 2013-07-01 KR KR2020130005323U patent/KR200469291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3637Y1 (en) | 2002-11-14 | 2003-02-11 | 김인섭 | folding a desk |
KR20120002687U (en) * | 2012-03-07 | 2012-04-19 | 채종술 | Folding chai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2909Y1 (en) * | 2014-02-17 | 2014-05-29 | 이돈 | Hammock support with table |
KR101791239B1 (en) * | 2015-10-07 | 2017-10-27 | 이영진 | Adjustable furni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64934Y1 (en) | Portable foot rest | |
US20070107853A1 (en) | Modular folding screen | |
US20170340100A1 (en) | Foldable Banquet Table and Bench Set | |
US3847170A (en) | Combination partial tent and full tent device | |
US20130276228A1 (en) | Framed Bed Foundation | |
CA2624553A1 (en) | Foldable water tank with shielded hinges | |
CN205493265U (en) | Folding bed | |
KR200469291Y1 (en) | Chair with hammok | |
US20060169310A1 (en) | Portable toilet assembly | |
KR101832620B1 (en) | foldable camping grill | |
US1462615A (en) | Portable umbrella stand | |
KR20160000231U (en) | Multifunctional folding equipment box | |
US20050279341A1 (en) | Foldable barbecue grill | |
CN109640740A (en) | Foldable table | |
US20170000245A1 (en) | Convertible backpack frame | |
US20220248833A1 (en) | Portable hammock frame and bed | |
US7600276B2 (en) | Baby crib including a top frame unit that can be disassembled | |
KR200296016Y1 (en) | Collapsible type simplicity table | |
KR100753111B1 (en) | Portable folding table | |
US9084492B2 (en) | Portable kneeling apparatus | |
KR101203668B1 (en) | Smart phone stand | |
KR101467473B1 (en) | Collapsable chair provided with blind | |
CN109259950B (en) | Multifunctional storage type accompanying bed | |
US1952737A (en) | Folding table and seat | |
JP3070930U (en) | Folding hamm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701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1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082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9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309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92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80707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