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269Y1 - Hot Water Supply Apparatus easy to Exhausting Bubble - Google Patents
Hot Water Supply Apparatus easy to Exhausting Bubb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9269Y1 KR200469269Y1 KR2020130005424U KR20130005424U KR200469269Y1 KR 200469269 Y1 KR200469269 Y1 KR 200469269Y1 KR 2020130005424 U KR2020130005424 U KR 2020130005424U KR 20130005424 U KR20130005424 U KR 20130005424U KR 200469269 Y1 KR200469269 Y1 KR 20046926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discharge
- bubble
- hot water
- ope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for ex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5—Check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수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본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는 본체로 유입되는 기포에 의하여 본체 내부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상기 기포의 압력에 의하여 디스크의 상부가 본체의 유입부를 개방시키게 되고, 상기 기포는 개방된 본체의 유입부를 통하여 그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 water supply device that is easy to discharge bubbles to easily discharge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irculating the hot water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In the hot water supply device that is easy to discharge the bub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main body is increased by the bubbles flowing into the main body, the upper portion of the disk to open the inlet of the main body by the pressure of the bubble, the bubble is opened There is an effect that is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of the body.
Description
본 고안은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본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 water supply device that is easy to discharge the bub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t water supply device that is easy to discharge the bubble to discharge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irculating the hot water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easily. .
일반적으로 온수매트는 온수를 이용하여 난방 또는 보온유지를 하기 위한 것으로, 매트의 내부에 온수가 유동되는 온수관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온수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온수관에 공급 및 순환시킴으로써 매트를 국부적으로 난방하거나 보온유지를 하게 된다. 온수매트는 전기매트에 구비되는 전열선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전자파를 발생시키지 않고, 화재나 감전사고 등의 전기 안전사고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Generally, a hot water mat is used for heating or maintaining the hot water by using hot water. Hot water pipes, in which hot water flows in the mat,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Hot water supplied from the hot water supply device is supplied to the hot water pipe, So that the mat is locally heated or kept at a constant temperature. Since the hot water mat does not use a heating wire provided in the electric ma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electrical safety accidents such as fire or electric shock are significantly reduced without generating electromagnetic waves.
이러한 온수매트는 온수공급장치, 온수관 및 온수매트를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온수매트에 사용되는 종래 온수공급장치는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모터펌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모터펌프의 구동시 모터 자체의 소음 및 진동이 외부로 발산되어, 불쾌한 소음을 유발하게 되므로 조용하고 편안한 수면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모터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히터 내에 공급된 물이 물탱크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차단한 상태에서, 가열하여 발생하는 팽창압력에 의해 온수매트에 설치된 온수관으로 온수를 공급하여 순환시키도록 하는 온수공급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Such a hot water mat has a basic configuration of a hot water supply device, a hot water pipe and a hot water mat. The conventional hot water supply device used in the hot water mat uses a motor pump to circulate hot water. However, when the motor pump is driven, noise and vibration of the motor itself are diverted to the outside, causing unpleasant noise, thereby preventing quiet and comfortable sleep. Accordingly, in recent years, in a state in which water supplied in the heater is prevented from flowing back to the water tank without using a motor pump,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hot water pipe provided in the hot water mat by the expansion pressure generated by heating, A hot water supply device is developed.
도 1은 팽창압력을 이용한 종래 온수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체크밸브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hot water supply device using an expansion pressure, and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check valv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온수공급장치는 하우징(10, 20)과, 하우징(10, 20) 내부에 구비되며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30)와, 물탱크(30)의 내측에 위치되되, 물탱크(30)의 하측에 형성된 물 배출구(32a, 32b) 내측에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30) 내의 압력이 높을 경우 상기 물탱크(30) 내의 물을 각각 배출하도록 단속하는 체크밸브(40, 50)와, 물탱크(30)의 물 배출구(32a, 32b) 내에 접속되어 체크밸브(40, 50)의 개방시에 상기 물탱크(30)로부터 도입되는 물을 받아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고,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 매트(미도시)에 매설되는 온수배관(미도시)의 일측으로 온수를 배출하는 히터 유니트(60, 70)와, 일측은 물탱크(30)의 상측에 형성된 도입구(33a, 33b)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온수배관의 타측과 연결되는 호스(미도시)를 포함한다.1 and 2, the conventional hot water supply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housing (10, 20), a water tank (30) for storing water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20), the inner side of the water tank (30) Is located in, but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outlet (32a, 32b)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그리고 체크밸브(40, 50)는 물탱크(30)로부터 도입되는 물을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 70)에 배출하도록 일측과 타측에 관통구멍(41b, 51b)과 유출구멍(41a, 51a)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원통체(41, 51)와, 상기 원통체(41, 51)의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히터 유니트(60, 70) 내의 압력보다 상기 물탱크(30) 내의 압력이 높을 경우에 개방되어 상기 관통구멍(41b, 51b)을 통해 원통체(41, 51)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하고, 히터 유니트(60, 70) 내의 압력보다 상기 물탱크(30) 내의 압력이 낮을 경우에 폐색되어서 상기 관통구멍(41b, 51b)을 통해 원통체(41, 51)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밸브체(43, 53)와, 상기 원통체(41, 51)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관통구멍(46a, 56a)에 설치되어 상기 원통체(41, 51) 내에 수집된 기포를 상기 물탱크(30)로 배출하는 배출유니트(47, 57)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온수공급장치는 히터 유니트(60, 70) 내로 공급된 물이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면, 가열된 물, 즉 온수의 압력에 의해서 체크밸브(40, 50)의 밸브체(43, 53)가 체크밸브(40, 50)의 관통구멍(41b, 51b)을 폐색시킴과 동시에, 가열된 물의 압력에 의해서 히터유니트(60, 70)와 연결된 상기 온수배관에 온수가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배관을 순환하면서 온도가 떨어진 물은 상기 온수배관과 연결된 상기 호스를 통하여 물탱크(30)로 공급된다. 그리고 히터유니트(60, 70)에서 상기 온수배관으로 온수가 공급되면, 히터유니트(60, 70) 내의 압력이 낮아지고 물탱크(30) 내의 압력이 높아져서 체크밸브(40)의 밸브체(43, 53)가 개방되어 물탱크(30)의 물이 관통구멍(41b, 51b)을 통해 원통체(41, 51) 내부로 유입된다.
In the conventional hot water supply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ter supplied into the
한편, 종래 체크밸브(40, 50)는 원통체(41, 51) 내에 수집된 기포를 상기 물탱크(30) 내로 배출하는 배출유니트(47, 57)를 구비하는데, 배출유니트(170,180)는 상기 원통체(41, 51)에 형성된 관통구멍(46a, 56a)의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47a, 57a)와, 돌출부(47a, 57a) 내부를 따라 상하 이동되면서 돌출부(47a, 57a)의 상부에 형성된 기포 배출구멍(47b, 57b)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이동부(47c, 57c)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check valve (40, 50) has a discharge unit (47, 57) for discharging the bubbles collected in the cylinder (41, 51) into the
그런데 상기 이동부(47c, 57c)의 경우, 물의 응집력 등으로 인하여 기포 배출구멍(47b, 57b)에 밀착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 경우, 이동부(47c, 57c)가 기포 배출구멍(47b, 57b)을 폐쇄시키게 되어, 원통체(41, 51) 내에 수집된 기포는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원통체(41, 51) 내에 쌓이게 되어, 원통체(41, 51)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체크밸브(40)의 밸브체(43, 53)가 개방되어 물탱크(30)의 물이 관통구멍(41b, 51b)을 통해 원통체(41, 51) 내부로 유입되어야 할 때, 원통체(41, 51) 내부의 높은 압력으로 인하여 밸브체(43, 53)가 개방되지 못하게 되며, 결국, 물탱크(30)의 물은 원통체(41, 51)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moving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온수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본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a hot water supply device that is easy to discharge the bubble to easily discharge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irculating the hot water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에 물이 공급되도록 공급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물이 토출되도록 토출구가 형성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토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부; 및 상기 물탱크의 내측에 구비되되, 일측에 상기 토출구와 연결되는 유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물탱크의 물이 유입되도록 유입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기 유입부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는 디스크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기포배출공을 개폐하여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기포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포배출부를 구비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의 하측은 상기 유입부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디스크의 상측은 상기 물탱크와 상기 본체의 압력 차에 따라 상기 본체의 내벽에 밀착 또는 이격되면서 상기 유입부를 간헐적으로 개방시키고, 상기 기포배출공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물탱크에 수용된 물이 개방된 상기 유입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될 때,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된 기포가 상기 디스크의 상측과 상기 본체의 내벽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하여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tank in which a supply port is formed to supply water to one side and a discharge port is formed to discharge water to the other side; A heater unit provided outside the water tank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to heat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nd a main body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the outlet part being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on one side, and an inlet part formed to allow water in the water tank to enter the other side, and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inlet part of the main body. And a check valve having a disc mounted inside the body and a bubble discharge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ubbl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discharge the bubbles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It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the upper side of the disk in close contact or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tank and the main body to open the inlet intermittently, in the state that the bubble discharge hole is closed, When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flows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open inlet,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e bidoen bubbles provide a foam discharge is easy to hot-water supply devic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upper side and the main body of the disk.
또한, 상기 본체의 상기 유입부의 내주연은 상기 디스크의 외주연보다 작도록 형성되되, 상기 본체의 상기 유입부의 내주연의 상측은 상기 디스크의 상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요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let of the main body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k,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let of 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groove is formed concave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disk Provide a hot water supply device that is easy to discharge.
또한, 상기 디스크의 외주연은 상기 본체의 상기 유입부의 내주연보다 크도록 형성되되, 상기 디스크의 상측은 그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절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k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let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upper side of the disk is provided with a cut-out portion is provided with a hot water supply easy to discharg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d downward. do.
또한, 상기 기포배출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 상면에 배치되되, 그 일측은 상기 본체의 상면에 고정되고, 그 타측은 상기 기포배출공을 개폐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물의 부력에 의하여 상승되는 상승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수용된 물의 압력 또는 부력에 의하여 상기 상승유도부가 상부로 이동되면, 상기 상승유도부가 상기 지지판을 상승시켜서 상기 기포배출공이 폐쇄되고, 상기 본체에 수용된 기포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지지판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기포배출공이 개방되어, 상기 기포가 상기 본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bubble discharge portion: dispos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one side of which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lat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ubble discharge hole; And a rising induction par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late and lifted by buoyancy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and when the rising induction part is moved upward by the pressure or buoyancy of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the rising induction part is The bubble discharge hole is closed by raising the support plate, and when the support plate is moved downward by the pressure of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main body, the bubble discharge hole is opened, and the bubbl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It provides a hot water supply device that is easy to discharge bubbles.
또한,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배출공과, 상기 배출공을 개폐시키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 hot water supply device easy to discharge the bubbl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charge ho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discharge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hole.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공을 덮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되 그 상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보조캡; 및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기포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보조캡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관통공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한다.The discharge unit may include: an auxiliary cap mounted to the main body to cover the discharge hole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on; And an opening / closing member for opening or closing the through hole while moving up and down in the auxiliary cap by the pressure of the bubble provided in the main body.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보조캡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상단이 상기 관통공 방향에 위치되는 개폐로드와, 상기 개폐로드의 하단에 형성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개폐부; 및 일측은 상기 보조캡의 내부 상면에 밀착되고, 타측은 상기 받침부에 밀착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which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cap and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rod is located in the through-hole direction, and the support portion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rod; And one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cap, the other side provides an easy hot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또한, 본 발명은 일측에 물이 공급되도록 공급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물이 토출되도록 토출구가 형성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토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부; 상기 물탱크의 내측에 구비되되, 일측에 상기 토출구와 연결되는 유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물탱크의 물이 유입되도록 유입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기 유입부를 간헐적으로 개방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는 디스크를 구비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배출공을 개폐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에 수용된 물이 개방된 상기 유입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될 때,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된 기포가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tank in which a supply port is formed so that water is supplied to one side and a discharge port is formed to discharge water to the other side; A heater unit provided outside the water tank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to heat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The main body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the outlet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on one side, the inlet is formed so that the water of the water tank is introduced on the other side, and the intermittent opening so that the inlet of the body A check valve having a disc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a discharge part that opens and closes a discharge hole formed i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when water received in the water tank flows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open inlet, the bubbles provided in the main body are discharged. Provides a hot water supply device that is easy to discharge bubbles, characterized in that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ain body.
본 고안에 따른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는 본체로 유입되는 기포에 의하여 본체 내부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상기 기포의 압력에 의하여 디스크의 상부가 본체의 유입부를 개방시키게 되고, 상기 기포는 개방된 본체의 유입부를 통하여 그 외부로 배출되므로, 본체의 내부 압력은 정상으로 되돌아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의 유입부의 내주연 상측에 디스크의 상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상방으로 요홈부가 형성되어, 본체의 내부 상측에 구비된 기포가 디스크의 상단과 본체의 오목부 상단 사이를 통하여 본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크의 상단에 그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어, 본체의 내부 상측에 구비된 기포가 디스크의 상단에 구비된 절개부와 본체의 유입부의 상단 사이를 통하여 본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hot water supply device that is easy to discharge the bub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main body is increased by the bubbles flowing into the main body, the upper portion of the disk to open the inlet of the main body by the pressure of the bubble, the bubble is opened Since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of the main bod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main body has an effect that returns to normal. In addition, a groove is formed concave upwar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disk above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let of the main body, so that bubble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can be easily mov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disk and the upper end of the recess of the main body. There is an effect to be discharged. In addition, an incision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disc so as to be recessed downward, so that the air bubbles provided i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r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inlet of the incision and the inlet of the main body. There is.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는 기포배출부 및 배출부를 구비하여, 본체 내부의 기포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hot water supply device easy to discharge the bub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bble discharge portion and the discharge portion, there is an effect to easily discharge the bubbles inside the body to the outside.
도 1은 팽창압력을 이용한 종래 온수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체크밸브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의 체크밸브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의 기포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의 디스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의 본체에 형성되는 요홈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구비된 본체의 유입부가 요홈부에 의하여 용이하게 개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의 디스크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구비된 본체의 유입부가 디스크의 절개부에 의하여 용이하게 개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의 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의 배출부가 본체의 배출공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hot water supply device using an expansion pressure.
2 is a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check valve.
3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heck valve of a hot water supply device that is easy to discharge bubbl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ot water supply device that is easy to discharge bubbl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ubble discharge portion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easy to discharge the bub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k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that is easy to discharge bubbl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cess formed in the main body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is easy to discharge bubbl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let of the main body of FIG. 7 is easily opened by the recess.
9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utout formed in a disk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that is easy to discharge bubbl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let of the main body of FIG. 9 is easily opened by a cutout of a disc.
11 is a view illustrating a discharge portion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is easy to discharge the bub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easy to discharge bubbl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pen or close the discharge hole of the main body.
1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easy to discharge the bub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 hot water supply device easy to discharge bubbl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의 체크밸브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heck valve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is easy to discharge the bub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hot water easy to discharge bub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rawing for explaining the supply apparatus.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는 후술하는 매트부(330: 도 13 도시)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물탱크(100), 히터부(300: 도 13 도시) 및 체크밸브(200)를 포함하며, 히터부(300)와 체크밸브(200)는 매트부(330) 또는 물탱크(100)의 크기 등에 의하여 하나 또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3 and 4, the hot water supply device easy to discharge bubbl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y hot water to the mat unit 330 (shown in Figure 13) to be described later, the
물탱크(10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도록 빈 공간이 구비되며 그 상부는 개방되어 개방부(130)가 구비되고, 일측에 공급구(110)와 토출구(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부(130)를 통하여 외부의 물이 물탱크(100)로 주입되고, 상기 공급구(110)를 통하여 후술하는 온수파이프(320)를 순환하는 물이 물탱크(100)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토출구(120)를 통하여 물탱크(100) 내부의 물이 외부로 토출된다. 그리고 물탱크(100) 내부에는 물탱크(100)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하여 수위감지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종래의 가습기 등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플로트식 수위감지센서나 전자식 수위감지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히터부(300)는 금속판, 코일 등으로 형성된 전기히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물탱크(100)의 외측에 구비되되, 그 일측이 물탱크(100)의 토출구(120)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물탱크(100)에서 히터부(300)로 토출되는 물은 토출구(120) 내부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된다. 그리고 히터부(300)의 타측에는 바이메탈(미도시) 등이 설치되어 히터부(300)로 공급된 물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경우, 히터부(300)의 타측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그리고 히터부(300)로 공급된 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면, 가열된 물이 개방된 히터부(300)의 타측과 연결된 온수파이프(320: 도 13 도시)로 이동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물이 가열되면 증기가 발생되면서 히터부(300)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처럼 히터부(300)의 내부압력이 증가하면, 그 압력에 의하여 히터부(300) 내부의 물이 히터부(300)의 타측에 구비된 온수파이프(320) 방향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이때, 히터부(300)의 일측은 후술하는 체크밸브(200)에 의하여 차단되어, 히터부(300)의 물이 물탱크(100) 방향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히터부(300)로 공급된 물은 내부압력에 의하여 온수파이프(320)로 배출되고, 온수파이프(320)로 배출된 물은 후술하는 제 2 연결관(340: 도 13 도시)에 의하여 물탱크(100)로 재차 유입되는 순환과정이 반복된다.Whe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체크밸브(200)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것으로, 본체(210), 디스크(242) 및 기포배출부(220)를 포함한다.The
본체(210)는 물탱크(100)의 토출구(120)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는 다면체 형상, 바람직하게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일측과 타측에 유입부(212)와 유출부(2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출부(214)는 본체(210)의 토출구(120)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물탱크(100)의 물이 본체(210)의 유입부(212)를 통하여 본체(210) 내부로 유입된 후, 본체(210)의 유출부(214)와 물탱크(100)의 토출구(120)를 통하여 물탱크(100) 외부 즉, 히터부(300)로 유출된다. 이처럼 본체(210)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본체(210)가 물탱크(100)의 토출구(120) 내측에 고정될 때, 본체(210)의 저면이 물탱크(100)의 저면에 상호 면 끼리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The
디스크(242)는 유입부(212)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본체(210) 일측의 내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디스크(242)는 본체(210) 내부에 구비된 디스크안내부(240)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는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크안내부(240)는 경우에 따라 생략 가능한 구성으로, 본체(210)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디스크(242)가 위치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그 내주연은 디스크(242)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어, 디스크(242)의 상부가 이동될 때, 디스크안내부(240)의 내주연에 가이드되어 이동된다.The
기포배출부(220)는 본체(210) 내부에 구비되는 기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히터부(300)로 공급된 물이 가열되면, 가열되는 과정에서 기포가 발생되는데, 상기 기포는 체크밸브(200)의 본체(210) 내부로 유입된 후, 기포배출부(22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는 하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은 기포배출부(220)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별도의 배출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배출부(2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의 기포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ubble discharge portion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easy to discharge the bub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를 참조하면, 기포배출부(220)는 본체(210)의 상부에 관통 형성되는 기포배출공(216)과 인접하여, 본체(210)의 상면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고정부(224)와, 일측은 고정부(224)에 고정되고 타측은 기포배출공(216)을 개폐하는 지지판(222)과, 지지판(222)을 상하 이동시키는 상승유도부(22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A, the
지지판(222)은 본체(210)의 내부 상면에 배치되되, 그 일측은 고정부(224)에 고정되고, 그 타측은 기포배출공(216) 방향으로 연장되어, 기포배출공(216)을 폐쇄시킨다. 이러한 지지판(222)은 판형으로 형성되며, 수밀한 재질, 예를 들면 실리콘 등으로 구성되어, 지지판(222)의 타측이 본체(210)의 내부 상면에 밀착되면, 본체(210)의 기포배출공(216)이 폐쇄된다.The
상승유도부(226)는 지지판(222)의 타측 하부에 연결되어 본체(210) 내부로 유입된 물의 부력에 의하여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승유도부(226)가 물의 부력에 의하여 지지판(222)의 타측을 상부로 가압하여, 지지판(222)의 타측이 기포배출공(216)을 폐쇄시키도록 구성된다.The rising
도 5의 (b)를 참조하면, 본체(210) 내부로 유입된 기포는 본체(210)의 상부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기포는, 기포 자체의 상승 압력에 의하여 지지판(222)과 본체(210)의 상면 사이의 공간을 파고들게 되며, 이에 따라 지지판(222)의 타측이 본체(210)의 상면에서 그 하부로 이격되어, 기포배출공(216)이 개방되고, 기포는 개방된 기포배출공(216)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Referring to FIG. 5B, bubbles introduced into the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의 디스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k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that is easy to discharge bubbl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를 참조하면, 디스크(242)는 밀착이 용이하도록 고무 재질 등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디스크(242)는 디스크안내부(240)의 내측에 구비되며, 본체(210)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부(212)를 간헐적으로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210)의 일측 내면에 밀착된다. 이때, 디스크(242)의 하측은 고정볼트(246)에 의하여 본체(210)의 하측에 고정되고, 디스크(242)의 상측은 본체(210)의 일측 내면에서 그 외측 방향 즉, 유출부(214)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디스크(242)는 본체(210)의 유입부(212)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물탱크(100)의 물이 본체(210)의 유입부(212)를 통하여 본체(210) 내부로는 용이하게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고, 본체(210)의 물이 본체(210)의 유입부(212)를 통하여 본체(210) 외부로 역류할 수는 없도록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 6 (a), the
도 6의 (b)를 참조하면, 히터부(300) 내에서 가열된 물이 온수파이프(320)로 배출되면, 배출된 만큼의 공간이 생기게 되어, 히터부(300)의 기압이 물탱크(100)의 기압에 비하여 순간적으로 낮아지게 되는데, 이때, 디스크(242)의 상측이 유출부(214) 방향으로 이동되어, 본체(210)의 유입부(212)가 개방되고, 물탱크(100)의 물이 본체(210)의 유입부(212)를 지나, 본체(210) 내부로 유입된 후, 본체(210)의 유출부(214)와 물탱크(100)의 토출구(120)를 지나 히터부(300)로 유입된다.Referring to FIG. 6B, when the water heated in the
이처럼 디스크(242)는 히터부(300)의 물이 그 내부압력에 의하여 온수파이프(320) 방향으로 밀려들어가게 될 때, 히터부(300)의 물이 물탱크(100) 방향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고, 히터부(300)의 기압이 낮아질 때, 물탱크(100)의 물이 히터부(300)로 공급되도록 하여, 유체가 용이하게 순환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히터부(300)로 공급된 물이 가열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는 체크밸브(200)의 본체(210) 내부로 유입된 후, 기포배출부(22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기포의 압력이 낮거나, 물의 응집력 등에 의하여 기포배출부(220)가 개방되지 않는 경우, 본체(210) 내부로 유입되는 기포에 의하여 본체(210) 내부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히터부(300) 내에서 가열된 물이 온수파이프(320)로 배출된다 하더라도, 본체(210) 내부 기압이 낮아지지 않게 되어, 디스크(242)가 본체(210)의 유입부(212)를 개방시키지 않게 된다. Meanwhile, bubble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heat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디스크(242)는 그 하부가 고정되고 그 상부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본체(210)의 내부 상부로 유입된 기포는 그 압력에 의하여 디스크(242)의 상부와 본체(210) 사이의 공간을 파고들게 되어, 디스크(242)의 상부가 본체(210)에서 이격되어, 본체(210)의 유입부(212)가 개방되며, 상기 기포는 개방된 본체(210)의 유입부(2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이처럼 본 고안은 본체(210)로 유입되는 기포에 의하여 본체(210) 내부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상기 기포의 압력에 의하여 디스크(242)의 상부가 본체(210)의 유입부(212)를 개방시키게 되고, 상기 기포는 개방된 본체(210)의 유입부(212)를 통하여 그 외부로 배출되므로, 본체(210)의 내부 압력은 정상으로 되돌아가게 되는 효과가 있다.
As such,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의 본체에 형성되는 요홈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구비된 본체의 유입부가 요홈부에 의하여 용이하게 개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cess formed in the main body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easy to discharge bubbl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inlet portion of the main body provided in Figure 7 In order to explain the easily opened state by the figure is show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체(210)에 구비된 기포가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210)의 유입부(212)에 요홈부(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210)의 유입부(212)의 내주연은 디스크(242)의 외주연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디스크(242)가 본체(210)의 내면에 밀착되면, 디스크(242)가 본체(210)의 유입부(212)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체(210)의 유입부(212)의 내주연 상측에 디스크(242)의 상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상방으로 요홈부(213)가 형성되면, 디스크(242)의 상단과 본체(210)의 오목부의 요홈부(213)의 상단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본체(21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된 기포가 디스크(242)의 상단과 본체(210)의 오목부 상단 사이를 용이하게 파고들 수 있어, 본체(210) 내부의 기포가 본체(210)의 오목부를 통하여 본체(210)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Referring to FIGS. 7 and 8, a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의 디스크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구비된 본체의 유입부가 디스크의 절개부에 의하여 용이하게 개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utout formed in a disk of a hot water supply device that is easy to discharge bubbl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inlet of the main body of FIG. The figure is shown for explaining the easily opened state by the incision.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체(210)에 구비된 기포가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디스크(244)에 절개부(2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210)의 유입부(212)의 내주연은 디스크(244)의 외주연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디스크(244)가 본체(210)의 내면에 밀착되면, 디스크(244)가 본체(210)의 유입부(212)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디스크(244)의 상단에 그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절개부(245)가 형성되면, 디스크(244)의 상단에 구비된 절개부(245)와 본체(210)의 유입부(212)의 상단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본체(21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된 기포가 디스크(244)의 상단에 구비된 절개부(245)와 본체(210)의 유입부(212)의 상단 사이를 용이하게 파고들 수 있어, 본체(210) 내부의 기포가 디스크(244)의 절개부(245)를 통하여 본체(210)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9 and 10, a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의 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view illustrating a discharge portion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is easy to discharge the bub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기포배출부(220)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별도의 배출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배출부(230)는 본체(210)의 상면에 기포배출공(216)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배출공(218)을 개폐시키는 것으로, 보조캡(232)과, 개폐부재를 포함한다.The
보조캡(232)은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 공간이 구비되며, 본체(210)의 배출공(218)을 덮도록 본체(210)의 상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보조캡(232)의 상부에는 본체(210)의 배출공(218)에서 배출되는 기포가 보조캡(232)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관통공(233)이 형성된다.The
상기 개폐부재는 보조캡(232)의 내부에 구비되며, 본체(210)의 배출공(218)을 개방 또는 폐쇄시켜서 본체(210) 내부에 구비된 기포를 배출시키는 것으로, 개폐부(235)와 탄성부(238)를 포함한다. 개폐부(235)는 상기 보조캡(232)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상단이 상기 관통공(233) 방향에 위치되는 개폐로드(236)와, 상기 개폐로드의 하단에 형성되는 받침부(237)를 포함한다. 탄성부(238)는 스프링 등으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보조캡(232)의 내부 상면에 밀착되고, 타측은 상기 받침부(237)에 밀착되어, 개폐부(235)의 받침부(237)가 본체(210)의 상면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여, 본체(210)의 배출공(218)이 폐쇄된다.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provided inside the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의 배출부가 본체의 배출공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easy to discharge bubbl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pen or close the discharge hole of the main body.
도 12의 (a)를 참조하면, 개폐부(235)의 받침부(237)는 탄성부(238)의 탄성에 의하여 본체(210)의 상면에에 밀착되어, 배출공(218)이 폐쇄된다.Referring to FIG. 12A, the supporting
도 12의 (b)를 참조하면, 본체(210) 내부로 기포가 유입되어, 본체(210) 내부 압력이 높아진 상태에서, 기포배출부(220)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 본체(210) 내부에 구비된 기포는 기포 자체의 상승압력에 의하여 개폐부(235)의 받침부(237)와 본체(210) 상면 사이의 공간을 파고들게 된다. 이에 따라, 개폐부(235)가 보조캡(232)의 상부로 이격되면서 개폐부(235)의 개폐로드(236)가 보조캡의 관통공(233)을 관통하게 되고, 개폐부(235)의 받침부(237)가 본체의 상면에서 그 상부로 이격되어, 본체(210)의 배출공(218)이 개방되며, 상기 기포는 본체(210)의 개방된 배출공(218)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Referring to FIG. 12B, when bubbles are introduced into the
이처럼 본 고안은 개폐부(235)가 보조캡(232)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면서 본체(210)의 배출공(218)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므로, 기포배출부(220)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배출부(230)가 본체(210)의 배출공(218)을 개폐시켜서 본체(210) 내부의 기포를 용이하게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opens or closes th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that is easy to discharge the bub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ot water supply device easy to discharge the bub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물탱크(100)와 히터부(300)는 하우징(미도시)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외측에 매트부(330)가 구비되며, 매트부(330) 내부에 온수파이프(320)가 내장된다. 그리고 물탱크(100)의 토출구(120)와 히터부(300)는 제 1 연결관(31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고, 온수파이프(320)와 물탱크(100)의 공급구(110)는 제 2 연결관(34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그리고 물탱크(100)의 개방부(130)를 통하여 물탱크(100)에 물이 공급되고, 물탱크(100)로 공급된 물은 히터부(300)로 흘러들어간다. 그리고 히터부(300)로 공급된 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면, 히터부(300)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가열된 물이 히터부(300)의 타측과 연결된 온수파이프(320)로 이동된다. 이때, 히터부(300)의 일측은 체크밸브(200)에 의하여 차단되어, 히터부(300)의 물이 물탱크(100) 방향으로 역류하지 않게 된다. Water is supplied to the
이처럼 히터부(300)로 공급된 물은 내부압력에 의하여 온수파이프(320)로 배출되고, 온수파이프(320)로 배출된 물은 제 2 연결관(340)에 의하여 물탱크(100)로 재차 유입된다. 그리고 히터부(300) 내에서 가열된 물이 온수파이프(320)로 배출되면, 배출된 만큼의 공간이 생기게 되어, 히터부(300)의 기압이 물탱크(100)의 기압에 비하여 순간적으로 낮아지게 되며, 이때, 디스크(242)의 상측이 유출부(214) 방향으로 이동되어, 본체(210)의 유입부(212)가 개방되어, 물탱크(100)의 물이 본체(210)의 유입부(212)를 지나 본체(210) 내부로 유입된 후, 본체(210)의 유출부(214)와 물탱크(100)의 토출구(120)를 지나 히터부(300)로 유입되어, 순환과정이 반복된다.The water supplied to the
한편, 히터부(300)로 공급된 물이 가열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는 체크밸브(200)의 본체(210) 내부로 유입된 후, 기포배출부(22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데, 기포의 압력이 낮거나, 물의 응집력 등에 의하여 기포배출부(220)가 개방되지 않는 경우, 본체(210) 내부로 유입되는 기포에 의하여 본체(210) 내부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디스크(242)는 그 하부가 고정되고 그 상부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본체(210)의 내부 상부로 유입된 기포는 그 압력에 의하여 디스크(242)의 상부와 본체(210) 사이의 공간을 파고들게 된다. 그러면 디스크(242)의 상부가 본체(210)에서 이격되어, 본체(210)의 유입부(212)가 개방되며, 상기 기포는 개방된 본체(210)의 유입부(2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본체(210)의 내부 압력은 정상으로 되돌아가게 되는 효과가 있다.
On the other hand, bubble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heat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above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the technical idea should also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물탱크 110: 공급구
120: 토출구 130: 개방부
200: 체크밸브 210: 본체
212: 유입부 213: 요홈부
214: 유출부 216: 기포배출공
218: 배출공 220: 기포배출부
222: 지지판 224: 고정부
226: 상승유도부 230: 배출부
232: 보조캡 233: 관통공
235: 개폐부 236: 개폐로드
237: 받침부 238: 탄성부
240: 디스크안내부 242: 디스크
244: 디스크 245: 절개부
246: 고정볼트 300: 히터부
310: 제 1 연결관 320: 온수파이프
330: 매트부 340: 제 2 연결관 100: water tank 110: supply port
120: Discharge port 130:
200: check valve 210:
212: inlet 213: groove
214: outlet 216: bubble discharge hole
218: discharge hole 220: bubble discharge unit
222: support plate 224: fixing part
226: rising portion 230: discharge portion
232: auxiliary cap 233: through hole
235: opening and closing part 236: opening and closing rod
237: base portion 238: elastic portion
240: disk guide 242: disk
244: disk 245: incision
246: fixing bolt 300: heater unit
310: first connector 320: hot water pipe
330: mat portion 340: second connector
Claims (10)
상기 물탱크의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토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부; 및
상기 물탱크의 내측에 구비되되, 일측에 상기 토출구와 연결되는 유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물탱크의 물이 유입되도록 유입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기 유입부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는 디스크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기포배출공을 개폐하여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기포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포배출부를 구비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의 하측은 상기 유입부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디스크의 상측은 상기 물탱크와 상기 본체의 압력 차에 따라 상기 본체의 내벽에 밀착 또는 이격되면서 상기 유입부를 간헐적으로 개방시키고,
상기 기포배출공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물탱크에 수용된 물이 개방된 상기 유입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될 때,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된 기포가 상기 디스크의 상측과 상기 본체의 내벽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하여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
A water tank in which a supply port is formed to supply water to one side and a discharge port is formed to discharge water to the other side;
A heater unit provided outside the water tank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to heat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nd
The main body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the outlet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on one side, the inlet is formed so that the water in the water tank is introduced on the other side, and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inlet And a check valve having a disk mounted therein and a bubble discharge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a bubble discharge hole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discharge bubbles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e lower side of the disk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the upper side of the disk intermittently open the inlet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or spaced in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tank and the main body,
In the state in which the bubble discharge hole is closed, when the water received in the water tank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open inlet, the bubble provided in the main body is spaced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disk and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Easily discharge the hot water suppl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space.
상기 본체의 상기 유입부의 내주연은 상기 디스크의 외주연보다 작도록 형성되되, 상기 본체의 상기 유입부의 내주연의 상측은 상기 디스크의 상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요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let of the main body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k,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let of the main body is a bubble discharg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disk Easy hot water supply.
상기 디스크의 외주연은 상기 본체의 상기 유입부의 내주연보다 크도록 형성되되, 상기 디스크의 상측은 그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절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sk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periphery of the inlet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hot water supply device easy to discharge the bub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 is provided with a cutout to be recessed downward.
상기 기포배출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 상면에 배치되되, 그 일측은 상기 본체의 상면에 고정되고, 그 타측은 상기 기포배출공을 개폐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된 물의 부력에 의하여 상승되는 상승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수용된 물의 압력 또는 부력에 의하여 상기 상승유도부가 상부로 이동되면, 상기 상승유도부가 상기 지지판을 상승시켜서 상기 기포배출공이 폐쇄되고,
상기 본체에 수용된 기포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지지판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기포배출공이 개방되어, 상기 기포가 상기 본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ubble discharge unit:
Is dispos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one side of which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lat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ubble discharge hole; And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late and includes a rising induction portion is raised by the buoyancy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body,
When the rising induction part is moved upward by the pressure or buoyancy of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the rising induction part raises the support plate to close the bubble discharge hole,
When the support plate is moved downward by the pressure of the bubble contained in the main body, the bubble discharge hole is opened, the bubble is easy to discharge the hot water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escape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배출공과,
상기 배출공을 개폐시키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exhaust hole formed i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Easily discharge the hot water supply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charge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hole.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공을 덮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되 그 상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보조캡; 및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기포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보조캡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관통공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scharge portion:
An auxiliary cap mounted to the main body to cover the discharge hole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on; And
The hot water supply device easy to discharge the bubb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or closing the through hole while moving up and down in the auxiliary cap by the pressure of the bubble provided in the main body.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보조캡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상단이 상기 관통공 방향에 위치되는 개폐로드와, 상기 개폐로드의 하단에 형성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개폐부; 및
일측은 상기 보조캡의 내부 상면에 밀착되고, 타측은 상기 받침부에 밀착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An opening part including an opening rod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cap and having an upper end thereof positioned in the through hole direction, and a supporting part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opening rod; And
One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cap, the other side is easy to discharge the hot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상기 물탱크의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토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부;
상기 물탱크의 내측에 구비되되, 일측에 상기 토출구와 연결되는 유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물탱크의 물이 유입되도록 유입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기 유입부를 간헐적으로 개방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는 디스크를 구비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배출공을 개폐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에 수용된 물이 개방된 상기 유입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될 때,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된 기포가 상기 배출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
A water tank in which a supply port is formed to supply water to one side and a discharge port is formed to discharge water to the other side;
A heater unit provided outside the water tank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to heat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The main body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the outlet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on one side, the inlet is formed so that the water of the water tank is introduced on the other side, and the intermittent opening so that the inlet of the body A check valve having a disc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It includes a discharge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When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open inlet, bubbles provided in the main body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hot water supply easy to discharge bubbles Device.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공을 덮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되 그 상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보조캡; 및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기포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보조캡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관통공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discharge portion:
An auxiliary cap mounted to the main body to cover the discharge hole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on; And
The hot water supply device easy to discharge the bubb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or closing the through hole while moving up and down in the auxiliary cap by the pressure of the bubble provided in the main body.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보조캡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상단이 상기 관통공 방향에 위치되는 개폐로드와, 상기 개폐로드의 하단에 형성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개폐부; 및
일측은 상기 보조캡의 내부 상면에 밀착되고, 타측은 상기 받침부에 밀착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배출이 용이한 온수공급장치.The method of claim 9,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An opening part including an opening rod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cap and having an upper end thereof positioned in the through hole direction, and a supporting part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opening rod; And
One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cap, the other side is easy to discharge the hot water suppl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5424U KR200469269Y1 (en) | 2013-07-03 | 2013-07-03 | Hot Water Supply Apparatus easy to Exhausting Bubb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5424U KR200469269Y1 (en) | 2013-07-03 | 2013-07-03 | Hot Water Supply Apparatus easy to Exhausting Bubb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9269Y1 true KR200469269Y1 (en) | 2013-10-14 |
Family
ID=50737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5424U Expired - Lifetime KR200469269Y1 (en) | 2013-07-03 | 2013-07-03 | Hot Water Supply Apparatus easy to Exhausting Bubb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9269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4285Y1 (en) * | 2014-04-09 | 2014-09-12 | 이광모 | Hot Water Supply Apparatus easy to Control stream of Water and Bubble |
KR101536116B1 (en) * | 2014-01-27 | 2015-07-14 | 주식회사 이벨리 | check valve assembly for hot water mat and hot water mat using thereof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94896A (en) * | 2008-03-04 | 2009-09-09 | 이명수 | A check valve printing of a warm water mat dragon warm water supply device |
KR20120113044A (en) * | 2011-04-04 | 2012-10-12 | 조동원 | Check valve for boiler and a boiler comprising the same |
KR20120134625A (en) * | 2011-06-03 | 2012-12-12 | 박후봉 | A backflow prevention device and powerless boiler for heating using the same |
KR20130015778A (en) * | 2011-08-05 | 2013-02-14 | 채현기 | Check valve and the check valve used non-motorized heating |
-
2013
- 2013-07-03 KR KR2020130005424U patent/KR200469269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94896A (en) * | 2008-03-04 | 2009-09-09 | 이명수 | A check valve printing of a warm water mat dragon warm water supply device |
KR20120113044A (en) * | 2011-04-04 | 2012-10-12 | 조동원 | Check valve for boiler and a boiler comprising the same |
KR20120134625A (en) * | 2011-06-03 | 2012-12-12 | 박후봉 | A backflow prevention device and powerless boiler for heating using the same |
KR20130015778A (en) * | 2011-08-05 | 2013-02-14 | 채현기 | Check valve and the check valve used non-motorized heating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6116B1 (en) * | 2014-01-27 | 2015-07-14 | 주식회사 이벨리 | check valve assembly for hot water mat and hot water mat using thereof |
KR200474285Y1 (en) * | 2014-04-09 | 2014-09-12 | 이광모 | Hot Water Supply Apparatus easy to Control stream of Water and Bubb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95788B1 (en) | Hot water boiler for hot water mat | |
KR100948908B1 (en) | Boiler for a hot-water heating mat | |
KR100918522B1 (en) | Hot water boiler for hot water mat | |
KR200468721Y1 (en) | Hot Water Supply Apparatus for Hot Water Mat | |
KR200469269Y1 (en) | Hot Water Supply Apparatus easy to Exhausting Bubble | |
KR20070079968A (en) | Hot water circulation system | |
KR20170101332A (en) | The hot water generator that have a dual heating system | |
KR200476029Y1 (en) | Hot Water Supply Apparatus for Hot Water Mat | |
KR101380688B1 (en) | Floating valve | |
KR200472263Y1 (en) | Hot Water Supply Apparatus easy to Exhausting Bubble | |
KR200474239Y1 (en) | Hot Water Supply Apparatus with Compact Joint Structure | |
KR101708425B1 (en) | Back flow preventing cap for slim mat and boiler having the same | |
KR20090082986A (en) | Hot water mat device | |
KR101794923B1 (en) | Boiler apparatus having a slim mat | |
KR100619159B1 (en) | Hot water tank for cold / hot water purifier to prevent hot water backflow | |
KR20130015778A (en) | Check valve and the check valve used non-motorized heating | |
KR102044251B1 (en) | Hot water circulation apparatus for hot water mat | |
KR20110005104U (en) | Small hot water boiler | |
KR101730145B1 (en) | Warm water mat boiler | |
KR101536116B1 (en) | check valve assembly for hot water mat and hot water mat using thereof | |
KR101662263B1 (en) | Structure for bubble extrusion and descaling of curculating water in hot and cold bedding system | |
CN219102955U (en) | Steam generating device and household appliance | |
KR20030043527A (en) | Pumping method applying the weight and buoyancy of water and its device | |
KR101616733B1 (en) | Check valve assembly for hot water mat and hot water mat using thereof | |
KR20120113044A (en) | Check valve for boiler and a boiler compri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703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5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3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9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3092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924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