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68861Y1 - 목재패널 연결기구 - Google Patents

목재패널 연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861Y1
KR200468861Y1 KR2020130001628U KR20130001628U KR200468861Y1 KR 200468861 Y1 KR200468861 Y1 KR 200468861Y1 KR 2020130001628 U KR2020130001628 U KR 2020130001628U KR 20130001628 U KR20130001628 U KR 20130001628U KR 200468861 Y1 KR200468861 Y1 KR 200468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wood panel
protrusion
panel
neighbo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치헌
Original Assignee
(주)동방에이젯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방에이젯 filed Critical (주)동방에이젯
Priority to KR2020130001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8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86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2Paving elements vertically inter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목재패널이 이웃하여 연결 설치되는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시 사용되는 기구로서, 이웃하는 목재패널을 연결하고 고정하는 목재패널 연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목재패널 연결기구는 이웃하는 목재패널 각각의 상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 톱니를 구비하고, 고정나사가 삽입되도록 표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이웃하는 목재패널 사이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저면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이웃하는 목재패널 사이에 삽입되는 다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목재패널 연결기구는 이웃하는 목재패널을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하여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 목재패널과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여 설치및 유지 보수 시에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재패널 연결기구{Connective device of woodpanel}
본 고안은 다수의 목재패널이 이웃하여 연결 설치되는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시 사용되는 기구로서, 이웃하는 목재패널을 연결하고 고정하는 목재패널 연결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사가 심한 등산로의 계단 및 하천이나 강변, 공원 내의 차도를 따라 설치되는 보도나 산책로 등에 목재패널을 이용한 목재 데크로드가 많이 설치되고 있다. 목재 데크로드는 목재라는 자연친화적인 재질로 인해 보행자에게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주고 보행시 탄력감 및 충력흡수 기능이 우수하여 피로감을 덜 느끼게 하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목재 데크로드는 다수의 목재패널을 밀착하여 배열한 후 목재패널 표면에 못이나 피스를 관통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시공되었는데, 목재패널이 고정나사에 의해 관통되어 고정됨에 따라 목재 패널이 갈라지거나 파손되곤 하였고, 목재 패널을 밀착시켜 시공함에 따라 틈이 없어 배수가 원활하지 못해 목재패널이 썩거나 목재의 팽창시 목재 패널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085887호의 합성목재데크의 간격유지장치가 제안되었는데, 상기 간격유지장치는 바닥판과, 바닥판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판과, 수직판의 양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판을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간격유지장치는 이웃하는 목재패널의 양측면에 가이드판이 결합되고 수직판에 의해 목재패널 간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하지만, 상기 간격유지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목재패널 양 측면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판이 결합되는 슬라이딩 홈을 각각의 목재패널마다 가공해야 하고, 시공시 목재패널을 길이방향으로 일일이 가이드판에 결합해야 하므로 가공 및 시공에 상당한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장치의 바닥판은 목재패널 아래에 삽입되어 패널을 지지함에 따라 목재패널 배열 전에 미리 지지대 위에 정확히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야 하는데, 만일 간격이 맞지 않게 설치되면 목재패널의 결합이 불가능하여 나사에 의해 고정된 간격유지장치를 다시 해체하여 재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가공된 슬라이딩 홈에 가이드판을 결합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홈을 상당한 높이와 길이로 형성해야 함에 따라, 목재패널 양 측면에 여유 공간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보행자의 수직하중에 의해 목재패널이 유동 되어 수평이 유지되지 못하고 기울어지거나, 심할 경우 슬라이딩 홈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목재데크 부분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기울어지거나 파손된 목재 데크로드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목재패널을 완전히 파손하여 간격유지장치를 해체하여야 하고, 더욱이 보수할 필요가 없는 이웃 목재패널까지 파손해야하는 부담이 있다.
1. 등록특허 제085887호 공보(발명의 명칭 : 합성목재데크의 간격유지 장치)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목재 데크로드의 설치시 목재패널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연결하면서도 그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목재 데크로드의 설치 및 보수 작업이 용이한 목재패널 연결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이웃하는 목재패널을 고정하여 연결하는 기구로서, 저면에는 상기 이웃하는 목재패널 각각의 상면에 결합 되는 다수의 고정 톱니를 구비하고, 고정나사가 삽입되도록 표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이웃하는 목재패널 사이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저면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이웃하는 목재패널 사이에 삽입되는 다리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목재패널 연결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 톱니는 돌출부 저면의 대향하는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목재패널 표면에 노출된 돌출부에 대한 횡 방향의 외력에도 본 고안인 연결기구가 견고하게 결착될 수 있어 목재패널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목재패널 연결기구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중앙으로부터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경사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본 고안의 돌출부 표면이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면서 가장자리가 목재패널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가 됨으로써 보행자에 의한 횡 방향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목재패널 연결기구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고정 톱니가 형성된 양측을 연결하는 직선에 수직인 돌출부 저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다리부 사이의 간격을 극대화하여 목재패널의 보다 넓은 측면을 지지토록 함으로써 횡 방향 충격으로부터 안정성을 도모함은 물론, 보다 적은 갯수의 본 고안의 설치만으로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이 가능하여 설치작업에 효율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목재패널 연결기구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내측은 경사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본 고안을 고정하는 고정나사의 나사머리가 돌출부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중공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목재패널 연결기구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금속 플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고정나사가 중공의 내측면에 과도한 저항 없이 삽입될 수 있어 설치작업에 효율적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목재패널 연결기구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금속 플레이트인 돌출부의 양측 가장자리가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본 고안은 돌출부로부터 다리부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생산 공정이 단순하여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목재패널 연결기구는 이웃하는 목재패널을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하여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 목재패널과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여 설치및 유지 보수 시에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재패널 연결기구와 고정나사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목재패널 연결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목재패널 연결기구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목재패널 연결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목재패널 연결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다른 목재패널 연결기구를 이용한 목재 데크로드의 설치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재패널 연결기구를 첨부된 도면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재패널 연결기구와 고정나사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3,4,5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목재패널 연결기구의 평면도, 저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목재패널 연결기구(100)는 목재 데크로드 시공시 이웃하는 목재패널(40)을 고정하여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로서, 이웃하는 목재패널(40) 사이에 돌출되는 돌출부(10)와, 목재패널(40) 사이에 삽입되는 다리부(20)로 이루어진다.
돌출부(10)는 이웃하는 목재패널(40)의 각각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결합 되도록 저면에 다수의 고정 톱니(13)를 구비한다. 고정 톱니(13)는 끝단이 뾰쪽하게 형성되어 목재패널(40) 표면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결착되는 구성으로, 고정 톱니(13)는 어떠한 횡 방향 외력에도 목재패널(4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착되기 위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0) 저면의 대향하는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는 고정나사가(30) 삽입되도록 표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11)이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11)은 돌출부의 중앙에 형성되고 내측(12)이 경사면을 이루어 나사머리(31)가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결합 되는 고정나사(30)는 나사머리(31)와 몸체를 지닌 통상의 나사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공을 통해 목재패널(40)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대(50)에 삽입고정되어 본 고안인 목재패널 연결기구(100)를 유동 없이 고정한다. 고정나사가(30) 중공의 내측에 과도한 저항 없이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부(10)는 두께가 얇은 플레이트 형상이 바람직한데, 목재와의 견고한 결착과 용이한 가공을 위해 재질은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돌출부는 돌출부 표면이 완만한 경사면을 형성하고, 가장자리가 목재패널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중앙으로부터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경사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리부(20)는 이웃하는 목재패널(40) 사이에 삽입되도록 돌출부(10)의 저면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다리부(20)의 길이는 목재패널(40)의 높이 보다 작도록 형성되며, 그 폭은 목재의 신축성과 배수를 고려하여 충분한 이격이 되도록 형성된다. 다리부(20)는 목재패널(40) 사이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고정 톱니(13)가 형성된 양측을 연결하는 직선에 수직인 돌출부(10) 저면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리부(20)는 돌출부(10)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다리부 사이의 간격을 극대화하여 목재패널(40)의 넓은 측면을 지지토록 함으로써 횡 방향 충격으로부터 안정성을 도모함은 물론, 보다 적은 갯수의 본 고안의 설치만으로 목재 데크로드의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다리부(20)는 목재의 신축에 따른 변형 또는 파손이 없도록 강성이 있는 금속재질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금속 플레이트인 돌출부(10)의 양측 가장자리를 절곡하여 다리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다리부의 강성확보는 물론 생산 공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목재패널 연결기구(10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데, 본 고안을 이용하여 목재 데크로드를 설치하는 작업을 이하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다른 목재패널 연결기구를 이용한 목재 데크로드의 설치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지면에 목재패널(40)의 길이만큼 이격하여 나란하게 지지대(50)를 설치한 후, 지지대(50)의 상면을 따라 다수의 목재패널(40)을 소정간격 이격하여 배열한 후, 이웃하는 목재패널(40)의 양단에 형성된 간격에 본 고안인 목재패널 연결기구(100)를 삽입시킨다. 그런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패널(40)의 측면에서 타측 방향으로 밀게 되면 돌출부(10)는 목재패널로(40)부터 돌출된 채 다리부가(20) 이웃하는 목재패널의 측면에 접하게 된다. 그러면, 고정나사(30)를 돌출부의 중공(11)을 통해 지지대(50)에 삽입 고정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고정나사의 머리(31)는 중공에 안착 되면서 수직방향으로 가압 됨에 따라, 돌출부(10)의 저면(31)은 이웃하는 목재패널(40)의 각각의 상면에 밀착되고, 고정 톱니(13)는 목재패널(40) 표면에 견고하게 결착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이웃하는 목재패널(40)에 본 고안을 삽입한 후 고정함에 따라, 목재패널(40) 사이에 정확하게 간격을 유지할 필요가 없고, 다수의 목재패널(40)을 일률적으로 횡 방향으로 밀착시켜 결합시킬 수 있어 신속하게 목재 패널을 설치할 수 있으며, 돌출부(10)에 삽입된 고정나사(30)를 풀어 본 고안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목재패널의 보수작업도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목재패널 연결기구(100)는 하나의 장치에 목재 패널 사이(40)로 삽입되는 다리부(20)가 2개 형성되어 있어 횡 방향 및 수직 방향 하중을 고르게 분산 시킬 수가 있다. 이는 목재패널의 뒤틀림이나 어긋남 현상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10 : 돌출부 11: 중공 12 : 중공내측경사면
12 : 고정 톱니 20 : 다리부 30: 고정나사
31 : 고정나사머리 40: 목재패널 50: 지지대
100: 목재패널연결기구

Claims (7)

  1. 이웃하는 목재패널을 고정하여 연결하는 기구에 있어서,
    저면의 대향되는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웃하는 목재패널 각각의 상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 톱니를 구비하고, 고정나사가 삽입되도록 표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며, 중앙으로부터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경사면을 구비하여 이웃하는 목재패널 사이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돌출부; 및
    상기 고정 톱니가 형성된 양측을 연결하는 직선에 수직인 돌출부 저면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이웃하는 목재패널 사이에 삽입되는 다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패널 연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내측은 경사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패널 연결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금속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패널 연결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금속 플레이트인 돌출부의 양측 가장자리가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패널 연결기구.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130001628U 2013-03-05 2013-03-05 목재패널 연결기구 Expired - Lifetime KR200468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628U KR200468861Y1 (ko) 2013-03-05 2013-03-05 목재패널 연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628U KR200468861Y1 (ko) 2013-03-05 2013-03-05 목재패널 연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861Y1 true KR200468861Y1 (ko) 2013-09-05

Family

ID=51396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628U Expired - Lifetime KR200468861Y1 (ko) 2013-03-05 2013-03-05 목재패널 연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8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894B1 (ko) 2019-02-28 2019-12-11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데크 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보강재가 장착된 빔 데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6601A (ja) * 2010-05-08 2011-11-24 Youth Kitaura Co Ltd デッキ材取付金具およびデッキ材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6601A (ja) * 2010-05-08 2011-11-24 Youth Kitaura Co Ltd デッキ材取付金具およびデッキ材取付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894B1 (ko) 2019-02-28 2019-12-11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데크 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보강재가 장착된 빔 데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0900B1 (ko) 목재데크시스템
KR20180013628A (ko) 나사못이 필요 없는 목재 데크 판재용 원터치 탄성 고정 장치
KR101362809B1 (ko) 곡선부의 적용이 가능한 데크조립체
KR102122981B1 (ko)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KR100968216B1 (ko) 조립식 지붕구조물
KR20110115049A (ko) 철망 지지 프레임 및 그를 이용한 철망 울타리
KR102189496B1 (ko) 벽체 배수판 설치용 조립식 프레임 시스템
KR101385630B1 (ko) 데크로드용 프레임 조립체
KR101352280B1 (ko) 목재데크 체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체결구조
KR200466046Y1 (ko) 목재데크 연결고정구
KR20130017699A (ko) 데크 플레이트 고정 구조
KR101126355B1 (ko) 데크 구조체
KR20150088123A (ko) 데크 플레이트용 고정클립
KR101088700B1 (ko) 조립식 목재 데크
KR200468861Y1 (ko) 목재패널 연결기구
JP5528845B2 (ja) 床構造の施工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床板固定具
KR101732637B1 (ko) 탈형 데크
KR101086346B1 (ko) 조립식 탄성데크
KR102249285B1 (ko)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
KR200457142Y1 (ko) 조립식 목재난간
KR102025511B1 (ko) 수평지 및 경사지에 설치 가능하며 횡대 수평지지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횡대를 고정하는 조립식 울타리 및 이의 설치방법
KR20180002100U (ko) 데크 고정구조
KR101293164B1 (ko) 배수유도로를 구비하는 목재데크 보도
KR102598177B1 (ko) 설치편의성이 향상된 데크 결합구조
KR200460036Y1 (ko) 데크용 목재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3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05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06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8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3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3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