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68736Y1 - 케이블 다운 트레이 - Google Patents

케이블 다운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736Y1
KR200468736Y1 KR2020120006185U KR20120006185U KR200468736Y1 KR 200468736 Y1 KR200468736 Y1 KR 200468736Y1 KR 2020120006185 U KR2020120006185 U KR 2020120006185U KR 20120006185 U KR20120006185 U KR 20120006185U KR 200468736 Y1 KR200468736 Y1 KR 2004687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pair
support
tray suppor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1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6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7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7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4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케이블 다운 트레이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다운 트레이는 제1 결합홀이 구비된 한 쌍의 사이드바와, 한 쌍의 사이드바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바를 가지는 트레이바; 및 한 쌍의 사이드바에 일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트레이 서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트레이 서포트는 상기 가로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2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제1 결합홀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다운 트레이{CABLE DOWN TRAY}
본 고안은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다운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선박 내부에 다양하게 배치되는 전기 장치들의 전력 공급을 위하여, 선박 내부에는 다양한 크기의 케이블들이 포설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들은 선박 내부의 천장, 바닥 또는 벽체 등을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치되는데, 이러한 케이블들을 안내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들이 가설되는 구간에 배치되고, 케이블들은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놓여지거나 고정되어 포설된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의 일 예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1678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 중에서, 특히 선체 내부에서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케이블 다운 트레이(CABLE DOWN TRAY)라고 한다. 케이블 다운 트레이는 선체 내측부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종래 케이블 다운 트레이에서는 가로 방향으로 소정 크기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를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선체 내측부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 때, 선체 내측부에는 보강을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사이드 쉘 론지(side shell longi)을 비롯한 보강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케이블 다운 트레이는 선체 내측부에 직접 고정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돌출부를 상기 사이드 쉘 론지에 결합시킴으로써 고정 결합 되어왔다.
그런데, 선체마다 사이드 쉘 론지의 크기 및 간격이 모두 상이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종래 케이블 다운 트레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가 사이드 쉘 론지의 크기 및 간격과 대응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케이블 다운 트레이를 사이드 쉘 론지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사이드 쉘 론지의 크기 및 간격에 따라 특수 제작된 별도의 트레이 서포트 부재를 마련하여야 하므로, 비용 증가 및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발생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16785호 (2012년 02월 27일 공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트레이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이드 쉘 론지의 크기 및 간격과 무관하게 설치 가능한 케이블 다운 트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결합홀이 구비된 한 쌍의 사이드바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바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바를 가지는 트레이바;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바에 일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트레이 서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트레이 서포트는 상기 가로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2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제1 결합홀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다운 트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트레이 서포트와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사이드바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트레이 서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트레이 서포트 및 제2 트레이 서포트는, 가로 프레임; 및 상기 가로 프레임 일단부에 형성되는 세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트레이 서포트와 제2 트레이 서포트는, 상기 세로 프레임의 방향이 반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트레이 서포트는 선체에 부착된 보강재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사이드 쉘 론지와 결합되는 트레이 서포트를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트레이바 및 트레이 서포트에 복수개의 결합홀을 형성하여 트레이 서포트를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트레이바에 결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이드 쉘 론지의 크기 및 간격과 무관하게 케이블 다운 트레이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다운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다운 트레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트레이 서포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케이블 다운 트레이의 사용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다운 트레이(100)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케이블 다운 트레이(100)는 선체(10)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 때, 선체(10)에는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보강재(20)가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어 형성되어 있고, 케이블 다운 트레이(100)는 보강재(20)에 결합함으로써 설치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보강재는 사이드 쉘 론지(20, side shell longi)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보강재는 사이드 쉘 론지(20, side shell longi)뿐 아니라 거더 등 선체(10)에 일정 또는 불규칙한 간격을 두고 부착된 보강재를 모두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다운 트레이(100)는 케이블(C)이 놓여지는 트레이바(110)와, 트레이바(110)의 측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트레이 서포트(130, 150)를 포함한다. 트레이 서포트(130,150)는 착탈 가능한 체결부재(135,155)를 통해 트레이바(110)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135,155)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 때, 트레이 서포트(130,150)의 일단이 체결부재(135,155)를 통해 트레이바(1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트레이 서포트(130,150)의 타단은 사이드 쉘 론지(2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트레이 서포트(130,150)가 트레이바(110)에 결합되는 방법은 볼팅 결합일 수 있고, 사이드 쉘 론지(20)에 결합되는 방법은 볼팅 결합 또는 용접 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트레이 서포트(130,150)의 결합 방법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구성들을 포함하는 케이블 다운 트레이(100)는 세로 방향으로 포설되는 케이블(C)을 고정 및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체 내부에 배치된 작업실(30)의 상부에 케이블(C)이 인입되어야 하는 경우에, 케이블(C)은 케이블 다운 트레이(100)의 트레이바(110)에 의해 고정 및 가이드 되어 작업실(30) 상부로 인입될 수 있다. 여기에서 작업실(30)은 선체 내부에 마련된 공간을 통칭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통로(passage), 엔진룸(engine room) 등이 있다.
이 때, 케이블(C)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트레이바(110)에 케이블 타이(t)를 통해 고정되거나, 다른 방법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하, 케이블 다운 트레이(100)의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다운 트레이(100)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트레이 서포트(130,150)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케이블 다운 트레이(100)는 트레이바(110)와, 트레이바(110) 측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레이 서포트(130, 15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바(110)는 서로 이격되며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바(111)와, 한 쌍의 사이드바(111)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바(1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바(113)는 사이드바(111) 사이에 평행하게 소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트레이바(110)는 전체적으로 사다리 형상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바(111)에는 트레이 서포트(130, 15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한 쌍의 사이드바(111)에서 대응되는 높이에 결합되는 각각의 트레이 서포트(130 또는 150) 2개가 한 쌍을 이룰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이드바(111)의 상측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트레이 서포트(130)를 제1 트레이 서포트(130)라고 칭하고, 사이드바(111)의 하측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트레이 서포트(150)를 제2 트레이 서포트(150)라고 칭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트레이 서포트(130) 및 제2 트레이 서포트(150)는 편의상 구분한 것이고, 제1 트레이 서포트(130) 및 제2 트레이 서포트(150)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제1 트레이 서포트(130) 및 제2 트레이 서포트(150)가 동일한 부재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관련하여, 도 3에서는 제1 트레이 서포트(130)만을 확대하여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한 쌍의 사이드바(11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1 결합홀(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홀(111a)은 제1 트레이 서포트(130) 및 제2 트레이 서포트(150)를 사이드바(111)에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사이드바(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2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도 2에서는 제1 결합홀(111a)이 사이드바(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2열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제1 결합홀(111a)의 개수 및 크기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트레이 서포트(130) 및 제2 트레이 서포트(150)는 복수개의 제1 결합홀(111a)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탈착될 수 있으므로, 제1 트레이 서포트(130) 및 제2 트레이 서포트(150)의 결합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제1 트레이 서포트(130)는 가로 프레임(131)과, 가로 프레임(131) 일단부에 형성되는 세로 프레임(133)을 포함한다. 제1 트레이 서포트(130)가 사이드바(111)에 체결될 때에, 가로 프레임(131)은 사이드바(111)와 직각을 이루게 되고 세로 프레임(133)은 사이드바(111)와 평행을 이루게 된다.
상기 가로 프레임(131) 및 세로 프레임(13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트레이 서포트(130)는 'ㄱ'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에 가로 프레임(131)은 사이드바(111)에 결합되고, 가로 프레임(131)으로부터 연장되는 세로 프레임(133)의 단부는 사이드 쉘 론지(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방법으로는 볼팅 결합, 용접 결합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로 프레임(131) 및 세로 프레임(133)의 크기 및 길이는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크기 및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트레이 서포트(150)는 제1 트레이 서포트(130)와 마찬가지로, 가로 프레임(151) 및 세로 프레임(153)을 포함한다. 제2 트레이 서포트(150)의 가로 프레임(151) 및 세로 프레임(153)은 제1 트레이 서포트(130)의 가로 프레임(131) 및 세로 프레임(133)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트레이 서포트(130) 및 제2 트레이 서포트(150)를 구분하고, 제1 트레이 서포트(130)의 가로 프레임(131) 및 세로 프레임(133)과, 제2 트레이 서포트(150)의 가로 프레임(151) 및 세로 프레임(153)의 도면 부호를 다르게 표기하였음을 밝혀둔다.
제1 트레이 서포트(130)와 제2 트레이 서포트(150)는 세로 프레임(133 또는 153)의 방향이 서로 반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트레이 서포트(130)의 세로 프레임(133)이 아래 방향을 향해 형성된 경우에, 제2 트레이 서포트(150)의 세로 프레임(153)은 위 방향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트레이 서포트(150)는 제1 트레이 서포트(130)과 선대칭되어 사이드바(111)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제1 트레이 서포트(130)의 세로 프레임(133) 단부는 사이드 쉘 론지(20)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제2 트레이 서포트(150)의 세로 프레임(153) 단부는 다른 사이드 쉘 론지(20)의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바(110)가 사이드 쉘 론지(20)에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기재한 것에 불과하고, 제1,2트레이 서포트(130,150)의 세로 프레임(133,153)이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2 트레이 서포트(130,150)의 가로 프레임(131,15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2 결합홀(131a,15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홀(131a,151a)은 제1,2 트레이 서포트(130,150)를 사이드바(111)에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2 트레이 서포트(130,150)의 가로 프레임(131,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1행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도 2 및 도 3에서는 제2 결합홀(131a,151a)이 가로 프레임(131,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1행으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제2 결합홀(131a,151a)의 개수 및 크기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2 결합홀(131a,151a)은 제1 결합홀(111a)와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2 트레이 서포트(130,150)는 제2 결합홀(131a,151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사이드바(111)의 제1 결합홀(111a)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135a,135b 및 155a,15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부재(135a,135b 및 155a,155b)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유볼트(135a,155a, U-bolt) 및 너트(135b,155b)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2 트레이 서포트(130,150)를 사이드바(111)에 체결할 수 있는 부재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체결 부재(135a,135b 및 155a,155b)가 유볼트(135a,155a, U-bolt) 및 너트(135b,155b)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일 예로, 제1 트레이 서포트(130)가 사이드바(111)에 체결되는 것을 설명하면, 유볼트(135a)는 제1 트레이 서포트(130)의 가로 프레임(131)에 형성된 제2 결합홀(131a)에 삽입되고, 삽입 단부는 다시 사이드바(111)에 형성된 제1 결합홀(111a)에 삽입된다. 이후, 너트(135b)를 이용하여 유볼트(135a)를 고정시킴으로써 제1 트레이 서포트(130)가 사이드바(111)에 체결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케이블 다운 트레이(100)의 사용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이드바(11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1 결합홀(111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트레이 서포트(130,150)가 사이드바(111)에 체결되는 위치는 상하 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서포트(130,150)의 가로 프레임(131,15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2 결합홀(131a,151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트레이 서포트(130,150)가 사이드바(111)에 체결되는 위치는 좌우 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트레이 서포트(130,150)를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트레이바(110)에 결합 가능하므로, 사이드 쉘 론지(20)를 비롯한 보강재(20)의 크기 및 간격에 대응하여 트레이 서포트(130,150)를 트레이바(110)에 결합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강재(20)의 크기 및 간격과 무관하게 케이블 다운 트레이(100)를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선체 20: 보강재
30: 작업실 C: 케이블
100: 케이블 트레이 110: 트레이바
111: 사이드바 111a: 제1 결합홀
113: 지지바 130: 제1 트레이 서포트
150: 제2 트레이 서포트 131,151: 가로프레임
133,153: 세로 프레임 135a,135a: 유볼트
135b,155b: 너트 131a,151a: 제2 결합홀

Claims (5)

  1. 제1 결합홀이 구비된 한 쌍의 사이드바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바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바를 가지는 트레이바;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바에 일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트레이 서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트레이 서포트는
    상기 가로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2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제1 결합홀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다운 트레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레이 서포트와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사이드바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트레이 서포트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다운 트레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레이 서포트 및 제2 트레이 서포트는,
    가로 프레임; 및 상기 가로 프레임 일단부에 형성되는 세로 프레임을 포함하는 케이블 다운 트레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레이 서포트와 제2 트레이 서포트는, 상기 세로 프레임의 방향이 반대되도록 형성되는 케이블 다운 트레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레이 서포트는 선체에 부착된 보강재에 결합되는 케이블 다운 트레이.
KR2020120006185U 2012-07-13 2012-07-13 케이블 다운 트레이 KR200468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185U KR200468736Y1 (ko) 2012-07-13 2012-07-13 케이블 다운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185U KR200468736Y1 (ko) 2012-07-13 2012-07-13 케이블 다운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736Y1 true KR200468736Y1 (ko) 2013-09-02

Family

ID=51396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185U KR200468736Y1 (ko) 2012-07-13 2012-07-13 케이블 다운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73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318A (ko) * 2009-01-22 2010-07-30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케이블트레이 행거
KR100993138B1 (ko) 2010-05-26 2010-11-09 육홍수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KR101087607B1 (ko) 2009-11-06 2011-11-29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조립식 배관 트레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318A (ko) * 2009-01-22 2010-07-30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케이블트레이 행거
KR101087607B1 (ko) 2009-11-06 2011-11-29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조립식 배관 트레이
KR100993138B1 (ko) 2010-05-26 2010-11-09 육홍수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1570Y1 (ko) 케이블트레이 연결장치
JP2009073389A5 (ko)
JP2018102232A (ja) 猫用遊戯装置
KR101356140B1 (ko) 난연성 플라스틱을 이용한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JP6263448B2 (ja) 配線ケーブルの整線具
KR200468736Y1 (ko) 케이블 다운 트레이
KR20100070518A (ko) 케이블 트레이
KR101183896B1 (ko) 격자형 천장 마감재용 연결장치
JP6024627B2 (ja) コネクタ付電線配列用具
JP5777933B2 (ja) 機器収納用ラックの補助レール及び機器収納用ラック
KR200476352Y1 (ko) 메쉬 케이블 트레이용 수직엘보우
KR100928592B1 (ko) 태양열 전지모듈 고정장치
KR20170126620A (ko) 조립식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JP5979106B2 (ja) コネクタ付電線配列用具
KR20130073638A (ko) 케이블 트레이 서포트
KR20160020809A (ko) 케이블 고정용 트레이
CN203448999U (zh) 框架型材
KR20160001689U (ko) 선박용 핸드레일
US10266096B1 (en) Recreational vehicle with deck
KR20120008504U (ko) 작업대
KR20190000979A (ko) 케이블 트레이
JP5967111B2 (ja) 建設機械の配索構造
KR20120008609U (ko) 호스 걸이대
JP3180204U (ja) 組立式収納棚
JP2011172779A (ja) 綱支持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071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8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2060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