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339Y1 - Oral care implement having tongue ceeaning means - Google Patents
Oral care implement having tongue ceeaning mea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8339Y1 KR200468339Y1 KR2020110010676U KR20110010676U KR200468339Y1 KR 200468339 Y1 KR200468339 Y1 KR 200468339Y1 KR 2020110010676 U KR2020110010676 U KR 2020110010676U KR 20110010676 U KR20110010676 U KR 20110010676U KR 200468339 Y1 KR200468339 Y1 KR 20046833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tooth
- extending
- bristles
- he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81—Brushes with a scraper, e.g. tongue scraper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61B17/24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for cleaning of the tong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3/00—Gum massage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26—Gum massaging brush, i.e. specifically designed for massaging the gum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Dent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헤드, 상기 헤드의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크기, 모양 및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형성된 치아 세척요소 및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상기 헤드의 제2면에 형성되어 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제2면에 장착된 기단부 및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세척 돌기를 구비하는 혀 세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세척 돌기는,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꼭지부,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 및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3방향으로 연장된 제3연장부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care device having a tongue cleaning means, comprising a hea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andle, a plurality of bristles having a different size, shape and length formed outward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head A tooth cleaning element and a second surface of the head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o remov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tongue, and a proximal end mounted on the second surface and a plurality of washing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roximal end; Including a tongue washing means provided, wherein the washing projection, the stem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roximal end, the first extension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stem, the second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stem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a thir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a third direction from the stem portion.
Description
본 고안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의 제1면에 구비된 세척수단을 이용함으로써 혀에 도포되어 구강 악취의 원인을 제공하는 설태 등을 제거하고,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에 구비되어 서로 다른 크기, 길이, 각도 및 모양을 갖는 칫솔모들을 이용함으로써 치아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 이물질 및 프라그 등을 제거할 수 있는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care device having a cleaning means,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the cleaning means provid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head to remove the tongue and the like applied to the tongue to provide the cause of oral odor, Oral care device provided with a tongue cleaning means to remove food debris, foreign matter and plaque on the teeth by using brush heads of different sizes, lengths, angles and shapes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 opposite to one surfac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칫솔은 치아 및 구강 내 청결 유지를 위한 위생용품으로서, 이러한 칫솔은 크게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헤드 및 상기 헤드의 일면에 고정되는 칫솔모로 구분된다.In general, the toothbrush is a hygiene product for maintaining the teeth and oral cleanliness, the toothbrush is largely divided into a handle for holding the user, a head integr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andle and the bristles fixed to one side of the head.
상기 칫솔 중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One example of such a toothbrush is shown in FIG. 1.
종래의 칫솔(10)은 통상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된 손잡이(1), 헤드(2) 및 상기 헤드(2)의 일면에 심어지는 방식으로 고정된 칫솔모(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칫솔모(3)는 매우 가는 칫솔모가 그룹 단위로 모여 다수의 묶음 형태를 이루며 헤드에 고정되는 형태이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칫솔모의 묶음 하나를 칫솔모라 한다.Conventional toothbrushes 10 typically comprise a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사용자는 칫솔(10)의 손잡이(1)를 파지한 상태에서 헤드(2) 및 칫솔모(3)를 구강 내에 넣은 후, 손잡이(1)를 통해 헤드(2) 및 칫솔모(3)를 유동시키면서 치아와 잇몸 등 구강 내를 닦아낸다. 그리고, 이와 같이 칫솔(10)을 이용하여 치아와 잇몸 등 구강 내를 닦아내는 방법, 다시 말해 양치질의 방법에는 회전법, 횡마법, 묘원법 등이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ser puts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칫솔은 헤드의 평평한 일면에 칫솔모를 고정한 형태이므로, 동일 높이의 모든 칫솔모는 동일한 강도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양치질 내내 사용자의 칫솔을 조작하는 힘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치아와 잇몸 등 구강 내 모든 닦음 부위에 대한 칫솔모의 칫솔질 강도는 항상 동일하며, 이는 구강 내 특정 부위를 양호하게 닦아내지 못하는 이유가 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toothbrush is a form in which the bristle is fixed to a flat surface of the head, all the bristles of the same height have the same strength. Accordingly, assuming that the force of manipulating the user's toothbrush is the same throughout brushing, the brushing strength of the brush head is always the same for all the brushing areas of the mouth, such as teeth and gums, which does not provide good cleaning of certain areas of the mouth. It is a reason.
또한, 종래의 칫솔은 어금니와 그 주변 잇몸과의 경계 부분에 쌓여있거나 치아들 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기 어려우므로 치석 및 프라그의 누적 등으로 인해 충치 등의 치아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oothbrush is difficult to remove the food debris accumulated in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molar and the surrounding gum or the teeth between the teeth and can cause tooth disease such as dental caries due to the accumulation of tartar and plaque. Have
한편, 건강한 사람에게서 나는 입 냄새의 주원인은 혀에 남아 있는 미생물 퇴적이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혀는 유두상(papillate) 돌기를 가지므로 구강 박테리아의 서식에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혀에서 기거하는 혐기성 식물과 박테리아는 입 냄새라고 불리는 구린내를 발생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박테리아는 휘발성 황 혼합물(VSC: volatile sulfur compounds)을 생성하고, 그것이 축적되면 구린내 또는 구강 악취를 더욱더 발생시킨다.Meanwhile, it is reported that the main cause of bad breath from healthy people is the deposition of microorganisms on the tongue. The tongue has papillary papillae, so it is easily structured for oral bacteria. Anaerobic plants and bacteria that live on the tongue can cause a bad smell called a bad breath. The bacteria produce volatile sulfur compounds (VSC), and when they accumulate, they produce even more oral oral odors.
상기 박테리아를 제거하기 위해 혀 스크레이퍼가 이용된다. 상기 스크레이퍼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형태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상해를 끼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혀 스크레이퍼는 칫솔 외에 별도로 갖춰지는 도구이기 때문에 칫솔질을 행함과 동시에 혀의 박테리아를 제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ongue scrapers are used to remove the bacteria. The scraper has a problem that it may cause injury to the user because the scraper was longer than the width. In addition, since the tongue scraper is a tool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toothbrush,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move bacteria from the tongue while brushing.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용자가 동일한 손목 강도로 양치질을 하더라도 특정 영역, 특히 어금니 주변 영역의 칫솔질이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하게 이뤄지면서 어금니 주변 영역의 음식물 찌꺼기, 이물질 및 프라그 등을 제거할 수 있는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user brushing teeth with the same wrist strength, the brushing of a particular area, especially the area around the molar teeth is relatively stronger than other areas, while the food of the area around the molar teeth It is to provide an oral care device having a tongue cleaning means that can remove debris, foreign matter and plaque.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칫솔모의 크기, 생성 방향 및 모양을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치아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고, 치아 및 잇몸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며, 잇몸을 적절하게 자극함으로써 마사지할 수 있는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different size, direction and shape of the bristle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aught between the teeth,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aught between the teeth and gums, and to massage the gums by appropriately stimulating It is to provide an oral care device having a tongue cleaning means.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치아를 세척함과 동시에 칫솔모와 대향하여 형성된 세척수단을 이용하여 혀에 부착된 박테리아, 이물질 및 설태 등을 적절하게 제거할 수 있는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al care device having a tongue cleaning means capable of properly removing the bacteria, foreign matter and tongue attached to the tongue by using the cleaning means formed to face the brush head at the same time to clean the teeth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는, 손잡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헤드, 상기 헤드의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크기, 모양 및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형성된 치아 세척요소 및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상기 헤드의 제2면에 형성되어 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제2면에 장착된 기단부 및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세척 돌기를 구비하는 혀 세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세척 돌기는,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꼭지부,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 및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3방향으로 연장된 제3연장부를 구비한다.Oral care device having a tongue cleaning mean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ea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andle, is formed outward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head different size, shape and length A tooth cleaning element formed of a plurality of bristles having a second surface of the head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removes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tongue, and a proximal end mounted on the second surface and an outer side from the proximal end Tongue washing means having a plurality of washing projections protruding into the, wherein the washing projections, the stem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roximal end, a first extension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stem, the stem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from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a third extension extending in the third direction from the stem.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방향 내지 상기 제3방향은 꼭지부를 중심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rection to the third dir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at the same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tem.
또한,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 상기 제1면의 상기 손잡이 인근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치아 세척요소에 도포된 치약이 상기 손잡이 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그룹,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2그룹 사이에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치아 사이를 세척하는 제3그룹, 상기 제3그룹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3그룹으로 한정된 치아의 표면을 세척하는 제4그룹 및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3그룹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그룹과 연동하여 치아를 세척하는 제5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 cleaning element is a first group protruding outward from the end region of the first surface to wash the gum boundary of the inner end of the tooth, the first group Between the second group formed between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adjacent to each other formed in the area adjacent to the handle on one side to prevent the toothpaste applied to the tooth cleaning element to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A third group for cleaning the fourth group formed between the third group and washing the surface of the tooth defined by the third group and interposed with the first group formed between the first group and the third group And a fifth group for washing the teeth.
또한,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신장된 상기 제3그룹의 길이는 상기 제1그룹보다 길고, 상기 제1그룹의 길이는 상기 제5그룹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상기 제2그룹보다 길며, 상기 제2그룹의 길이는 상기 제4그룹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third group exten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from the first surface is longer than the first group, the length of the first group is An oral care impl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second group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group having the same length as the five groups.
또한,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3그룹을 구성하는 칫솔모들은 상기 치아 세척요소가 치아열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된 치아 사이에 맞춰지도록 상기 제1면에 대한 수직축을 기준으로 경사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stles constituting the third group is adapted to fit between the teeth disposed at different intervals while the tooth cleaning element is moved along the tooth row.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또한,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치아 하부의 잇몸을 마사지하는 제2그룹, 상기 제2그룹의 내측 상기 손잡이 인근 영역에 형성되어 굴곡진 치아의 상부면을 세척하기 위한 제3그룹 및 상기 제2그룹의 내측에서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3그룹 사이에 위치하는 제4그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 cleaning element is a first group protruding outward from the end region of the first surface to wash the gum boundary of the tooth inner end, the first group A second group formed along an edge of one surface to massage the gum of the lower part of the tooth, a third group formed in an area near the handle of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group to wash the upper surface of the curved tooth, and the second group And a fourth group located inside the group between the first group and the third group.
또한,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4그룹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3그룹의 단면은 모서리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사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group and the fourth group is circular, the cross-section of the second group and the third group is formed so that the corner has a curvature It is characterized by a rectangular shape.
또한,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그룹은 최 내측 치아의 벽면 및 잇몸을 세척하도록 그 끝단이 경사져 있고, 상기 제2그룹은 네 개의 칫솔모들이 알파벳 엑스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신장된 상기 제1그룹의 길이는 상기 제2그룹 내지 상기 제4그룹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f the first group is inclined to wash the wall and gums of the innermost tooth, the second group of four bristles are alphabet X shape The length of the first group exten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from the first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group to the fourth group.
또한,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어금니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그룹,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치아 하부의 잇몸을 마사지하는 제2그룹, 상기 제2그룹의 내측 상기 손잡이 인근 영역에 형성된 제3그룹 및 상기 제2그룹의 내측에서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3그룹 사이에 형성되어 굴곡진 치아의 상부면을 세척하기 위한 제4그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 cleaning element protrudes outward from the end region of the first surface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on the molar surface of the first group, of the first surface A second group formed along an edge to massage the gum of the lower part of the tooth, a third group formed at an inner side of the handle near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group, and between the first group and the third group inside the second group It is formed in th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urth group for wash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urved tooth.
또한,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3그룹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4그룹의 단면은 모서리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사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group and the third group is circular,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group and the fourth group is formed so that the corner has a curvature It is characterized by a rectangular shape.
또한,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4그룹은 네 개의 칫솔모들이 알파벳 엑스 형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grou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 bristles are arranged in the alphabet X shape.
또한, 본 고안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치아 세척요소가 서로 다른 크기와 모양의 치아 사이를 이동하는 동안 상기 칫솔모들이 치아 및 잇몸의 굴곡 깊숙이 침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제1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에 대해 제1각도로 경사진 제1그룹 및 상기 제1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에 대해 제2각도로 경사진 제2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그룹은 그 단면이 제1모양 및 제2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가 제1길이 및 제2길이로 형성된 복수 개의 칫솔모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그룹은 상기 제2길이를 갖는 칫솔모들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모양과 동일한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 cleaning element is penetrated deep into the bend of the teeth and gums while the tooth cleaning element is moved between the teeth of different sizes and shapes A first group inclined at a first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irst surface and a second group inclined at a secon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irst surface to remove foreign matter, wherein the first group And having a plurality of bristles having cross sections formed in a first shape and a second shape, the lengths of which are formed in a first length and a second length, and wherein the second group has the same height as the bristles having the second length. It is formed, and has the same shape as the second shape.
또한, 본 고안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모양은 사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제2모양은 원형의 형상이며, 상기 제1길이는 상기 제2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hape is a rectangular shape, the second shape is a circular shape, the first length is longer than the second length It is done.
또한, 본 고안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상기 제1그룹의 칫솔모들은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의 단면을 갖는 상기 제1그룹의 칫솔모들은 상기 헤드의 끝단에 인접한 제1측면 및 상기 제1측면에 대향하는 제2측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 및 상기 제2측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상기 제1그룹의 칫솔모들은 상기 제1길이 및 상기 제2길이의 칫솔모들이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제2그룹의 칫솔모들은 상기 제1면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그룹의 칫솔모들에 의해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roup of bristles having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is formed in the end region of the first surface, the first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bristles of the group are formed along an edge of the first side adjacent the end of the head and a second side opposite the first side, and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first group. The bristles are alternately formed with bristles of the first length and the second length, and the bristles of the second group are formed inside the first surface and are surrounded by the bristles of the first group. .
또한, 본 고안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헤드 끝단 영역의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잇몸을 마사지하기 위한 제2그룹, 상기 제1그룹으로부터 상기 손잡이 방향의 길이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어 치아 및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3그룹, 상기 제3그룹 및 상기 제2그룹 사이에 배치되어 치아의 굴곡을 따라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4그룹 및 상기 제4그룹과 뒤섞이도록 배치되어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5그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 cleaning element is a first group protruding outward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head end region to wash the gum boundary of the inner end of the tooth, A second group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surface for massaging the gums, a third group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from the first group to remove foreign matter between the teeth and the gums, And a fourth group disposed between the third group and the second group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long the curvature of the tooth and a fifth group disposed to be mixed with the fourth group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tooth surface. do.
또한, 본 고안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그룹,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4그룹의 단면은 서로 다른 사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제3그룹 및 상기 제5그룹의 단면은 원형이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1그룹, 상기 제3그룹, 상기 제4그룹, 상기 제5그룹 및 상기 제2그룹의 순서대로 길고, 상기 제2그룹의 끝단은 굴곡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group, the second group and the fourth group has a different rectangular shape, the third group and the fifth group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the length extending outward from the first surface is long in the order of the first group, the third group, the fourth group, the fifth group and the second group, and the second group. The end of the curved is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본 고안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헤드 끝단 영역의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 상기 헤드 끝단에 인접한 제1측면 및 상기 제1측면에 대향하는 제2측면과 인접한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잇몸을 마사지하기 위한 제2그룹, 상기 제1그룹으로부터 상기 손잡이 방향의 길이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어 치아 및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3그룹, 상기 제3그룹 및 상기 제2그룹 사이에 배치되어 치아의 굴곡을 따라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4그룹 및 상기 제4그룹과 뒤섞이도록 배치되어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5그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 cleaning element extends outward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head end region to clean the gum boundary of the inner end of the tooth, A second group, each of which is integrally formed along an edge of the first side adjacent to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and adjacent to the head end, for massaging the gum, the handle from the first group A third group formed along a longitudinal center axis in a direction to be disposed between the third group and the second group fo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between the tooth and the gum and the fourth group and the second group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long the curvature of the tooth; It is arranged to be mixed with the four group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fth group for removing foreign matter on the tooth surface.
또한, 본 고안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2그룹은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에 장착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된 복수 개의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의 끝단은 굴곡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group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mounted on the edge of the first surface and a plurality of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It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the end of the exten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또한, 본 고안의 제6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그룹,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4그룹의 단면은 서로 다른 사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제3그룹 및 상기 제5그룹의 단면은 원형이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1그룹, 상기 제3그룹, 상기 제4그룹, 상기 제5그룹 및 상기 제2그룹의 순서대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group, the second group and the fourth group has a different rectangular shape, the third group and the fifth group The cross s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ircular, the length extending outward from the first surface is long in the order of the first group, the third group, the fourth group, the fifth group and the second group.
또한, 본 고안의 제7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제1면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세척모, 상기 제1세척모 및 상기 손잡이 인근 영역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치아와는 다른 제2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세척모,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에 형성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 상기 제1세척모 및 상기 제2세척모 각각의 주변에 형성된 제2그룹 및 상기 제2세척모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3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 cleaning element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surface, and extends outward from the first surfac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first tooth A second cleansing hair formed between the first cleansing hair, the first cleansing hair, and a region near the handle and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surface to remove foreign matter on a second tooth surface different from the first teeth, A first group formed at an end region of the first surface to wash the gum boundary of the inner end of the tooth, and surrounding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forme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wash hair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group formed to.
또한, 본 고안의 제7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2그룹의 칫솔모들은 원형의 패턴을 형성하여 칫솔질 방향에 무관하게 치아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제2세척모 및 상기 제3그룹을 둘러싼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of bristles to form a circular pattern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of the tooth irrespective of the brushing direction of the second cleaning It is characterized by surrounding the parent and the third group.
또한, 본 고안의 제7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세척모 및 상기 제2세척모 각각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제1세척모 단면의 직경은 상기 제2세척모 단면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section of each of the first washing hair and the second washing hair is circular, the diameter of the first washing hair cross section is the second washing hair cross s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larger than the diameter.
또한, 본 고안의 제7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그룹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3그룹의 단면은 서로 다른 사각형이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1그룹,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3그룹의 순서대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group is circular, the cross sections of the second group and the third group are different squares, the outer side from the first surface The extended lengt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 in the order of the first group, the second group and the third group.
또한, 본 고안의 제7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그룹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칫솔모들의 그룹들로 형성하고, 상기 제1세척모 및 상기 제2세척모의 길이는 상기 제3그룹의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roup is formed of groups of bristles having different lengths, the length of the first washing hair and the second washing hair It is characterized by the same length as the three groups.
또한, 본 고안의 제8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 및 상기 손잡이 부근 영역에 형성된 제1그룹,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에 인접한 상기 헤드의 제1측면 및 상기 제1측면에 대향하는 제2측면의 상기 제1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잇몸을 마사지하는 제2그룹, 상기 제1면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제3그룹, 상기 제3그룹에 인접하여 상기 제3그룹 및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그룹 사이에 형성되고,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1세척모, 상기 제3그룹에 인접하여 상기 제3그룹 및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손잡이 부근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그룹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3그룹을 중심으로 상기 제1세척모와 대향하며,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2세척모 및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1세척모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손잡이 부근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2세척모 사이에 형성된 제4그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 cleaning element is a first group formed in the end region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region near the handle, the adjacent to the end region of the first surface A second group formed along the first side edge of the head and a second side of the seco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to massage the gums, a third group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first side, and the third A first washing cap formed between the third group adjacent to the group and the first group formed at the end region of the first surface, the first washing cap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tooth surface, and the third group adjacent to the third group A second cleansing hair formed between the group and the first group formed in the region near the handle on the first surface, facing the first cleansing hair around the third group, and removing the foreign matter on the tooth surface; The first side And a fourth group formed between the first group and the first cleansing hair formed in the end region and between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cleansing hair formed in the region near the handle on the first surface. It features.
또한, 본 고안의 제8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세척모 및 상기 제2세척모의 각각은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신장되고, 그 단면의 꼭지부로부터 양방향으로 신장된 말단부를 구비하되, 상기 꼭지부는 상기 말단부보다 상기 제3그룹에 인접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washing hair and the second washing hair is extended outwardly from the first surface, it is extended in both directions from the top of the cross section It is provided with a distal end, wherein the 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closer to the third group than the distal end.
또한, 본 고안의 제8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그룹의 단면은 사각형이고,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3그룹의 단면은 원형이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1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1그룹, 상기 제3그룹,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4그룹의 순서대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group is a square,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group and the third group is circular, the first surface from the first surface The length extending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is long in the order of the first group, the third group, the second group and the fourth group.
또한, 본 고안의 제8실시 예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상기 제1세척모 및 상기 제2세척모는 서로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그룹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ashing hair and the second washing hair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fourth group.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사용자가 동일한 손목 강도로 양치질을 하더라도 특정 영역, 특히 어금니 주변 영역의 칫솔질이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하게 이뤄지면서 어금니 주변 영역의 음식물 찌꺼기, 이물질 및 프라그 등을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having the tongue clea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brushing teeth with the same wrist strength, the brushing of the specific area, especially the area around the molar teeth is made relatively stronger than other areas The effect of removing food debris, foreign matter and plaque in the surrounding area can be obtain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칫솔모의 크기, 생성 방향 및 모양을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치아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고, 치아 및 잇몸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며, 잇몸을 적절하게 자극함으로써 마사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having a tongue clea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size, direction and shape of the bristles different from each other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caught between the teeth,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caught between the teeth and gums Therefore, the effect of massage can be obtained by appropriately stimulating the gums.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에 의하면, 치아를 세척함과 동시에 칫솔모와 대향하여 형성된 세척수단을 이용하여 혀에 부착된 박테리아, 이물질 및 설태 등을 적절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ral care device provided with the tongue clea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cleaning means formed at the same time as washing the teeth facing the bristles can be properly removed bacteria, foreign matter and tongue attached to the tongue. Effect is obtain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칫솔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채택된 혀 세척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채택된 혀 세척수단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는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a는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a는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a는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a는 내지 도 8c는 본 고안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a는 내지 도 9c는 본 고안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a는 내지 도 10c는 본 고안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a는 내지 도 11c는 본 고안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1 is a view show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ngue washing means adopted in the oral care implement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tongue washing means adopted in the oral care implement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views showing a tooth cleaning ele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views illustrating a tooth cleaning ele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views illustrating a tooth cleaning elemen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views showing a tooth cleaning elemen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C are views illustrating a tooth cleaning elemen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C are views illustrating a tooth cleaning elemen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to 10C are views illustrating a tooth cleaning elemen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to 11C are views illustrating a tooth cleaning element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2 and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oral care applian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채택된 혀 세척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채택된 혀 세척수단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ngue washing means adopted in the oral care implement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tongue washing means adopted in the oral care implement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는 사용자가 구강 관리기구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11) 및 상기 손잡이(11)의 일측으로 연장된 헤드(13)를 갖는 칫솔을 일컫는다. 상기 손잡이(11)는 사용자의 치아 및/또는 혀를 청결하게 하는데 필요한 조작을 하기에 적합한 공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2 and 3,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상기 헤드(13)는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서 타원과 유사한 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직사각형 등과 같이 사용자의 구강에 흡입되기에 적합한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13)는 피부 또는 구강 조직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폴리프로필렌(PP) 등과 같은 공지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헤드(13)는 탄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헤드(13)는 제1면(13a) 및 상기 제1면(13a)에 대향하는 제2면(13b)을 구비한다.Although the
상기 제1면(13a)에는 치아 세척요소(15), 즉 복수 개의 칫솔모들이 제1면(13a)에 수직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부터 소정 각도 기울어진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치아 세척요소(15), 즉 칫솔모들은 서로 다른 크기, 모양 및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나일론,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스테르 또는 기타 공지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후술하는 실시 예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한편, 상기 헤드의 제2면(13b)에는 혀 세척수단(17)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세척수단(17)은 볼의 내부 면, 혀 또는 다른 연성조직을 청결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세척수단(17)은 가소성을 갖는 엘라스토머(elastomer) 또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물질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세척수단(17)은 제2면(13b)에 장착된 기단부(19) 및 상기 기단부(19)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세척 돌기(23)를 구비한다. 상기 세척 돌기(23)는 혀를 세척하는 동안 혀의 조직 또는 다른 구강 조직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모양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tongue cleaning means 17 is mounted on the
상기 세척 돌기(23)는 꼭지부(23a), 제1연장부(23b), 제2연장부(23c) 및 제3연장부를 구비한다. 상기 꼭지부(23a)는 혀에 형성된 이물질, 예를 들어 박테리아 또는 설태를 뚫고 진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꼭지부(23a)는 기단부(19)로부터 제2면(13b)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구강 조직에 상처를 내지도 않도록 모서리 부분을 곡선으로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제1연장부(23b)는 꼭지부(23a)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2연장부(23c)는 꼭지부(23a)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3연장부(23d)는 꼭지부(23a)로부터 제3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방향 내지 제3방향은 꼭지부(23a)를 중심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로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 혀에 밀착된 세척수단(17)을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키더라도 제1연장부(23b) 내지 제3연장부(23d)의 끝단이 혀에 부착된 이물질, 예를 들어 박테리아 또는 설태 등을 뚫고 진행하며, 상기 제1연장부(23b) 내지 제3연장부(23d)에 의해 이물질을 혀로부터 쉽게 분리함으로써 혀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Therefore, even if the user moves the washing means 17 in close contact with the tongue up or down or left and right with a small force, the end of the
다음으로, 도 2, 도 4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따른 구강 관리기구에 채택되는 치아 세척요소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ures 2, 4a to 11c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tooth cleaning elements adopted in the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5a는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며, 도 6a는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a는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8a는 내지 도 8c는 본 고안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며, 도 9a는 내지 도 9c는 본 고안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a는 내지 도 10c는 본 고안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11a는 내지 도 11c는 본 고안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4a and 4b are views showing a tooth cleaning ele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and 5b is a view showing a tooth cleaning ele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And Figure 6b is a view showing a tooth cleaning elemen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views showing a tooth cleaning elemen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a to 8c are views showing a tooth cleaning elemen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a 9 to 9 are views showing a tooth cleaning elemen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to 10C are views illustrating a tooth cleaning elemen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1A to 11C are views showing a tooth cleaning element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15)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구성된다.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1면(13a)의 끝단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101) 및 상기 제1면(13a)의 손잡이(11) 인근 영역에 형성되어 치아 세척요소(15)에 도포된 치약이 손잡이(11) 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그룹(103)을 구비한다.2, 4A and 4B, the
또한,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1그룹(101) 및 제2그룹(103) 사이에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치아 사이의 경계를 세척하는 제3그룹(105)을 포함한다. 상기 제3그룹(105)은 제1측면(25a) 및 제2측면(25b)을 이어주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두 줄의 칫솔모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 줄의 칫솔모들은 제1열(105a) 및 제2열(105b)로 호칭될 수 있다. 상기 제1열(105a)의 칫솔모들은 제1면(13a)에 접촉하고 있는 칫솔모들의 하부 영역이 서로 교대로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예를 들어, 상기 제1열(105a)의 홀수 번째 칫솔모들은 제1면(13a)의 수직 방향에 대해 제1각도(α)로 기울어져 있고, 짝수 번째 칫솔모들은 제1면(13a)의 수직 방향에 대해 제2각도(β)로 기울어져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열(105a)의 홀수 번째 칫솔모들 끝단 및 짝수 번째 칫솔모들의 끝단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열(105b)은 제1열(105a)과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치아열을 따라 칫솔을 이동시키더라도 제3그룹(105)을 이용하여 치아 사이의 경계 영역의 끼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dd-numbered bristles of the
상기 제1열(105a) 및 제2열(105b) 사이에는 제3그룹(105)으로 한정된 치아의 표면을 세척하는 제4그룹(10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그룹(101) 및 제3그룹(105) 사이에는 제1그룹(101)과 연동하여 치아를 세척하는 제5그룹(109)이 형성되어 있다.A
상기 제1면(13a)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신장된 제3그룹(105)의 길이는 제1그룹(101)보다 길고, 제1그룹(101)의 길이는 제5그룹(109)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제2그룹(103)보다 길며, 상기 제2그룹(103)의 길이는 제4그룹(107)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length of the
도 2,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15)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구성된다.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1면(13a)의 끝단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111) 및 상기 제1면(13a)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치아 하부의 잇몸을 마사지하는 제2그룹(113)을 구비한다. 상기 제1그룹(111)은 최 내측 치아의 벽면 및 잇몸을 세척하도록 그 끝단이 경사져 있다. 상기 제2그룹(113)은 표면의 굴곡이 심한 어금니를 세척하도록 네 개의 칫솔모들이 알파벳 엑스 형상으로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2, 5A and 5B, the
상기 제2그룹(113)의 내측 손잡이(11) 인근 영역에는 굴곡진 치아의 상부면을 세척하기 위한 제3그룹(1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그룹(113)의 내측에서 제1그룹(111) 및 제3그룹(115) 사이에는 제4그룹(117)이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3그룹(115)은 제1그룹(111)이 최 내측 어금니의 잇몸 경계면을 세척하는 동안 어금니의 표면을 용이하게 세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A
이 경우, 상기 제1그룹(111) 및 제4그룹(117)은 치아 사이의 경계면 또는 치아 및 잇몸 사이의 경계면에 깊이 침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그룹(113) 및 제3그룹(115)은 치아 하부의 잇몸을 마사지하고, 굴곡이 심한 어금니 등의 표면을 세척하기에 용이하도록 좁고 길게 형성된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면(13a)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신장된 제1그룹(111)의 길이는 최 내측 어금니 뒤쪽의 잇몸을 세척하도록 제2그룹(113) 내지 제4그룹(117)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도 2,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15)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구성된다.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1면(13a)의 끝단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어금니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그룹(119) 및 상기 제1면(13a)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치아 하부의 잇몸을 마사지하는 제2그룹(121)을 구비한다. 상기 제1그룹(119)은 원형의 단면을 구비하고, 육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그룹(121)의 단면은 모서리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사각형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2, 6A and 6B, the
상기 제1면(13a)의 손잡이(11) 인근 영역에 형성된 제2그룹(121)의 칫솔모들은 칫솔질을 하는 동안 치약이 손잡이 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제1면(13a)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칫솔모들에 비해 촘촘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그룹(121)의 내측 손잡이(11) 인근 영역에는 제3그룹(1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그룹(123)은 어금니의 표면을 세척하도록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1) 부근의 제1면(13a)에 형성된 칫솔모들과 함께 치약이 손잡이(11) 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bristles of the
상기 제2그룹(121)의 내측에서 제1그룹(119) 및 제3그룹(123) 사이에 형성되어 굴곡진 치아의 상부면을 세척하기 위한 제4그룹(1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4그룹(125)의 단면은 굴곡진 치아의 단면을 세척하기에 적합하도록 모서리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4그룹(125)은 네 개의 칫솔모들이 알파벳 엑스 형상으로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A
도 2,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15)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구성된다.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치아 세척요소(15)가 서로 다른 크기와 모양의 치아 사이를 이동하는 동안 칫솔모들이 치아 및 잇몸의 굴곡 깊숙이 침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제1면(13a)으로부터 수직 방향에 대해 제1각도(α)로 경사진 제1그룹(127)을 구비한다.2, 7A and 7B, the
상기 제1그룹(127)은 그 단면이 제1모양(S1) 및 제2모양(S2)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가 제1길이(L1) 및 제2길이(L2)로 형성된 복수 개의 칫솔모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1그룹(127)은 제1각도(α)로 경사져 있으므로 사용자가 칫솔을 비스듬하게 쥘 경우 칫솔이 치열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치아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칫솔을 비스듬하게 쥐고 칫솔질을 하는 경우에도 제1각도(α)로 인해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The
상기 제1모양(S1)은 사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제2모양(S2)은 원형의 형상이며, 상기 제1길이(L1)는 제2길이(L2)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제1그룹(127)의 칫솔모들은 제1면(13a)의 끝단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1그룹(127)의 칫솔모들은 헤드(13)의 끝단에 인접한 제1측면(25a) 및 제1측면(25a)에 대향하는 제2측면(25b)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hape S1 has a rectangular shape, the second shape S2 has a circular shape, and the first length L1 is longer than the second length L2. The bristles of the
상기 제1측면(25a) 및 제2측면(25b)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제1그룹(127)의 칫솔모들은 제1길이(L1) 및 제2길이(L2)의 칫솔모들이 교대로 형성된다. 상기 제1길이(L1)를 갖는 칫솔모들은 제2길이(L2)를 갖는 칫솔모에 비해 치아 표면의 깊인 곳까지 침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The bristles of the
한편,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1면(13a)으로부터 수직 방향에 대해 제2각도(β)로 경사진 제2그룹(129)을 구비한다. 상기 제2그룹(129)의 칫솔모들은 제1면(13a)의 내측에 형성되어 제1그룹(127)의 칫솔모들에 의해 감싸져 있다. 상기 제2그룹(129)은 제1그룹(127)의 제2모양(S2)을 갖는 칫솔모들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2그룹(129)은 제1그룹(127)의 제2모양(S2)을 갖는 칫솔모들과는 다른 각도로 기울어져 있어 그 길이는 다를 수 있다. 상기 제2그룹(129)은 제1면(13a)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제1그룹(127)과는 다른 기울기의 부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다시 말해, 상기 제2그룹(129)은 제1면(13a)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제1그룹(127)과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칫솔질을 하는 동안 제1그룹(127)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제2그룹(129)을 구비함으로써 치아 표면의 넓은 부위를 세척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도 2,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15)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구성된다.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헤드(13) 끝단 영역의 제1면(13a)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131)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1면(13a)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잇몸을 마사지하기 위한 제2그룹(133)을 구비한다.2, 8A and 8B, the
상기 제1그룹(131)으로부터 손잡이(11) 방향의 길이 중심축을 따라 치아 및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3그룹(1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그룹(135) 및 제2그룹(133) 사이에는 치아의 굴곡을 따라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4그룹(13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4그룹(137)과 뒤섞이도록 배치되어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5그룹(139)을 구비한다.A
상기 제1그룹(131), 제2그룹(133) 및 제4그룹(137)의 단면은 서로 다른 모양의 치아를 세척하도록 다른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3그룹(135) 및 제5그룹(139)의 단면은 치아 사이 또는 치아 표면을 따라 깊은 곳까지 세척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면(13a)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제1그룹(131), 제3그룹(135), 제4그룹(137), 제5그룹(139) 및 제2그룹(133)의 순서대로 길고, 상기 제2그룹(133)의 끝단은 잇몸을 마사지하기에 적합하도록 굴곡져 있다.Cross sections of the
도 2,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15)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구성된다.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헤드(13) 끝단 영역의 제1면(13a)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141)을 구비한다.2, 9A and 9B, the
또한,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헤드(13) 끝단에 인접한 제1측면(25a) 및 제1측면(25a)에 대향하는 제2측면(25b)과 인접한 제1면(13a)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잇몸을 마사지하기 위한 제2그룹(143)을 구비한다. 상기 제2그룹(143)은 제1면(13a)의 가장자리에 장착된 몸체부(145) 및 상기 몸체부(145)와 일체로 형성되어 몸체부(145)로부터 연장된 복수 개의 연장부(147)를 구비한다. 상기 연장부(147)의 끝단은 잇몸을 마사지하기에 용이하도록 굴곡진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1그룹(141)으로부터 손잡이(11) 방향의 길이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어 치아 및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3그룹(149)을 구비한다. 상기 제3그룹(149) 및 제2그룹(143) 사이에는 치아의 굴곡을 따라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4그룹(15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4그룹(151)과 뒤섞이도록 배치되어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5그룹(153)을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제1그룹(141), 제2그룹(143) 및 제4그룹(151)의 단면은 서로 다른 모양의 치아 표면을 세척하도록 서로 다른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3그룹(149) 및 제5그룹(153)의 단면은 치아 표면을 따라 잇몸 깊이 또는 치아 사이의 경계면 깊이 침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기에 용이하도록 원형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면(13a)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제1그룹(141), 제3그룹(149), 제4그룹(151), 제5그룹(153) 및 제2그룹(143)의 순서대로 길다.The cross sections of the
도 2,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15)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구성된다.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1세척모(155) 및 제2세척모(157)를 구비한다. 상기 제1세척모(155)는 제1면(13a)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면(13a)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치아, 예를 들어 대구치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2, 10A and 10B, the
상기 제2세척모(157)는 제1세척모(155) 및 손잡이(11) 인근 영역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면(13a)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치아와는 다른 제2치아, 예를 들어 소구치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제1세척모(155) 및 제2세척모(157)는 일반 칫솔모들로는 제거하기 어려운 치아 표면의 얼룩을 제거하여 치아에 광택을 제공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1그룹(159), 제2그룹(161) 및 제3그룹(163)을 구비한다. 상기 제1그룹(159)은 제1면(13a)의 끝단 영역에 형성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한다. 상기 제2그룹(161)은 제1세척모(155) 및 제2세척모(157) 각각의 주변에 형성되어 제1세척모(155) 및 제2세척모(157)로 세척되는 치아의 측면 및 치아 사이의 경계면을 세척한다. 상기 제3그룹(163)은 제2세척모(157)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3그룹(163)은 제2세척모(157)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그룹(163) 및 제2세척모(157)는 제2면(13b)에 장착된 몸체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제1그룹(159) 및 제2그룹(161)의 칫솔모들은 원형의 패턴을 형성하여 칫솔질 방향에 무관하게 치아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제2세척모(157) 및 제3그룹(163)을 둘러싸고 있다. 상기 제1세척모(155) 및 제2세척모(157) 각각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제1세척모(155) 단면의 직경은 제2세척모(157) 단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세척모(155)는 제2세척모(157)에 비해 크기가 큰 치아, 예를 들어 제2세척모(157)가 소구치를 세척하는 동안 제1세척모(155)는 대구치를 세척할 수 있다.The bristles of the
한편, 상기 제1그룹(159)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제2그룹(161) 및 제3그룹(163)의 단면은 서로 다른 사각형이며, 상기 제1면(13a)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제1그룹(159), 제2그룹(161) 및 제3그룹(163)의 순서대로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그룹(159)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칫솔모들의 그룹들로 형성하고, 상기 제1세척모(155) 및 제2세척모(157)의 길이는 상기 제3그룹(163)의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ross section of the
도 2,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치아 세척요소(15)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구성된다.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1그룹(165), 제2그룹(167) 및 제3그룹(169)을 포함한다. 상기 제1그룹(165)은 제1면(13a)의 끝단 영역 및 손잡이(11) 부근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그룹(167)은 제1면(13a)의 끝단 영역에 인접한 헤드(13)의 제1측면(25a) 및 제1측면(25a)에 대향하는 제2측면(25b)의 제1면(13a)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잇몸을 마사지한다. 상기 제3그룹(169)은 제1면(13a)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치아의 표면을 세척한다.2, 11A to 11C, the
또한, 상기 치아 세척요소(15)는 제1세척모(171) 및 제2세척모(173)를 구비한다. 상기 제1세척모(171)는 제3그룹(169)에 인접하여 제3그룹(169) 및 제1면(13a)의 끝단 영역에 형성된 제1그룹(165) 사이에 형성되고,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세척모(173)는 제3그룹(169)에 인접하여 제3그룹(169) 및 제1면(13a)에서 손잡이(11) 부근 영역에 형성된 제1그룹(165)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2세척모(173)는 제3그룹(169)을 중심으로 제1세척모(171)와 대향하고,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치아 세척요소(15)에 구비된 제4그룹(175)은 제2세척모(173) 및 제1면(13a)의 끝단 영역에 형성된 제1그룹(165) 및 제1세척모(17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4그룹(175)은 제1면(13a)에서 손잡이(11) 부근 영역에 형성된 제1그룹(165) 및 제2세척모(173) 사이에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제1세척모(171) 및 제2세척모(173)의 각각은 제1면(13a)으로부터 외측으로 신장되고, 그 단면의 꼭지부(171a, 173a)로부터 양방향으로 신장된 말단부(173a, 173b)를 구비한다. 상기 꼭지부(171a, 173a)는 말단부(173a, 173b)보다 제3그룹(169)에 인접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상기 제1그룹(165)의 단면은 사각형이고, 상기 제2그룹(167) 및 제3그룹(169)의 단면은 원형이며, 상기 제1면(13a)으로부터 제1면(13a)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제1그룹(165), 제3그룹(169), 제2그룹(167) 및 제4그룹(175)의 순서대로 길다. 상기 제1세척모(171) 및 제2세척모(173)는 서로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그룹(175)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ross section of the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1: 손잡이 13: 헤드
15: 치아 세척요소 17: 혀 세척수단
19: 기단부 23: 세척 돌기11: handle 13: head
15: tooth cleaning element 17: tongue cleaning means
19: proximal end 23: washing protrusion
Claims (29)
상기 헤드의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크기, 모양 및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형성된 치아 세척요소; 및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상기 헤드의 제2면에 형성되어 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제2면에 장착된 기단부 및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세척 돌기를 구비하는 혀 세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세척 돌기는,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꼭지부;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 및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3방향으로 연장된 제3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
상기 제1면의 손잡이 인근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치아 세척요소에 도포된 치약이 상기 손잡이 인근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그룹;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2그룹 사이에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치아 사이를 세척하는 제3그룹;
상기 제3그룹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3그룹으로 한정된 치아의 표면을 세척하는 제4그룹; 및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3그룹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그룹과 연동하여 치아를 세척하는 제5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A hea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andle;
A tooth cleaning element formed outwardly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head and formed of a plurality of bristles having different sizes, shapes and lengths; And
Tongue cleaning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head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o remov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tongue, and having a proximal end mounted on the second surface and a plurality of washing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roximal end. Means, including
The washing protrusion,
A stem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roximal end;
A first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stem part;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stem part; And
A third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third direction from the stem part,
The tooth cleaning element
A first group protruding outward from an end region of the first surface to wash the gum boundary of the inner end of the tooth;
A second group formed in a region near the handle of the first surface to prevent the toothpaste applied to the tooth cleaning element from leaking to the vicinity of the handle;
A third group formed between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to wash between teeth adjacent to each other;
A fourth group formed between the third groups to wash the surface of the tooth defined by the third group; And
And a fifth group formed between the first group and the third group to wash teeth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group.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신장된 상기 제3그룹의 길이는 상기 제1그룹보다 길고, 상기 제1그룹의 길이는 상기 제5그룹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상기 제2그룹보다 길며, 상기 제2그룹의 길이는 상기 제4그룹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The method of claim 1,
The length of the third group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surface is longer than the first group, the length of the first group is longer than the second group having the same length as the fifth group, and the second The length of the group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ourth group oral care device.
상기 제3그룹을 구성하는 칫솔모들은 상기 치아 세척요소가 치아열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된 치아 사이에 맞춰지도록 상기 제1면에 대한 수직축을 기준으로 경사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The method of claim 1,
Oral care comprising the bristles constituting the third group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to be aligned between the teeth disposed at different intervals while the tooth cleaning element is moved along the tooth row Instrument.
상기 헤드의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크기, 모양 및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형성된 치아 세척요소; 및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상기 헤드의 제2면에 형성되어 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제2면에 장착된 기단부 및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세척 돌기를 구비하는 혀 세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세척 돌기는,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꼭지부;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 및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3방향으로 연장된 제3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치아 하부의 잇몸을 마사지하는 제2그룹;
상기 제2그룹의 내측 상기 손잡이 인근 영역에 형성되어 굴곡진 치아의 상부면을 세척하기 위한 제3그룹; 및
상기 제2그룹의 내측에서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3그룹 사이에 위치하는 제4그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A hea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andle;
A tooth cleaning element formed outwardly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head and formed of a plurality of bristles having different sizes, shapes and lengths; And
Tongue cleaning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head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o remov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tongue, and having a proximal end mounted on the second surface and a plurality of washing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roximal end. Means, including
The washing protrusion,
A stem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roximal end;
A first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stem part;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stem part; And
A third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third direction from the stem part,
The tooth cleaning element
A first group protruding outward from an end region of the first surface to wash the gum boundary of the inner end of the tooth;
A second group formed along an edge of the first surface to massage the gum of the lower part of the tooth;
A third group formed in an area near the handle inside the second group to wash the upper surface of the curved tooth; And
And a fourth group located between the first group and the third group inside the second group.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4그룹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3그룹의 단면은 모서리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사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group and the fourth group is a circular shape,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group and the third group is oral car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a rectangle formed so that the corner has a curvature.
상기 제1그룹은 최 내측 치아의 벽면 및 잇몸을 세척하도록 그 끝단이 경사져 있고, 상기 제2그룹은 네 개의 칫솔모들이 알파벳 엑스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신장된 상기 제1그룹의 길이는 상기 제2그룹 내지 상기 제4그룹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group is inclined at an end thereof to wash the wall and the gums of the innermost tooth, and the second group includes four bristles arranged in an alphabet X shape, and the first group extends outward from the first surface. Oral car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group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group to the fourth group.
상기 헤드의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크기, 모양 및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형성된 치아 세척요소; 및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상기 헤드의 제2면에 형성되어 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제2면에 장착된 기단부 및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세척 돌기를 구비하는 혀 세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세척 돌기는,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꼭지부;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 및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3방향으로 연장된 제3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어금니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그룹;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치아 하부의 잇몸을 마사지하는 제2그룹;
상기 제2그룹의 내측 상기 손잡이 인근 영역에 형성된 제3그룹; 및
상기 제2그룹의 내측에서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3그룹 사이에 형성되어 굴곡진 치아의 상부면을 세척하기 위한 제4그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A hea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andle;
A tooth cleaning element formed outwardly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head and formed of a plurality of bristles having different sizes, shapes and lengths; And
Tongue cleaning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head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o remov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tongue, and having a proximal end mounted on the second surface and a plurality of washing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roximal end. Means, including
The washing protrusion,
A stem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roximal end;
A first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stem part;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stem part; And
A third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third direction from the stem part,
The tooth cleaning element
A first group protruding outward from an end region of the first surfac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molar surface;
A second group formed along an edge of the first surface to massage the gum of the lower part of the tooth;
A third group formed in an area near the handle inside the second group; And
And a fourth group formed between the first group and the third group inside the second group to wash the upper surface of the curved tooth.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3그룹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4그룹의 단면은 모서리가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사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cross section of the first group and the third group is circular, and a cross section of the second group and the fourth group has a quadrangular shape formed such that a corner has a curvature.
상기 제4그룹은 네 개의 칫솔모들이 알파벳 엑스 형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The method of claim 10,
The fourth group is oral car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ur bristles are arranged in the shape of an alphabet X.
상기 헤드의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크기, 모양 및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형성된 치아 세척요소; 및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상기 헤드의 제2면에 형성되어 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제2면에 장착된 기단부 및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세척 돌기를 구비하는 혀 세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세척 돌기는,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꼭지부;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 및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3방향으로 연장된 제3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치아 세척요소가 서로 다른 크기와 모양의 치아 사이를 이동하는 동안 상기 칫솔모들이 치아 및 잇몸의 굴곡 깊숙이 침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제1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에 대해 제1각도로 경사진 제1그룹; 및
상기 제1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에 대해 제2각도로 경사진 제2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그룹은 그 단면이 제1모양 및 제2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가 제1길이 및 제2길이로 형성된 복수 개의 칫솔모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그룹은 상기 제2길이를 갖는 칫솔모들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모양과 동일한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A hea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andle;
A tooth cleaning element formed outwardly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head and formed of a plurality of bristles having different sizes, shapes and lengths; And
Tongue cleaning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head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o remov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tongue, and having a proximal end mounted on the second surface and a plurality of washing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roximal end. Means, including
The washing protrusion,
A stem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roximal end;
A first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stem part;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stem part; And
A third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third direction from the stem part,
The tooth cleaning element
A first group inclined at a first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irst surface such that the bristles penetrate deep into the bends of the teeth and gums while the tooth cleaning element moves between teeth of different sizes and shapes ; And
A second group inclined at a secon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irst surface,
The first group has a plurality of bristles having cross sections having a first shape and a second shape, the lengths of which are formed in a first length and a second length,
And the second group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bristles having the second length, and has the same shape as the second shape.
상기 제1모양은 사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제2모양은 원형의 형상이며, 상기 제1길이는 상기 제2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first shape is a rectangular shape, the second shape is a circular shape, and the first length is longer than the second length.
상기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상기 제1그룹의 칫솔모들은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의 단면을 갖는 상기 제1그룹의 칫솔모들은 상기 헤드의 끝단에 인접한 제1측면 및 상기 제1측면에 대향하는 제2측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 및 상기 제2측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상기 제1그룹의 칫솔모들은 상기 제1길이 및 상기 제2길이의 칫솔모들이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제2그룹의 칫솔모들은 상기 제1면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그룹의 칫솔모들에 의해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구강 관리기구.The method of claim 13,
The first group of bristles having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is formed in an end region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first group of bristles having the circular cross section has a first side and the first side adjacent to the end of the head.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side facing the side,
The first group of bristles formed along edges of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are alternately formed with bristles of the first length and the second length,
And the second group of bristles is formed inside the first surface and is wrapped by the first group of bristles.
상기 헤드의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크기, 모양 및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형성된 치아 세척요소; 및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상기 헤드의 제2면에 형성되어 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제2면에 장착된 기단부 및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세척 돌기를 구비하는 혀 세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세척 돌기는,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꼭지부;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 및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3방향으로 연장된 제3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헤드 끝단 영역의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잇몸을 마사지하기 위한 제2그룹;
상기 제1그룹으로부터 상기 손잡이 방향의 길이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어 치아 및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3그룹;
상기 제3그룹 및 상기 제2그룹 사이에 배치되어 치아의 굴곡을 따라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4그룹; 및
상기 제4그룹과 뒤섞이도록 배치되어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5그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A hea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andle;
A tooth cleaning element formed outwardly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head and formed of a plurality of bristles having different sizes, shapes and lengths; And
Tongue cleaning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head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o remov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tongue, and having a proximal end mounted on the second surface and a plurality of washing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roximal end. Means, including
The washing protrusion,
A stem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roximal end;
A first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stem part;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stem part; And
A third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third direction from the stem part,
The tooth cleaning element
A first group protruding outward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head end region to clean the gum boundary of the tooth inner end;
A second group formed along an edge of the first surface to massage the gums;
A third group formed along the central length axis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from the first group to remove foreign matter between teeth and gums;
A fourth group disposed between the third group and the second group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long the curvature of the tooth; And
And a fifth group disposed to be mixed with the fourth group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tooth surface.
상기 제1그룹,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4그룹의 단면은 서로 다른 사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제3그룹 및 상기 제5그룹의 단면은 원형이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1그룹, 상기 제3그룹, 상기 제4그룹, 상기 제5그룹 및 상기 제2그룹의 순서대로 길고, 상기 제2그룹의 끝단은 굴곡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ross sections of the first group, the second group and the fourth group have different rectangular shapes, and the cross sections of the third group and the fifth group have a circular shape.
The length extending outward from the first surface is long in the order of the first group, the third group, the fourth group, the fifth group and the second group, the end of the second group is curved An oral care applianc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상기 헤드의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크기, 모양 및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형성된 치아 세척요소; 및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상기 헤드의 제2면에 형성되어 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제2면에 장착된 기단부 및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세척 돌기를 구비하는 혀 세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세척 돌기는,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꼭지부;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 및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3방향으로 연장된 제3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헤드 끝단 영역의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
상기 헤드 끝단에 인접한 제1측면 및 상기 제1측면에 대향하는 제2측면과 인접한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잇몸을 마사지하기 위한 제2그룹;
상기 제1그룹으로부터 상기 손잡이 방향의 길이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어 치아 및 잇몸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3그룹;
상기 제3그룹 및 상기 제2그룹 사이에 배치되어 치아의 굴곡을 따라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4그룹; 및
상기 제4그룹과 뒤섞이도록 배치되어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5그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A hea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andle;
A tooth cleaning element formed outwardly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head and formed of a plurality of bristles having different sizes, shapes and lengths; And
Tongue cleaning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head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o remov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tongue, and having a proximal end mounted on the second surface and a plurality of washing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roximal end. Means, including
The washing protrusion,
A stem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roximal end;
A first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stem part;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stem part; And
A third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third direction from the stem part,
The tooth cleaning element
A first group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head end region to clean the gum boundary of the tooth inner end;
A second group integrally formed along an edge of the first side adjacent to the head end and the second side facing the first side and adjacent to the first side to massage the gums;
A third group formed along the central length axis in the direction of the handle from the first group to remove foreign matter between teeth and gums;
A fourth group disposed between the third group and the second group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long the curvature of the tooth; And
And a fifth group disposed to be mixed with the fourth group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tooth surface.
상기 제2그룹은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에 장착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된 복수 개의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의 끝단은 굴곡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second group
A body part mounted at an edge of the first surface; And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and has a plurality of extensions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Oral car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extension is curved.
상기 제1그룹,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4그룹의 단면은 서로 다른 사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제3그룹 및 상기 제5그룹의 단면은 원형이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1그룹, 상기 제3그룹, 상기 제4그룹, 상기 제5그룹 및 상기 제2그룹의 순서대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cross sections of the first group, the second group and the fourth group have different rectangular shapes, and the cross sections of the third group and the fifth group have a circular shape.
The length extending outward from the first surface is long in the order of the first group, the third group, the fourth group, the fifth group and the second group.
상기 헤드의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크기, 모양 및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형성된 치아 세척요소; 및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상기 헤드의 제2면에 형성되어 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제2면에 장착된 기단부 및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세척 돌기를 구비하는 혀 세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세척 돌기는,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꼭지부;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 및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3방향으로 연장된 제3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제1면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세척모;
상기 제1세척모 및 상기 손잡이 인근 영역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치아와는 다른 제2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세척모;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에 형성되어 치아 내측 끝단의 잇몸 경계부분을 세척하는 제1그룹;
상기 제1세척모 및 상기 제2세척모 각각의 주변에 형성된 제2그룹; 및
상기 제2세척모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3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A hea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andle;
A tooth cleaning element formed outwardly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head and formed of a plurality of bristles having different sizes, shapes and lengths; And
Tongue cleaning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head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o remov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tongue, and having a proximal end mounted on the second surface and a plurality of washing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roximal end. Means, including
The washing protrusion,
A stem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roximal end;
A first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stem part;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stem part; And
A third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third direction from the stem part,
The tooth cleaning element
A first washing hair formed inside the first surface and extending outward from the first surfac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first tooth;
A second cleansing hair formed between the first cleansing hair and a region near the handle and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surfac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a surface of a second tooth different from the first teeth;
A first group formed in an end region of the first surface to wash the gum boundary of the inner end of the tooth;
A second group formed around each of the first washing hair and the second washing hair; And
And a third group formed to surround the second washing hair.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2그룹의 칫솔모들은 원형의 패턴을 형성하여 칫솔질 방향에 무관하게 치아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제2세척모 및 상기 제3그룹을 둘러싼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21. The method of claim 20,
And the bristles of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surround the second scrub and the third group to form a circular pattern to remove foreign matters of the teeth irrespective of the brushing direction.
상기 제1세척모 및 상기 제2세척모 각각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제1세척모 단면의 직경은 상기 제2세척모 단면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21. The method of claim 20,
And a cross section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ash caps is circular, and a diame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wash cap is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wash cap.
상기 제1그룹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3그룹의 단면은 서로 다른 사각형이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1그룹,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3그룹의 순서대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group is circular, and the cross sections of the second group and the third group are different quadrangles,
And a length extending outward from the first surface is long in the order of the first group, the second group and the third group.
상기 제1그룹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칫솔모들의 그룹들로 형성하고,
상기 제1세척모 및 상기 제2세척모의 길이는 상기 제3그룹의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first group is formed of groups of bristles having different lengths,
Oral length of the first washing hair and the second washing hair is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third group.
상기 헤드의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크기, 모양 및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칫솔모들로 형성된 치아 세척요소; 및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상기 헤드의 제2면에 형성되어 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제2면에 장착된 기단부 및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세척 돌기를 구비하는 혀 세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세척 돌기는,
상기 기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꼭지부;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2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 및
상기 꼭지부로부터 제3방향으로 연장된 제3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치아 세척요소는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 및 상기 손잡이 부근 영역에 형성된 제1그룹;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에 인접한 상기 헤드의 제1측면 및 상기 제1측면에 대향하는 제2측면의 상기 제1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잇몸을 마사지하는 제2그룹;
상기 제1면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제3그룹;
상기 제3그룹에 인접하여 상기 제3그룹 및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그룹 사이에 형성되고,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1세척모;
상기 제3그룹에 인접하여 상기 제3그룹 및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손잡이 부근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그룹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3그룹을 중심으로 상기 제1세척모와 대향하며, 치아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2세척모; 및
상기 제1면의 끝단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1세척모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손잡이 부근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1그룹 및 상기 제2세척모 사이에 형성된 제4그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A hea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andle;
A tooth cleaning element formed outwardly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head and formed of a plurality of bristles having different sizes, shapes and lengths; And
Tongue cleaning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head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o remov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tongue, and having a proximal end mounted on the second surface and a plurality of washing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roximal end. Means, including
The washing protrusion,
A stem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roximal end;
A first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stem part;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stem part; And
A third extension part extending in a third direction from the stem part,
The tooth cleaning element
A first group formed at an end region of the first surface and a region near the handle;
A second group formed along the first side edge of the head adjacent to the end region of the first side and the first side edge of the seco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to massage the gums;
A third group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first surface;
A first cleansing hair formed between the third group and the first group formed in an end region of the first surface adjacent to the third group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on a tooth surface;
Formed between the third group and the first group formed in the region near the handle at the first surface adjacent to the third group, and facing the first cleansing hair about the third group, A second wash cap to remove debris; And
A fourth formed between the first group and the first cleansing hair formed in an end region of the first surface, and a fourth formed between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cleansing hair formed in the region near the handle on the first surface Oral care apparatus comprising a group.
상기 제1세척모 및 상기 제2세척모의 각각은 상기 제1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신장되고, 그 단면의 꼭지부로부터 양방향으로 신장된 말단부를 구비하되,
상기 꼭지부는 상기 말단부보다 상기 제3그룹에 인접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26. The method of claim 25,
Each of the first washing hair and the second washing hair has an end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surface and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from a corner portion of the cross section,
And the stem is formed closer to the third group than the distal end.
상기 제1그룹의 단면은 사각형이고,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3그룹의 단면은 원형이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1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1그룹, 상기 제3그룹, 상기 제2그룹 및 상기 제4그룹의 순서대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26. The method of claim 25,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group is rectangular, and the cross sections of the second group and the third group are circular,
And a length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rface from the first surface in the order of the first group, the third group, the second group and the fourth group.
상기 제1세척모 및 상기 제2세척모는 서로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그룹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28. The method of claim 27,
The first washing hair and the second washing hair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with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shorter length than the fourth group.
상기 제1방향 내지 상기 제3방향은 꼭지부를 중심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or 9 or 12 or 15 or 15 or 17 or 20 or 25,
The first direction to the third direction is oral car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at the same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10676U KR200468339Y1 (en) | 2011-11-30 | 2011-11-30 | Oral care implement having tongue ceeaning mea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10676U KR200468339Y1 (en) | 2011-11-30 | 2011-11-30 | Oral care implement having tongue ceeaning mean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3424U KR20130003424U (en) | 2013-06-10 |
KR200468339Y1 true KR200468339Y1 (en) | 2013-08-07 |
Family
ID=51396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10676U Expired - Fee Related KR200468339Y1 (en) | 2011-11-30 | 2011-11-30 | Oral care implement having tongue ceeaning mean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8339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1486B1 (en) * | 2015-11-02 | 2017-05-31 | 주식회사 케이앤케이 | Toothbrush hea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86253A (en) * | 2004-11-17 | 2007-08-27 |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 Oral health appliance |
KR20070091667A (en) * | 2004-12-23 | 2007-09-11 |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 Oral care appliance |
KR20090096725A (en) * | 2006-12-18 | 2009-09-14 |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 Oral care appliance |
KR20110050700A (en) * | 2008-08-29 | 2011-05-16 |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 Oral care appliance |
-
2011
- 2011-11-30 KR KR2020110010676U patent/KR200468339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86253A (en) * | 2004-11-17 | 2007-08-27 |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 Oral health appliance |
KR20070091667A (en) * | 2004-12-23 | 2007-09-11 |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 Oral care appliance |
KR20090096725A (en) * | 2006-12-18 | 2009-09-14 |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 Oral care appliance |
KR20110050700A (en) * | 2008-08-29 | 2011-05-16 |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 Oral care applian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3424U (en) | 2013-06-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72440B2 (en) | Toothbrush having tufted bristles and tongue brush bristles emanating from the same surface | |
RU2539322C2 (en) | Device for oral care | |
KR101375411B1 (en) | Oral care implement having tissue cleaning elements with directional cleaning | |
RU2553048C2 (en) | Device for oral care | |
RU2534065C1 (en) | Device for oral care | |
RU2546412C2 (en) | Device for oral care | |
JP2011036658A (en) | Bristle configuration | |
KR20170072268A (en) |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 |
CN204181157U (en) | Integrated seamless brush | |
KR200468339Y1 (en) | Oral care implement having tongue ceeaning means | |
KR101860855B1 (en) | Toothbrush with 3-directional brush | |
KR101481532B1 (en) | U-shaped toothbrush | |
KR101780003B1 (en) | Toothbrush with bended brush | |
KR200468338Y1 (en) | Oral care implement having tongue ceeaning means | |
KR200464920Y1 (en) | Oral care implement having tongue ceeaning means | |
KR20230000369U (en) | Toothbrush where toothbrush hairs with different length are alternately disposed | |
KR200469882Y1 (en) | Tooth brush | |
KR20180000140A (en) | Toothbrush having a tartar removal function | |
KR200467405Y1 (en) | Tooth brush | |
KR100592088B1 (en) | Toothbrush head | |
KR101164069B1 (en) | A toothbrush | |
JP2009055983A (en) | Tooth cleaning tool | |
KR200467404Y1 (en) | Tooth brush | |
KR200210811Y1 (en) | Second molar clean toothbrush | |
KR101769405B1 (en) | Toothbrush head and toothbrush hav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UG150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108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802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