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68168Y1 - Card reader - Google Patents

Card rea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168Y1
KR200468168Y1 KR2020120006846U KR20120006846U KR200468168Y1 KR 200468168 Y1 KR200468168 Y1 KR 200468168Y1 KR 2020120006846 U KR2020120006846 U KR 2020120006846U KR 20120006846 U KR20120006846 U KR 20120006846U KR 200468168 Y1 KR200468168 Y1 KR 2004681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ard reader
main body
locker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84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상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68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16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1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16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드 리더기에 있어서, 카드 리더기 본체부와, 외부 전자 기기와 상기 본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촉 단자부와, 카드 정보를 리딩하는 리더부를 구비한 회로기판과, 상기 본체부로 상기 카드를 삽입함에 따라서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입/인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들이 상기 본체부에서 인입/인출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 및 상기 본체부내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로 상기 카드를 삽입 및 이탈시킴에 따라서 상기 날개부들을 걸려 고정시키거나 걸림을 해제시켜 인입/인출가능하게 하는 락킹부를 개시하고, 이로인해, 제품에 삽입된 카드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제품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d reader, a circuit board having a card reader main body, a contact terminal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the main body, a reader for reading card information, and inserting the card into the main body. Therefore, at least one wing portion drawn in / out from the main body portion, at least one elastic member providing elastic force so that the wing portions can be drawn in / out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portion, According to the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card, the locking part which catches and locks or releases the wing parts to be pulled out and pulled out is disclosed, thereby not only stably fixing the card inserted in the product but also using the produc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카드 리더기{ CARD READER}Card reader {CARD READER}

본 고안은 카드 리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드의 삽입 및 이탈에 따라서 반자동으로 카드 고정 날개부들을 카드 리더기 본체부로부터 인입/인출시킬 수 있도록 한 카드 리더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d rea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d reader that allows the card fixing wings to be drawn in / out from the card reader body part automatically in accordance with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card.

통상적으로, 카드 리더기는 온/오프 전용라인을 통하여 중계 서버 또는 VAN사 서버와 연결되어 신용카드 결제 업무가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전용 결제 단말기가 아니라 통상적인 휴대용 통신 단말기와 연계하여 신용카드 결제 서비스를 수행하는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In general, a card reader is connected to a relay server or a VAN company server through an on / off dedicated line to perform a credit card payment service. However, in recent year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performing a credit card payment service in connection with a general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nstead of a dedicated payment terminal.

이러한 카드는 마그네틱 카드와 스마트 카드가 있다. 이 중에서 스마트 카드를 살펴보면, 상기 스마트 카드는 하나의 칩에 모든 정보를 저장한 집적회로 칩을 내장하여 기존의 마그네틱 카드보다 저장 용량이 크고, 보안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These cards are magnetic cards and smart cards. In the smart card, the smart card has a wider storage capacity and better security than a conventional magnetic card by embedding an integrated circuit chip that stores all information in one chip.

이러한 이유로 스마트 카드는 일반은행업무, 신용카드, 교통카드, 신분증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나아가 전자 화폐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어 혼잡통행료, 주차장, 고속도로 톨케이트의 통행료 등의 이용료 지불뿐만 아니라 인터넷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거나 유료 콘텐츠를 구매하는데도 사용되고 있다.For this reason, smart cards are widely used in general banking, credit cards, transportation cards, identity cards, etc., and can also function as electronic money, and pay not only toll fees such as congestion tolls, parking lots, and highway tollgates, but also at Internet shopping malls. It is also used to purchase goods or purchase paid content.

이와 같은 다양한 사용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를 인터넷 상에서 안정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카드 리더기가 필요하게 되며, 도로공사의 하이패스나 고속철도 KTX카드로 인터넷으로 충전을 쉽게 하기 위해 스마트 카드로 보급을 하며 이를 인터넷상에서 충전 또는 발권을 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카드 리더기가 필요하게 된다.In order to use these various smart cards on the Internet in a stable manner, a smart card reader is required, and they are distributed as smart cards for easy recharging from the Internet with the KTO card of the Korea Expressway or High Speed Rail. You need a smart card reader to charge or ticket.

즉, 상기 스마트 카드 리더기는 USB(Universal Serual Bus)커넥터에 의해 스마트 카드로부터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장치이다.That is, the smart card reader is a device capable of transferring data from the smart card to an external device by means of a universal serial bus (USB) connector.

상기와 같이, 휴대용 통신 단말기와 연계하여 결제 서비스를 수행하는 카드 리더기는 이미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143856호(등록일 2012.04.24)에 개시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a card reader for performing a payment service in connection with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lready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43856 (registration date 2012.04.24).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스마트 카드 리더기는 카드 리더기에 형성된 카드 삽입구내에 카드를 삽입 후 고정력이 약하여 쉽게 분리될 뿐만 아니라, 스마트 카드에 형성됨 집적회로 칩과 카드 리더기의 리더부와의 접촉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smart card reader used in connection with a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only easily detached due to a weak fixing force after inserting the card into the card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ard reader, but also formed in the smart card reader part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 and the card reader. There was a problem that a poor contact with.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스마트 카드 리더기 본체에 접거나 펼칠 수 있는 날개를 구성하여 사용시 날개를 스마트 카드 리더기 본체로부터 펼쳐서 사용하고, 미사용시에는 스마트 카드 리더기 본체로 접어 넣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일일이 직접 날개를 잡고, 접거나 펼쳐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se drawbacks, recently, a wing that can be folded or unfolded on the smart card reader main body is used to unfold the wing from the smart card reader main body when used, and to fold it into the smart card reader main body when not in use. However, in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re was an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hold the wings directly, folded or unfolded.

따라서, 날개의 인입/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카드를 스마트 카드 리더기 본체에 삽입시 자동으로 날개를 인출시키는 장치가 필요할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that automatically pulls out the wing when inserting the card into the smart card reader body to facilitate the drawing / withdrawal of the wing.

본 고안은 카드를 삽입 및 이탈시킴에 따라서 카드를 고정시키는 날개부를 반자동으로 카드 리더기 본체부로부터 인입/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제품에 삽입된 카드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카드 리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able to draw in / out from the card reader body part semi-automatically by the wing portion for fixing the card according to the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card, it is possible to not only secure the card inserted in the product but also improve To provide a card reader.

또한, 본 고안은 카드 리더기 본체부에 카드를 삽입 및 이탈시 접촉에 따라서 걸려 고정시키거나 걸림을 해제시켜 날개부를 반자동으로 인입/인출가능하게 하는 락킹부를 구성함으로서, 날개부의 인입/인출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카드 리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and detaching the card in the card reader main body part by locking or releasing the lock by forming a locking part to enable the semi-automatic insertion / withdrawal of the wing, to facilitate the insertion / withdrawal of the wing To provide a card reader.

상기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카드 리더기에 있어서,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rd reader,

카드 리더기 본체부;A card reader main body;

외부 전자 기기와 상기 본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촉 단자부;A contact terminal un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o the main body unit;

카드 정보를 리딩하는 리더부를 구비한 회로기판;A circuit board having a reader section for reading card information;

상기 본체부로 상기 카드를 삽입함에 따라서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입/인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At least one wing portion to be inserted / drawn from the body portion as the card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상기 날개부들이 상기 본체부에서 인입/인출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 및At least one elastic member providing elastic force such that the wing portions are retractable from the body portion; And

상기 본체부내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로 카드를 삽입 및 이탈시킴에 따라서 상기 날개부들을 걸려 고정시키거나 걸림을 해제시켜 인입/인출가능하게 하는 락킹부를 포함한다.
I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portion, and includes a locking portion to enable the insertion / withdrawal by engaging or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wing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card into the main body portion.

본 고안은, 카드 리더기에 있어서,This invention is a card reader,

카드 리더기 본체부;A card reader main body;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입/인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At least one wing portion drawn in / out from the body portion;

상기 날개부들이 상기 본체부에서 인입/인출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 및At least one elastic member providing elastic force such that the wing portions are retractable from the body portion; And

상기 본체부내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로 상기 카드를 삽입 및 이탈시킴에 따라서 상기 날개부들을 걸려 고정시키거나 걸림을 해제시키는 락킹부를 포함한다.
I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portion, and includes a locking portion for holding and fixing or releasing the wing portions in accordance with the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card into the main body por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카드 리더기에 의하면,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ard re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카드 리더기 본체부에 카드를 삽입함에 따라서 카드를 고정시키는 날개부를 반자동으로 인입/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품에 삽입된 카드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제품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inserting the card into the card reader body part, it is configured to semi-automatically pull in / out the wing which fixes the card, thereby stably fixing the card inserted in the product and improving the use of the product.

더불어, 카드 리더기 본체부에 카드를 삽입시 접촉에 따라서 걸려 고정시키거나 걸림을 해제시켜 날개부를 반자동으로 인입/인출가능하게 하는 락킹부를 구성하여 카드를 고정시키는 날개부의 인입/인출을 간편하게 할 수 있뿐만 아니라, 제품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by inserting the card to the card reader main body, the locking part can be caught or fixed according to the contact or released to make the wing part semi-automatically retractable / retractabl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facilitate the use of the product.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리더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rd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card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before operation of the card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ottom view showing a state before operation of the card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before operation of the card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ard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nlarged side view of a portion A of FIG. 6;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ard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ard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card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is omitted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리더기(1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1 and 2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rd read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카드 리더기(1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카드리더기(10)는 카드 리더기 본체부(20)와, 접촉 단자부(30)와, 리더부(미도시 됨)를 구비한 회로기판(4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5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60) 및 락킹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20)는 상기 접촉 단자부(30)와, 회로기판(40)과, 날개부(50)들과, 탄성 부재(60)들 및 락킹부(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촉 단자부(30)는 외부 전자 기기(90; 도 10에 도시됨)와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20)에 구비된다. 상기 날개부(50)들은 상기 카드(80)를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20)에 삽입함에 따라서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20)로부터 인입/인출되도록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20)에 구비된다. 상기 탄성 부재(60)들은 상기 날개부(50)들이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20)에서 인입/인출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락킹부(70)는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20)에 상기 카드(80)를 삽입 및 이탈시킴에 따라서 상기 날개부(50)들을 걸려 고정시키거나 걸림을 해제시켜 인입/인출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20)에 구비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card reader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card reader 10 may include a card reader main body 20, a contact terminal 30, a circuit board 40 including a reader (not shown), at least one wing 50, At least one elastic member 60 and the locking portion 70 is included.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may include the contact terminal part 30, the circuit board 40, the wing parts 50, the elastic members 60, and the locking part 70. The contact terminal unit 30 is provided in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to electrically connect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90 (shown in FIG. 10) to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The wing portions 50 are provided in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so that the card 80 is inserted into / drawn from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as the card 80 is inserted into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The elastic members 60 provide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wing portions 50 can be pulled out / retracted from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The locking unit 70 is fixed to the blade unit 50 in accordance with the insertion and detachment of the card 80 in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or release the lock to enable the retractable / withdrawable It is provided in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즉, 상기 락킹부(70)는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20)에 상기 카드(80)를 삽입시 상기 카드(80)와 접촉되어 회전하고, 상기 날개부(50)들의 걸림을 해제시킴과 동시에 상기 탄성 부재(60)들에 의해 상기 본체부(20)에서 상기 날개부(50)들을 자동으로 인출시킴으로써, 상기 날개부(50)의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at is, the locking part 70 rotates in contact with the card 80 when the card 80 is inserted into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and releases the locking of the wing parts 50. By automatically withdrawing the wing portions 50 from the body portion 20 by the elastic members 60, the withdrawal of the wing portion 50 can be facilitated.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외부 전자 기기(90; 도 10에 도시됨)의 예시로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휴대용 통신 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게임기, 노트북, 광고판, 티브이(TV),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90 (shown in FIG.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l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perating based on communication protocols correspon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ystems. All information, inclu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MP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MP3 players, navigation, game consoles, notebooks, billboards, TVs, digital broadcasting player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smart phones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multimedia device and applications for the same.

또한, 도 2와 같이, 상기 카드(80)는 IC(Integrated Circuit) 카드와 같이 집적회로 칩(미도시 됨)이 내장된 스마트 카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card 80 is preferably made of a smart card with an integrated circuit chip (not shown), such as IC (Integrated Circuit) card.

또한, 앞서 언급한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20)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20)는 본체 하우징(21)과, 카드 삽입구(22)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인출홀(23)과, 단자 결합부(24) 및 커버부(25)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21)은 후술하는 상기 카드 삽입구(22)와, 인입/인출홀(23)과, 단자 결합부(24) 및 커버부(25)가 구비된다. 상기 카드 삽입구(22)는 상기 본체 하우징(21)의 측면에 일정한 깊이로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카드(80)를 삽입 및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21)에 형성된다. 상기 인입/인출홀(23)은 상기 날개부(50)를 인입/인출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21)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단자 결합부(24)는 상기 접촉 단자부(30)와 결합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21)에 구비된다. 상기 커버부(25)는 상기 본체 하우징(21)에 구비된 상기 회로기판(40), 상기 날개부(50)들, 상기 탄성 부재(60)들 및 락킹부(70)를 보호하도록 상기 본체 하우징(21)의 상부에 구비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 the configuration of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is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may include a main body housing 21, a card insertion hole 22, and the like. , At least one of the inlet / outlet holes 23, the terminal coupling part 24, and the cover part 25. The main body housing 21 is provided with the card insertion hole 22, the introduction / withdrawal hole 23,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24 and the cover portion 2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ard insertion hole 22 is formed in a groove on the side of the body housing 21 with a predetermined depth, and is formed in the body housing 21 to insert and detach the card 80. The inlet / outlet hole 23 is formed at the side of the body housing 21 to enable the inlet / outlet of the wing 50. The terminal coupling part 24 is provided in the body housing 21 to be coupled to the contact terminal part 30. The cover portion 25 protects the circuit board 40, the wing portions 50, the elastic members 60, and the locking portion 70 provided in the body housing 21. It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21.

여기서, 앞서 언급한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날개부(50)들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날개부(50)들은 안착홈(51), 걸림턱(52) 및 경사진 면(53)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홈(51)은 삽입된 상기 카드(8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50)들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52)은 상기 카드(8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50)들의 외곽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진 면(53)은 상기 카드(80)의 인입/인출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안착홈(51)의 일단에 형성된다.Here, referring to FIG. 1 mention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wing portions 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wing portions 50 have a seating groove 51, a locking jaw 52, and an inclined surface 53. ). The seating groove 51 is formed in the wing portions 50 to seat the inserted card 80, the locking jaw 52 is the wing portion to secure the card 80 It is form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50, the inclined surface 53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ounting groove 51 to guide the entry / withdrawal of the card (80).

또한, 상기 탄성 부재(60)의 일단(61)은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20)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 부재(60)의 타일단(62)은 상기 날개부(50)들에 결합되어 상기 락킹부(70)의 걸림을 해제시 탄성력에 의해 날개부(50)를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20)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one end 61 of the elastic member 60 is coupled to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the tile end 62 of the elastic member 60 is coupled to the wing portions 50 to the When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locking portion 70 by the elastic force to allow the wing 50 to be drawn out from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또한, 앞서 언급한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락킹부(70)들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락킹부(70)들은 락커홈(71)과, 락커부(72)와, 힌지부(73)와, 스프링 부재(74)와, 지지 브라켓부(75) 및 접촉부(76)를 포함한다. 상기 락커홈(71)은 후술하는 락커부(72)의 회전에 따라서 착탈되도록 상기 날개부(50)들에 형성된다. 상기 락커부(72)는 상기 힌지부(73)의 힌지축(A1)의 회전에 따라서 상, 하 이동하여 상기 락커홈(71)에서 착탈되도록 상기 락커홈(71)에 대응된다. 상기 힌지부(73)는 상기 힌지축(A1)을 제공하고, 상기 힌지축(A1)을 중심으로 상기 락커부(72)를 회전하여 상, 하 이동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락커부(72)의 일단에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 부재(74)는 상기 락커부(72)를 회전하여 상, 하 이동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락커부(72)에 구비된다. 상기 지지 브라켓부(75)는 상기 락커부(72)와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킴과 동시에 지지하도록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20)내에 구비된다. 상기 접촉부(76)는 상기 카드(80)를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20)에 삽입시 상기 카드(80)와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락커부(72)에 형성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 mention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unit 7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locking unit 70 includes a locker groove 71, a locker unit 72, and a hinge unit ( 73, a spring member 74, a supporting bracket portion 75 and a contact portion 76. The locker groove 71 is formed in the wing portions 50 to be attached and detach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ocker portion 72 to be described later. The locker portion 72 corresponds to the locker groove 71 to move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hinge shaft A1 of the hinge portion 73 to be detached from the locker groove 71. The hinge portion 73 provides the hinge axis A1, and one end of the locker part 72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by rotating the locker part 72 about the hinge axis A1. Is provided. The spring member 74 is provided in the locker part 72 to rotate the locker part 72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move up and down. The support bracket portion 75 is provided in the card reader body portion 20 so as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locker portion 72 and simultaneously supported. The contact portion 76 contacts the card 80 when the card 80 is inserted into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and at the same time rotates about the hinge axis A1 to the locker portion 72. Is formed.

즉, 상기 접촉부(76)는 상기 카드(80)와 접촉됨과 동시에 회전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7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카드(80)의 집적회로(IC) 칩(미도시 됨)과 상기 회로기판(40)의 리더부(41; 도 2에 도시됨)를 서로 접촉시킨다.That is, the contact portion 76 rotates at the same time as the contact with the card 80, and the integrated circuit (IC) chip (not shown) and the circuit of the card 8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member 74 The leader portion 41 (shown in FIG. 2) of the substrate 4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더불어, 앞서 언급한 도 1과 같이, 상기 락커부(72)에는 상기 날개부(50)의 인입/인출을 가이드 하도록 가이드 경사면(72a; 도 8에 도시됨)이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76)는 상기 카드(80)의 삽입을 가이드 함과 동시에 상기 카드(80)에 형성된 집적회로 칩(미도시 됨)과 상기 리더부(41; 도 2에 도시됨)가 접촉되도록 경사진 돌기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브라켓부(75)에는 상기 날개부(50)들에 형성된 돌기(54)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날개부(50)들의 인입/인출시 상기 돌기(54)를 가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이동부(75a; 도 9에 도시됨)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FIG. 1, the locker portion 72 is formed with a guide inclined surface 72a (shown in FIG. 8) to guide the inlet / outlet of the wing unit 50. The contact portion 76 guides the insertion of the card 80, and at the same time is in contact with the integrated circuit chip (not shown) formed on the card 80 and the reader portion 41 (shown in FIG. 2). It is preferable that it consists of a photographic projection. A guide moving part is coupled to the support bracket portion 75 so as to be coupled to the protrusions 54 formed on the wing portions 50 and simultaneously move the protrusions 54 when the wing portions 50 are pulled in and pulled out. Preferably, 75a (shown in FIG. 9) is formed.

도 6은 본 고안의 카드 리더기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카드 리더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카드 리더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카드 리더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카드 리더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ard rea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ard rea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ard rea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ard rea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ard read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상태에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카드 리더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과 같이,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20)에 형성된 카드 삽입구(22)에 상기 카드(80)를 밀어 삽입한다. 상기 카드(80)가 상기 카드 삽입구(22)에 일정 깊이 만큼 삽입시, 상기 카드(80)는 상기 락킹부(70)의 락커부(72)와 접촉된다.In this state, the operation of the card read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rst, as shown in FIG. 6, the card 80 is pushed into the card insertion hole 22 formed in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When the card 80 is inserted into the card insertion hole 22 by a predetermined depth, the card 80 is in contact with the locker unit 72 of the locking unit 70.

여기서, 앞서 언급한 도 7과 같이, 상기 락커부(72)에는 상기 카드(80) 삽입시 상기 카드(80)와 접촉됨과 아울러 힌지부(73)의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접촉부(7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접촉부(76)가 상기 카드(80)와 접촉됨과 동시에 힌지부(73)의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락커부(72)도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한다. 상기 락커부(72)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락커부(72)는 상기 날개부(50)들의 락커홈(71)에서 이탈된다. 상기 락커부(72)가 상기 락커홈(71)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날개부(50)들은 탄성 부재(60)들에 의해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20)의 양측면에서 자동으로 인출된다. Here, as shown in FIG. 7, the locker portion 72 is in contact with the card 80 when the card 80 is inserted and rotates about the hinge axis A1 of the hinge portion 73. Since the 76 is formed, the contact portion 76 contacts with the card 80 and rotates about the hinge axis A1 of the hinge portion 73. At this time, the locker portion 72 also rotates and mov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s the locker part 72 rotates, the locker part 72 is separated from the locker groove 71 of the wing parts 50. At the same time as the locker portion 72 is separated from the locker groove 71, the wing portions 50 are automatically drawn out from both sides of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by the elastic members 60.

즉, 도 8과 같이,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20)의 본체 하우징(21)의 측면에는 상기 날개부(50)들을 인입/인출가능하게 하는 인입/인출홀(23)들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날개부(50)들은 상기 인입/인출홀(23)들을 통해 상기 본체 하우징(21)의 외부로 돌출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8, the 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21 of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is formed in the draw / withdrawal holes 23 to enable the drawing / withdrawal of the wings 50, The wing portions 50 protrude out of the body housing 21 through the inlet / outlet holes 23.

이 상태에서, 앞서 언급한 도 6과 같이, 상기 카드(80)를 더 연장으로 밀어서 넣어 상기 카드 삽입구(22)로 삽입시키면, 상기 카드(80)의 일단은 상기 날개부(50)들에 형성된 경사진 면(53)을 따라서 가이드 됨과 동시에 상기 날개부(50)에 형성된 안착홈(51)에 안착되고, 상기 안착홈(51)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턱(52)에 의해 상기 카드(80)를 고정시킨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6 mentioned above, when the card 80 is further pushed in and inserted into the card insertion hole 22, one end of the card 80 is formed in the wing parts 50. The card 80 is guid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53 and seated in a seating groove 51 formed in the wing 50, and by a locking jaw 52 formed at one end of the seating groove 51. Fix it.

이때, 상기 락커부(72)의 접촉부(76)는 삽입된 상기 카드(80)와 접촉됨과 동시에 스프링 부재(74)에 의해 탄성으로 압력을 가하고, 상기 카드(80)의 집적회로 칩(미도시 됨)은 상기 리더부(41; 도 2에 도시됨)에 접촉된다.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76 of the locker portion 72 is in contact with the inserted card 80 and at the same time elastically pressurized by the spring member 74, the integrated circuit chip (not shown) of the card 80 Contact the leader portion 41 (shown in FIG. 2).

이 상태에서,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20)에 형성된 접촉 단자부(30)는 상기 외부 전자 기기(90; 도 10에 도시됨)에 형성된 연결 단자(미도시 됨)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리더부(41; 도 2에 도시됨)는 상기 카드(80)의 집적회로 칩(미도시 됨)에 저장된 정보를 리딩(reading)함과 아울러 리딩된 상기 정보를 상기 접촉 단자부(30)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기기(90; 도 10에 도시됨)에 전달한다.In this state, the contact terminal 30 formed in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not shown) formed in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90 (shown in FIG. 10), and the reader The unit 41 (shown in FIG. 2) read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ntegrated circuit chip (not shown) of the card 80, and reads the read information through the contact terminal unit 30. Transfers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90 (shown in FIG. 10).

그러나, 기존의 카드 리더기(미도시 됨)는 카드를 고정시키기 위해 카드 리더기내에 내장된 날개부(미도시 됨)들을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잡고 회전하여 인출시키는 구조이므로, 날개부들의 인출이 번거려운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ard reader (not shown) i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user to take out and rotate the wing parts (not shown) built in the card reader by hand to fix the card, it is difficult to withdraw the wings There are disadvantages.

따라서, 상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카드 리더기(10)는 카드 리더기 본체부(20)의 카드 삽입구(22)에 카드(80)를 삽입시 상기 락킹부(7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날개부(50)들의 걸림을 해제시킴과 동시에 탄성 부재(60)에 의해 자동으로 카드 리더기 본체부(20)에서 인출시킴으로써, 날개부(50)의 인출을 용이하게 할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제품이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disadvantages, the card read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blad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ocking unit 70 when the card 80 is inserted into the card insertion hole 22 of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By releasing the catches of the portions 50 and automatically drawing them out of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by the elastic member 60, not only the drawing of the wings 50 is facilitated, but also the product is used. Can improve.

여기서, 상기 날개부(50)들을 다시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20)내로 삽입할 경우 먼저, 도 2는 카드 리더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카드 리더기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카드 리더기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카드 리더기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다.Here, when inserting the wings 50 into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again, first,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card reader, Figure 3 is a state before the operation of the card read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view showing a state before operation of the card rea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before operation of the card reader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앞서 언급한 도 8과 같이, 상기 카드(80)를 상기 카드 삽입구(22)에서 빼면, 상기 카드(80)는 상기 락커부(72)의 접촉부(76)에서 이탈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락커부(72)는 힌지부(73)의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74)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 된다. 상기 카드(80)는 상기 날개부(50)들의 안착홈(51) 및 상기 걸림턱(52)에서 이탈된다.First, as shown in FIG. 8 mentioned above, when the card 80 is removed from the card insertion hole 22, the card 80 is separated from the contact portion 76 of the locker portion 72,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er The portion 72 rotates about the hinge axis A1 of the hinge portion 73 and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member 74. The card 80 is separated from the seating groove 51 and the catching jaw 52 of the wing parts 50.

이때, 도 2와 같이, 상기 카드(80)가 상기 카드 삽입구(22)에서 완전히 분리되면, 사용자는 상기 날개부(50)들을 잡고,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20)내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20)의 본체 하우징(21)의 측면에는 인입/인출홀(23)들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날개부(50)들은 상기 인입/인출홀(23)들로 인입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when the card 80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ard insertion hole 22, the user grasps the wings 50 and inserts the card 50 into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In this case, since the inlet / outlet holes 23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21 of the card reader body unit 20, the wing parts 50 are introduced into the inlet / outlet holes 23. .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날개부(50)들에 형성된 락커홈(71)도 함께 인입되고, 이때, 상기 락커홈(71)은 상기 락커부(72)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 락커부(72)에는 상기 날개부(50)의 인입/인출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경사면(72a; 도 8에 도시됨)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날개부(50)들이 인입되면, 상기 가이드 경사면(72a)을 따라서 가이드 이동하여 상기 락커부(72)가 상기 락커홈(71)에 삽입됨과 동시에 걸려 고정된다.3 and 4, the locker groove 71 formed in the wing portions 50 are also introduced together, wherein the locker groove 71 is fixed to the locker portion 72. The rocker portion 72 is formed with a guide inclined surface 72a (shown in FIG. 8) for guiding the inlet / outlet of the wing unit 50. When the wing units 50 are inserted, the guide inclined surface ( The locker part 72 is inserted into the locker groove 71 while being guided and moved along 72a.

즉, 도 5와 같이, 상기 날개부(50)의 락커홈(71; 도 8에 도시됨)이 상기 락커부(72; 도 8에 도시됨)에 걸려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날개부(50)들은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20)내로 삽입되어 고정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locker groove 71 (shown in FIG. 8) of the wing unit 50 is fixed to the locker unit 72 (shown in FIG. 8) and at the same time, the wing units 50 are fixed. The card reader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20 and fixed.

이와 같이, 카드 리더기 본체부(20)의 카드 삽입구(22)에 카드(80)를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날개부(50)들이 자동으로 인출되고, 다시 사용자가 상기 날개부(50)들을 잡고 밀어서 카드 리더기 본체부(20)내로 인입시킴으로서, 제품의 날개부(50)의 인입/인출이 용이하게 하고, 이로인해 제품의 사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As such, the blades 50 are automatically drawn out at the same time as the card 80 is inserted into the card insertion hole 22 of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and the user grasps and pushes the blades 50 again. By drawing in the card reader main body 20, the inlet / outlet of the wing 50 of the product can be facilitated, thereby simplifying the use of the product.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카드 리더기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The card read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

카드 리더기 본체부 : 20 접촉 단자부 : 30
회로기판 : 40 날개부 : 50
탄성 부재 : 60 락킹부 : 70
본체 하우징 : 21 카드 삽입구 : 22
인입/인출홀 : 23 커버부 : 24
안착홈 : 51 걸림턱 : 52
경사진 면 : 53 락커홈 : 71
락커부 : 72 힌지부 : 73
스프링 부재 : 74 지지 브라켓부 : 75
접촉부 : 75 힌지축 : A1
Card Reader Body: 20 Contact Terminals: 30
Circuit Board: 40 Wings: 50
Elastic member: 60 Locking part: 70
Body Housing: 21 Card Slot: 22
In / Out Hole: 23 Cover: 24
Seating Home: 51 Jams: 52
Sloping side: 53 Locker groove: 71
Locker part: 72 Hinge part: 73
Spring member: 74 Support bracket portion: 75
Contact: 75 Hinge Shaft: A1

Claims (9)

카드 리더기에 있어서,
카드 리더기 본체부;
외부 전자 기기와 상기 본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촉 단자부;
카드 정보를 리딩하는 리더부를 구비한 회로기판;
상기 본체부로 상기 카드를 삽입함에 따라서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입/인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
상기 날개부들이 상기 본체부에서 인입/인출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 및
상기 본체부내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로 상기 카드를 삽입 및 이탈시킴에 따라서 상기 날개부들을 걸려 고정시키거나 걸림을 해제시켜 인입/인출가능하게 하는 락킹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리더기.
In the card reader,
A card reader body portion;
A contact terminal un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o the main body unit;
A circuit board having a reader section for reading card information;
At least one wing portion to be inserted / drawn from the body portion as the card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At least one elastic member providing elastic force such that the wing portions are retractable from the body portion; And
And a locking port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portion, the locking portion which engages and fixes the wing portions according to the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card into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be able to be pulled out and pulled ou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카드를 삽입 및 이탈시키는 카드 삽입구;
상기 본체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들을 인입/인출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인출홀;
상기 본체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접촉 단자부와 결합되는 단자 결합부;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는 커버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리더기.
The card reader body of claim 1, wherein
A body housing;
A card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body housing to insert and leave the card;
At least one inlet / outlet hole formed at a side of the main body housing to enable the inlet / outlet of the wings;
A terminal coupling part provided in the main body housing and coupled to the contact terminal part; And
Card rea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ver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들은, 상기 카드를 안착시키는 안착홈;
상기 카드를 고정시키는 걸림턱; 및
상기 안착홈의 일단에 상기 카드의 인입/인출을 가이드 하는 경사진 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리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wing portion, The seating groove for seating the card;
A locking jaw for fixing the card; And
Card rea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the insertion / withdrawal of the card at one end of the seating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들의 일단은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타일단은 상기 날개부들에 결합되어 상기 락킹부의 걸림을 해제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날개부들을 상기 카드 리더기 본체부로부터 인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리더기.
The card reader body of claim 1, wherein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s is coupled to the card reader body portion, and a tile end is coupled to the wing portions to release the wing portions from the card reader body portion by an elastic force when releasing the locking portion. Card reader, characterized in that withdraw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날개부들에 형성된 락커홈;
상기 락커홈에 대응되고, 힌지축의 회전에 따라서 상, 하 이동하여 상기 락커홈에서 착탈되는 락커부;
상기 락커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힌지축을 제공하며, 상기 락커부를 회전하여 상, 하 이동가능하게 하는 힌지부;
상기 락커부를 회전하여 상, 하 이동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
상기 락커부의 회전을 가능하게 결합시킴과 아울러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부; 및
상기 락커부에 형성되어 상기 카드의 삽입시 상기 카드와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접촉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리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portion, Locker groove formed in the wing portion;
A locker part corresponding to the locker groove and moving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hinge shaft to be detached from the locker groove;
A hinge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locker part to provide the hinge axis and to rotate the locker part to move up and down;
A spring member which rotates the locker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move upward and downward;
A support bracket portion for coupling and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locker portion; And
And a contact portion which is formed in the locker portion and contacts with the card when the card is inserted and rotates about the hinge axi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부에는 상기 날개부들의 인입/인출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리더기.
6. The card read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locker part is formed with a guide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the inlet / outlet of the wing part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카드의 삽입을 가이드 함과 아울러 상기 카드에 형성된 집적회로 칩과 상기 리더부가 접촉되도록 압력을 가하는 경사진 돌기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리더기.
6. The card read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ntact portion comprises an inclined protrusion for guiding insertion of the card and for applying pressure to contact the integrated circuit chip formed on the card and the reader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부에는 상기 날개부들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날개부들의 인입/인출시 상기 돌기를 가이드 이동시키는 가이드 이동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리더기.
6. The card reader of claim 5, wherein the support bracket portion is coupled with a protrusion formed on the wing portions, and a guide moving portion is formed to guide the protrusion when the wing portions are pulled in or pulled out.
카드 리더기에 있어서,
카드 리더기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입/인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
상기 날개부들이 상기 본체부에서 인입/인출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 및
상기 본체부내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로 상기 카드를 삽입 및 이탈시킴에 따라서 상기 날개부들을 걸려 고정시키거나 걸림을 해제시키는 락킹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리더기.
In the card reader,
A card reader body portion;
At least one wing portion drawn in / out from the body portion;
At least one elastic member providing elastic force such that the wing portions are retractable from the body portion; And
And a locking port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locking the wings to lock or release the blades as the card is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main body.
KR2020120006846U 2012-07-30 2012-07-30 Card reader KR20046816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846U KR200468168Y1 (en) 2012-07-30 2012-07-30 Card rea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846U KR200468168Y1 (en) 2012-07-30 2012-07-30 Card rea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168Y1 true KR200468168Y1 (en) 2013-08-07

Family

ID=51396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846U KR200468168Y1 (en) 2012-07-30 2012-07-30 Card rea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168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317B1 (en) * 2013-11-29 2015-04-14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Card reader
KR101566944B1 (en) * 2013-11-29 2015-11-06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Card reader
WO2021118587A1 (en) * 2019-12-13 2021-06-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tractable card reade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836Y1 (en) 1996-05-29 1999-08-16 이형도 Elastic contact piece of contact for card reader
JP2007065986A (en) 2005-08-31 2007-03-15 Itt Mfg Enterp Inc Interlock mechanism for ic card reader/writer
KR20080038516A (en) * 2006-10-30 2008-05-07 탁승호 Contact and contactless smart card terminals and terminal circui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836Y1 (en) 1996-05-29 1999-08-16 이형도 Elastic contact piece of contact for card reader
JP2007065986A (en) 2005-08-31 2007-03-15 Itt Mfg Enterp Inc Interlock mechanism for ic card reader/writer
KR20080038516A (en) * 2006-10-30 2008-05-07 탁승호 Contact and contactless smart card terminals and terminal circuit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317B1 (en) * 2013-11-29 2015-04-14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Card reader
WO2015080384A1 (en) * 2013-11-29 2015-06-04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Card reader
KR101566944B1 (en) * 2013-11-29 2015-11-06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Card reader
CN106133757A (en) * 2013-11-29 2016-11-16 韩国情报通信株式会社 Card reader
US9760741B2 (en) 2013-11-29 2017-09-12 Korea Information & Communications Co., Ltd. Card reader
CN106133757B (en) * 2013-11-29 2019-05-28 韩国情报通信株式会社 Card reader
WO2021118587A1 (en) * 2019-12-13 2021-06-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tractable card read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317B1 (en) Card reader
US8225986B2 (en) Casing for electronic key and system comprising such a casing
KR100842484B1 (en) Contact and contactless smart card terminals and terminal circuits
BR102013000568A2 (en) PAYMENT INTERFACE EQUIPMENT
KR200468168Y1 (en) Card reader
TW200529511A (en) Memory card connector
KR100923454B1 (en) Smart card reader with foldable card guide
TW200537385A (en) Memory card connector
EP2780872A1 (en) Nfc device and connection system of nfc devices
JP2002537607A (en) RF token and its non-contact IC card reader
KR100249672B1 (en) Rf ic card and one-time use reading device therefor
KR200456921Y1 (en) Taxi meter with insert card reader
KR100808364B1 (en) Container for loading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JP2005234838A (en) Uim adapter
KR100573284B1 (en) Card mounting socke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WI250697B (en) Low profile memory card connector
KR200247103Y1 (en) Non-contact One-time Pass Card Reader
KR100625513B1 (en) Wallet Smart Card Reader
KR100734170B1 (en) Wallet Smart Card Reader
KR20090123741A (en) Card type USB device
KR100625495B1 (en) Wallet Smart Card Reader
KR101038326B1 (en) Toll payment card and vehicle terminal for it
KR20060000110U (en) USB hub device equipped with contact / non-contact smart chip and RF antenna that can be detached from many USB devices
KR200406187Y1 (en) Smart card system
KR200433171Y1 (en) USB hub device equipped with contact / contactless smart chip and RF antenna that can insert various standardized USB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07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72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3050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