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070Y1 - Lift-type multi frying machine - Google Patents
Lift-type multi fry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8070Y1 KR200468070Y1 KR2020120012333U KR20120012333U KR200468070Y1 KR 200468070 Y1 KR200468070 Y1 KR 200468070Y1 KR 2020120012333 U KR2020120012333 U KR 2020120012333U KR 20120012333 U KR20120012333 U KR 20120012333U KR 200468070 Y1 KR200468070 Y1 KR 20046807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il
- frying
- screw
- hole
- motor shaf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19—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lowering or raising the frying baske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본체 일측에 설치되며 기름이 저장되는 유조, 튀김물이 담기는 튀김망, 튀김망을 유조내로 승하강시켜 튀김물을 기름에 접촉시키는 승강장치, 기름과 접촉된 튀김물로부터 기름을 탈유시키는 탈유장치 및 승강장치 및 탈유장치의 동작을 설정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되, 입력부에서 설정된 설정값을 기반으로 승강장치 및 탈유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lift type multi frying apparatus. More specifically, it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one side of the main body, oil storage tank, frying net containing frying water, lifting device to raise and lower the frying net into the oil tank to contact the frying water with oil, from the frying water in contact with oil It relates to a lift-type multi-frying apparatus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setting the operation of the deoiler and the lifting device and the deoiler for deoiling the oil, based on the set value set in the input unit .
Description
본 고안은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모터가 회전하여 설정된 위치로 승하강시키는 리프트 및 모터를 이용한 회전운동을 통해 튀김물에 잔존하는 기름기를 분리하는 탈유장치를 구비하여 보다 간편하고 안전하게 튀김물을 조리할 수 있는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lift type multi frying apparatus.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cook the fried food more easily and safely with a deoiler that separates the oil remaining in the fried water through the lift and the rotary motion using the motor to automatically move the motor up and down to the set position. It relates to a lift type multi fry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튀김물을 조리하는 튀김장치는 기름을 가열하여 튀김물을 조리하기 위한 기기로써, 근래에 들어서면서 가정의 식단이 서구적으로 변화해 가는 추세에 따라 튀김장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In general, a frying apparatus for cooking fried foods is a device for cooking fried foods by heating oil.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frying apparatus is increasing as the diet of the home changes Westernly.
튀김장치로는 다양한 것이 있으나, 종래에는 가열된 기름이 저장되고 재료가 튀겨지는 기름 탱크와 기름 탱크에서 튀겨진 튀김을 건져내는 튀김망으로 구성되며, 튀김망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튀김을 건져내는 방법을 이용하였다.There are a variety of frying apparatus, but conventionally consists of an oil tank where the heated oil is stored and the ingredients are fried, and a frying net for picking up the fried fritters from the oil tank. Was used.
이처럼, 종래의 튀김장치는 조리가 완료된 다수의 조리식품을 조리자가 집게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동작으로 유조에서 꺼내야 하므로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frying apparatus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because a plurality of cooked foods to be cooked have to be taken out of the oil tank in a repetitive operation by using a forceps.
또한, 튀김 온도의 제어는 수월하였으나 튀김 시간이 완료되는 시점에 조리식품을 기름에서 자동으로 꺼내주는 기술이 미흡하여, 조리자가 튀김망을 튀김물의 조리가 완료되기 이전에 꺼내거나 조리 시간이 지난 후에 꺼내는 일이 빈번하였다.In addition, it is easy to control the frying temperature, but the technique of automatically removing the cooked food from the oil when the frying time is completed is insufficient, so that the cooker removes the frying net before the frying is finished or after the cooking time passes. Ejection was frequent.
또한, 종래에는 기름으로 튀긴후 튀김물을 튀김망 위에 올려놓고 기름이 자연적으로 빠지게 하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채나 거름망에 넣고 상하로 흔들어 기름을 분리하는 방법을 이용한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after frying with oil, the frying water is placed on a frying net and the oil naturally falls out, or is put into a sieve or strainer and shakes up and down to separate the oil.
그러나 전술한 방법은 튀김물을 반복적으로 좌우 또는 상하로 흔들어서 탈유시킴으로 인하여 튀김물의 파손이 쉽게 이루어지고 부스러기가 많이 발생됨은 물론 튀김용 기름이 튀김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지 않으며, 뜨거운 기름이 튀게 됨으로써 조리자가 화상을 입게 되는 위험도 높았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method, the frying water is easily shaken from side to side or up and down to deoil the frying water easily, debris is generated, and the frying oil is not completely removed from the frying water. There was also a high risk of getting burn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수의 조리식품을 담아 유조에서 튀겨내는 튀김장치가 제안되었으나, 이와 같은 튀김장치는 조리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꺼내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지 못하였고, 매우 불편하고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frying apparatus containing a large number of cooked foods and being fried in an oil tank has been proposed, but such frying apparatus has not solved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take it out manually by the cooker, and it is very inconvenient and economical. This occurred and had inefficient problems.
따라서,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할 해결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olution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설정된 입력에 따라 튀김망을 유조로부터 자동으로 승하강시킴으로써 조리자에게 뜨거운 기름으로 인한 화상을 입을 염려가 없도록 하며, 기름에 의해 튀겨진 튀김물에서 자동으로 기름을 탈유시키는 탈유장치를 구비하여 조리자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utomatically raising and lowering the frying net from the oil tank according to the set input so that there is no fear of burns due to hot oil to the cooker And, to provide a lift-type multi-frying apparatus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the cooker having a deoiling device to automatically deoil the oil from the fried water fried by oil.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will be possible.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 본체 일측에 설치되며 기름이 저장되는 유조, 튀김물이 담기는 튀김망, 튀김망을 유조내로 승하강시켜 튀김물을 기름에 접촉시키는 승강장치, 기름과 접촉된 튀김물로부터 기름을 탈유시키는 탈유장치 및 승강장치 및 탈유장치의 동작을 설정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되, 입력부에서 설정된 설정값을 기반으로 승강장치 및 탈유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로써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one side of the main body, oil storage tank, frying net containing frying water, lifting device to raise and lower the frying net into the oil tank to contact the frying water with oil, frying water in contact with oil It includes an input unit for setting the operation of the deoiler and the lifting device and the deoiler to deoil the oil from the, achieved by a lift type multi-fry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device and the deoiler is operated based on the set value set in the input unit Can be.
또한, 승강장치는 정역회전하는 제 1 모터, 외주면에 스크류가 형성되고 제 1 모터의 구동에 따라 함께 정역회전하는 스크류, 스크류에 대응하는 스크류공을 포함하고 스크류공을 통해 스크류에 결합되는 제 1 스토퍼, 제 1 스토퍼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제 1 스토퍼와 일체로 이동하는 승강플레이트 및 승강플레이트에 연결 고정되고, 튀김망을 거치할 수 있도록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된 걸림수단을 포함하고, 본체의 일측에는 걸림수단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걸림수단은 스크류의 정역회전에 따라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vating device includes a first motor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 screw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screw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together with the driving of the first motor, a screw hole corresponding to the screw, and a first stopper coupled to the screw through the screw hole. It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topper and fixed to the elevating plate and the elevating plate moving integrally with the first stopper, and includes a locking means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o mount the frying net, At least one guide rail for guiding the movement path of the locking means is formed, the locking means can move on the guide rail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screw.
또한, 본체는 승강플레이트의 상하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승강 높이를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 거리 센서 및 RPM(revolution per minute) Ti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mit switch, a distance sensor, and a revolution per minute (RPM) timer to limit the lifting height by measuring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lifting plate.
또한, 승강장치는 스크류와 나란히 설치되어 승강플레이트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좌우 가이드 봉 및 좌우 가이드 봉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승강플레이트의 이동으로 인한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좌우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승강플레이트는 좌우 스토퍼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좌우 스토퍼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vating device is installed side by side with the screw further includes a left and right guide rods for guiding the movement path of the elevating plate and the left and right stopper to minimize the shake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elevating plate, the elevating plate is left and right It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opper and can move integrally with the left and right stoppers.
또한, 탈유장치는 모터축을 구비한 제 2 모터, 모터축에 결합되어 모터축의 운동방향에 대응하여 회전하고, 복수의 체결홈이 형성된 회전판, 모터축의 크기에 대응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을 통해 모터축과 관통결합된 기름수거통, 기름수거통에 삽입되고, 상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가 형성되며, 복수의 체결홈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틀을 포함하되, 튀김망은 상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에 대응하는 걸이구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틀에 수용되고, 모터축의 회전에 의해 이동된 튀김망의 걸이구가 회전틀의 걸림부와 제 1 결합되고, 제 1 결합을 이용하여 튀김망과 회전틀이 함께 회전되어 기름이 튀김망을 통과하여 기름수거통으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oiling device is coupled to the second motor having a motor shaft, the motor shaft to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motor shaft, a rotating plate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through-hol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motor shaft is formed, the through hole An oil container through which the motor shaft is coupled through the oil container, inserted into the oil container, has at least one lock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includes a rotary fram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to be rotatably supported, but the frying net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The hooking mechanism of the frying net accommodated in the rotary frame including at least one hooking por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locking portion and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shaft is first coupled with the locking portion of the rotary frame, By using the frying net and the rotating frame is rotated together, the oil can pass through the frying net to be discharged into the oil container.
또한, 관통홀은 일단부가 기름수거통 중앙부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타단부가 기름수거통내에 형성되어 있고, 기름이 관통홀의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관통홀 타단부의 관통홀과 모터축을 감싸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ough hole has one end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oil container, the other end is formed in the oil container, and the cap surrounding the through hole and the motor shaft of the other end of the through hole to prevent oil from seeping into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It may further include.
따라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튀겨진 튀김물이 들어 있는 튀김망을 끓는 기름으로부터 자동으로 승강시켜 건져냄으로써 조리자가 뜨거운 기름에 의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the cook is burned by hot oil by automatically lifting and scooping the frying net containing the fried fried water from boiling oil by providing a lift-type multi-frying apparatus It is effective to prevent.
또한, 탈유장치가 구비됨으로써, 튀김물을 탈유할 때 모터의 회전수와 작동시간을 제어하여 탈유작업이 간편하고, 튀김물의 내부에 배어든 기름을 짧은 시간내에 탈유시켜 조리자의 업무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eoiling device is provided to control the number of revolutions and the operating time of the motor when the oil to be fried, easy deoiling operation, and the oil soaked in the inside of the fried water in a short time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of the cooker It works.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면,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설명된 승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설명된 승강플레이트와 스토퍼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설명된 탈유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설명된 탈유장치의 부분이 단면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설명된 탈유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설명된 회전틀과 튀김망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의 작동 흐름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type multi f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lift-type multi f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fting device describ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the elevating plate and the stopper describ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oiler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deoiling apparatus describ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oiling apparatus describ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frame and the frying net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lift-type multi f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in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 addition, the inclusion of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1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lift-type
먼저,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10)의 사시도이다.First,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type
또한,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10)의 측단면도이다.In addi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ft-typ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10)는 본체(100), 유조(200), 튀김망(300), 승강장치(400), 탈유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lift-type
다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10)가 구현될 수 있다.However,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1 and 2 are not essential, and a lift typ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0)에는 사용자가 조리시간 및 작동모드를 설정하는 입력부(120), 본체(100)에 설치된 유조(200)에 담긴 기름을 가열하는 가열원(미도시) 및 전반적인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여기서, 입력부(120)는 후술되는 승강장치(400) 및 탈유장치(500)의 동작을 설정하고, 설정된 설정값을 기반으로 승강장치(400) 및 탈유장치(500)가 자동으로 동작하게 된다.Here, the
또한, 본체(100)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110)이 형성되어 있어 후술되는 걸림수단(48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guide rail 11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또한, 걸림수단(480)이 상하 이동할 경우에 튀긴 기름이 가이드레일(110)을 통해 본체(10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110) 양끝단에 금속 등이 연결되어 있는 롤스프링(미도시)를 설치된다.In addition, roll springs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guide rail 110 to prevent fried oil from entering the
이때, 걸림수단(480)의 상하이동시 롤스프링(미도시)이 회전으로 연결된 금속이 동시에 오르거나 내려오게 되어 가이드레일(110)을 커버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imultaneous movement of the roll spring (not shown) of the locking means 480, the metal connected by rotation is raised or lowered at the same time to cover the guide rail 110.
또한, 본체(100)는 후술되는 승강플레이트(440)의 상하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승강 높이를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 거리 센서 및 RPM(revolution per minute) Tim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리미트 스위치는 기계장치 등에서 동작이 일정한 한계 위치에 달하면 접점이 전환되는 스위치로, 설정된 위치 및 시간에 대해서 「ON」또는「OFF」로 함으로써 기기를 통제한다.The limit switch is a switch in which the contact is switched when the operation reaches a certain limit position in a mechanical device or the like. The limit switch controls the device by turning ON or OFF for the set position and time.
한편, 거리 센서는 보통 3각측량 방식으로 2점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2개의 경로에서 온 피측정물을 직각 프리즘으로 반사시켜 2개의 이미지 센서에 입사시켜 상대적 위치가 합치했을 때, 2점간의 거리가 표시되는 원리를 사용하여 이동한 거리를 측정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sensor usually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wo points by a triangulation method. The measured object from two paths is reflected by a rectangular prism and incident on two image sensors. When the relative positions coincid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points is displayed.
한편, RPM(revolution per minute) Timer은 1분동안 몇 번의 회전을 하는지 나타내는 단위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써 후술되는 스크류(420)의 회전수에 따라 이동한 거리를 측정한다.Meanwhile, the revolution per minute (RPM) Timer is a method of using a unit indicating how many rotations are performed during one minute and measures a distance moved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유조(200)는 기름을 수용하거나, 담긴 기름 및 튀김찌꺼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기름을 배출시에는 내부 일측에 형성된 기름배출구(210)를 통해 배출한다. 여기서 기름배출구(210)에는 밸브(미도시)를 구비한 기름배출관(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리자는 밸브(미도시)를 열고 닫음으로써 필요시에 기름을 배출할 수 있다.
튀김망(300)은 걸이구(310)와 튀김물이 담기는 망채(320)로 구성되어 있다. The
걸이구(310)는 후술되는 승강장치(400)의 걸림구(481)의 걸려 고정되어 함께 승하강하여 튀김망(300)을 이동시키며, 망채(320)는 기름만 통과할 수 있어서 튀김망(300)이 승강할 때 튀김물로부터 탈유된 기름은 빠지고, 튀김물만 걸러낼 수 있게 된다.
또한, 튀김망(300) 탈유장치(500)에 결합하여 사용된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승강장치(400)는 튀김망(300)을 유조(200)에 승하강하도록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고, 튀김망(300)을 자동으로 하강시켜 튀김물을 유조(200)에 저장된 기름과 접촉시킨다.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Lifting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치(400)의 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치(400)는 제 1 모터(410), 스크류(420), 제 1 스토퍼(430a), 좌우 스토퍼(430b), 승강플레이트(440), 상부플레이트(450), 하부플레이트(460), 좌우 가이드봉(470)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다만,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승강장치(10)가 구현될 수 있다.However,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are not essential, and the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모터(410)는 입력부(120)에서 입력명령을 받아 정역회전하여 스크류(420)에 동력을 전달한다. 여기서 스크류(420)는 봉 형상으로 수직설치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또한, 스크류(420)는 제 1 모터(410)에 연결되어 제 1 모터(410)의 동력을 전달받아 함께 정역회전하게 되며, 후술되는 제 1 스토퍼(430a) 및 승강플레이트(440)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제 1 스토퍼(430a)는 스크류(420)가 대응 결합하는 스크류공(431)이 형성되어 있어서 스크류 결합하여 스크류(420)의 정역회전에 따라 제 1 스토퍼(430a)가 상하 이동한다.The
좌우 스토퍼(430b)는 좌우 가이드 봉(470)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승강플레이트(440)의 이동으로 인한 흔들림을 최소화한다.The left and
승강 플레이트(440)는 제 1 스토퍼(430a) 및 좌우 스토퍼(430b)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일체로 이동하며, 승강플레이트(440)의 상부 일측에는 걸림수단(480)을 고정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수단(490)을 더 포함한다. The elevating
상부 플레이트(450)는 후술되는 좌우 가이드봉(470)의 상단 끝에 연결되어 제 1 모터(410), 스크류(420) 및 좌우 가이드봉(470)을 고정지지한다.The
하부 플레이트(460)는 좌우 가이드봉(470)의 하단 끝에 연결되어 스크류(420) 및 좌우 가이드봉(470)을 고정지지한다.The
또한, 상,하부플레이트(450,460)는 승강플레이트(440)의 상하이동경로를 제한하여 승강플레이트(440)는 제한된 경로내에서 움직인다.In addition, the upper and
좌우 가이드 봉(470)은 스크류(420)와 소정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다.The left and right guide bars 470 are spaced apart from the
또한, 좌우 가이드 봉(470)은 승강플레이트(440)의 상하강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left and
걸림수단(480)은 승강플레이트(440)에 연결 고정되고, 튀김망(300)을 거치할 수 있도록 본체(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튀김망(300)의 걸이구(310)가 걸리는 복수의 걸림구(481)가 구비되어 있어 이를 통해 튀김망(300)이 고정결합된다.The locking means 480 is fixed to the
여기서, 걸림구(481)는 걸이수단(48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튀김망(300)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걸어줄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481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hook means 480. Through this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rying net (300).
또한, 걸림수단(480)은 구동수단의 정역회전에 따라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0)에 따라 상하 이동한다,In addition, the locking means 48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ail 110 formed on one side of the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설명된 승강플레이트와 스토퍼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the lifting plate and the stopper describ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플레이트(440)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제 1 스토퍼(430a) 및 좌우 스토퍼(430b)가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lifting
제 1 스토퍼(430a) 및 좌우 스토퍼(430b)의 상부 일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는 승강플레이트(440)의 상부에도 나사홈에 형성되어 있어 나사결합으로 인해 제 1 스토퍼(430a) 및 좌우 스토퍼(430b)가 승강플레이트(440)에 고정결합되어 일체로 이동한다.Screw 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ide of the
여기서, 제 1 스토퍼(430a)는 스크류(420)가 결합할 수 있도록 스크류공(431)이 형성되어 있다.Here, a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설명된 탈유장치(500)의 단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설명된 탈유장치(500)는 제 2 모터(510), 회전판(520), 기름수거통(530), 회전틀(54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다만,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탈유장치(500)가 구현될 수 있다. However, the components shown in FIG. 5 are not essential, and thus a
도 5를 참조하면, 제 2 모터(510)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회전하는 모터축(511)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부에서 전류를 공급하여 제 2 모터(510)를 제어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모터축(511)은 후술되는 기름수거통(530)의 관통홀(533)을 통해 관통결합한다. 여기서, 관통홀(533)을 통해 결합하고 돌출된 모터축(511)의 위치는 기름과 접촉되지 않는 높이에서 형성되어, 기름이 관통홀(533)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The
또한, 제 2 모터(510)는 모터고정부(580)를 이용하여 후술되는 기름수거통(530)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회전판(520)는 기름수거통(530)의 관통홀에 고정되어 끼워져 모터축(511)의 상부와 연결되어 모터축(511)의 운동방향에 대응하여 회전한다. The
또한, 회전판(52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체결홈(5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되는 회전틀(540)에 나사결합되어 회전틀(540)과 함께 회전한다.In addition, the
기름수거통(530)은 원통형으로 튀김물로부터 탈유된 기름을 수용한다. The
회전틀(540)은 회전판(520)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여 튀김물로부터 기름을 빼는 기능을 한다.The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설명된 탈유장치(500)의 부분이 단면된 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tion of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름수거통(530)은 튀김물로부터 탈유된 기름을 수용할 수 있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 6, the
기름수거통(530)의 내부 일측에는 외부로 관통되는 기름배출구(531)를 더 포함한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복수개의 기름배출구(53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ner side of the
기름배출구(531)의 크기에 맞게 기름배출관(532)이 삽입 설치되어, 튀김물에서 탈유된 기름은 기름배출관(532)을 통해 배출된다.The
여기서, 기름배출관(532)의 일측에 있는 기름배출관(532)은 기름배출량을 조절하는 밸브(532a)가 구비되어 밸브(532a)를 이용하여 기름을 배출할 수 있다.Here, the
또한, 기름수거통(530)에는 회전판(520)에 대응하는 크기의 관통홀(533)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판(520)은 이 관통홀(533)을 통한 모터축(511)과 결합되어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판(520)이 회전할 때 기름수거통(530)은 회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관통홀(533)은 일단부가 기름수거통(530) 중앙부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타단부는 기름수거통(530)내에 형성된다.One end of the through hole 533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또한, 관통홀(533) 타단부의 관통홀(533)과 모터축(511)을 감싸는 부분은 캡(512)으로 감싸여져 있어, 모터축(511)이 회전할 경우에 기름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a portion surrounding the through hole 533 and the other end of the through hole 533 and the
여기서, 관통홀(533)은 고정되어 있으나, 모터축(511)과 캡(512)은 접착되어 있어 모터축(511)의 회전시 캡(512)과 같이 회전하게 된다.Here, the through hole 533 is fixed, but the
따라서, 튀김물로부터 탈유된 기름이 관통홀(533)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oil degreased from the frying water can be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through hole 533.
또한, 기름수거통(530)의 상부 외주연은 돌출되어 있고, 돌출된 외주연은 본체(100)에 걸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설명된 탈유장치(500)의 분해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회전틀(540)은 회전판(520)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여 튀김물로부터 기름을 빼는 기능을 한다.The
여기서, 회전틀(540)은 제 2 모터(510)의 전력소모가 크지 않도록 가벼운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회전틀(540)은 중공된 원형으로 되어 있고,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직형성되는 4개의 프레임이 하단부에서 절곡되어 회전판(520)과 대응하는 크기의 하부프레임(543)으로 수렴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The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회전틀(540)의 상부 일측에 2개의 걸림부(541)가 형성되어 있으나,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541)가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locking
걸림부(541)는 회전틀(540)이 회전운동을 할 때, 후술되는 튀김망(300)의 걸이구(310)가 안착할 수 있도록 받침이 긴'ㄷ'형상으로 되어 있어, 튀김망(300)은 'ㄷ'자 받침 일측에 안착된다.The catching
튀김망(300)이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틀(5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튀김망(300)이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안착된 걸이구(310)가 걸림부(541)의 'ㄷ'자 안쪽으로 이동지지되어 함께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또한, 회전틀(540)은 복수의 체결홈(521)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542)이 형성되고, 체결홈(521) 및 체결공(542)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나사(570)를 이용한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In addition, the
전술된 튀김망(300)은 튀김물을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튀김망(300)은 기름수거통(530)의 저면과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데, 이것은 기름수거통(530) 내부에 있는 튀김물에서 탈유된 기름이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above-described frying net 300 serves to receive the fried water. Here, the
또한, 튀김망(300)은 회전틀(540)에 수용되고, 상부 일측에 걸림부(541)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이구(310)가 형성되며, 측면 및 저면으로는 기름이 통과될 수 있도록 망 형태로 되어 있어 이를 통해 기름이 빠져나오게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튀김망(300)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330)을 더 포함한다. 손잡이(330)는 탈유장치(500)에서 튀김망(300)만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한편,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설명된 회전틀(540)과 튀김망(300)이 결합된 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541)는 받침이 긴 'ㄷ'자 홈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크기에 알맞는 걸이구(310)가 'ㄷ'자 받침 일측에 안착된다.As illustrated in FIG. 8, the locking
여기서, 제 2 모터(510)의 회전운동을 통해 회전틀(540)의 회전을 하는 경우에 튀김망(300)에 형성된 걸이구(310)가 걸림부(541) 일측 끝단으로 이동하여 고정된다.Here, when the
상기 방법으로 고정된 튀김망(300)과 회전틀(540)은 기름수거통(530)내에 투입된다.
The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10)의 작동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the operation of the lift-type
한편,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10)의 작동흐름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9 is a flowchart of the operation of the lift-typ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입력부(120)를 통해 튀김물에 따라 알맞는 온도 및 조리시간을 설정하고, 튀김물이 담긴 튀김망(300)을 뜨거운 기름이 수용되어 있는 유조(200)에 투입시킨다(S10).As shown in Figure 9, first, through the
입력된 조리시간이 지나면 제 1 모터(410)의 회전에 의해 연결된 스크류(420)가 회전하여 스크류(420)와 스크류 결합된 제 1 스토퍼(430a)가 스크류(420)의 상부로 승강한다. 이때, 제 1 스토퍼(430a)의 외주연에 결합된 승강플레이트(440)가 승강하게 된다(S20).After the input cooking time passes, the
동시에 승강플레이트(440)와 연결된 고정수단(480)과 고정 결합된 튀김망(300)도 함께 승강하게 되어 유조(200)로부터 튀김망(300)이 빠져나오게 된다(S30).At the same time, the lifting means 480 and the fixing means 480 connected to the elevating
본체(100) 일측에 설치된 센서(미도시)를 통해 설정된 위치까지 튀김망(300)을 승강하면, 제 1 모터(410)의 회전이 자동으로 멈추게 되고, 조리자는 튀김망(300)을 탈유장치(500)에 삽입시킨다(S40).Ascending and lowering the
이때, 미리 탈유장치 회전틀(540)의 걸림부(541)에 튀김망(300)의 걸이구(310)를 안착하여 놓아야 한다.At this time, the
다음으로 튀김망(300)을 탈유장치(500)의 회전틀(540)로 옮긴 후 제 2 모터(510)의 회전속도 및 회전시간을 알맞게 설정한다(S50).Next, after moving the
여기서, 회전 속도 및 시간은 튀김물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원심력에 의해 튀김물에 포함된 기름이 배출되는 적정량으로 조절한다.Here, the rotational speed and time is adjusted to an appropriate amount of the oil contained in the fried water is discharged by the centrifugal force within the range that the fried water is not damaged.
상기 설정된 설정값에 대응하여 제 2모터(510)의 모터축(511) 회전에 의해 모터축(511)에 결합된 회전틀(540)이 회전하게 된다(S60).In response to the set value, the
다음으로, 회전틀(540)의 회전에 의해 튀김망(300)에 형성된 걸이구(310)가 걸림부(541)의 일측 끝단으로 이동하여 제 1 결합을 한다(S70).Next, the
제 1 결합으로 걸이구(310)가 걸림부(541)에 고정되고, 이를 이용하여 튀김망(300)과 회전틀(54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S80).The hooking
보다 상세하게는 걸림부(541)는 받침이 긴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ㄷ'자 받침 일측에 안착된 걸이구(310)가 'ㄷ'자 홈에 이동고정하게 된다.In more detail, the locking
이로 인해 튀김물로부터 탈유된 기름은 튀김망(300)을 통과하여 기름수거통(530)에 모인다.Due to this, the oil degreased from the frying water passes through the
여기서, 모인 기름은 기름수거통(530)의 일측에 형성된 기름배출구(531) 내부에 있는 기름배출관(532)을 통해 기름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Here, the collected oil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제 2 모터(510)의 회전이 멈추게 됨으로써 조리가 완료되어 조리자는 탈유된 튀김물을 건져낼 수 있다(S90).After the set time passes, the rotation of the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S40 ~ S100 과정과 S10 ~ S30 과정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S40 ~ S100 and S10 ~ S30 may be made at the same time.
위와 같이 설명된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Lift-type multi-fry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are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can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may be configured.
10.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 480. 걸림수단
100. 본 체 481. 걸림구
110. 가이드레일 490. 고정수단
120. 입력부 500. 탈유장치
200. 유 조 510. 제 2 모터
210. 기름배출구 511. 모터축
300. 튀김망 512. 캡
310. 걸이구 520. 회전판
320. 망 채 521. 체결홈
330. 손잡이 530. 기름수거통
400. 승강장치 531. 기름배출구
410. 제 1 모터 532. 기름배출관
420. 스크류 532a. 밸 브
430a. 제 1 스토퍼 533. 관통홀
430b. 좌우 스토퍼 540. 회전틀
431. 스크류공 541. 걸림부
440. 승강플레이트 542. 체결공
450. 상부플레이트 543. 하부프레임
460. 하부플레이트 570. 체결나사
470. 좌우 가이드봉 580. 모터고정부10. Lift type
100. Body 481. Hanger
110.
120.
200.
210.
300. Fried net 512.Cap
310.
320.
330. Handle 530. Oil container
400. Lifting
410.
420. Screw 532a. valve
430a. First stopper 533. Through hole
430b. Left and
431.
440. Lifting
450.
460.
470. Right and
Claims (6)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며 기름이 저장되는 유조;
튀김물이 담기는 튀김망;
상기 튀김망을 상기 유조내로 승하강시켜 상기 튀김물을 상기 기름에 접촉시키는 승강장치;
상기 기름과 접촉된 튀김물로부터 상기 기름을 탈유시키는 탈유장치; 및
상기 승강장치 및 상기 탈유장치의 동작을 설정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유장치는
모터축을 구비한 제 2 모터;
상기 모터축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축의 운동방향에 대응하여 회전하고, 복수의 체결홈이 형성된 회전판;
상기 모터축의 크기에 대응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모터축과 관통결합된 기름수거통; 및
상기 기름수거통에 삽입되고, 상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체결홈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틀;을 포함하되,
상기 튀김망은 상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에 대응하는 걸이구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틀에 수용되고,
상기 모터축의 회전에 의해 이동된 상기 튀김망의 걸이구가 상기 회전틀의 걸림부와 제 1 결합되며,
상기 제 1 결합을 이용하여 상기 튀김망과 상기 회전틀이 함께 회전되어 상기 기름이 상기 튀김망을 통과하여 상기 기름수거통으로 배출되고,
상기 입력부에서 설정된 설정값을 기반으로 상기 승강장치 및 상기 탈유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
main body;
An oil tank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storing oil;
A frying net containing frying water;
An elevating apparatus for elevating the frying net into the oil tank to bring the frying water into contact with the oil;
A deoiler for deoiling the oil from the fry in contact with the oil; And
And an input unit configured to set operations of the elevating device and the deoiling device.
The deoiler is
A second motor having a motor shaft;
A rotating plate coupled to the motor shaft to rotat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motor shaft, and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formed therein;
An oil container having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motor shaft and penetrated with the motor shaft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Is inserted into the oil container, at least one engag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the rotating fram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 rotatably supported; includes,
The frying net is accommodated in the rotating frame including a hooking tool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locking portion on the upper side,
The hook mechanism of the frying net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shaft is first coupled with the locking portion of the rotating frame,
The frying net and the rotating frame are rotated together by using the first combination so that the oil passes through the frying net and is discharged into the oil container,
Lift-type multi-fry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device and the deoiling device is operated based on the set value set by the input unit.
상기 승강장치는,
정역회전하는 제 1 모터;
외주면에 스크류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모터의 구동에 따라 함께 정역회전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에 대응하는 스크류공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공을 통해 상기 스크류에 결합되는 제 1 스토퍼;
상기 제 1 스토퍼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스토퍼와 일체로 이동하는 승강플레이트; 및
상기 승강플레이트에 연결 고정되고, 상기 튀김망을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된 걸림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수단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스크류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ft devic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first motor;
A screw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crew to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together with the driving of the first motor;
A first stopper including a screw hole corresponding to the screw and coupled to the screw through the screw hole;
A lifting plate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stopper and integrally moving with the first stopper; And
It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plate fixed, the locking means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mount the frying net; includes;
At least one guide rail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guide the movement path of the locking means, and the locking means is moved on the guide rail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screw.
상기 본체는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상하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승강 높이를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 거리 센서 및 RPM(revolution per minute) Ti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body is a lift-type multi-frying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limit switch, a distance sensor and a revolution per minute (RPM) Timer to limit the lifting height by measuring the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lifting plate.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스크류와 나란히 설치되어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좌우 가이드 봉; 및
상기 좌우 가이드 봉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이동으로 인한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좌우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승강플레이트는 상기 좌우 스토퍼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좌우 스토퍼와 일체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ft device,
Left and right guide rod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screw to guide the movement path of the elevating plate; And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left and right guide rods, the left and right stopper to minimize shaking due to the movement of the elevating plate; further comprising,
The lifting plate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left and right stopper lift type multi fry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o move integrally with the left and right stopper.
상기 관통홀은 일단부가 상기 기름수거통 중앙부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타단부가 기름수거통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름이 상기 관통홀의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관통홀 타단부의 상기 관통홀과 상기 모터축을 감싸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멀티 튀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of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oil container, the other end is formed in the oil container,
And a cap surrounding the through-hole and the motor shaft of the other end of the through-hole to prevent the oil from seeping into the through-ho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12333U KR200468070Y1 (en) | 2012-12-28 | 2012-12-28 | Lift-type multi fry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12333U KR200468070Y1 (en) | 2012-12-28 | 2012-12-28 | Lift-type multi frying machi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8070Y1 true KR200468070Y1 (en) | 2013-07-24 |
Family
ID=51396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1233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68070Y1 (en) | 2012-12-28 | 2012-12-28 | Lift-type multi fry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8070Y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50916A (en) * | 2019-07-23 | 2019-09-20 | 海底捞控股有限公司 | Lifter and lifting pot |
KR102159137B1 (en) * | 2020-01-30 | 2020-09-23 | 김재곤 | frying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purifying and recycling oil |
KR102159125B1 (en) * | 2020-03-06 | 2020-09-23 | 김재곤 | frying apparatus having frying oil recycling and purifying function and oil scattering prevention function |
TWI744182B (en) * | 2020-01-30 | 2021-10-21 | 金在坤 | Frying apparatus having oil recycling and purifying function and frying oil separating function |
WO2023063507A1 (en) * | 2021-10-15 | 2023-04-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Frying robo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91125A (en) * | 2010-02-05 | 2011-08-11 | 이광희 | Frying machine |
KR20120119002A (en) * | 2011-04-20 | 2012-10-30 | 주식회사 파세코 | Fryer comprising oil removing means |
-
2012
- 2012-12-28 KR KR2020120012333U patent/KR200468070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91125A (en) * | 2010-02-05 | 2011-08-11 | 이광희 | Frying machine |
KR20120119002A (en) * | 2011-04-20 | 2012-10-30 | 주식회사 파세코 | Fryer comprising oil removing means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50916A (en) * | 2019-07-23 | 2019-09-20 | 海底捞控股有限公司 | Lifter and lifting pot |
KR102159137B1 (en) * | 2020-01-30 | 2020-09-23 | 김재곤 | frying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purifying and recycling oil |
TWI744182B (en) * | 2020-01-30 | 2021-10-21 | 金在坤 | Frying apparatus having oil recycling and purifying function and frying oil separating function |
JP7660383B2 (en) | 2020-01-30 | 2025-04-11 | ゴン キム,ジェ | Frying device with oil circulation and purification function and frying oil separation function |
KR102159125B1 (en) * | 2020-03-06 | 2020-09-23 | 김재곤 | frying apparatus having frying oil recycling and purifying function and oil scattering prevention function |
WO2023063507A1 (en) * | 2021-10-15 | 2023-04-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Frying robo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88282B1 (en) | Lift-type frying machine | |
KR200468070Y1 (en) | Lift-type multi frying machine | |
KR100984964B1 (en) | Fryer | |
KR101286504B1 (en) | Fryer | |
TWI711417B (en) | Automatic feeding device of frying machine | |
KR20200023971A (en) | Electric deep fryer | |
KR101224681B1 (en) | Lifting device for automatic fryer | |
KR102083784B1 (en) | Time-controlled frying net up and down feeder | |
CN105212775A (en) | A kind ofly be elevated the food bar baking tray that sidepiece heats hamburger | |
KR20120006155U (en) | Electric Frying Apparatus | |
KR101640997B1 (en) | A fried apparatus having capability of lift | |
CN213551127U (en) | Cooking utensil | |
WO201104164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rying food | |
KR101281088B1 (en) | Roaster | |
KR200336244Y1 (en) | Angle Adjustment Apparatus of Meat Roast Plate | |
CN114056950B (en) | Spring tea stir-frying-based processing dumping discharging structure | |
CN217185763U (en) | Air fryer | |
CN105231868A (en) | Using method for lateral heating lifting bakeware | |
CN105266612A (en) | Use method of baking pan capable of laterally heating hamburgers | |
CN105266619A (en) | Food rod baking pan capable of laterally heating hamburgers | |
CN105266623A (en) | Support baking pan capable of laterally heating hamburgers | |
CN105266624A (en) | Use method of baking pan capable of heating hamburgers | |
CN105266616A (en) | Method for using bracket bakeware with lifting side part hamburger heating | |
CN105266629A (en) | Baking pan capable of laterally heating hamburgers | |
CN105266633A (en) | Use method of food chute baking pan capable of laterally heating hamburg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1228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3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8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0212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6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307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715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706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