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67717Y1 - 페트병을 이용한 보트 겸 눈썰매 - Google Patents

페트병을 이용한 보트 겸 눈썰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717Y1
KR200467717Y1 KR2020110008690U KR20110008690U KR200467717Y1 KR 200467717 Y1 KR200467717 Y1 KR 200467717Y1 KR 2020110008690 U KR2020110008690 U KR 2020110008690U KR 20110008690 U KR20110008690 U KR 20110008690U KR 200467717 Y1 KR200467717 Y1 KR 2004677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d
boat
pet bottle
bottle
p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6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148U (ko
Inventor
이훈상
황기례
Original Assignee
황기례
이훈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기례, 이훈상 filed Critical 황기례
Priority to KR20201100086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717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1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1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7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71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3/00Sledges with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20Board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prone position, e.g. wild-water sl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hook and loo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6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ies, ribbon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페트병을 이용한 보트 겸 눈썰매에 관한 것으로서, 눈썰매(10)의 양측 날개부(14)의 하부와 후측 날개부(15)의 하부에 다수개의 페트병(1)을 탈착 수단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착 수단은 상기 페트병(1)의 입구부(1a)를 끼우는 끼움홈(21a)이 형성된 고정부(21)와; 상기 페트병(1) 입구부(1a)의 반대편 외주연을 감싸서 상기 눈썰매(10)의 양측 및 후측 날개부(14, 15)에 고정하는 띠형 밴드(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눈썰매(10)를 여름철 물놀이용 보트로 사용할 경우에는 쉽게 어디서나 구할 수 있는 페트병(1)(5개 정도)을 눈썰매 날개부의 하부에 부착하여 물놀이용 보트로 사용할 수 있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물놀이용 보트와 같이 바람을 넣고 빼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 편리하게 여름철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그리고, 눈썰매로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쉽게 페트병(1)을 탈거하고, 눈썰매를 즐기거나 페트병(1)을 탈거하지 않은 채 눈썰매를 즐길 수 있다.
여름철 물놀이 보트로 사용할 경우 일반적인 튜브로 된 물놀이 보트의 경우는 튜브에 펑크가 나는 경우가 있지만 본 고안의 보트는 펑크가 날 우려가 없고, 페트병이 파손될 경우, 쉽게 구할 수 있어 편리하다.

Description

페트병을 이용한 보트 겸 눈썰매{BOAT AND SNOW-SLED IN ONE USING PET BOTTLE EMPTY}
본 고안은 페트병을 이용한 보트 겸 눈썰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눈썰매의 양측 및 후측 날개부 하부에 재활용 가능하고 쉽게 구할 수 있는 페트병을 부착하여 물 위에서는 보트로 사용할 수 있고, 눈 위에서는 눈썰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페트병을 이용한 보트 겸 눈썰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트는 여름철에 바다, 강, 또는 계곡 등지에서 물놀이용으로 이용되고, 그 형태는 원형, 타원형, 바나나형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한편, 눈썰매는 겨울철에 스키장이나 눈썰매장에서 활강에 의한 유희를 즐기기 위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눈썰매는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착석 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저면에 형성된 두개의 활강 가이드를 구비한다. 생활이 윤택해 짐에 따라 이러한 보트와 눈썰매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가고 있다.
이와 같이, 놀이용 기구로서 여름철에는 보트가 필요하고 겨울철에는 눈썰매가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사계절이 뚜렷한 대한민국과 같은 지역에서 보트와 눈썰매를 각각 구입할 경우에는 비용이 많이 들고, 또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관상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트와 눈썰매의 역할을 함께 할 수 있는 기구가 있다면 이는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눈썰매 겸용 에어보트가 개발되었다. 상기 눈썰매 겸용 에어보트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05880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눈썰매 겸용 에어보트는 공기가 충진된 에어보트 본체와, 상기 에어보트 저면에 설치된 고무층, 및 상기 고무층 저면의 활강 가이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눈썰매 겸용 에어보트는 공기를 충진시키기 위한 에어펌프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와 같이, 상기 눈썰매 겸용 에어보트는 많은 구성 요소가 필요하고, 가격이 비싼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저렴하고 간단한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보트 겸용 눈썰매가 필요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물 위에서는 보트로 사용할 수 있고, 눈 위에서는 눈썰매로 사용할 수 있는 페트병을 이용한 보트 겸 눈썰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재활용 가능하고 쉽게 구할 수 있는 페트병을 이용하여 눈썰매를 보트로 만들 수 있도록 한 페트병을 이용한 보트 겸 눈썰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페트병을 이용한 보트 겸 눈썰매는, 눈썰매(10)의 양측 날개부(14)의 하부와 후측 날개부(15)의 하부에 다수개의 페트병(1)을 탈착 수단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착 수단은 상기 페트병(1)의 입구부(1a)를 끼우는 끼움홈(21a)이 형성된 고정부(21)와, 상기 페트병(1) 입구부(1a)의 반대편 외주연을 감싸서 상기 눈썰매(10)의 양측 및 후측 날개부(14, 15)에 고정하는 띠형 밴드(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띠형 밴드(22)는 상기 양측 및 후측 날개부(14, 15)에 형성된 제1및 제2홀(22a, 22b)을 통하여 삽입되어 페트병(1)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양단면에 부착된 암, 수 벨크로테잎(23, 24)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페트병(1)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움홈(21a)의 하부는 상기 페트병(1)의 입구부(1a) 목부분의 두께보다는 더 작게 형성되어 힘을 가하여 삽입 및 이탈시키도록 삽입부(21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페트병을 이용한 보트 겸 눈썰매에 의하면, 눈썰매(10)를 여름철 물놀이용 보트로 사용할 경우에는 쉽게 어디서나 구할 수 있는 페트병(1)(5개 정도)을 눈썰매 날개부의 하부에 부착하여 물놀이용 보트로 사용할 수 있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물놀이용 보트와 같이 바람을 넣고 빼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 편리하게 여름철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그리고, 눈썰매로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쉽게 페트병(1)을 탈거하고, 눈썰매를 즐기거나 페트병(1)을 탈거하지 않은 채 눈썰매를 즐길 수 있다.
여름철 물놀이 보트로 사용할 경우 일반적인 튜브로 된 물놀이 보트의 경우는 튜브에 펑크가 나는 경우가 있지만 본 고안의 보트는 펑크가 날 우려가 없고, 페트병이 파손될 경우, 쉽게 구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페트병을 이용한 보트 겸 눈썰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페트병을 이용한 보트 겸 눈썰매를 도시한 저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페트병을 이용한 보트 겸 눈썰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페트병을 이용한 보트 겸 눈썰매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페트병을 이용한 보트 겸 눈썰매는, 눈썰매(10)의 양측 날개부(14)의 하부와 후측 날개부(15)의 하부에 다수개의 페트병(1)을 탈착 수단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구성된다.
상기 탈착 수단은 상기 페트병(1)의 입구부(1a)를 끼우는 끼움홈(21a)이 형성된 고정부(21)와, 상기 페트병(1) 입구부(1a)의 반대편 외주연을 감싸서 상기 눈썰매(10)의 양측 및 후측 날개부(14, 15)에 고정하는 띠형 밴드(22)로 구성된다.
상기 띠형 밴드(22)는 상기 양측 및 후측 날개부(14, 15)에 형성된 제1및 제2홀(22a, 22b)을 통하여 삽입되어 페트병(1)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양단면에 부착된 암, 수 벨크로테잎(23, 24)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페트병(1)을 결합한다.
상기 끼움홈(21a)의 하부는 상기 페트병(1)의 입구부(1a) 목부분의 두께보다는 더 작게 형성되어 힘을 가하여 삽입 및 이탈시키도록 삽입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눈썰매(10)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사람이 들어가 앉을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1)와, 상기 오목부(11)의 전방에 둥글게 라운딩되어 있는 전방부(12)와, 상기 오목부(11)의 후방에 사각 모서리가 형성된 후방부(13)와, 상기 라운딩된 전방부(12)의 라운딩 면으로부터 후방까지 양측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양측 및 후측 날개부(14, 15)와, 상기 양측 날개부(14)의 상면에 눈썰매의 진행 방향 선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손잡이부(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목부(11)의 바닥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하면으로 돌설되어 눈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눈썰매의 속도를 내기 위한 돌설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페트병을 이용한 보트 겸 눈썰매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음료를 마시고 비어 있는 페트병(1)을 뚜껑을 닫은 후 그 입구부(1a)의 목부분을 눈썰매(10)의 양측 날개부(14)의 하부와 후측 날개부(15)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부(21a)로 힘을 가하여 밀면 그 목부분이 끼움홈(21a)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페트병(1), 즉 바람직하게는 양측 날개부(14)에 각각 두 개, 후측 날개부(15)에 하나 정도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페트병(1) 각각의 입구부(1a)를 끼움홈(21a)에 삽입하고 페트병(1)의 반대측은 띠형 밴드(22)로 고정하게 되는 데, 띠형 밴드(22)를 상기 양측 및 후측 날개부(14, 15)에 각각 형성된 제1홀(22a) 및 제2홀(22b)에 끼우고 상기 페트병(1)의 외주연을 감싼후 띠형 밴드(22)의 끝단에 부착된 암, 수 벨크로테잎(23, 24)을 서로 부착하여 페트병(1)을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눈썰매(10)를 여름철 물놀이용 보트로 사용할 경우에는 쉽게 어디서나 구할 수 있는 페트병(1)(5개 정도)을 눈썰매 날개부의 하부에 부착하여 물놀이용 보트로 사용할 수 있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물놀이용 보트와 같이 바람을 넣고 빼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 편리하게 여름철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그리고, 눈썰매로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쉽게 페트병(1)을 탈거하고, 눈썰매를 즐기거나 페트병(1)을 탈거하지 않은 채 눈썰매를 즐길 수 있다.
여름철 물놀이 보트로 사용할 경우 일반적인 튜브로 된 물놀이 보트의 경우는 튜브에 펑크가 나는 경우가 있지만 본 고안의 보트는 펑크가 날 우려가 없고, 페트병이 파손될 경우, 쉽게 구할 수 있어 편리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1 : 페트병 1a : 입구부
10 : 눈썰매 11 : 오목부
11a : 돌설부 12 : 전방부
13 : 후방부 14 : 양측 날개부
15 : 후측 날개부 16 : 손잡이부
21 : 고정부 21a : 끼움홈
21b : 삽입부 22 : 띠형 밴드
22a, 22b : 제1, 2홀 23, 24 : 암, 수 벨크로테잎

Claims (4)

  1. 눈썰매(10)의 양측 날개부(14)의 하부와 후측 날개부(15)의 하부에 다수개의 페트병(1)을 탈착 수단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되고;
    상기 탈착 수단은 상기 페트병(1)의 입구부(1a)를 끼우는 끼움홈(21a)이 형성된 고정부(21)와;
    상기 페트병(1) 입구부(1a)의 반대편 외주연을 감싸서 상기 눈썰매(10)의 양측 및 후측 날개부(14, 15)에 고정하는 띠형 밴드(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을 이용한 보트 겸 눈썰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 밴드(22)는 상기 양측 및 후측 날개부(14, 15)에 형성된 제1및 제2홀(22a, 22b)을 통하여 삽입되어 페트병(1)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양단면에 부착된 암, 수 벨크로테잎(23, 24)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페트병(1)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을 이용한 보트 겸 눈썰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21a)의 하부는 상기 페트병(1)의 입구부(1a) 목부분의 두께보다는 더 작게 형성되어 힘을 가하여 삽입 및 이탈시키도록 삽입부(21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을 이용한 보트 겸 눈썰매.
KR2020110008690U 2011-09-28 2011-09-28 페트병을 이용한 보트 겸 눈썰매 Expired - Fee Related KR2004677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690U KR200467717Y1 (ko) 2011-09-28 2011-09-28 페트병을 이용한 보트 겸 눈썰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690U KR200467717Y1 (ko) 2011-09-28 2011-09-28 페트병을 이용한 보트 겸 눈썰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148U KR20130002148U (ko) 2013-04-05
KR200467717Y1 true KR200467717Y1 (ko) 2013-07-01

Family

ID=51392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690U Expired - Fee Related KR200467717Y1 (ko) 2011-09-28 2011-09-28 페트병을 이용한 보트 겸 눈썰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71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584U (ko) * 1984-07-18 1986-03-05 홍광선 조립식 수상 플랫포옴
KR910020094U (ko) * 1990-05-28 1991-12-19 유순형 조립식 보트
KR200309045Y1 (ko) 2002-12-27 2003-03-29 전종수 조립기능을 갖는 보트
KR200323481Y1 (ko) 2003-03-27 2003-08-14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무동력 플라이 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584U (ko) * 1984-07-18 1986-03-05 홍광선 조립식 수상 플랫포옴
KR910020094U (ko) * 1990-05-28 1991-12-19 유순형 조립식 보트
KR200309045Y1 (ko) 2002-12-27 2003-03-29 전종수 조립기능을 갖는 보트
KR200323481Y1 (ko) 2003-03-27 2003-08-14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무동력 플라이 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148U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0041B1 (en) Paddle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050260902A1 (en) High-performance riverboard system
US20160129743A1 (en) Amphibious Board
KR200467717Y1 (ko) 페트병을 이용한 보트 겸 눈썰매
KR101274579B1 (ko) 공기 주입식 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USD572295S1 (en) Floating water sunglasses
KR20140023526A (ko) 패들링 보드
US20130056509A1 (en) Board mountable paddle retaining device
US10538298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assist with water sport board maneuvers
FR2978115A1 (fr) Planche gonflable
CA2805077A1 (fr) Bateaux avec bordes gonflables
KR101982066B1 (ko) 보트로 사용 가능한 눈썰매용 보드
WO2008125123A1 (en) Accessory device for enlarging the area of the fin of a surfboard or similar water craft
US6293841B1 (en) Foldable under water viewing window
US20060097466A1 (en) Bodyboard/snowboard
US9004968B1 (en) Fin cover for water vessel and associated use thereof
US20130344757A1 (en) Nu-Surf TM surfboard
KR20110011578U (ko) 콤비 보트
KR200305880Y1 (ko) 눈썰매 겸용 에어보트
CN204802039U (zh) 一种水上游船
CN204507209U (zh) 一种冰水两用艇
US20250115336A1 (en) Watersports device for managed engagement with the water
CN216301408U (zh) 便于驾驶的桨板机构及充气桨板
KR200341602Y1 (ko) 보트 겸용 눈썰매
US20240367758A1 (en) Paddleboard-picnic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92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1031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2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6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705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