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67039Y1 -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039Y1
KR200467039Y1 KR2020110003142U KR20110003142U KR200467039Y1 KR 200467039 Y1 KR200467039 Y1 KR 200467039Y1 KR 2020110003142 U KR2020110003142 U KR 2020110003142U KR 20110003142 U KR20110003142 U KR 20110003142U KR 200467039 Y1 KR200467039 Y1 KR 200467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ize adjustment
support
size
quick rele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278U (ko
Inventor
김영실
Original Assignee
김영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실 filed Critical 김영실
Priority to KR2020110003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03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2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2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03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1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pan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panning and ro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5Monitor mounted supports or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거치대의 조절이 가능하며 크기 조절 막대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단말기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스탠드 형태로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고 단말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부; 상기 단말기의 사각 모서리를 안착시켜 고정하고, 막대 간 각도와 막대의 길이가 상기 단말기 크기에 따라 조절 가능한 거치대부; 및 상기 지지대부에 거치대부 고정과 상하좌우 이동 및 좌우 회전이 가능토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Terminal Cradle Capable of Controlling a Size}
본 고안은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거치대의 조절이 가능하며 크기 조절 막대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단말기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한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고 사양의 휴대용 단말기(Portable Device) 제품들이 많이 생산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7인치 이상의 스마트 기기 및 네비게이션은 꾸준히 발전하고 있으며 우리의 생활 속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전자기기가 되었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의 발전으로 인해 소형 노트북의 개념을 뛰어 넘어 별도의 커버가 없는 터치스크린 형태의 단말기가 등장하기 시작했고,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해당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생산되고 있다.
한편, 현재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는 매우 다양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인치가 동일하다고 해도 제품 전체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크기는 서로 다르기 마련이다.
이렇게 전체 크기가 다른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장치들은 거치의 안정성과 장착의 정확성을 고려하여 특정 제품을 위한 전용 거치대로 출시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전용 거치대는 한 명의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 기기를 소지한 경우 해당 단말기의 거치만 가능하기 때문에 구입 비용에 비해 활용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해당 단말기가 분실되거나 다른 단말기로 교체한 경우 기존의 전용 거치대는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를 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인테리어의 효과를 갖는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 크기로 조절되어 고정된 상태에서도 탈부착이 용이한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각 회절부의 조임과 풀림이 레버의 조작만으로 손쉽게 거치대의 조절이 가능한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탠드 형태로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고 단말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부; 상기 단말기의 사각 모서리를 안착시켜 고정하고, 막대 간 각도와 막대의 길이가 상기 단말기 크기에 따라 조절 가능한 거치대부; 및 상기 지지대부에 상기 거치대부의 고정과 상하좌우 이동 및 좌우 회전이 가능토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거치대부는, 엑스자(X) 형태로 순차 결합되는 복수개의 크기 조절 막대; 다각도 힌지가 상기 복수개의 크기 조절 막대의 겹쳐진 이동 홈에 삽입되어 레버 조작으로 조임 및 풀림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퀵 릴리즈; 및 상기 복수개의 크기 조절 막대 바깥쪽 끝에 일체로 형성되어 단말기 모서리를 안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퀵 릴리즈의 다각도 힌지는, 결합부의 회전 부재의 홈에 삽입되는 원형층; 크기 조절 막대의 이동 홈에 삽입되는 다각층;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너트부에 결합되는 볼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퀵 릴리즈의 너트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단말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인테리어의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퀵 릴리즈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퀵 릴리즈 힌지 끝의 볼트부와 디스플레이 장치 뒷면 너트부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크기 조절 막대 끝에 형성된 고정부 중 어느 하나는 크기 조절 막대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단말기 장착 및 탈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동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유동 고정부는, 상기 단말기 고정시에는 고정부재가 힌지에 결합된 탄성 스프링에 의해 닫히며, 상기 단말기 장착 및 탈착시에는 고정부재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회전되어 열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2개의 관통 홈이 십자(+)형태로 형성된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에 형성된 2개의 관통 홈에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십자(+) 형태로 삽입된 각각의 퀵 릴리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에 의하면, 거치대를 다양한 단말기의 크기에 맞출 수 있어 단말기의 사용주기에 비해 제품 효용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말기 미 장착시에도 시계 및 그림, 사진, 광고 등으로 활용할 수 있어 인테리어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후좌우 회전이 가능하여 사용자 환경 및 각도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퀵 릴리즈의 다각도 힌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각도 힌지에 크기 조절 막대가 삽입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크기 조절 막대의 유동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고정부를 통해 단말기가 탈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위치 이동 및 회전 상태의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는 크게 몸체부(10), 지지대부(20), 결합부(30), 거치대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쓰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넓은 면이 형성된 스탠드 받침(12)과, 상기 스탠드 받침(12)의 중심부에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된 스탠드 봉(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탠드 받침(12)은 평평한 책상 등에서 고정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며, 자동차, 이륜차 등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거치하는 위치에 따라 형태나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스탠드 봉(14)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단부에는 지지대 봉(22)과 결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부(20)는 지지대 봉(22) 및 상기 지지대 봉(22)을 상기 스탠드 봉(14)과 결합하기 위한 제 1 퀵 릴리즈(24)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적용된 퀵 릴리즈는 힌지에 삽입된 중간 물체들을 너트의 조임과 레버의 당김만으로 쉽게 고정 및 해제할 수 있는 장치로서, 지지대부(20), 결합부(30) 및 거치대부(40)의 조임과 풀림을 레버 조작만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퀵 릴리즈 레버의 원형 회전 축은 힌지와 동일선상에 놓여졌을 때 가깝고, 레버가 90도로 제쳐졌을 때 멀기 때문에 회전 축의 위치로 인해 레버의 동작에 따라 유격이 생겨 조임과 풀림이 반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퀵 릴리즈의 자세한 구성을 도시하진 않았지만, 통상적인 QR(Quick Release)의 구성과 원리가 동일하다.
상기 스탠드 봉(14)과 상기 지지대 봉(22)의 결합 방법은 상기 스탠드 봉(14) 상단의 홈과 지지대 봉(22)의 좌측 홈에 제 1 퀵 릴리즈(24)의 힌지를 삽입하고 너트로 일정간격을 좁힌 후 최종적으로 레버를 제쳐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거치대부(40)를 회전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 1 퀵 릴리즈(24)의 당겨진 레버를 풀어 유격을 발생시켜 조임을 해제한 후, 지지대 봉(22)을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키고 다시 레버를 당겨 유격을 없애 조이면 된다.
상기 지지대 봉(22) 우측에는 거치대부(4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30)가 구성되어 있는데, 회전 부재(38)에 형성된 2개의 관통 홈에 각각 제 2 퀵 릴리즈(36)와 제 3 퀵 릴리즈(34)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십자(+) 형태로 삽입된다.
상기 제 2 퀵 릴리즈(36)는 상기 지지대 봉(22)과 상기 회전 부재(38)의 상하로 관통된 홈을 일치시켜 힌지를 삽입하고 너트를 조인 후 레버를 당겨 고정한다.
상기 제 3 퀵 릴리즈(34)는 거치대부(40)의 좌우 회전을 가능토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부(40)는 회전 부재(38)의 가로로 관통된 홈에 제 3 퀵 릴리즈(34)의 다각도 힌지(32)가 삽입되고, 4개의 크기 조절 막대(41,42,43,44)가 순차적으로 삽입되며, 디스플레이 장치(48)의 너트부(49)가 상기 다각도 힌지(32)의 끝에 형성된 볼트부(32c)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4개의 크기 조절 막대(41,42,43,44)가 순차적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서로 단의 차이가 난다. 따라서 단말기(1)가 수평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고정부(41',42',44',45) 하단에 서로 다른 두께의 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48)는 퀵 릴리즈의 너트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단말기(1)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인테리어의 효과를 줄 수 있도록 시계, 그림, 사진, 광고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순히 액자나 판화, LCD 장치, 시계장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퀵 릴리즈의 다각도 힌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제 3 퀵 릴리즈(34)의 다각도 힌지(32)는 통상적인 퀵 릴리즈의 힌지와는 다르게 구성되는데, 결합부(30)의 회전 부재(38)의 홈에 삽입되는 부분은 원형층(32a)으로, 상기 크기 조절 막대(41,42,43,44)의 이동 홈에 삽입되는 부분은 다각층(32b)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끝은 디스플레이 장치(48)의 너트부(49)에 결합되는 볼트부(3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형층(32a)은 거치대부(40)가 360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각층(32b)은 단말기(1)의 크기에 조절되어 삽입된 크기 조절 막대(41,42,43,44)들의 각이 쉽게 틀어지지 않도록 다각으로 형성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각도 힌지에 크기 조절 막대가 삽입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 조절 막대(41,42,43,44)를 다각도 힌지(32)에 결합할 때 단말기(1) 크기와 맞는 각도로 삽입함으로써, 삽입된 후에도 크기 조절 막대(41,42,43,44) 간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크기 조절 막대의 유동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고정부를 통해 단말기가 탈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 조절 막대(41,42,43,44)에서 단말기(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41',42',44',45) 중에서 유동 고정부(45)는 고정 부재(46)와 스프링(47)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동 고정부(45)는 크기 조절 막대(41,42,43,44)가 단말기(1)의 크기에 맞도록 조립되고 막대의 길이가 조절되어 조여진 상태에서도 상기 단말기(1)를 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고정된 상태에서는 스프링(47)의 탄성력으로 내측으로 고정 부재(46)를 당겨 단말기(1)를 지지하고, 탈착시에는 손으로 고정 부재(46)를 젖히고 단말기(1)를 앞으로 살짝 당겨 유동 고정부(45) 방향인 대각선으로 이송시키면 된다.
상기 유동 고정부(45)로 인해 단말기(1)의 탈부착시 크기 조절 막대(41,42,43,44)의 길이를 조절할 필요가 없어 손쉬운 탈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위치 이동 및 회전 상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 방향으로 45도 이동 또는 좌측 상단으로 피벗 상태로 단말기를 이동할 때는 제 1 퀵 릴리즈(24)와 제 3 퀵 릴리즈(34)의 레버를 풀어 지지대봉(22)과 거치대부(40)를 조정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는 하나 이상의 퀵 릴리즈 및 다각도 힌지와 크기 조절 막대의 구성으로 인해 퀵 릴리즈 레버의 조작만으로 조임 및 풀림 동작의 수행이 가능하고, 다양한 크기의 단말기의 모서리 위치에 따라 크기 조절 막대의 조절이 가능하고, 단말기 미 장착시에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인테리어 효과를 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단말기 10 : 몸체부
12 : 스탠드 받침 14 : 스탠드 봉
20 : 지지대부 22 : 지지대 봉
24 : 제 1 퀵 릴리즈 30 : 결합부
32 : 다각도 힌지 32a : 원형층
32b : 다각층 32c : 볼트부
34 : 제 3 퀵 릴리즈 36 : 제 2 퀵 릴리즈
38 : 회전 부재 40 : 거치대부
41,42,43,44 : 크기 조절 막대 41',42',44' : 고정부
45 : 유동 고정부 46 : 고정부재
47 : 스프링 48 : 디스플레이 장치
49 : 너트부

Claims (8)

  1. 삭제
  2.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탠드 받침에 스탠드 봉을 수직으로 설치한 스탠드 형태로 장치를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지지대부;
    상기 단말기의 사각 모서리를 안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엑스자(X) 형태로 형성된 거치대부; 및
    상기 지지대부에 상기 거치대부의 고정과 좌우 이동이 가능토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부는 회전 가능하게 스탠드 봉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하 이동 및 좌우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대봉에 설치되되,
    상기 거치대부는, 상기 단말기 크기에 따라 막대 간 각도와 막대 길이를 조절 가능한 다각도 힌지에 순차 결합되는 복수개의 크기 조절 막대;
    다각도 힌지가 상기 복수개의 크기 조절 막대의 겹쳐진 이동 홈에 삽입되는 다각도 힌지에 레버 조작으로 조임 및 풀림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퀵 릴리즈; 및
    상기 복수개의 크기 조절 막대 바깥쪽 끝에 일체로 형성되어 단말기 모서리를 안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퀵 릴리즈의 다각도 힌지는,
    결합부의 회전 부재의 홈에 삽입되는 원형층;
    크기 조절 막대의 이동 홈에 삽입되는 다각층;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너트부에 결합되는 볼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퀵 릴리즈의 너트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단말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인테리어의 효과를 줄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퀵 릴리즈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퀵 릴리즈 힌지 끝의 볼트부와 디스플레이 장치 뒷면 너트부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크기 조절 막대 끝에 형성된 고정부 중 어느 하나는 크기 조절 막대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단말기 장착 및 탈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동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고정부는,
    단말기 장착 및 탈착시 고정부재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회전되어 열리도록 구성되되,
    상기 단말기 고정시 고정부재가 힌지에 결합된 탄성 스프링에 의해 닫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
  8.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탠드 받침에 스탠드 봉을 수직으로 설치한 스탠드 형태로 장치를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지지대부;
    상기 단말기의 사각 모서리를 안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엑스자(X) 형태로 형성된 거치대부; 및
    상기 지지대부에 상기 거치대부의 고정과 좌우 이동이 가능토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2개의 관통 홈이 십자(+)형태로 형성된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에 형성된 2개의 관통 홈에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십자(+) 형태로 삽입된 각각의 퀵 릴리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
KR2020110003142U 2011-04-13 2011-04-13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 Expired - Lifetime KR2004670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142U KR200467039Y1 (ko) 2011-04-13 2011-04-13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142U KR200467039Y1 (ko) 2011-04-13 2011-04-13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78U KR20120007278U (ko) 2012-10-23
KR200467039Y1 true KR200467039Y1 (ko) 2013-05-22

Family

ID=47510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142U Expired - Lifetime KR200467039Y1 (ko) 2011-04-13 2011-04-13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0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6199A1 (en) * 2015-02-02 2016-08-11 Razer (Asia-Pacific) Pte. Ltd. Mounting devices
KR20200039918A (ko) * 2018-10-08 2020-04-17 주식회사 코너스톤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394B1 (ko) * 2013-03-11 2014-08-12 박수진 모바일 기기용 스탠드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4607A (ja) 2005-11-08 2009-04-09 スパーリング,デイビッド・ラッセル XDeckラップトップ型コンピュータ/本ホルダ
US20110062299A1 (en) 2009-09-16 2011-03-17 Wen-Feng Tsai Car computer/LCD monitor hol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4607A (ja) 2005-11-08 2009-04-09 スパーリング,デイビッド・ラッセル XDeckラップトップ型コンピュータ/本ホルダ
US20110062299A1 (en) 2009-09-16 2011-03-17 Wen-Feng Tsai Car computer/LCD monitor holde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6199A1 (en) * 2015-02-02 2016-08-11 Razer (Asia-Pacific) Pte. Ltd. Mounting devices
CN107431729A (zh) * 2015-02-02 2017-12-01 雷蛇(亚太)私人有限公司 安装装置
US10133306B2 (en) 2015-02-02 2018-11-20 Razer (Asia-Pacific) Pte. Ltd. Mounting devices
TWI692236B (zh) * 2015-02-02 2020-04-21 新加坡商雷蛇(亞太)私人有限公司 頭戴顯示裝置
CN107431729B (zh) * 2015-02-02 2020-10-02 雷蛇(亚太)私人有限公司 安装装置
KR20200039918A (ko) * 2018-10-08 2020-04-17 주식회사 코너스톤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KR102120432B1 (ko) * 2018-10-08 2020-06-08 주식회사 코너스톤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78U (ko) 2012-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24371A1 (en) Computer retail display stand
CN103075622B (zh) 一种用于固定平板状电子产品的支架
CN103123037A (zh) 支撑装置
KR200467039Y1 (ko) 크기 조절 기능이 구비된 단말기 거치대
US20130168275A1 (en) Electronic tablet transport and retaining apparatus
CN203757308U (zh) 固定装置和显示系统
CN107157122A (zh) 可多角度固定轻巧安装便捷的床上书桌
CN102996992B (zh) 一种平板电脑放映架
WO2016184382A1 (zh) 一种用于桌子翻转收折的支撑架
TWI408302B (zh) 懸掛模組
CN103016930A (zh) 便携式电脑夹持装置
US9129537B1 (en) Display board for multimedia devices
GB2489190B (en) Case and stand for a portable computer
CN202361011U (zh) 活动支架
US8590854B1 (en) Reading material support system
CN103653783A (zh) 折叠式组合画板桌
CN203770976U (zh) 一种调节架
CN209755217U (zh) 巡检机器人
KR200422799Y1 (ko) 절첩형 휴대용 화판 이젤
CN204186786U (zh) 一种铰链及利用铰链制作的平板电脑支架
KR200467024Y1 (ko) 거치대를 구비하는 독서대
JP5263313B2 (ja) 情報端末支持部材
CN205480035U (zh) 一种可旋转壁挂的显示器底座
CN204512863U (zh) 行动装置支撑架
CN222337865U (zh) 一种可折叠式的会展展示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41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0928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5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