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66985Y1 - 절구와 채칼이 장착된 도마 - Google Patents

절구와 채칼이 장착된 도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985Y1
KR200466985Y1 KR2020130000481U KR20130000481U KR200466985Y1 KR 200466985 Y1 KR200466985 Y1 KR 200466985Y1 KR 2020130000481 U KR2020130000481 U KR 2020130000481U KR 20130000481 U KR20130000481 U KR 20130000481U KR 200466985 Y1 KR200466985 Y1 KR 2004669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tar
groove
mounting
knife
chopp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4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협
Original Assignee
이정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협 filed Critical 이정협
Priority to KR20201300004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9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9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98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0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cones
    • A47J42/04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cones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5Devices for gr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05Cutt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구와 채칼이 장착된 도마에 관한 것으로서, 도마의 일측에 마늘을 포함하는 각종 양념 재료를 빻을 수 있도록 하는 절구와 채를 썰 수 있는 채칼을 간편하게 수납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각종 음식 재료를 손질할 수 있는 도구가 추가로 구비되어 장착되는 도마에 있어서;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되고 저면 네 모서리와 인접하여 하부로 돌출된 지지대와, 길이가 짧은 두 개의 변 중 하나의 중앙에서 타측으로 사각으로 홈이 형성되고 내측 두 모서리는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연결되도록 라운드되는 장착홈을 구비하되, 상기 장착홈은 상면 내연부가 단턱지게 축소되는 채칼 장착단턱과 내연부가 하부로 갈수록 점차 축소되었다가 확장되는 절구 삽입돌부를 구비하는 도마판과; 상기 장착홈의 채칼 장착단턱에 상응하는 외연부를 가지고 삽입 안착되며, 상면에는 관통된 직사각형 형상의 채칼 장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채칼 장착홀의 하부에는 뒤집었을 때 채 썰기 작업을 할 수 있는 채칼편이 장착되는 채칼 장착뚜껑과; 둘레를 따라 상기 절구 삽입돌부에 상응하는 절구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구형으로 함몰되고 그 함몰된 표면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는 빻기홈과, 상기 빻기홈에 사용되는 절굿공이를 구비하는 절구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구의 하부에 장착되는 채받이 접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구와 채칼이 장착된 도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구와 채칼이 장착된 도마{The cutting board that have a mortar and a chef's knife}
본 고안은 절구와 채칼이 장착된 도마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마판의 일측에 마늘을 포함하는 각종 양념 재료를 빻을 수 있도록 하는 절구와 채를 썰 수 있는 채칼을 간편하게 수납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절구와 채칼이 장착된 도마에 관한 것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음식을 하기 위하여 재료를 손질하는 과정에서 가장 보편적인 도구는 칼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칼을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은 칼에 의한 가구나 기타 여러 물건의 흠집을 줄이는 전용 칼질을 위한 도구인 도마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도마 이외에도 각종 보조 기구 즉 야채를 채 썰기 위한 채칼, 마늘을 다지는 기구 등 다양한 기구들이 개발되어 보다 간편하게 음식 재료를 손질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아직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다양한 기구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오히려 번거로움을 느끼고 있어 거의 모든 재료를 도마와 칼로 손질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것은 능숙한 사람들에게 한정되는 것으로 도마 위에서 채를 썰거나 다지는 과정에서 도마 밖으로 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며 이렇게 손질한 재료를 옮기는 것도 도마를 들고 조리되는 음식 위에 칼을 이용하여 쓸어 넣는 동작에서 흘리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
하지만 일반 가정에서 도마에 비하면 사용 빈도도 극히 낮은 각종 전용 기구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은 부담감을 느끼게 되며 아주 소량의 채 썰기와 다지기 및 빻는 작업을 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보다 실제 가정에서 조리를 하는 사람의 입장을 고려한 기구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기존에 출원된 기술에서는 도마에 다양한 기구를 부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가지 선행 기술이 있으나 대부분은 기존의 도마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지장을 주게 되고
(특허 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0100038호 (2009년09월23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897830-0000호 (2009년05월08일) (특허 문헌 3)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1994-0009323호 (1994년05월17일) (특허 문헌 4)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1990-0000891호 (1990년01월31일) (특허 문헌 5)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2000-0007574호 (2000년05월06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마에서 각종 채소를 채 써는 작업과 마늘과 같은 양념을 빻을 수 있으면서 손질된 재료를 용이하게 옮길 수 있도록 하는 절구와 채칼이 장착된 도마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각종 음식 재료를 손질할 수 있는 도구가 추가로 구비되어 장착되는 도마에 있어서;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되고 저면 네 모서리와 인접하여 하부로 돌출된 지지대와, 길이가 짧은 두 개의 변 중 하나의 중앙에서 타측으로 사각으로 홈이 형성되고 내측 두 모서리는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연결되도록 라운드되는 장착홈을 구비하되, 상기 장착홈은 상면 내연부가 단턱지게 축소되는 채칼 장착단턱과 내연부가 하부로 갈수록 점차 축소되었다가 확장되는 절구 삽입돌부를 구비하는 도마판과;
상기 장착홈의 채칼 장착단턱에 상응하는 외연부를 가지고 삽입 안착되며, 상면에는 관통된 직사각형 형상의 채칼 장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채칼 장착홀의 하부에는 뒤집었을 때 채 썰기 작업을 할 수 있는 채칼편이 장착되는 채칼 장착뚜껑과;
둘레를 따라 상기 절구 삽입돌부에 상응하는 절구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구형으로 함몰되고 그 함몰된 표면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는 빻기홈과, 상기 빻기홈에 사용되는 절굿공이를 구비하는 절구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구의 하부에 장착되는 채받이 접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도마판의 채칼 장착단턱의 내부에는 친자성을 가진 금속이 내장되며, 상기 채칼 장착뚜껑의 상기 채칼 장착단턱에 상응하는 부분에는 자석이 내장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채받이 접시는 상단 대응하는 양측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삽입리브와, 상기 삽입리브의 일측 끝단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도마판의 저면 장착홈의 양측으로는 상기 삽입리브가 삽입되고 반대측은 막혀있는 삽입레일과, 상기 삽입레일의 입구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마로 사용할 수 있는 면적을 최대한 확보함과 동시에 채 썰기와 빻기 작업을 간편하게 하면서도 손질된 재료는 도마나 채칼로 된것은 하부의 채받이 접시로 절구로 작업한 것은 절구를 분리하여 직접 양념을 넣을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재료를 흘리는 것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구로 사용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칼로 사용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로서, 각종 음식 재료를 손질할 수 있는 도구가 추가로 구비되어 장착되는 도마에 있어서;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되고 저면 네 모서리와 인접하여 하부로 돌출된 지지대(11)와, 길이가 짧은 두 개의 변 중 하나의 중앙에서 타측으로 사각으로 홈이 형성되고 내측 두 모서리는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연결되도록 라운드되는 장착홈(12)을 구비하되, 상기 장착홈(12)은 상면 내연부가 단턱지게 축소되는 채칼 장착단턱(121)과 내연부가 하부로 갈수록 점차 축소되었다가 확장되는 절구 삽입돌부(122)를 구비하는 도마판(1)과;
상기 장착홈(12)의 채칼 장착단턱(121)에 상응하는 외연부를 가지고 삽입 안착되며, 상면에는 관통된 직사각형 형상의 채칼 장착홀(21)이 형성되며, 상기 채칼 장착홀(22)의 하부에는 뒤집었을 때 채 썰기 작업을 할 수 있는 채칼편(22)이 장착되는 채칼 장착뚜껑(2)과;
둘레를 따라 상기 절구 삽입돌부(122)에 상응하는 절구 삽입홈(31)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구형으로 함몰되고 그 함몰된 표면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는 빻기홈(32)과, 상기 빻기홈(32)에 사용되는 절굿공이(33)를 구비하는 절구(3)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구(3)의 하부에 장착되는 채받이 접시(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구와 채칼이 장착된 도마를 나타내었다.
본원에 따른 도마판(1)은 기존 다양한 기구가 장착되는 도마판(1)의 경우 다양한 기구에 의하여 가장 중요한 칼로 도마판(1) 위에서 손질하는 작업을 할 공간의 손실이 많거나 도마판(1)의 하부가 안정되게 지지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나 본원은 일반 가정에서 간단함 음식을 조리하는 도중에 비교적 소량의 채 썰기와 마늘이나 생강과 같은 것을 빻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도마판(1)의 채칼 장착단턱(121)의 내부에는 친자성을 가진 금속이 내장되며, 상기 채칼 장착뚜껑(2)의 상기 채칼 장착단턱(121)에 상응하는 부분에는 자석이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채칼 장착뚜껑(2)이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장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견고한 고정을 위한 구조는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이 있을 수 있으나 항상 음식 재료와 접하는 도마판(1)이기 때문에 홈이 형성되면 그 사이로 재료가 들어가 세척이 어려움을 겪는 등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가장 간단하면서도 깔끔한 결합이 되도록 제안한 것이다.
또, 본 고안에서는 상기 채받이 접시(4)는 상단 대응하는 양측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삽입리브(41)와, 상기 삽입리브(41)의 일측 끝단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42)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도마판(1)의 저면 장착홈(12)의 양측으로는 상기 삽입리브(41)가 삽입되고 반대측은 막혀있는 삽입레일(13)과, 상기 삽입레일(13)의 입구에 상기 고정돌기(42)가 삽입되는 고정홈(14)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채받이 접시(4)가 용이하게 하부에 삽입 장착되도록 하여 채 썰기를 마친 재료가 상기 채받이 접시(4)에 들어가게 되므로 이를 조리하던 음식에 넣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각 작업에 따른 사용상태도에 의하여 본원의 구성과 그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구로 사용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서, 평상시에는 절굿공이(33)는 채받이 접시(4)에 보관하게 되며 사용시에는 간편하게 절굿공이(33)를 꺼내고 채칼 장착뚜껑(2)을 분리한 후 절구 삽입홈(31)에 빻을 마늘이나 생강과 같은 재료를 넣고 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보통 가정에서 한두 개의 마늘을 빻을 경우에 보통 칼자루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 경우 마늘의 잔해가 사방으로 튀고 자칫 다칠 우려가 있으며, 손질된 마늘을 옮기기 위하여 도마를 들고 칼로 손질된 양념을 쓸어 넣는 작업을 하는 것이 대부분이기에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다.
하지만 본원은 전술한 과정에 의하여 작업을 마친 후 절구(3)를 분리하여 손질된 양념을 넣을 수 있도록 하여 그 작업이 간편하고 재료의 손실도 없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칼로 사용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서, 평상시 도마판(1)의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채칼 장착뚜껑(2)의 채칼편(22)이 상부로 돌출되면 다칠 우려가 있기에 본원은 상기 채칼편(22)의 저면에 장착하였다.
따라서 사용할 경우에는 채칼 장착뚜껑(2)과 절구(3)를 분리한 후 채칼 장착뚜껑(2)을 뒤집어서 상기 채칼 장착단턱(121)에 장착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1 : 도마판
11 : 지지대
12 : 장착홈
121 : 채칼 장착단턱 122 : 절구 삽입돌부
13 : 삽입레일
14 : 고정홈
2 : 채칼 장착뚜껑
21 : 채칼 장착홀 22 : 채칼편
3 : 절구
31 : 절구 삽입홈 32 : 빻기홈
33 : 절굿공이
4 : 채받이 접시
41 : 삽입리브 42 : 고정돌기

Claims (2)

  1. 각종 음식 재료를 손질할 수 있는 도구가 추가로 구비되어 장착되는 도마에 있어서;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되고, 저면 네 모서리와 인접하여 하부로 돌출된 지지대(11)와, 길이가 짧은 두 개의 변 중 하나의 중앙에서 타측으로 사각으로 홈이 형성되고 내측 두 모서리는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연결되도록 라운드되는 장착홈(12)을 구비하되, 상기 장착홈(12)은 상면 내연부가 단턱지게 축소되는 채칼 장착단턱(121)과 내연부가 하부로 갈수록 점차 축소되었다가 확장되는 절구 삽입돌부(122)를 구비하는 도마판(1)과;
    상기 장착홈(12)의 채칼 장착단턱(121)에 상응하는 외연부를 가지고 삽입 안착되며, 상면에는 관통된 직사각형 형상의 채칼 장착홀(21)이 형성되며, 상기 채칼 장착홀(22)의 하부에는 뒤집었을 때 채 썰기 작업을 할 수 있는 채칼편(22)이 장착되는 채칼 장착뚜껑(2)과;
    둘레를 따라 상기 절구 삽입돌부(122)에 상응하는 절구 삽입홈(31)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구형으로 함몰되고 그 함몰된 표면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는 빻기홈(32)과, 상기 빻기홈(32)에 사용되는 절굿공이(33)를 구비하는 절구(3)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구(3)의 하부에 장착되는 채받이 접시(4)로 구성되며,
    상기 채받이 접시(4)는 상단 대응하는 양측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삽입리브(41)와, 상기 삽입리브(41)의 일측 끝단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42)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도마판(1)의 저면 장착홈(12)의 양측으로는 상기 삽입리브(41)가 삽입되고 반대측은 막혀있는 삽입레일(13)과, 상기 삽입레일(13)의 입구에 상기 고정돌기(42)가 삽입되는 고정홈(14)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구와 채칼이 장착된 도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마판(1)의 채칼 장착단턱(121)의 내부에는 친자성을 가진 금속이 내장되며, 상기 채칼 장착뚜껑(2)의 상기 채칼 장착단턱(121)에 상응하는 부분에는 자석이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구와 채칼이 장착된 도마.
KR2020130000481U 2013-01-18 2013-01-18 절구와 채칼이 장착된 도마 Expired - Fee Related KR2004669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481U KR200466985Y1 (ko) 2013-01-18 2013-01-18 절구와 채칼이 장착된 도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481U KR200466985Y1 (ko) 2013-01-18 2013-01-18 절구와 채칼이 장착된 도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985Y1 true KR200466985Y1 (ko) 2013-05-23

Family

ID=53578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481U Expired - Fee Related KR200466985Y1 (ko) 2013-01-18 2013-01-18 절구와 채칼이 장착된 도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9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952B1 (ko) 2015-02-25 2016-02-1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채칼이 내장된 도마
KR20190107834A (ko) * 2018-03-13 2019-09-23 (주)유니 다기능 도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952B1 (ko) 2015-02-25 2016-02-1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채칼이 내장된 도마
KR20190107834A (ko) * 2018-03-13 2019-09-23 (주)유니 다기능 도마
KR102103742B1 (ko) * 2018-03-13 2020-05-29 (주)유니 다기능 도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2573B1 (en) Apparatus designed for fileting of fish
US2609024A (en) Food preparing device
JP5140250B2 (ja) すりおろし器
US20090282990A1 (en) Apparatus for cutting food items
US20120085850A1 (en) Food-grating system
JP5374274B2 (ja) トレー機能を有するまな板
US20190380543A1 (en) Modular cutting board and accessories
KR200466985Y1 (ko) 절구와 채칼이 장착된 도마
US8191881B1 (en) Portable cutting table and associated method
KR200432952Y1 (ko) 주방용 도마 및 도마 세트
KR200489773Y1 (ko) 양면형 도마
JP7154489B2 (ja) 調理器具及び調理器具セット
KR20130002580U (ko) 야채 절단기
KR200361204Y1 (ko) 칼갈이를 갖는 도마
US2567817A (en) Knife rest
CN211883512U (zh) 多功能抽屉式多层砧板
KR200468269Y1 (ko) 도마
KR20130002903A (ko) 회전식 도마
JP2934872B1 (ja) 多目的調理用具
KR200300816Y1 (ko) 칼갈이 기능을 겸비한 다용도 주방기구 정리대
JP2006117317A (ja) まな板機能を有する容器
JP3172247U (ja) まな板
CN202051599U (zh) 折叠式菜板
JP2019013721A (ja) 野菜調理器
KR960004076Y1 (ko) 주방용 서랍식 칼 도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11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5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8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3031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5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704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