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597Y1 - A home urin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 home urina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6597Y1 KR200466597Y1 KR2020110008915U KR20110008915U KR200466597Y1 KR 200466597 Y1 KR200466597 Y1 KR 200466597Y1 KR 2020110008915 U KR2020110008915 U KR 2020110008915U KR 20110008915 U KR20110008915 U KR 20110008915U KR 200466597 Y1 KR200466597 Y1 KR 20046659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rinal
- urination
- valve
- discharge
- height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30000027939 micturi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19122 Cucurbi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852 Cucurbita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10 flushing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85 urin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3—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other discharge from male memb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61G7/1007—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mounted on or in combination with a toilet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7—Waterless or low-flush urinals; Accessorie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rs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용 배뇨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소변기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세척수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소변기의 높이를 사용자의 배뇨 높이에 맞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물병을 결합시킬 경우 물병의 물도 세척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배뇨 높이에 맞춰 소변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과 승강부재를 구비하여 설치되는 높이 조절장치와, 상기 높이 조절장치의 승강부재에 설치되는 밸브부재에 의해 세척수의 공급 및 배출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소변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정용 배뇨장치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장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일정 길이로 형성된 고정통과, 상기 고정통 내부 하단에 고정베어링으로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회전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기어박스에 설치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usehold urination device, which can minimize the size of the urinal to reduce the amount of washing water used, and the height of the urinal can be conveniently us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s urination. The purpose is to make it available.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is a height adjusting device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and a lifting member to move the urinal according to the user's urination height, and the washing water by the valve member installed on the lifting member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In the home urination device comprising a urinal that is coupled to the supply and discharge of the,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the guide hole is formed and the fixed cylinder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rotating shaft is installed as a fixed bearing in the lower end of the fixed cylinder And a gearbox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rotating shaft to switch the rotational speed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and a handle installed at the gearbox to manually operate the gearbox.
Description
본 고안은 가정용 배뇨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소변기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세척수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소변기의 높이를 사용자의 배뇨 높이에 맞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물병을 결합시킬 경우 물병의 물도 세척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정용 배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usehold urination device, more specifically, to minimize the size of the urinal can reduce the amount of washing water used, and the height of the urinal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s urination while combining the water bott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usehold urination device that allows water to be used as washing water.
현재 대부분 가정은 좌변기만 설치되어 있을 뿐, 소변기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 남성들은 배뇨시 좌변기를 사용하게 된다. Currently, most households have only toilet seats. Urinals are not installed, and men will use toilet seats when urinating.
남성들이 배뇨시 좌변기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좌변기 물을 소변 세척수로 사용함으로써 물을 많이 낭비하게 된다. As men use the toilet when urinating, they use a lot of water to flush the toilet.
그리고 남성들은 좌변기를 이용한 배뇨시 대부분 서서 배뇨를 하기 때문에 소변이 좌변기 주변으로 튀기는 것은 물론 좌변기의 고인 물과 함께 소변이 튀어 좌변기의 주변을 오염시킨다.In addition, men are urinating because they stand mostly when urinating on the toilet, as well as urine splashing around the toilet, and contaminated around the toilet with urine.
또한, 좌변기는 소변이 좌변기 물에 떨어질 때 배뇨 소음을 발생시켜 화장실 이용을 불편하게 한다. In addition, the toilet seat makes urinary noise when urine falls into the toilet water, making the toilet uncomfortable.
상기한 바와 같이 남성들이 배뇨시 좌변기를 소변기로 이용함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남자용 소변기를 사용할 수 있지만 종래의 소변기는 가정의 욕실 겸용 화장실의 벽면 및 바닥에 세척수 공급관과 오수 배출관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공사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men can use urinals to relieve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toilet as a urinal for urination.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urinal has to install a washing water supply pipe and a sewage discharge pipe on the wall and floor of a bathroom with a bathroom in the home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construction costs.
또한, 종래의 소변기는 크기가 큼에 따라 점유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 때문에 공간이 부족한 가정의 욕실 겸용 화장실 내에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urinal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in the bathroom combined bathroom of the home space is insufficient because of the disadvantage of occupying a lot of occupied space as the size is large.
또한, 남성들이 가정에서 배뇨시 좌변기를 소변기로 사용함에 따라 좌변기 물을 소변 세척수로 사용함으로써 물을 많이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t of water is wasted by using the toilet water as the urine washing water as men use the toilet as a urinal when urinating at home.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배뇨 높이에 따라 남자 소변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배뇨 높이에 맞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male urinal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s urination,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us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s urination.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소변기에 비산방지턱을 형성하여 소변이 소변기 밖으로 튀지 않도록 차단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urine from splashing out of the urinal by forming a shatterproof jaw in the urinal.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한 가정용 배뇨장치에 소형 소변기를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세척, 점검 및 절수 등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such as cleaning, inspection and saving water by disassembling and installing a small urinal in a home urination device with a simple structur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변기본체를 배뇨 후 덮개로 덮어 둘 수 있어 소변기를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rine can be covered with a cover after urination to maintain the urinal clean.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소변기의 사용 높이를 조절하여 배뇨거리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뇨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urination noise by adjusting the use height of the urinal to shorten the urination distanc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배뇨 높이에 맞춰 소변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과 승강부재를 구비하여 설치되는 높이 조절장치와, 상기 높이 조절장치의 승강부재에 설치되는 밸브부재에 의해 세척수의 공급 및 배출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소변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정용 배뇨장치에 있어서,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is a height adjusting device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and a lifting member to move the urinal according to the user's urination height, and the washing water by the valve member installed on the lifting member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In the household urination device comprising a urinal that is coupled to supply and discharge of,
상기한 높이 조절장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일정 길이로 형성된 고정통과, 상기 고정통 내부 하단에 고정베어링으로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회전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기어박스에 설치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a guide hole is formed and formed in a fixed length, the rotating shaft is installed in the lower end of the fixed cylinder with a fixed bearing, and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shaft to switch the rotational speed and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The gearbox is install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ndle installed in the gearbox to manually operate the gearbox.
상기한 밸브부재는, 소변기를 걸 수 있는 걸이홈이 형성된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의 일측에 호스가 연결되는 공급/배출연결관과, 상기 공급/배출연결관을 일측에 형성한 배출/공급통로와, 상기 배출통로 내에 소변 및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게 설치되는 역류차단밸브와, 공급통로에 세척버튼 조작시 세척수가 분출노즐을 통해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alve member includes a valve body having a hook groove for hanging a urinal, a supply / discharge connection tube to which a hos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valve body, and a discharge / supply formed at one side of the supply / discharge connection tube. A passage, a reverse flow shutoff valve installed to prevent backflow of urine and washing water in the discharge passage, and an on / off valve installed to supply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spray nozzle when the washing button is operated in the supply passage.
상기한 밸브부재에는, 소변이 튀지 않도록 형성되고 절수가 용이하도록 소형으로 형성되며 밸브체에 분해 및 결합 가능하게 소변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alv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rine is formed so as not to splatter and is compactly formed to facilitate water saving, and a urinal is installed in the valve body so as to be disassembled and coupled.
상기한 소변기는, 일정 모양으로 형성되는 변기본체와, 상기 밸브체의 걸이홈에 걸리는 걸이판과 분출노즐이 삽입되는 삽입공과 배출통로에 삽입되는 배출구와 그 아래에 결합유지판 등이 변기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를 형성한 측벽의 내부 바닥에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측벽 상단 둘레에 튀는 소변을 차단하게 형성되는 비산 방지턱과, 상기 측벽 일측에 변기본체를 열고 닫을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rinal may include a toilet body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hanger plate and a jet nozzle are inserted into a hook groove of the valve body, an outlet port inserted into a discharge passage, and a coupling holding plate beneath it. A coupling part formed at one side, a scattering prevention jaw formed to block urine splashing around the top of the side wall while forming an inclined surface on the inner bottom of the side wall at which the coupling part is formed, and installed to close and open the valve body on one side of the side wal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ver.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배뇨 높이에 맞춰 소변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과 승강부재를 구비하여 설치되는 높이 조절장치와, 상기 높이 조절장치의 승강부재에 설치되는 밸브부재에 의해 세척수의 공급 및 배출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소변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정용 배뇨장치에 있어서,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upply and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by the height adjusting device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and the lifting member and the valve member installed on the lifting member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to move the urinal according to the user's urination height In the household urination device comprising a urinal that is possibly coupled,
상기 밸브부재에는 걸이홈이 형성된 밸브체의 배출연결관에 호스가 연결되는 일측에 형성된 배출/공급통로 중 공급통로 내에 세척버튼의 조작시 개구되는 개폐밸브가 설치되되, 상기 밸브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일정 용량의 물병이 공급통로에 연결되도록 하는 물병결합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alve member is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valve which is opened when the washing button is operated in the supply passage of the discharge / supply passage formed at one side of the discharge connection pipe of the valve body having the hook groove formed thereon,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bottle coupling hole is further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upply passage of a predetermined capacity of the water bottle.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배뇨 높이에 맞춰 소변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과 승강부재를 구비하여 설치되는 높이 조절장치와, 상기 높이 조절장치의 승강부재에 설치되는 밸브부재에 의해 세척수의 공급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결합 설치되는 소변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정용 배뇨장치에 있어서,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upply and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by the height adjust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and the lifting member to move the urinal according to the user's urination height, and the valve member installed on the lifting member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In the household urination device comprising a urinal coupled to be possible to,
상기한 높이 조절장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일정 길이로 형성된 고정통 내부 하단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고정통 내부의 상단에 고정베어링으로 지지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에 설치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밸브부재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소변기를 상·중·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모터를 작동시키는 상단· 중간·하단 조작스위치들을 구비한 조작판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ight adjustment device, the lifting hole is installed on the motor is installed in the lower end of the fixed cylinder formed in the guide hole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rotating shaft is supported by the fixed bearing on the upper end of the fixed cylinder and installed to rotate by the motor And an operation panel having upper, middle, and lower operation switches for operating the motor to move the urinal installed to the elevating member by using the valve member to the upper, middle, and lower positions. do.
본 고안에 의하면, 소형 소변기를 분해 조립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세척 및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세척수 양을 최대로 절수할 수 있어 유지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isassembling and installing the small urinal, the washing and inspection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amount of washing water can be saved to the maximum, thereby effectively maintaining the maintenance.
또한, 소변기의 높이를 조절하여 배뇨거리를 단축함으로써, 배뇨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reducing the urination distanc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urina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inimize the noise during urination.
또한, 사용자의 배뇨 높이에 따라 남자 소변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배뇨 높이에 맞춰 편리하게 소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ale urinal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rination of the us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conveniently to the urination height of the user.
또한, 가정용 배뇨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설치함으로써, 세척수의 양 및 설치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simply installing the structure of the household urination devic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save the amount of water and installation cost.
또한, 소변기에 덮개를 설치함으로써, 배뇨 후 덮개로 덮어 둘 수 있어 소변기를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cover in the urinal, it can be covered with a cover after urination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urinal clean.
또한, 소변기에 비산 방지턱을 형성하여 튀는 소변이 소변기 밖으로 소변이 튀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소변기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splash prevention jaw in the urinal to prevent the splashing urine splashing out of the urinal, there is an effect to keep the surrounding urinal clean.
또한, 가정용 배뇨장치에 물통을 설치하여 물통의 물을 세척수로 사용하고, 물통의 물이 줄면 패트병, 바가지 및 호스 등을 사용해 물보충구를 통해 간단히 보충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bucket in the home urination device to use the water in the bucket as the wash water, and if the water in the bucket is reduced by using a plastic bottle, gourd and hose, etc. can be easily replenished through the water replenishment, there is a convenient effect.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배뇨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밸브부재에 결합된 소변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소변기의 분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배뇨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밸브부재에 결합된 소변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 따른 가정용 배뇨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나타낸 가정용 배뇨장치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1 is a view showing a household urin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urinal coupled to the valve member shown in Fig. 1.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separation of the urinal shown in FIG. 1. FIG.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household urin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rinal coupled to the valve member shown in Fig. 4.
6 is a view showing a household urina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household urination device shown in FIG. 6; FIG.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1>≪ Example 1 >
가정용 배뇨장치(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배뇨 높이에 맞춰 소변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높이 조절장치(20)와, 상기 높이 조절장치(20)에 세척수의 공급 및 배출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소변기(4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상기한 높이 조절장치(20)는 일정 길이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전면에 가이드홀(24h)이 형성된 고정통(24)을 구비한다. 고정통(24)은 설치부재에 의해 화장실 벽면에 간단하게 설치된다. The
고정통(24) 내부에는 하단이 고정베어링(25)으로 지지되는 회전축(22)이 설치된다. Inside the fixed
상기 회전축(22)의 상단에는 회전축(22)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어박스(G)가 설치된다. 기어박스(G)에는 고정통(24)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핸들(60)이 설치된다. 기어박스(G)는 핸들(60)을 돌리면 도시하지 않은 내부의 기어들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22)을 빠르게 회전시킨다. The upper end of the
고정통(24)에 노출된 핸들(60)은 소변기(40) 이용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고정통(24)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회전축(22)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홀(24h)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승강부재(23)가 설치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승강부재(23)는 회전축(22)에 나사 결합되고 세척수를 공급하는 호스(H1)와 소변 및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호스(H2)가 내부에 배치된다. The elevating
승강부재(23)에 배치된 호스(H1)는 수도밸브에 일측이 연결되고 밸브부재(V)의 공급연결관(53)에 타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호스(H2)는 밸브부재(V)의 배출연결관(54)에 일측이 연결되고 오수 배출관(도시하지 않은)에 타측이 연결된다.The hose H1 disposed on the elevating
승강부재(23)에는, 세척수의 공급, 소변 및 세척수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는 밸브부재(V)가 설치된다. The
밸브부재(V)에는 세척수를 분출시키는 세척버튼(66)이 설치되어 있다. 세척버튼(66)은 누르면 세척수가 공급되고 떼면 세척수가 차단되는 원터치 타입이 바람직하고 원터치 타입외에 감지식, 수동식 등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The valve member V is provided with a
또한, 밸브체(50)에는 호스(H1)(H2)가 연결되고 배출/공급통로(51)(56)와 연결되는 공급/배출연결관(53)(54)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배출통로(51) 내에는 소변 및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고 냄새까지 차단하는 는 역류차단밸브(58)가 설치된다.The
밸브체(50)내에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공급통로(56)를 세척밸브(66)의 조작시 개폐하는 개폐밸브(57)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밸브(57)는 세척밸브(66)의 조작시 세척수가 분출노즐(59)을 통해 분출되도록 한다. The
또한, 상기 밸브부재(V)에는 밸브체(50)의 걸이홈(46)을 이용하는 결합부(49)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소형 소변기(40)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valve member (V) is provided with a
결합부(49)에는, 밸브체(50)의 걸이홈(46)에 걸리는 걸이판(45p)과 분출노즐(59)이 삽입되는 삽입공(49h)과 배출통로(51)에 삽입되는 배출구(43)와 그 아래에 결합유지판(44) 등이 형성된다.The
소변기(40)는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해 작은 원형 형태로 제조되고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세척, 점검 및 절수 등을 할 수 있다. The
결합부(49)에는, 변기본체(42)의 경사면과 측벽에 세척수가 분출구(40h)를 통해 고르게 분사되도록 하는 돔형태의 세척수 분출부(40p)가 삽입공(49h)의 정면에 형성되어 있다. In the
그리고 소변기(40)는 소변 및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하고 밸브체(50)의 배출통로(51)에 결합되는 배출구(43)가 형성된다. 배출구(43)는 하부의 결합유지판(44)과 함께 소변기(40)가 밸브부재(V)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And the
상기 소변기(40)에는, 튀는 소변을 차단하도록 하는 비산 방지턱(41)과 배뇨 전후에 변기본체(42)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덮개(47)가 설치되어 있어 있다.The
비산 방지턱(41)은 튀는 소변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측벽(45)의 상단 내측 둘레에 형성된다.
또한, 소변기(40)를 밸브체(50)에 분리하는 경우는, 배출구(43)와 결합유지판(44)측을 먼저 위로 올려 분리하고 밸브체(50)의 걸이홈(46)에 걸린 걸이판(45p)을 연속해서 들어 올리면 쉽게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separating the
밸브체(50)에서 분리시킨 소변기(40)는 세척이나 점검을 끝낸 후 분리 순서와 반대 순서로 결합시키면 밸브체(50)에 다시 견고하게 시킬 수 있다.The
<실시예2>≪ Example 2 >
가정용 배뇨장치(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배뇨 높이에 맞춰 소변기(4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22)과 승강부재(23)를 구비하여 설치되는 높이 조절장치(20)와, 상기 높이 조절장치(20)의 승강부재(23)에 설치되는 밸브부재(V)에 의해 세척수의 공급 및 배출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소변기(40)를 포함한다. 4 and 5, the
상기한 밸브부재(V)에는 마개(55c)가 구비되고 밸브체(50)의 상부에 일정 용량의 물병(P)을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물병결합홀(55)이 형성되어 있다.The valve member (V) is provided with a stopper (55c) is formed with a water bottle coupling hole (55) for coupling the water bottle (P) of a predetermined capacity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alve body (50).
밸브부재(V)는 물병(P)이 설치되기 때문에 수도와 연결되는 호스(H1)와 공급연결관(53) 등은 생략된다. Since the valve member (V) is provided with a water bottle (P), the hose (H1) and supply connection pipe (53), etc., which ar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are omitted.
물병결합홀(55)은 공급통로(56)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물병(P)을 자주 교환하는 불편을 줄이기 위하여, 예를 들어 물병(P)은 물을 하루정도 쓸 수 있는 크기이면 바람직하다. The water
이러한 물병(P)에는 뚜껑(P1)에 의해 개폐되는 물보충구(P2)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물병(P)의 물보충구(P2)는 물병(P)에 패트병, 바가지 및 호스 등을 이용하면 물 보충을 쉽게 할 수 있다.Water bottle (P) is formed on the top of the water refill opening (P2)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the lid (P1). Water refill (P2) of the water bottle (P) can be easily replenished by using a plastic bottle, gourd and hose, etc. in the water bottle (P).
또한, 밸브체(50)에는 물병결합홀(55)이 일측에 형성되는 공급통로(56)에 개폐밸브(57)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개폐밸브(57)는 공급통로(56)를 차단하고 있다가 세척밸브(66)가 조작되면 물병(P)의 물이 공급되도록 개방된다. The on-off
물병(P) 물은 단전 및 단수시 물보충구(P2)를 통해 물병(P)에 물을 보충해 두면 별도의 용기에 세척용 물을 담아두는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어 소변기(40)를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다. Water bottle (P) The water can be used without discomfort to put the water for washing in a separate container if you replenish the water in the water bottle (P) through the water supplement (P2) in the case of power failure and water Can be washed
<실시예3>≪ Example 3 >
가정용 배뇨장치(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배뇨 높이에 맞춰 소변기(4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22)과 승강부재(23)를 구비하여 설치되는 높이 조절장치(20)와, 상기 높이 조절장치(20)의 승강부재(23)에 설치되는 밸브부재(V)에 의해 세척수의 공급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결합 설치되는 소변기(40)를 포함한다.6 and 7, the
상기한 높이 조절장치(20)는, 가이드홀(24h)이 형성되고 일정 길이로 형성된 고정통(24) 내부 하단에 설치되는 모터(21)를 구비한다. 모터(21)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스텝모터 등이 사용된다.The
상기 고정통(24) 내부에는 상단에 고정베어링(25)으로 지지되고 모터(2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2)이 설치된다.The fixed
회전축(22)에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승강부재(23) 및 밸브부재(V)를 사용해 소변기(40)가 설치된다.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상기한 소변기(4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고정통(24)에는, 모터(21)에 전원을 인가하고 소변기(40)가 설정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모터(21)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판넬(10)이 설치되어 있다.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조작판넬(10)에는, 소변기(40)를 상·중·하 위치 중 하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조작스위치(S)들과 스위치 및 모터(21)의 작동을 확인할 수 있는 램프(R)가 설치되어 있다. On the
조작스위치(S)는, 소변기(40)를 상단에 위치시킬 수 있는 상단스위치(S1)와 소변기(40)를 중간에 위치시킬 수 있는 중간스위치(S2)와 소변기(40)를 하단에 위치시킬 수 있는 하단스위치(S3)를 포함한다. Operation switch (S), the upper switch (S1) that can be placed on the
상단스위치(S1)를 조작하면, 소변기(40)는 모터(21)의 작동과 회전축(22)의 회전에 의해 성인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When the upper switch (S1) is operated, the
중간스위치(S2)를 조작하면, 소변기(40)는 모터(21)의 작동과 회전축(22)의 회전에 의해 청소년이 이용할 수 있도록 중간에 위치하게 된다.When operating the intermediate switch (S2), the
또한, 하단스위치(S3)를 조작하면, 소변기(40)는 모터(21)의 작동과 회전축(22)의 회전에 의해 어린이들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operating the lower switch (S3), the
그리고 성인, 청소년, 어린이에 맞춰 조작스위치(S)를 구분하고 있지만 여기에 제한받지 않고 사용자의 배뇨 높이에 맞는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And although the operation switch (S) is divided according to adults, adolescents, children,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it is possible to use a switch suitable for the height of the user's urina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실시예1>≪ Example 1 >
가정용 배뇨장치(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준형 반자동식으로 핸들(60)을 수동 조작하여 소변기(40)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하는 장치이다.Home urination device (2) is a device us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먼저, 소변기(40)가 사용자의 배뇨 높이에 위치할 때까지 핸들(60)을 돌린다.First, turn the
핸들(60)을 돌릴 때 성인이면 소변기(40)를 상단에 위치시키고 청소년이면 소변기(40)를 중간에 위치시키며 어린이는 소변기(40)를 하단에 위치시키면 된다. When turning the
소변기(40)의 높이 조절이 끝나면, 소변기(40)에 배뇨를 하고 밸브체(50) 상의 세척밸브(66)를 눌러 세척수를 분출시킨다. 이때 변기본체(42)를 덮개(47)로 닫은 후 세척밸브(66)를 눌러 세척수가 소변기(40) 밖으로 튀지 않도록 한다. After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세척밸브(66)의 조작으로 밸브체(50)의 공급통로(56)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는 개구된 개폐밸브(57)에 설치된 분출노즐(59)을 통해 분출된다.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분출노즐(59)에서 분출된 세척수는 세척수 분출부(40p)의 분출구(40h)를 통해 소변기(40)에 고르게 분출되어 변기본체(42)를 깨끗이 세척하게 된다.The washing water jetted from the
소변 및 변기본체(42)를 세척한 세척수는 배출구(43)와 배출통로(51)에 연결된 호스(H2)를 거쳐 도시하지 않은 오수 배출관으로 배출된다. 이때 소변 냄새, 소변 및 세척수는 역류차단밸브(58)에 의하여 소변기(40)측으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Washing water for washing the urine and the
<실시예2>≪ Example 2 >
가정용 배뇨장치(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급형 수동식으로 단전 및 단수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이러한 배뇨장치(2)는, 물통(P)의 물을 세척수로 사용하기 위하여 일정 용량의 물통(P)이 결합되는 장치이다. This urination device (2) is a device in which a bucket (P) of a predetermined capacity is combined to use the water in the bucket (P) as washing water.
즉, 소변 세척수용으로 하루 정도 쓸 수 있는 크기의 물통(P)을 밸브체(50)에 결합시키면 소변기(40) 주변에 별도의 물통을 준비하거나 배뇨시마다 물통(P)에 물을 채워야하는 불편없이 사용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combined with a bucket (P) of the size that can be used for a day for urine washing water to the
그리고 물통(P)의 물은 물통(P)의 상부에 설치된 뚜껑(P1)을 열고 물보충구(P2)를 통해 보충할 수 있고 1회 보충하면 하루 정도 쓸 수 있다. And the water of the bucket (P) can be replenished through the water refill (P2) by opening the lid (P1)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ucket (P), and can be used once a day to replenish.
소변기(40) 사용이 준비되면, 먼저 핸들(60)을 돌려 소변기(40)의 위치를 사용자의 배뇨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나서 배뇨를 한다.When the
배뇨가 끝나면 세척밸브(66)를 눌러 세척수가 변기본체(42)를 세척하도록 한다. 이때 변기본체(42)를 덮개(47)로 덮은 후 세척밸브(66)를 누른다. After urination is completed, the
세척밸브(66)를 누르게 되면 개폐밸브(57)는 개구되고 물통(P)의 물은 개폐밸브(57)에 설치된 분출노즐(59)에서 분출된다. When the
분출노즐(59)을 통해 분출된 세척수는 세척수 분출부(40p)의 분출구(40h)를 통해 소변기(40)에 넓게 분출됨으로써 변기본체(42)를 세척하게 된다. The washing water jetted through the
소변 및 변기본체(42)를 세척한 세척수는 소변기(40)의 배출구(59)를 통해 배출된다. The washing water for washing the urine and the
<실시예3>≪ Example 3 >
가정용 배뇨장치(2)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급형 자동식으로 핸들(60)을 돌리지 않고서도 조작스위치(S)만 누르면 소변기(40)가 배뇨 위치로 이동하도록 한 장치이다.As shown in FIG. 6, the
이러한 가정용 배뇨장치(2)는, 고정통(24)의 조작판넬(10)에 구비된 조작스위치(S)만 누르면 소변기(4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this
즉, 전원스위치에 의해 전원이 온(on)상태일 때 상단스위치(S1)를 조작한다.That is, the upper switch S1 is operated when the power is turned on by the power switch.
상단스위치(S1)의 신호에 따라 정회전하는 모터(21)와 회전축(22)에 의해 소변기(40)는 설정된 위치까지 상승하게 된다.In response to the signal of the upper switch S1, the
상단에 위치한 소변기(40)는, 성인들의 배뇨를 용이하게 한다. The
그리고 하단스위치(S3)를 조작하면 스위치 신호에 의해 모터(21)와 회전축(22)은 역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소변기(40)는 설정된 위치까지 하강하게 된다.When the lower switch S3 is operated, the
하강하여 하단에 위치한 소변기(40)는, 어린이들의 배뇨를 쉽게 한다.
또한, 중간스위치(S2)를 조작하면 스위치 신호에 의해 모터(21)와 회전축(22)은 소변기(40)의 전 위치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intermediate switch S2 is operated, the
중간스위치(S2)의 조작으로 중간에 위치하게 되는 소변기(40)는, 청소년들의 배뇨를 쉽게 한다.The
상기한 상단스위치(S1), 중간스위치(S2) 및 하단스위치(S1)는 성인, 청소년 및 어린이로 편의상 구분하여 사용지만 여기에 제한받지 않고 사용자의 배뇨 높이에 맞는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The upper switch (S1), the middle switch (S2) and the lower switch (S1) are used for convenience as adults, adolescents and children, but not limited to this can be used for a switch suitable for the user's urination height.
상기한 조작스위치(S)의 조작을 통해 소변기(40)가 배뇨 위치에 멈추면, 배뇨를 하고 세척밸브(66)를 누른다. 이때 변기본체(42)를 덮개(47)로 덮은 후 세척밸브(66)를 누른다.When the
세척밸브(66)를 눌러 개폐밸브(57)가 개구되면 세척수는 분출노즐(59)을 통해 소변기(40)에 분출된다. When the on-off
소변기(40)를 세척한 세척수는 배출구(43)와 배출연결관(54)에 연결된 호스(H2)를 통해 배출된다.
The washing water having washed the
10: 조작판넬 20: 높이 조절장치
21: 모터 22: 회전축
23: 승강부재 24: 고정통
24h: 가이드홀 40: 소변기
41: 비산 방지턱 42: 변기본체
43: 배출구 44: 결합유지판
45: 측벽 45p: 걸이판
46: 걸이홈 47: 덮개
50: 밸브체 51: 배출통로
53: 공급연결관 54: 배출연결관
55: 물병결합홀 55c: 마개
56: 공급통로 57: 3방향밸브
58: 역류차단밸브 59: 분출노즐
H1,H2: 호스 P: 물병
P1: 뚜껑 P2: 물보충구
S: 조작스위치 R: 램프
V: 밸브부재10: operation panel 20: height adjustment device
21: motor 22: rotating shaft
23: lifting member 24: fixed cylinder
24h: guide hole 40: urinal
41: shatterproof jaw 42: valve body
43: outlet 44: bonding holding plate
45: side wall 45p: hanger
46: hanger 47: cover
50: valve body 51: discharge passage
53: supply connector 54: discharge connector
55: water
56: supply passage 57: three-way valve
58: backflow shutoff valve 59: jet nozzle
H1, H2: Hose P: Water Bottle
P1: lid P2: water filler
S: Operation switch R: Lamp
V: valve member
Claims (6)
상기 높이 조절장치(20)는,
가이드홀(24h)이 형성되고 일정 길이로 형성된 고정통(24)과, 상기 고정통(24) 내부 하단에 고정베어링(25)으로 설치되는 회전축(22)과, 상기 회전축(22)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회전축(22)의 상단에 설치되는 기어박스(G)와, 상기 기어박스(G)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기어박스(G)에 설치되는 핸들(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배뇨장치.Height adjusting device 20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22 and the lifting member 23 to move the urinal 40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urination height, and the lifting member 23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20 In the household urination device comprising a urinal (40) coupled to the supply and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by the valve member (V) installed in the),
The height adjusting device 20,
Guide hole 24h is formed and the fixed cylinder 24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the rotary shaft 22 is installed as a fixed bearing 25 in the lower end of the fixed cylinder 24,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ry shaft 22 And a gearbox G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rotation shaft 22 to switch the rotation direction, and a handle 60 installed at the gearbox G to manually operate the gearbox G. Household urination device comprising a.
상기 밸브부재(V)는,
소변기(40)를 걸 수 있는 걸이홈(46)이 형성된 밸브체(50)와, 상기 밸브체(50)의 일측에 호스(H1)(H2)가 연결되는 공급/배출연결관(53)(54)과, 상기 공급/배출연결관(53)(54)을 일측에 형성한 배출/공급통로(51)(56)와, 상기 배출통로(51) 내에 소변 및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게 설치되는 역류차단밸브(58)와, 공급통로(56)에 세척버튼 조작시 세척수가 분출노즐(59)을 통해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개폐밸브(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배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valve member (V),
A valve body 50 having a hook groove 46 for hanging the urinal 40 and a supply / discharge connecting pipe 53 to which a hose H1 and H2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valve body 50 ( 54), discharge / supply passages 51 and 56 having the supply / discharge connection pipes 53 and 54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installed to prevent backflow of urine and washing water in the discharge passage 51; A backwash shutoff valve (58), and a home urin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n-off valve (57) which is installed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spray nozzle (59) when operating the washing button in the supply passage (56).
상기 밸브부재(V)에는,
소변이 튀지 않도록 형성되고 절수가 용이하도록 소형으로 형성되며 밸브체(50)에 분해 및 결합 가능하게 소변기(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배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valve member (V),
It is formed so that the urine does not splash and is formed small to facilitate the saving water, the urination device 40, characterized in that the urinal (40) is installed to be disassembled and coupled to the valve body (50).
상기 소변기(40)는,
일정 모양으로 형성되는 변기본체(42)와, 상기 밸브체(50)의 걸이홈(46)에 걸리는 걸이판(45p)과 분출노즐(59)이 삽입되는 삽입공(49h)과 배출통로(51)에 삽입되는 배출구(43)와 그 아래에 결합유지판(44) 등이 변기본체(42)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49)와, 상기 결합부(49)를 형성한 측벽(45)의 내부 바닥에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측벽(45) 상단 둘레에 튀는 소변을 차단하게 형성되는 비산 방지턱(41)과, 상기 측벽(45) 일측에 변기본체(42)를 열고 닫을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덮개(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배뇨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urinal 40,
Insertion hole (49h) and discharge passage (51) into which the valve body (42)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the hook plate (45p) and the ejection nozzle (59) caught by the hook groove (46) of the valve body (50) are inserted. The coupling portion 49 formed at one side of the valve body 42 and the coupling retaining plate 44 and the like, which are inserted into the outlet port 43, and the side wall 45 formed with the coupling portion 49. Shatter prevention jaw 41 is formed to block the urine splashing around the top of the side wall 45 while forming an inclined surface on the inner bottom, and a cover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toilet body 42 on one side of the side wall 45 ( 47) A household urination device comprising a).
상기 밸브부재(V)에는,
걸이홈(46)이 형성된 밸브체(50)의 배출연결관(54)에 호스(H2)가 연결되는 일측에 형성된 배출/공급통로(51)(56) 중 공급통로(56) 내에 세척버튼(66)의 조작시 개구되는 개폐밸브(57)가 설치되되, 상기 밸브체(50)의 상부에 결합되는 일정 용량의 물병(P)이 공급통로(56)에 연결되도록 하는 물병결합홀(55)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배뇨장치.Height adjusting device 20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22 and the lifting member 23 to move the urinal 40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urination height, and the lifting member 23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20 In the household urination device (2) comprising a urinal (40) coupled to the supply and discharge of the wash water by the valve member (V) installed in the),
In the valve member (V),
A washing button in the supply passage 56 of the discharge / supply passages 51 and 56 formed at one side to which the hose H2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connection pipe 54 of the valve body 50 in which the hook groove 46 is formed ( Opening and closing valve 57 which is open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66 is installed, the water bottle coupling hole 55 to connect the water bottle (P) of a predetermined capacit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alve body 50 to the supply passage (56) Household urin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s further formed.
상기 높이 조절장치(20)는,
가이드홀(24h)이 형성되고 일정 길이로 형성된 고정통(24) 내부 하단에 설치되는 모터(21)와, 상기 고정통(24) 내부의 상단에 고정베어링(25)으로 지지되고 모터(21)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22)에 설치되는 승강부재(23)와, 상기 승강부재(23)에 밸브부재(V)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소변기(40)를 상·중·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모터(21)를 작동시키는 상단·중간·하단 조작스위치(S)들을 구비한 조작판넬(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배뇨장치.Height adjusting device 20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22 and the lifting member 23 to move the urinal 40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urination height, and the lifting member 23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20 In the household urination device (2) comprising a urinal (40) coupled to be installed so that the supply and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by the valve member (V) installed in the),
The height adjusting device 20,
A guide hole 24h is formed and the motor 21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ed cylinder 24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supported by the fixed bearing 25 at the upper end of the fixed cylinder 24 and the motor 21. Moves the elevating member 23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22 installed to rotate by means of the urging member 23 and the urinal 40 installed on the elevating member 23 using the valve member V to the upper, middle and lower positions. Household urina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control panel (10) having a top, middle, bottom operation switches (S) for operating the motor (21) to enab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8915U KR200466597Y1 (en) | 2011-10-06 | 2011-10-06 | A home urina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8915U KR200466597Y1 (en) | 2011-10-06 | 2011-10-06 | A home urinat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2284U KR20130002284U (en) | 2013-04-16 |
KR200466597Y1 true KR200466597Y1 (en) | 2013-04-25 |
Family
ID=51386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8915U KR200466597Y1 (en) | 2011-10-06 | 2011-10-06 | A home urina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6597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5733A (en) | 2015-07-06 | 2017-01-16 | 에코홈즈 주식회사 | Home urinal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6712B1 (en) * | 2018-03-02 | 2018-07-10 | 이정희 | Urine scatter prevention apparatu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17010A (en) * | 1992-10-08 | 1994-04-26 | Mesukiito:Kk | Tubular urinal |
KR200240390Y1 (en) | 2001-04-18 | 2001-10-11 | 김정혁 | Urinal capable of controlling height for men |
JP3153178U (en) * | 2009-06-02 | 2009-08-27 | 繁 冨山 | Raised flush toilet |
KR101059127B1 (en) | 2008-04-28 | 2011-08-25 | 전미영 | Multi-Function Variable Dispenser |
-
2011
- 2011-10-06 KR KR2020110008915U patent/KR200466597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17010A (en) * | 1992-10-08 | 1994-04-26 | Mesukiito:Kk | Tubular urinal |
KR200240390Y1 (en) | 2001-04-18 | 2001-10-11 | 김정혁 | Urinal capable of controlling height for men |
KR101059127B1 (en) | 2008-04-28 | 2011-08-25 | 전미영 | Multi-Function Variable Dispenser |
JP3153178U (en) * | 2009-06-02 | 2009-08-27 | 繁 冨山 | Raised flush toile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5733A (en) | 2015-07-06 | 2017-01-16 | 에코홈즈 주식회사 | Home urin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2284U (en) | 2013-04-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3357B1 (en) | Water-saving toilet | |
CN103015508B (en) | toilet | |
US20130055496A1 (en) | Flush water tank apparatus and discharge apparatus | |
JP2009114838A (en) | Openable/closable twin tank type flushing water container using recycled water | |
JP2018534451A (en) | Self-cleaning toilet assembly and system | |
KR200466597Y1 (en) | A home urinating apparatus | |
KR100980398B1 (en) | Waterway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water to the automatic flushing device of toilet bowl by using water pressure and human body load | |
KR101120636B1 (en) | bidet and bowl | |
CN109577437B (en) | A multi-purpose toilet system | |
JP2002364040A (en) | Pumping drainage device and pumping drainage toilet making use thereof | |
CN202248192U (en) | Closestool | |
JP2010236201A (en) | Flush toilet bowl | |
KR200439371Y1 (en) | Water saving toilet seat | |
JP2008303691A (en) | Water closet | |
JP2009002054A (en) | Water closet | |
CN203924285U (en) | A kind of anti-urine being arranged on toilet spatters device | |
KR101282271B1 (en) | Bowl make-up water supply adjustable toilet fixture of the make-up water supply hose | |
KR20120034869A (en) | Toilet stool system using drainaged water | |
CN113374044A (en) | Intelligent toilet lid and intelligent toilet with same | |
JP2011214277A (en) | Flush toilet bowl | |
JP4017849B2 (en) | Flush toilet equipment | |
CN216948613U (en) | toilet | |
CN217027349U (en) | Energy-concerving and environment-protective intelligent closestool | |
CN2913472Y (en) | Water-saving device | |
KR101020101B1 (en) | Water supply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water to the automatic flushing device of toilet bowl by using hydraulic pressure and human body loa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1006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1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304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41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6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2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