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660Y1 - Infant carrier with safety device - Google Patents
Infant carrier with safet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5660Y1 KR200465660Y1 KR2020120007755U KR20120007755U KR200465660Y1 KR 200465660 Y1 KR200465660 Y1 KR 200465660Y1 KR 2020120007755 U KR2020120007755 U KR 2020120007755U KR 20120007755 U KR20120007755 U KR 20120007755U KR 200465660 Y1 KR200465660 Y1 KR 20046566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ant
- shoulder strap
- safety
- hug pad
- safety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장치가 구비된 유아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가 앉는 시트부(10)에 허그패드(30) 및 어깨띠(40)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캐리어(1)에 있어서, 상기 허그패드(30) 및 어깨띠(40)를 결속하는 체결버클(45)에 안전고리(51) 및 상기 안전고리(51)에 결속되는 안전밴드(52)로 이루어진 안전장치(50)를 형성하고, 다른 한편으론 상기 허그패드(30)에 가슴벨트(60)를 더 형성함으로써, 유아 등에 의하여 체결버클(45)이 불시에 해체되더라도 안전장치(50)에 의하여 1차적으로 허그패드(30)와 어깨띠(40)의 체결상태가 계속 유지되어 유아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안전장치(50)마저 해체된다 하더라도 2차적으로 가슴벨트(60)에 의하여 유아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유아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carrier equipped with a safet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carrier (1) used by attaching the hug pad 30 and the shoulder strap 40 to the seat 10 seated by the baby, In the fastening buckle 45 for binding the hug pad 30 and the shoulder strap 40 to form a safety device (50) consisting of a safety ring (51) and a safety band (52) that binds to the safety ring (51), On the other hand, by further forming the chest belt 60 in the hug pad 30, even if the fastening buckle 45 is unintentionally dismantled by an infant or the like by the safety device 50, the hug pad 30 and the shoulder strap primarily The fastening state of the 40 is continuously maintained to prevent the fall of the infant, even if the safety device 50 is dismantled, the safety device that can prevent the fall of the infant by the second chest belt 60 It relates to a baby carrier provided.
Description
본 고안은 유아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아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의 체중이 캐리어 착용자의 골반으로 전달되도록 한 시트부와 유아의 상체를 감싸는 허그패드 및 상기 허그패드에 체결되는 어깨띠로 구성된 캐리어에 있어서, 유아가 어깨띠의 체결버클을 임의로 해체하더라도 상기 어깨띠의 체결상태를 지속시켜 유아의 추락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어깨띠의 체결상태가 불시에 해제되어도 2차적으로 유아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안전장치가 구비된 유아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carrier having a safety device to prevent the fall of the infant, in particular the weight of the infant is transferred to the pelvis of the carrier wearer and the hug pad surrounding the upper body of the infant and the hug pad fastened to In the carrier constituted by the shoulder strap, even if the infant arbitrarily disengages the fastening buckle of the shoulder strap, the fastening state of the shoulder strap is maintained to prevent the infant from falling, and further, the infant falls secondarily even when the shoulder belt is unfastened. It relates to a baby carrier equipped with a safety device to prevent it.
일반적으로 유아를 안는 데 사용하는 아기띠의 경우 그 착용이 불편함과 아울러 유아의 체중이 아기띠 착용자의 상체로 전달되어 척추에 무리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를 쉽게 안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되 유아의 체중이 보호자의 골반으로 전달되도록 한 유아용 캐리어(일명 '힙시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the baby belt used to hold the infant is not comfortable to wear and the weight of the infant is delivered to the upper body of the baby belt wearer has a problem that the spine is difficult, as shown in Figure 1 to improve Likewise, an infant carrier (aka 'hip sheet') has been developed and used to easily hold or lower the infant but allow the infant's weight to be delivered to the caregiver's pelvis.
그리고 상기 힙시트의 경우 보호자가 한 손으로 유아의 상체를 받쳐주거나 유아가 보호자를 붙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이를 보완하여 도 2의 도시와 같이 허그패드(130) 및 어깨띠(140)를 탈착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캐리어(100)가 고안되기도 하였다.
In the case of the hip sheet,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guardian supported the upper body of the infant with one hand or the infant had to hold the guardian, and supplemented with this, the
구체적으로, 종래 고안에 따른 캐리어(100)는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지지체를 내장한 시트부(110)의 양측에 벨크로테이프 등의 체결수단(125)을 구비한 허리밴드(120)를 형성하여 보호자의 허리에 캐리어(100)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시트부(110)의 외측면에는 유아의 상체를 감싸는 허그패드(130)를 탈착할 수 있도록 오픈파스너(135)를 형성하며, 상기 허그패드(130)의 상측 양단에는 어깨띠(140)를 형성하여 보호자가 허그패드(130)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허그패드(130)와 어깨띠(140)는 통상의 체결버클(145)로써 탈착되도록 한다.
Specifically, the
즉, 평상시에는 유아를 쉽게 안거나 내릴 수 있도록 허그패드(130)를 분리한 상태로 사용하고, 보호자가 한 손으로 유아의 상체를 받쳐줄 수 없는 상황이거나 유아가 잠들어 보호자를 붙잡고 있을 수 없는 상황에서는 상기 허그패드(130)를 부착하여 착용함으로써 보호자 및 유아에게 편리를 제공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그러나 상기 종래 고안에 따른 캐리어(100)의 경우, 허그패드(130) 및 어깨띠(140)를 부착하여 사용함에 있어 유아가 체결버클(145)을 임의로 해체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와 같이 불시에 어깨띠(140)의 체결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유아가 추락하여 상당한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아가 앉는 시트부에 허그패드 및 어깨띠를 탈착하도록 한 유아용 캐리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상기 허그패드와 어깨띠를 연결하는 체결버클을 유아가 임의로 해체하더라도 그 결속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추락을 방지하고, 다른 한편으론 상기 허그패드와 어깨띠의 결속상태가 완전 해제되더라도 2차적으로 유아를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n using the infant carrier to detach the hug pad and the shoulder strap in the seat seat the infant, even if the infant arbitrarily disassembles the fastening buckle connecting the hug pad and the shoulder strap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preventing the fall of the infant by maintaining the binding state and, on the other hand, to provide a means for preventing the infant from falling even if the binding state of the hug pad and the shoulder strap is completely released. hav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유아용 캐리어의 구성은, 유아가 앉는 시트부의 양측에 허리밴드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시트부의 외측면에는 허그패드를 탈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허그패드에는 어깨띠를 체결버클로써 탈착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체결버클이 형성된 허그패드 및 어깨띠 중 어느 일측에 안전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버클이 형성된 허그패드 및 어깨띠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안전고리에 결속되는 안전밴드를 형성함으로써, 체결버클이 임의로 해체되더라도 허그패드와 어깨띠의 체결상태가 계속 유지되어 유아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infant carrier equipped with a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hile forming a waist band on both sides of the seat portion where the infant is seated and to detach the hug pa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and In addition, in the infant carrier to remove the shoulder strap with a fastening buckle in the hug pad, a safety ring is formed on either side of the hug pad and the shoulder strap with the fastening buckle, the other of the hug pad and the shoulder strap with the fastening buckle One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by forming a safety band that is bound to the safety ring, even if the fastening buckle is arbitrarily disassembled to maintain the fastening state of the hug pad and the shoulder strap to prevent the fall of the infant.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허그패드의 양측에 가슴벨트를 더 형성하여 어깨띠의 체결상태가 완전 해제되더라도 2차적으로 유아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한 구성과, 상기 허그패드의 상측 양단에 체결버클의 후단부를 덮는 커버를 더 형성하여 상기 체결버클이 허그패드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되 상기 안전고리와 안전밴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커버에 형성함으로써 안전장치가 체결버클을 가로질러 결속되도록 한 구성의 안전장치가 구비된 유아용 캐리어에 부가적인 특징이 있다.
And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chest belt on both sides of the hug pad further configured to ensure the safety of the infant secondary even if the fastening state of the shoulder strap, and the rear end of the fastening buckle on both ends of the hug pad A safety device configured to form a cover to further cover the fastening buckle to keep in close contact with the hug pad, but by forming any one of the safety ring and the safety band on the cover to ensure that the safety device is bound across the fastening buckle. There are additional features to the baby carrier equipped with.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허그패드와 어깨띠를 결속하는 체결버클을 유아가 임의로 해체하더라도 상기 체결버클과 함께 형성한 안전고리와 안전밴드에 의하여 상기 어깨띠의 체결상태가 계속 유지됨으로써 유아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허그패드와 어깨띠의 결속상태가 완전히 해제되더라도 상기 허그패드에 형성한 가슴벨트에 의하여 2차적으로 유아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infant detaches the fastening buckle binding the hug pad and the shoulder strap arbitrarily by the safety ring and the safety band formed together with the fastening buckle to keep the fastening state of the infant's belt Not only can the fall be prevented, but even when the binding state of the hug pad and the shoulder strap is completely release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fall of the infant secondary by the chest belt formed on the hug pad.
또한, 상기 안전고리 및 안전밴드의 결속과, 허그패드에 형성한 커버의 구성에 의하여 체결버클이 허그패드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체결버클이 임의로 해체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astening buckle is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hug pad by the binding of the safety ring and the safety band and the cover formed on the hug pad, there is also an effect of minimizing the possibility that the fastening buckle can be arbitrarily disassembled. .
도 1은 종래 힙시트를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종래 고안에 따른 유아용 캐리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유아용 캐리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유아용 캐리어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1 is a photograph showing a conventional hip shee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carri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desig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carrier equipped with a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baby carrier with a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유아용 캐리어의 구성을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baby carrier provided with a safet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1)에 있어 시트부(10)는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내부에 지지체가 내장되고, 상기 시트부(10)의 양측에는 벨크로테이프 또는 벨트 등의 체결수단(25)을 구비한 허리밴드(20)가 형성되어 보호자의 허리 내지 골반에 캐리어(1)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First, in the
그리고 상기 시트부(10)의 외측면에는 유아의 상체를 감싸는 허그패드(30)를 오픈파스너(35)를 이용하여 탈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며, 상기 허그패드(30)의 상측에는 보호자가 허그패드(30)를 착용할 수 있도록 어깨띠(40)를 형성하는바, 상기 어깨띠(40)는 통상의 체결버클(45)을 이용하여 허그패드(30)에 탈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체결버클(45)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그패드(30)의 상측 양단에 체결버클(45)의 고정구(45a)를 형성하고, 어깨띠(40)의 양측단에는 상기 고정구(45a)에 결속되는 체결구(45b)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고정구(45a)와 체결구(45b)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On the other hand, the fastening buckle 45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그리고 본 고안의 캐리어(1)는 특징적 구성으로서 안전장치(50)를 구비하는바, 체결버클(45)의 고정구(45a)가 형성된 허그패드(30)의 상측에 안전장치(50)의 안전고리(51)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버클(45)의 체결구(45b)가 형성된 어깨띠(40)의 양측에는 상기 안전고리(51)를 관통하는 안전밴드(52)를 형성하되, 상기 안전밴드(52)의 일측면에는 벨크로테이프(53)를 형성하여 상기 안전고리(51)를 관통하는 안전밴드(52)가 결속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안전장치(50)의 안전고리(51)와 안전밴드(52)는 서로 그 위치를 바꾸어 형성할 수도 있다.
And the
또한, 상기 안전장치(50)를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버클(45)의 상측을 가로질러 결속되게 함으로써, 캐리어(1) 착용자 및 유아의 움직임에 상관없이 체결버클(45)이 흔들리거나 불안정하게 노출되지 않고 허그패드(30)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체결버클(45)이 안정적으로 그 위치가 고정되면 결과적으로 체결버클(45)이 임의로 해체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binding the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1)에 있어 허그패드(30)의 상측 양단에 체결버클(45)의 후단부를 덮는 커버(55)를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체결버클(45)이 허그패드(30)에 밀착되어 체결버클(45)의 임의해체를 회피하도록 할 수도 있는바, 이때 상기 체결버클(45)의 상측을 가로질러 안전장치(50)가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안전장치(50)의 안전고리(51)는 커버(55)의 끝단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시하지 않으나 안전고리(51)와 안전밴드(52)의 위치를 바꾸어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55)의 끝단에 안전밴드(52)를 형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또한, 상기 체결버클(45)과 안전장치(50)가 모두 해체되는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허그패드(30)의 양측에 결속수단을 구비한 가슴벨트(60)를 더 형성함으로써 어깨띠(40)의 체결상태가 완전 해제되더라도 2차적으로 유아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case the
본 고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는 한쪽으로 유아를 안은 보호자의 반대편 어깨에 한 줄로 된 어깨띠(40)를 착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나,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으로 유아를 안은 보호자의 양 어깨에 배낭형 어깨띠(40')를 착용하는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도 그 적용이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배낭형 어깨띠(40')를 사용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배낭형 어깨띠(40')를 제거한 후, 나머지 다른 일측의 배낭형 어깨띠(40')의 하단에 별도의 연결벨트(47)를 체결하여 허그패드(30)의 타측 상단과 체결함으로써, 일측의 배낭형 어깨띠(40')만으로 한 줄로 된 어깨띠처럼 허그패드(30)를 착용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a backpack-type shoulder strap 40 ', after removing the backpack-shaped shoulder strap 40' of one side as shown in Figure 7, the other connecting belt at the bottom of the backpack-shaped shoulder strap 40 'of the other side ( By fastening 47) and the other upper end of th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유아용 캐리어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유아가 앉는 시트부(10)에 허그패드(30) 및 어깨띠(40)를 부착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유아가 허그패드(30)와 어깨띠(40)를 결속하는 체결버클(45)을 임의로 해체하더라도 안전장치(50)에 의하여 1차적으로 허그패드(30)와 어깨띠(40)의 체결상태가 계속 유지되어 유아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안전장치(50)마저 해체된다 하더라도 2차적으로 가슴벨트(60)에 의하여 유아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Hereinafter, looking at the effect of the baby carrier equipped with a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using the
또한, 상기 안전장치(50)가 체결버클(45)의 상측을 가로질러 결속될 뿐만 아니라, 체결버클(45)의 후단부가 커버(55)에 덮인 구조이어서, 캐리어 착용자나 유아의 움직임에 따라 체결버클(45)이 불안정하게 노출되지 않고 움직임이 없이 안정적으로 허그패드(30)에 밀착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체결버클(45)이 불시에 해체되는 위험성을 줄이는 예방적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1: 캐리어 10: 시트부 20: 허리밴드
30: 허그패드 40: 어깨띠 45: 체결버클
50: 안전장치 51: 안전고리 52: 안전밴드
53: 벨크로테이프 55: 커버 60: 가슴벨트1: Carrier 10: Seat 20: Waistband
30: hug pad 40: shoulder strap 45: fastening buckle
50: safety device 51: safety ring 52: safety band
53: Velcro tape 55: Cover 60: Chest belt
Claims (4)
상기 체결버클(45)이 형성된 허그패드(30) 및 어깨띠(40) 중 어느 일측에 안전고리(51)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버클(45)이 형성된 허그패드(30) 및 어깨띠(40)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안전고리(51)에 결속되는 안전밴드(52)를 형성함으로써;
체결버클(45)이 임의로 해체되더라도 허그패드(30)와 어깨띠(40)의 체결상태가 계속 유지되어 유아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유아용 캐리어.
While forming a waist band 20 on both sides of the seat portion 10 in which the infant is seated, the hug pad 30 is detachabl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10 and the hug pad 30 In the infant carrier to be able to detach the shoulder strap 40 with the fastening buckle 45;
Forming a safety ring (51) on either side of the hug pad (30) and the shoulder strap (40) on which the fastening buckle (45) is formed;
By forming a safety band (52) that is coupled to the safety ring (51) on the other side of the hug pad 30 and the shoulder strap (40) formed with the fastening buckle (45);
Even if the fastening buckle 45 is arbitrarily dismantled, the infant carrier with a safe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state of the hug pad 30 and the shoulder strap 40 is maintained to prevent the fall of the infant.
상기 허그패드(30)의 양측에 가슴벨트(60)를 더 형성하여 어깨띠(40)의 체결상태가 완전 해제되더라도 2차적으로 유아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유아용 캐리어.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Further formed by the chest belt 60 on both sides of the hug pad 30, even if the fastening state of the shoulder strap 40 is completely released, the infant carrier with a safe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ensure the safety of the infant secondary .
상기 허그패드(30)의 상측 양단에 체결버클(45)의 후단부를 덮는 커버(55)를 더 형성하여 상기 체결버클(45)이 허그패드(3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되, 상기 안전고리(51)와 안전밴드(52)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커버(55)에 형성함으로써, 체결버클(45)을 가로질러 안전장치(50)가 결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유아용 캐리어.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cover 55 which covers the rear end portion of the fastening buckle 45 is further formed on both upper ends of the hug pad 30 to maintain the fastening buckle 45 in close contact with the hug pad 30. Infant equipped with a safe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forming any one of the ring 51 and the safety band 52 in the cover 55, the safety device 50 is coupled across the fastening buckle 45. carrier.
상기 어깨띠는 보호자의 양 어깨에 착용하는 배낭형 어깨띠(40')이고, 한편으론 일측의 배낭형 어깨띠(40')만으로 허그패드(30)를 착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일측 배낭형 어깨띠(40')의 하단과 허그패드(30)의 타측 상단에 체결되는 별도의 연결벨트(47)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유아용 캐리어.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houlder strap is a backpack-type shoulder strap 40 'to be worn on both shoulders of the protector, and the lower side of the one-sided backpack-type shoulder strap 40' so as to be able to wear the hug pad 30 with only one backpack-type shoulder strap 40 '. Baby carrier with a safe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parate connecting belt 47 is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hug pad (3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7755U KR200465660Y1 (en) | 2012-08-30 | 2012-08-30 | Infant carrier with safet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7755U KR200465660Y1 (en) | 2012-08-30 | 2012-08-30 | Infant carrier with safety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5660Y1 true KR200465660Y1 (en) | 2013-03-05 |
Family
ID=5135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7755U KR200465660Y1 (en) | 2012-08-30 | 2012-08-30 | Infant carrier with safet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5660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4913B1 (en) | 2013-07-25 | 2014-01-23 | (주)디자인스킨 | Open type bumper mat |
KR101372608B1 (en) * | 2013-02-25 | 2014-03-11 | 신고은 | Infant carrier with selectable shoulder strap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2670Y1 (en) | 1996-11-29 | 1999-06-01 | 양재신 | Baby protective gear |
KR100602555B1 (en) | 2006-02-17 | 2006-07-19 | (주)성진전자 | Baby seat belt and seat belt system using the same |
KR200450651Y1 (en) | 2009-11-27 | 2010-10-20 | 신고은 | Baby Hip Sheet |
KR200462354Y1 (en) | 2012-06-01 | 2012-09-06 | 신고은 | Hip seat for infant |
-
2012
- 2012-08-30 KR KR2020120007755U patent/KR200465660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2670Y1 (en) | 1996-11-29 | 1999-06-01 | 양재신 | Baby protective gear |
KR100602555B1 (en) | 2006-02-17 | 2006-07-19 | (주)성진전자 | Baby seat belt and seat belt system using the same |
KR200450651Y1 (en) | 2009-11-27 | 2010-10-20 | 신고은 | Baby Hip Sheet |
KR200462354Y1 (en) | 2012-06-01 | 2012-09-06 | 신고은 | Hip seat for infant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2608B1 (en) * | 2013-02-25 | 2014-03-11 | 신고은 | Infant carrier with selectable shoulder strap |
KR101354913B1 (en) | 2013-07-25 | 2014-01-23 | (주)디자인스킨 | Open type bumper mat |
WO2015012470A1 (en) * | 2013-07-25 | 2015-01-29 | (주)디자인스킨 | Open-type bumper ma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59659Y1 (en) | Hip seat for infant | |
US9949575B2 (en) | Child carrier | |
KR200473013Y1 (en) | Hip seat carrier set | |
US20110062195A1 (en) | Child carrier with removable liner | |
US8579168B2 (en) | Multifunction infant carrier with lumbar belt | |
KR200450651Y1 (en) | Baby Hip Sheet | |
KR101359888B1 (en) | Hip seat carrier | |
US20090206116A1 (en) | Infant carrier | |
US20120217786A1 (en) | Support device for vehicle child seat belt | |
US20190365057A1 (en) | No-noise detachable baby carrier belt | |
US20140215679A1 (en) | Padded pants | |
JP6718167B2 (en) | Babysitter | |
KR101426751B1 (en) | Baby carrier | |
KR200477837Y1 (en) | Hip seat carrier set | |
JP2001137082A (en) | Baby carrier for facing and forward facing hold | |
KR200473475Y1 (en) | Baby hip seat carrier | |
US20230190008A1 (en) | Baby carrier | |
KR200473628Y1 (en) | A baby sling | |
KR200465660Y1 (en) | Infant carrier with safety device | |
KR20130003372U (en) | baby carrier | |
KR200312695Y1 (en) | Baby Carrier | |
US20220024360A1 (en) | Baby carrier | |
US20190116990A1 (en) | Child carrier | |
KR101955476B1 (en) | Hip seat carrier having shock absorbing pad | |
KR20100044985A (en) | The bend for baby carry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0830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4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30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211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302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226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21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