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548Y1 - Skateboard - Google Patents
Skateboar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5548Y1 KR200465548Y1 KR2020130000299U KR20130000299U KR200465548Y1 KR 200465548 Y1 KR200465548 Y1 KR 200465548Y1 KR 2020130000299 U KR2020130000299 U KR 2020130000299U KR 20130000299 U KR20130000299 U KR 20130000299U KR 200465548 Y1 KR200465548 Y1 KR 20046554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d
- footrest
- skateboard
- protrusion
- scaffol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1—Skateboards with steering mech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06—Accessories
- A63C17/0013—Device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kate but not fixed to it, e.g. supporting frames, sail, sticks, auxiliary wheel ai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3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a castor wheel, i.e. a swiveling follow-up wheel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4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hock absorption or suspension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0—Runner or deck of boards articulated between both feet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초보자라도 안정되게 탑승할 수 있으면서도 방향전환이 원활하고,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방향으로의 캐스터 조립이 간편하도록 개선된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Even beginners can be stably boarded, yet smoothly switch direction, and relates to an improved skateboard to facilitate the assembly of the caster in the direction to obtain a driving force.
Description
본 고안은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초보자라도 안정되게 탑승할 수 있으면서도 방향전환이 원활하고, 후방발판의 좌우 기울임 동작을 보다 수월하게 하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방향으로의 캐스터 조립이 간편하도록 개선된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kateboard, and in particular, even beginners can be stably boarded, while smoothly changing the direction, and to facilitate the right and left tilting of the rear footrest, and to improve the assembly of the caster in the direction to obtain the driving force is improved. It is about a skateboard.
또한, 본 고안은 발판들의 회전중심축이 발판들의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자세로 힘들이지 않고 유연하게 주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은 곡률반경으로 방향전환 할 수 있도록 한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kateboard that allow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caffold to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caffold, not only can be smoothly running in a stable posture, but also can be switched to a small radius of curvature .
일반적으로 스케이트 보드(1)는, 미국특허등록 제5,984,328호에 개시되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양발(5)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판상의 발판(1a) 하부에 바퀴(2)(3)들을 달아 두 발을 발판에 올려놓고, 한 쪽 발을 지그재그로 움직여 추진력을 얻거나, 한 쪽 발은 보드(1)에 올려놓고 다른 발은 지면을 차서 추진력을 얻어 각종 묘기를 구현할 수 있는 레저스포츠 기구이다.In general, the skateboard (1), as disclosed in US Patent No. 5,984,328 and as shown in Figure 1 the wheel (2) (3) below the plate-shaped footrest (1a) that the user can put both feet (5) Leisure with two feet on the scaffold, one foot zigzag to gain propulsion, one foot on the board (1) and the other kick the ground to achieve a variety of stunts It is a sports apparatus.
그러나, 이러한 스케이트 보드(1)는 탑승자의 몸 동작이나 경사면에 의해 추진력을 얻기 때문에 연속적이고 부드러운 운동성을 얻는데 한계가 있고, 추진력을 얻는 몸동작에 힘이 많이 들며, 빠른 속도감을 느끼기 힘들다.However, the
이러한 스케이트 보드의 단점을 감안하여, 추진력을 손쉽게 얻을 수 있고 빠른 속도감을 느낄 수 있는 스케이트 보드가 제안되었다.In view of the drawbacks of these skateboards, a skateboard that can easily obtain the driving force and feel a sense of speed has been proposed.
이러한 스케이트 보드의 예가 한국특허등록 제0394848호에 개시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21)과, 상기 전방발판(11) 및 상기 후방발판(21)의 저면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방향성 캐스터(13)(23)와, 그리고 상기 전방발판(11) 및 상기 후방발판(21)을 연결하는 비틀림파이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 example of such a skateboard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394848 and shown in FIG. 2, wherein the
상기 비틀림 파이프(40)는 상기 전방발판(11) 및 상기 후방발판(21)의 저면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파이프의 내부에 판스프링을 설치하여 연결한 것이다. The
이러한 스케이트 보드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발판(11)에 왼발을 올려놓고 후방발판(21)에 오른발을 올려서, 상기 전방발판 및 상기 후방발판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발판들을 좌우로 구르면, 두 파이프의 상대적 비틀림 운동에 의해 비틀림파이프에 내장된 판스프링이 탄성변형되고 다시 원상태로 복원됨으로써, 방향전환이나 추진력이 발생하여 스케이트 보드를 주행시킬 수 있게 한다.Such a skateboard,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3, by placing the left foot on the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스케이트 보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skateboar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발판들의 회전중심축, 즉 비틀림파이프(40)가 발판(11)(21)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비틀림파이프(4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발판들의 회전반경이 작다. First, since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caffold, that is, the
이 때문에, 추진력을 얻기 위해 발판(11)(21)들을 좌우로 빈번하게 굴려야 추진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방향전환이 아주 짧게 반복됨에 따라, 스케이트 보드를 유연하게 주행시킬 수 없고, 빠른 스피드감을 느낄 수 없으며, 예컨대 유턴을 할 경우에 곡률반경이 길어져 폭이 좁은 길에서 유턴하기 곤란해진다. Because of this, the propulsion force can be obtained by frequently rolling the
둘째, 전방으로의 추진력을 얻기 위한 방향성 캐스터(13)(23)를 발판(11)(21)의 저면에 경사지게 조립하기 위하여는 경사진 롤러지지대(24)(34)를 별도로 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Second, in order to incline the
세째, 각 발판(11)(21)에 하나씩의 방향성 캐스터(13)(23)가 조립되므로, 초기 탑승시 중심을 잡기 어려워 초보자가 보드를 이용하기에 불편함이 있다. Third, since one
본 고안은 전방으로의 추진력을 얻기 위한 캐스터의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발판의 구조가 개선된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kateboard with improved scaffold structure to simplify the assembly of the caster to obtain a forward driving forc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초보자라도 안정하게 보드를 탈 수 있게 하면서, 또한 후방발판의 좌우 기울임 동작을 보다 수월하게 하여 원활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한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kateboard that enables a beginner to ride the board stably, and also facilitates the right and left tilting operation of the rear footrest to enable smooth turning.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방발판과 후방발판을 연결하는 회전축을 발판들의 상부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안정된 자세로 보드를 주행시킬 수 있게 하고, 작은 몸동작으로도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한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kateboard that can run the board in a stable position by positioning the rotational shaft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footrest on the upper side of the footrest, and to change the direction even with a small body motion Its purpose is to.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방발판과 후방발판의 상대 회전시 회전각도를 제한하면서 작동소음을 경감시키고, 원할한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kateboard to reduce the operation noise while limiting the rotation angle dur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front and rear pedals, and to enable a smooth relative rot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전방발판과 후방발판이 서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방발판과 후방발판의 저면 중앙에 각각 360도 회전가능하게 제1,2캐스터가 결합되어 지상에 지지되며, 사용자의 양발을 각각 상기 전방발판과 후방발판에 올려 놓고 양발로 상기 전방발판과 후방발판을 상기 제1,2캐스터를 중심으로 좌우로 기울일때 전방으로 주행되는 스케이트 보드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the front footrest and the rear foothold is connected relative to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casters are supported on the ground by rotatable 360 degrees in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front footrest and the rear footrest, respectively, In the skateboard that runs forward when the user's feet on the front footrest and the rear footrest, respectively, tilting the front and rear footrest left and right about the first and second casters with both feet,
상기 제1캐스터는 제1회동축이 형성된 제1회전블럭과, 일단이 제1회전블럭에 고정되고 타단에 제1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브라켓으로 구성되고,The first caster is composed of a first rotating block having a first rotational shaft and a first bracket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rst rotating block and a first roller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thereof.
상기 제2캐스터는 제2회동축이 형성된 제2회전블럭과, 일단이 제2회전블럭에 고정되고 타단에 제2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브라켓으로 구성되며, The second caster includes a second rotating block having a second rotational shaft, and a second bracket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econd rotating block and a second roller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thereof.
상기 전방발판의 후단에 전방발판의 상면으로부터 상부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제1고정블럭과, A first fixing block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front foot plate so as to protrude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front foot plate to an upper side thereof;
상기 후방발판의 선단에 후방발판의 상면으로부터 상부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제2고정블럭과, A second fixing block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rear foot plate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rear foot plate;
상기 전방발판과 후방발판이 서로 상대회전가능하게 상기 제1,2고정블럭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제2고정블럭과 면대향되는 상기 제1고정블럭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돌출되며 그 선단에 반구형의 결합홈이 형성된 안내봉과, One end is coupled and the other end is protruded from the rotary shaft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ed blocks so that the front and rear pedals are relatively rotatable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fixed block facing the second fixed block. A guide rod having a hemispherical coupling groove formed thereon,
상기 결합홈에 구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름볼과,Cloud ball and the cloud ball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상기 제2고정블럭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봉이 안내되도록 결합되며 그 바닥면에 상기 구름볼이 구름접촉되는 원호형의 안내홈과,An arc-shaped guide groove formed in the second fixed block and coupled to guide the guide rod, the cloud ball being cloud-contacted to the bottom surface thereof;
상기 안내홈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봉의 접촉시 충격을 완충시키는 쿠션체를 구비하고,A cushioning bod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guide groove to cushion an impact when the guide rod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groove,
상기 전방발판의 저면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1경사판이 형성되고 이 제1경사판에 상기 제1회동축이 회전가능하게 관통결합되는 쐐기형의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전방발판의 상면에는 제1돌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돌출부 형상의 제1오목홈이 형성되며,A first inclined plat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ront scaffold to be inclined backward to form a first inclined plate, and the first inclined plate is formed with a wedge-shaped first protrusion through which the first rotational shaft is rotatably coupled. The first recessed groove having the shape of the first protrus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상기 후방발판의 저면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2경사판이 형성되고 이 제2경사판에 상기 제2회동축이 회전가능하게 관통결합되는 쐐기형의 제2돌출부가 형성되고, 후방발판의 상면에는 제2돌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돌출부 형상의 제2오목홈이 형성되며,A second inclined plat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rear scaffold to be inclined backward to form a second inclined plate, and the second inclined plate is formed with a wedge-shaped second protrusion through which the second pivotal shaft is rotatably coupled. A second recessed groove having a shape of a second protrus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trusion,
상기 보드의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상기 후방발판의 저면에 배치되어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제3,4캐스터가 각각 제3,4회전축에 의해 회전 및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바아를 구비하고,The auxiliary bar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rear scaffol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oard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hird and fourth casters so that the third and fourth casters are rotatably and vertically moved by the third and fourth rotation shafts. and,
상기 제3,4캐스터와 상기 보조바아 사이에 스프링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pring is couple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casters and the auxiliary bar.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1,2오목홈의 각 바닥면에 이물질이 배출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판의 상면부로 관통된 상기 제1회동축에 모래등의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회전 방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로고등이 인쇄된 플랩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hrough holes through which foreign matters are discharged on each bottom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recessed grooves, and rotation disturbance due to the inflow of foreign matters such as sand into the first pivot shaft penetrat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inclined plate. In order to prevent the logo is printe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p is attached.
본 고안 스케이트 보드(100)는 양 발을 이용하여 전방발판(110)과 후방발판(120)을 좌우로 회동시키면서 전방으로 추진력을 얻으면서 주행하게 되는데, 회전축(150)이 발판들의 상부측에 위치됨으로써 안정된 회전 및 짧은 곡률반경으로도 방향전환을 원활하게 한다.The
또한, 제3,4캐스터(181)(182)를 구비함으로써 초보자라도 안정된 탑승을 가능하게 하여 보드를 즐길 수 있게 하면서, 방향전환도 원활하게 한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third and fourth casters (181, 182), even a beginner can enjoy stable boarding, and smoothly change the direction.
또한, 제3,4캐스터(181)(182)와 보조바아(180) 사이에 스프링(185)(186)을 구비함으로써, 후방발판(120)을 좌우로 반복적으로 기울이면서 주행할때 스프링(185)(186)의 복원력에 의해서 사용자가 보다 보드(100)를 수월하게 작동시킬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by providing
또한, 제1,2캐스터(160)(170)가 전방으로의 추진력을 얻기 위하여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야 하는데, 실시예의 스케이트 보드(100)는 전방발판(110)과 후방발판(120)에 쐐기형의 제1,2돌출부(111)(121)를 보드(110)(120)와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제1,2캐스터(160)(170)의 조립을 간편하게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또한, 발판(110)(120)들의 상면에 제1,2오목홈(112)(122)을 형성함으로써 착지된 발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또한 로고가 인쇄된 플랩(190)을 통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1,2회동축(164)(174)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여 제1,2캐스터(160)(170)의 원활한 회전작동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또한, 전방발판(110)과 후방발판(120)이 상대 회전될때 안내홈(131) 및 안내봉(141)에 의해서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여 안정된 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하고, 구름볼(142)의 채용으로 제2고정블럭(130)과 제1고정블럭(140) 사이의 마찰소음 및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when the
또한, 안내홈(131)의 양단부에 쿠션체(132)(133)를 구비함으로써, 발판(110)(120)들의 좌우 회동시 안내봉(141)의 충돌에 의한 소음을 경감하고 부품손상을 줄인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cushion body (132, 133) at both ends of the
도 1은 종래 스케이트 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종래 다른 스케이트 보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 스케이트 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개략 평면도,
도 7은 도 6의 개략 단면도,
도 8은 전방발판과 후방발판의 경계부 단면,
도 9는 도 8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10은 안내봉과 안내홈의 작동 설명도,
도 11은 전방발판의 요부도,
도 12a는 후방발판의 요부 단면도,
도 12b는 도 12a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kateboard,
2 and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conventional skateboar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kateboard,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4;
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FIG. 4;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undary between the front and rear pedals,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8;
10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of the guide rod and the guide groove,
11 is a main view of the front footrest,
12A is a 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the rear footrest,
1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state of FIG. 12A.
본 고안 실시예의 스케이트 보드는 초보자라도 안정되게 탑승할 수 있으면서도 방향전환이 원활하고, 후방발판의 좌우 기울임 동작을 보다 수월하게 하며,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방향으로의 캐스터 조립이 간편하도록 한다.The skateboar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ably boarded even for beginners, and smoothly change the direction, facilitate the right and left tilting operation of the rear footrest, and simplify the assembly of the caster in the direction to obtain the driving force.
또한, 발판들의 회전중심축이 발판들의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자세로 힘들이지 않고 유연하게 주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은 곡률반경으로 방향전환 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caffold to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caffold, not only can be smoothly running in a stable posture, but also can be switched to a small radius of curvature.
본 고안 실시예의 스케이트 보드(100)는 통상의 스케이트 보드의 필수 요소들을 가진다. The
즉,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스케이트 보드(100)는 전방발판(110)과 후방발판(120)이 서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방발판(110)과 후방발판(120)의 저면 중앙에 각각 360도 회전가능하게 제1,2캐스터(160)(170)가 결합되어 지상(200)에 지지되며, 사용자의 양발을 각각 상기 전방발판(110)과 후방발판(120)에 올려 놓고 양발로 상기 전방발판(110)과 후방발판(120)을 상기 제1,2캐스터(160)(170)를 중심으로 좌우로 기울일때 전방으로 주행되게 한다.That is, referring to FIGS. 4 and 5, in the
한편, 본 고안 스케이트 보드(100)의 특징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실시예의 스케이트 보드(100)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전방발판(110)의 후단에 전방발판(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제1고정블럭(140)과. 상기 후방발판(120)의 선단에 후방발판(12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제2고정블럭(130)과, 상기 전방발판(110)과 후방발판(120)이 서로 상대회전가능하게 상기 제1,2고정블럭(140)(130)에 결합되는 회전축(150)을 구비한다.4 to 8, the first
이 경우 발판(110)(120)들의 회전축(150)이 발판들의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자세로 힘들이지 않고 유연하게 주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은 곡률반경으로도 방향전환 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by allowing the
또한, 도 4,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스케이트 보드(100)는 상기 제2고정블럭(130)과 면대향되는 상기 제1고정블럭(14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돌출되며 그 선단에 반구형의 결합홈(141a)이 형성된 안내봉(141)과, 상기 결합홈(141a)에 구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름볼(142)과, 상기 제2고정블럭(130)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봉(141)이 안내되도록 결합되며 그 바닥면에 상기 구름볼(142)이 구름접촉되는 원호형의 안내홈(131)과, 상기 안내홈(131)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봉(141)의 접촉시 충격을 완충시키는 쿠션체(132)(133)를 구비한다. 참조번호 134는 와셔이다.4, 8 and 9, one end of the
이 경우 전방발판(110)과 후방발판(120)이 상대 회전될때 안내홈(131) 및 안내봉(141)에 의해서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여 안정된 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In this case, when the
그리고 두 발판(110)(120)을 좌우로 회동시키면서 전방으로 주행중일때 제2고정블럭(130)과 제1고정블럭(140)이 상호 마찰되게 되는데, 상기 구름볼(142)의 채용으로 마찰소음 및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안내홈(131)의 양단부에 쿠션체(132)(133)를 구비함으로써, 발판(110)(120)들의 좌우 회동시 안내봉(141)의 충돌에 의한 소음을 경감하고 부품손상을 줄인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cushion body (132, 133) at both ends of the
또한, 도 5내지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 실시예의 스케이트 보드(100)는 상기 전방발판(110)의 저면에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제1캐스터(160)가 제1회동축(16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경사판(111a)을 가지는 쐐기형의 제1돌출부(111)가 형성되고, 전방발판(110)의 상면에는 제1돌출부(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돌출부 형상의 제1오목홈(112)이 형성된다.5 to 7 and 11, the
또한, 상기 후방발판(120)의 저면에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제2캐스터(170)가 제2회동축(17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경사판(121a)을 가지는 쐐기형의 제2돌출부(121)가 형성되고, 후방발판(120)의 상면에는 제2돌출부(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돌출부 형상의 제2오목홈(122)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 제1캐스터(160)의 제1회동축(164)은 제1경사판(111a)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경사판(111a)의 상면부로 노출된 제1회동축(164)에 모래등의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회전 방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로고등이 인쇄된 플랩(190)이 제1경사판(111a)의 상면에 부착된다. 참조번호 111b는 플랩(190)이 일단이 결합되는 결합공이다. 이러한 구성은 제2캐스터(170) 측에서도 동일한 구성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The
사용자가 전방발판(110)과 후방발판(120)을 반복적으로 좌우로 회동시킬때 상기 제1캐스터(160)와 제2캐스터(170)는 지상(200)에 마찰되어 주행력을 제공한다.When the user rotates the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캐스터(160)는 상기 제1경사판(111a)에 제1회동축(16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블럭(161)과, 일단이 제1회전블럭(161)에 고정되고 타단에 제1롤러(16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브라켓(162)으로 구성된다. 제2캐스터(170)의 구성(부호 171,172,173)은 제1캐스터(160)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5, the
또한, 상기 제1,2오목홈(112)(122)의 각 바닥면에는 모래와 같은 이물질이 배출되는 관통공(113)(123)이 형성된다. 상기 제1,2오목홈(112)(122)은 사용자의 발이 착지될때 미끄럼방지 기능도 가진다.In addition, through-
또한, 도 5 내지 도 6 및 도 13a를 참조하면, 본 고안 실시예의 스케이트 보드(100)는 상기 보드의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상기 후방발판(120)의 저면에 배치되어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제3,4캐스터(181)(182)가 회전 및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바아(180)를 구비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s 5 to 6 and 13a, the
상기 제3,4캐스터(181)(182)는 보조바아(180) 및 후방발판(120)에 제3,4회전축(181a)(182a)에 의해 회전 및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3,4캐스터(181)(182)와 상기 보조바아(180) 사이에는 스프링(185)(186)이 결합된다.The third and
이와 같은 구성은 후방발판(120)에 3개의 캐스터(170)(181)(182)가 삼각형태로 마련됨으로써, 초보자라도 후방발판(120)에 착지시 안정되게 착지하여 보드를 탈 수 있게 한다. 이때 도 13b에서와 같이 제3,4캐스터(181)(182)의 제3,4회전축(181a)(182a)에 안내되어 후방발판(120)이 약간 기울어질 수 있으나 후방발판(120)에 사용자의 한쪽 발이 안정되게 착지할 수 있게 하며, 후방발판(120)이 기울어짐이 가능하므로 좌우 회동을 가능하게 하여 방향전환을 원할하게 할 수 있게 한다.Such a configuration is provided by the three casters (170, 181, 182) in a triangular shape in the
또한, 제3,4캐스터(181)(182)와 보조바아(180) 사이에 스프링(185)(186)을 구비함으로써, 후방발판(120)을 좌우로 반복적으로 기울이면서 주행할때 스프링(185)(186)의 복원력에 의해서 사용자가 보다 보드를 수월하게 작동시킬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by providing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스케이트 보드(100)는 양 발을 이용하여 전방발판(110)과 후방발판(120)을 좌우로 회동시키면서 전방으로 추진력을 얻으면서 주행하게 되는데, 회전축(150)이 발판들의 상부측에 위치됨으로써 안정된 회전 및 짧은 곡률반경으로도 방향전환을 원활하게 한다.The
또한, 제3,4캐스터(181)(182)를 구비함으로써 초보자라도 안정된 탑승을 가능하게 하여 보드를 즐길 수 있게 하면서, 방향전환도 원활하게 한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third and fourth casters (181, 182), even a beginner can enjoy stable boarding, and smoothly change the direction.
또한, 제1,2캐스터(160)(170)가 전방으로의 추진력을 얻기 위하여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야 하는데, 실시예의 스케이트 보드(100)는 전방발판(110)과 후방발판(120)에 쐐기형의 제1,2돌출부(111)(121)를 보드(110)(120)와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제1,2캐스터(160)(170)의 조립을 간편하게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또한, 발판(110)(120)들의 상면에 제1,2오목홈(112)(122)을 형성함으로써 착지된 발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또한 로고가 인쇄된 플랩(190)을 통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1,2회동축(164)(174)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여 제1,2캐스터(160)(170)의 원활한 회전작동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by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도 1은 종래 스케이트 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종래 다른 스케이트 보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 스케이트 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개략 평면도,
도 7은 도 6의 개략 단면도,
도 8은 전방발판과 후방발판의 경계부 단면,
도 9는 도 8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10은 안내봉과 안내홈의 작동 설명도,
도 11은 전방발판의 요부도,
도 12a는 후방발판의 요부 단면도,
도 12b는 도 12a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kateboard,
2 and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conventional skateboar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kateboard,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4;
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FIG. 4;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undary between the front and rear pedals,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8;
10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of the guide rod and the guide groove,
11 is a main view of the front footrest,
12A is a 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the rear footrest,
1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ng state of FIG. 12A.
Claims (2)
상기 제1캐스터(160)는 제1회동축(164)이 형성된 제1회전블럭(161)과, 일단이 제1회전블럭(161)에 고정되고 타단에 제1롤러(16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브라켓(16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캐스터(170)는 제2회동축(174)이 형성된 제2회전블럭(171)과, 일단이 제2회전블럭(171)에 고정되고 타단에 제2롤러(17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브라켓(172)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방발판(110)의 후단에 전방발판(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제1고정블럭(140)과.
상기 후방발판(120)의 선단에 후방발판(12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제2고정블럭(130)과,
상기 전방발판(110)과 후방발판(120)이 서로 상대회전가능하게 상기 제1,2고정블럭(140)(130)에 결합되는 회전축(150)과,
상기 제2고정블럭(130)과 면대향되는 상기 제1고정블럭(14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돌출되며 그 선단에 반구형의 결합홈(141a)이 형성된 안내봉(141)과,
상기 결합홈(141a)에 구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름볼(142)과,
상기 제2고정블럭(130)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봉(141)이 안내되도록 결합되며 그 바닥면에 상기 구름볼(142)이 구름접촉되는 원호형의 안내홈(131)과,
상기 안내홈(131)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봉(141)의 접촉시 충격을 완충시키는 쿠션체(132)(133)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발판(110)의 저면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1경사판(111a)이 형성되고 이 제1경사판(111a)에 상기 제1회동축(164)이 회전가능하게 관통결합되는 쐐기형의 제1돌출부(111)가 형성되고, 전방발판(110)의 상면에는 제1돌출부(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돌출부 형상의 제1오목홈(112)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발판(120)의 저면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2경사판(121a)이 형성되고 이 제2경사판(121a)에 상기 제2회동축(174)이 회전가능하게 관통결합되는 쐐기형의 제2돌출부(121)가 형성되고, 후방발판(120)의 상면에는 제2돌출부(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돌출부 형상의 제2오목홈(122)이 형성되며,
상기 보드의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상기 후방발판(120)의 저면에 배치되어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제3,4캐스터(181)(182)가 각각 제3,4회전축(181a)(182a)에 의해 회전 및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바아(180)를 구비하고,
상기 제3,4캐스터(181)(182)와 상기 보조바아(180) 사이에 스프링(185)(186)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The front footrest and the rear footres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and the first and second casters are coupled to the ground so as to be rotatable 360 degrees in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front footrest and the rear footrest, respectively, and are supported on the ground. In the skateboard running on the front and when the front foot and the rear foot inclined left and right about the first and second casters with both feet in the skateboard,
The first caster 160 has a first rotating block 161 having a first rotating shaft 164,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first rotating block 161, and the first roller 163 rotatably at the other end thereof. Composed of the first bracket 162 is coupled,
The second caster 170 has a second rotating block 171 having a second rotating shaft 174,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second rotating block 171, and the second roller 173 is rotatable at the other end thereof. Composed of a second bracket 172 is coupled,
A first fixing block 140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front footrest 110 so as to protrude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front footrest 110 to an upper side.
A second fixing block 130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rear scaffold 120 to protrude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rear scaffold 120 to an upper side thereof;
A rotating shaft 150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ed blocks 140 and 130 such that the front footrest 110 and the rear footrest 120 can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A guide rod 141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fixed block 140 facing the second fixed block 130 and protruding the other end thereof, and having a hemispherical coupling groove 141a formed at the front end thereof;
Cloud ball 142 and the cloud ball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41a),
An arc-shaped guide groove 131 formed on the second fixing block 130 and coupled to guide the guide rod 141, and the cloud ball 142 being cloud-contacted to the bottom surface thereof;
It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guide groove 131 is provided with a cushioning body (132, 133) to cushion the impact when the guide rod 141,
Wedge-shaped agent is formed to be inclined rearward to the bottom of the front foot plate 110 to form a first inclined plate (111a) and the first pivot shaft (164) rotatably penetrates the first inclined plate (111a). The first protrusion 111 is formed, the first concave groove 112 of the shape of the first protrus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11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scaffold 110,
Wedge-shaped agent is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rear of the rear scaffold 120 to be inclined backward to form a second inclined plate 121a, and the second pivot shaft 174 is rotatably penetrated to the second inclined plate 121a. A second protrusion 121 is formed, and a second recessed groove 122 having a second protrus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trusion 12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foot plate 120.
The third and fourth casters 181 and 182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scaffold 1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oard, and the third and fourth rotation shafts 181a and 182a, respectively. It has a secondary bar 180 is coupled to be rotated and moved up and down by,
Skate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185) (186) is coupled between the third, fourth caster (181) (182) and the auxiliary bar (180).
상기 제1경사판(111a)의 상면부로 관통된 상기 제1회동축(164)에 모래등의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회전 방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로고등이 인쇄된 플랩(190)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According to claim 1, Through holes 113 and 123 through which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to each bottom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concave grooves 112 and 122 are formed,
In order to prevent rotation disturbance caused by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such as sand to the first pivot shaft 164 penetrat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inclined plate 111a, a flap 190 having a logo printed thereon is attached. Skateboard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0299U KR200465548Y1 (en) | 2013-01-14 | 2013-01-14 | Skateboar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0299U KR200465548Y1 (en) | 2013-01-14 | 2013-01-14 | Skateboar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5548Y1 true KR200465548Y1 (en) | 2013-02-25 |
Family
ID=51359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0299U Expired - Fee Related KR200465548Y1 (en) | 2013-01-14 | 2013-01-14 | Skateboar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5548Y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096913A1 (en) * | 2020-09-29 | 2022-03-31 | Razor Usa Llc | Convertible caster board |
US11844998B2 (en) | 2019-09-18 | 2023-12-19 | Razor Usa Llc | Caster boards with removable insert |
USD1012217S1 (en) | 2016-09-02 | 2024-01-23 | Razor Usa Llc | Powered wheeled board |
US11951382B2 (en) | 2019-03-06 | 2024-04-09 | Razor Usa Llc | Powered wheeled board |
US12042716B2 (en) | 2017-04-18 | 2024-07-23 | Razor Usa Llc | Powered wheeled board |
US12053690B2 (en) | 2021-09-30 | 2024-08-06 | Razor Usa Llc | Personal mobility vehicles with adjustable wheel positions |
US12134025B2 (en) | 2014-11-26 | 2024-11-05 | Razor Usa Llc | Powered wheeled board |
USD1077110S1 (en) | 2015-05-04 | 2025-05-27 | Razor Usa Llc | Skateboar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5784Y1 (en) | 2000-12-14 | 2001-06-01 | 민재식 | Multifunctional roller skate board with steering and braking functions |
JP2005537820A (en) | 2002-05-01 | 2005-12-15 | 株式会社アトラスオート | Skateboard with directional casters |
KR20060082830A (en) * | 2006-06-01 | 2006-07-19 | 최호성 | Skateboard |
KR20080062416A (en) * | 2006-12-29 | 2008-07-03 | 조정혜 | Skateboard |
-
2013
- 2013-01-14 KR KR2020130000299U patent/KR200465548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5784Y1 (en) | 2000-12-14 | 2001-06-01 | 민재식 | Multifunctional roller skate board with steering and braking functions |
JP2005537820A (en) | 2002-05-01 | 2005-12-15 | 株式会社アトラスオート | Skateboard with directional casters |
KR20060082830A (en) * | 2006-06-01 | 2006-07-19 | 최호성 | Skateboard |
KR20080062416A (en) * | 2006-12-29 | 2008-07-03 | 조정혜 | Skateboard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134025B2 (en) | 2014-11-26 | 2024-11-05 | Razor Usa Llc | Powered wheeled board |
USD1077110S1 (en) | 2015-05-04 | 2025-05-27 | Razor Usa Llc | Skateboard |
USD1012217S1 (en) | 2016-09-02 | 2024-01-23 | Razor Usa Llc | Powered wheeled board |
US12042716B2 (en) | 2017-04-18 | 2024-07-23 | Razor Usa Llc | Powered wheeled board |
US11951382B2 (en) | 2019-03-06 | 2024-04-09 | Razor Usa Llc | Powered wheeled board |
US11844998B2 (en) | 2019-09-18 | 2023-12-19 | Razor Usa Llc | Caster boards with removable insert |
US12201891B2 (en) | 2019-09-18 | 2025-01-21 | Razor Usa Llc | Caster boards with removable insert |
US20220096913A1 (en) * | 2020-09-29 | 2022-03-31 | Razor Usa Llc | Convertible caster board |
WO2022072367A1 (en) * | 2020-09-29 | 2022-04-07 | Razor Usa Llc | Convertible caster board |
US12053690B2 (en) | 2021-09-30 | 2024-08-06 | Razor Usa Llc | Personal mobility vehicles with adjustable wheel position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65548Y1 (en) | Skateboard | |
JP2009533133A (en) | Board that can move forward voluntarily | |
US8636288B2 (en) | Street board | |
WO2012113011A1 (en) | Improved all-terrain board or mountainboard | |
US20170029058A1 (en) | Scooter | |
AU2009202603B2 (en) | Skate Board With Wear Resisting Means | |
US20110272903A1 (en) | Skateboard Wheel and Method of Maneuvering Therewith | |
US20100044986A1 (en) | Riding platform with rotating deck | |
KR100800570B1 (en) | Stepboard | |
KR200400918Y1 (en) | Divided Skateboard For Speed Up | |
KR101033655B1 (en) | Skateboard | |
KR100987927B1 (en) | board | |
KR20080062416A (en) | Skateboard | |
US20110272904A1 (en) | Skateboard wheel and method of maneuvering therewith | |
JP3187093U (en) | Wheels for playing and sports boards | |
JP2005261871A (en) | Two-wheel steering skateboard | |
KR20120013809A (en) | Inline Board Roll Key | |
KR101336367B1 (en) | Skateboard that is possible self driving | |
KR100503646B1 (en) | A roller jumping sled | |
KR920000719B1 (en) | Roller and Sledge Rollerboard | |
KR200356788Y1 (en) | In line skate | |
KR200205787Y1 (en) | Kick blade | |
KR100987701B1 (en) | Bicycle Seesaw Board | |
KR20130055170A (en) | Land surfing board | |
KR100545485B1 (en) | Roller Sled Using Elastic Ba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114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5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4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2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302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219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8120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