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367Y1 - A pot for cooking - Google Patents
A pot for cook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5367Y1 KR200465367Y1 KR2020110002568U KR20110002568U KR200465367Y1 KR 200465367 Y1 KR200465367 Y1 KR 200465367Y1 KR 2020110002568 U KR2020110002568 U KR 2020110002568U KR 20110002568 U KR20110002568 U KR 20110002568U KR 200465367 Y1 KR200465367 Y1 KR 20046536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nge
- pot
- finger
- cooking
- protru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열수단에 의하여 조리가 가능한 냄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냄비의 상단 즉 뚜껑이 덮힌 상태에서 뚜껑의 상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후렌지가 형성된 부분에 별도의 부품(손잡이 등)을 사용치 아니하고 손가락으로 파지가 가능한 수단을 형성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냄비몸통의 상단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후렌지의 이면에 면취에 의하여 단턱면을 대응되는 양단에 손가락의 파지가 가능하게 형성한 것이고, 또한 이러한 단턱면의 깊게 형성하여 손가락의 파지가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후렌지의 전면으로 돌출면을 형성함으로서 손가락의 파지력이 우수하게 함으로서 많은 하중에서 손가락의 파지가 용이하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 that can be cooked by a heating means, and in particular, the top of the pot, that is, the lid is inclined upward to the upper side of the lid in a state where the flange is formed without using a separate part (handle, etc.) Is to form a possible means.
To this end, the fingertip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lange by the chamfer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ange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to the top of the pot body. In order to form a protruding surface toward the front of the Hurenji formed to be inclined upwards to facilitate the grip of the finger under a large load by excellent grip force of the finger.
Description
본 고안은 가열수단에 의하여 조리가 가능한 냄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냄비의 상단 즉 뚜껑이 덮힌 상태에서 뚜껑의 상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후렌지가 형성된 부분에 별도의 부품(손잡이 등)을 사용치 아니하고 손가락으로 파지가 가능한 수단을 형성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 that can be cooked by a heating means, and in particular, the top of the pot, that is, the lid is inclined upward to the upper side of the lid in a state where the flange is formed without using a separate part (handle, etc.) Is to form a possible means.
현재 조리가 가능한 냄비의 대부분은 손가락으로 파지가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의 몸통(100)에 별도의 손잡이(200)를 형성하거나 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의 몸통(100)과 거의 직각으로 벌어지는 후렌지(110)를 형성토록 하거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렌지(110)를 냄비의 몸통의 상단에서 상향되다가 반드시 하향경사지게 형성토록 한 후 하향경사진 부분에 손가락을 걸어서 파지가 가능토록 하거나 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경사진 부분의 외측으로 별도의 손잡이(200)를 부착하여 파지가 가능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Most of the pots that are currently cooked can be formed with a
또한 현재의 조리용 냄비가 기능적인 부분은 물론 디자인 적인 부분도 판매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감안하면 조리용 냄비에 별도의 손잡이를 부착하는 형상에 대하여는 보관의 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라는 단점은 물론 일한 손잡이가 형성된 부분에 각종 이물질이 묻어나게 됨으로 장기적으로 사용시 이러한 부분의 이물질로 인한 비위생적인 부분이 발생된다라는 것이다.In addition, considering that current cooking pot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ales as well as functional parts, the shape of attaching a separate handle to the cooking pot takes up a lot of storage space. Of course, various foreign matters will be buried in the part where the handle is formed, so long-term use will cause unsanitary parts due to foreign matters in these parts.
따라서 도6과 도7에 별도의 손잡이를 형성치 아니한 것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이 보편적인 형상이기 때문에 디자인적인 부분이 없어 판매증진을 기대할 수 없다라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roposed that a separate handle is not formed in Figs. 6 and 7, but the disadvantage of this is that it is not a design part, and thus it is not possible to expect to increase sales.
따라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에 후렌지(110)를 상향경사지게 돌출되어진 상태로 형성함으로서 디자인적으로 우수하고, 상기 상향경사진 후렌지(110)의 양단에 관통되어진 개구부(120)를 형성하여 별도의 손잡이가 없으면서도 손가락으로 파지가 가능한 것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것의 문제점은 손가락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어느 한쪽의 손가락이 빠지거나 놓치게 될 경우에 파지되어 있는 손가락이 부러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라는 것이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9, the
또한 이러한 것들이 대부분 조리용이기 때문에 주물이거나 또는 돌이거나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것들이기 때문에 많은 중량으로 인하여 심각한 부상의 우려가 존재한다는 것이다.Also, because these are mostly for cooking, they are cast, stone, or made of aluminum, so there is a risk of serious injury due to the large weight.
또한 재질이 주물이거나 알루미늄일 경우에는 냄비의 내측면이나 외측면에 분체에 의한 도장을 하게 되는데 내측과 외측의 분체가 원가절감이나 위생상태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도장으로 분체작업을 하기 때문에 분체시 손잡이로 형성된 관통된 개구부에 별도의 마개를 형성치 아니할 경우에는 도장이 서로 섞이게 됨으로서 품질의 저하를 가져오게 됨으로서 이러한 방지를 위하여 작업에 어려움이 존재한다라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material is cast or aluminum,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pot is coated with powder. The inner and outer powder is powdered by different coatings in consideration of cost reduction or hygiene. If a separate stopper is not formed in the through opening formed by the paints are mixed with each other, resulting in a deterioration in quality, so that there is a difficulty in working to prevent this.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체 작업이 용이토록 하면서도 사용도중에 어느 한쪽의 손가락이 떨어질 경우에도 손가락의 부상이 없도록 한 것이고, 또한 손가락의 파지면을 넓고 깊게 형성토록 함으로서 손가락의 파지가 우수하게 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so that the powder work is easy, but even if one finger falls during use, there is no injury of the finger, and also the gripping of the finger by forming the gripping surface of the finger wide and deep It is excellent.
이를 위하여 냄비몸통의 상단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후렌지의 이면에 면취에 의하여 단턱면을 대응되는 양단에 손가락의 파지가 가능하게 형성한 것이고, 또한 이러한 단턱면을 깊고 넓게 형성하여 손가락의 파지가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후렌지의 전면으로 돌출면을 형성함으로서 손가락의 파지력이 우수하게 함으로서 많은 하중이 걸릴 경우에도 손가락의 파지가 용이하게 한 것이다.To this end, the gripping of the fingers is formed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the stepped surface by chamfering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ange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 the top of the pot body, and the gripping of the finger is excellent by forming the stepped surface deep and wide. In order to form a protruding surface to the front of the Hurenji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in order to make the gripping force of the finger is excellent, even if a large load is applied to facilitate the gripping of the finger.
따라서 조리용 냄비의 후렌지가 상향경사지게 형성됨으로 디자인적으로 우수하면서도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후렌지의 이면에 단턱면 만을 형성함으로서 간단하게 손가락의 파지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단턱면을 깊고 넓게 형성함으로서 많은 하중에도 손가락으로 간단하게 파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Hurenji of the cooking pot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and by designing only the stepped surface on the backside of the inclined Hurenji, the finger is easily gripped, and the stepped surface is formed deep and wide so that even a large load It is easy to grasp with your finger.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후렌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외관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단턱면을 깊고 넓게 형성한 상태의 단면도,
도4 및 도4a는 본 발명의 단턱면의 또 구성실시상태도.
도5는 종래의 냄비의 몸통에 손잡이가 형성된 부분
도6 및 도7은 종래의 후렌지에 손가락 걸림부를 형성한 부분
도8은 종래의 후렌지가 상향경사진 부분에 별도의 손잡이가 형성된 부분
도9는 종래의 후렌지가 상향경사진 부분에 손가락이 끼움되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개구되어진 부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ang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epp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deep and wide,
Figure 4 and Figure 4a is another configuration embodiment of the step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ortion formed with a handle on the body of the conventional pot
Figure 6 and Figure 7 is a portion forming a finger engaging portion in a conventional flange
Figure 8 is a portion of the conventional Hurenji is formed with a separate handle on the inclined upward portion
Figure 9 is a portion of the conventional Hurenji opened to allow the fingers to be fitted to the inclined portion up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일정한 조리공간을 갖는 냄비몸통(10)의 상단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후렌지(11)와 상기 후렌지(11)의 하단에는 뚜껑(20)이 덮여질 경우에 뚜껑(20)의 테두리(21)가 놓여지도록 하기 위한 받침테(12)와 상기 받침테(12)에서 전체적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되어지는 후렌지(11)가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상태에서 후렌지(11)의 이면으로 면취토록 한 상태에서 손가락 끝이 밀착되어지는 단턱(18)과 손가락이 걸쳐질 수 있도록 단턱면(13)을 형성한 것이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이때 후렌지(11)의 살두께 만을 손가락이 안정적으로 걸쳐질 수 있게 두껍게 형성하여 면취토록 함으로서 단턱면(13)의 폭을 조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only the flesh thickness of the
따라서 상기 단턱(18)과 단턱면(13)에 의하여 후렌지가 상향경사질 경우에도 별도의 손잡이가 없이도 간단하게 손가락을 이용하여 냄비를 들어올려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even when the flange is inclined upward by the
이때 단턱면(13)이 형성된 선단으로는 걸림테(14)를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서 걸쳐진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front end formed with the
또한 상기 단턱면(13)을 후렌지의 이면에 단순한 면취만으로 형성할 경우에 손가락의 굵기나 사용자의 사용형태에 따라 파지가 곤란할 경우를 해소하기 위하여 손가락의 파지력을 크게 하여 파지력을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단턱면(13a)을 깊게 형성하기 위하여는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후렌지(11)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되어지는 돌출면(15)으로 형성함으로서 후렌지의 이면에 형성되는 단턱면(13a)을 깊고 넓게 형성함으로서 손가락의 파지가 우수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돌출면(15)은 받침테(12)가 형성된 형태를 따라 만곡면으로 형성함으로서 디자인성을 우수하게 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At this time, the
이때에도 단턱면(13a)의 선단으로는 걸림테(14)를 돌출형성함으로서 걸림을 더욱 우수하게 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front end of the
또한 상기 단턱면(13a)이 깊게 형성될 경우에 발생되는 돌출면(15)이 단턱(18)에 의하여 후렌지(11)의 상면에 전방으로 각진형태로 돌출되어질 경우에 돌출면(15)에서 단턱으로 연결되는 부위나 또는 돌출면(15)의 상면을 만곡되게 만곡면(15a)으로 형성함으로서 노출된 전방으로는 유연한 곡선을 형성함으로서 조리시 발생되는 수분의 흘러내림과 디자인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손가락의 파지를 위하여 형성되는 단턱면(13,13a)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널링부(16)를 형성하거나 또는 소돌조(17)를 다수개 형성함으로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slipping on the
또한 이러한 것들은 모두 알루미늄을 다이캐스팅으로 성형토록 할 경우에도 성형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단턱면(13,13a)이 손가락의 파지가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단턱면(13,13a)이 형성된 수평을 기준으로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할 경우에도 다이캐스팅으로 성형이 가능하면서도 더욱 우수한 손가락의 파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ll of these things are easy to be molded even when aluminum is formed by die casting, and the
10: 냄비몸통 11: 후렌지
12: 받침테 13,13a: 단턱면
14: 걸림테 15: 돌출면
15a: 만곡면 16: 널링부
17: 소돌조 18: 단턱
20: 뚜껑 21: 테두리10: pot body 11: Hurenji
12:
14: hanger 15: protruding surface
15a: curved surface 16: knurled portion
17: Sodolzo 18: step
20: lid 21: border
Claims (6)
상기 상향경사지게 연장되는 후렌지(11)의 좌우로는 후렌지(11)의 이면으로는 손가락이 걸쳐지게 되는 단턱면(13a)이 넓고 깊게 형성되고, 단턱면(13a)이 넓고 깊게 형성되기 위하여 후렌지(11)의 전면으로는 돌출되는 돌출면(15)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면은 받침테(12)를 따라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냄비.Hurenji 11 formed as the upper end of the pot body 10 having a predetermined cooking space and the inner lower end of the flange 11 so that the edge 21 of the lid 20 is placed when the lid 20 is covered In the pot consisting of a support frame 12 and the flange 11 to extend upwardly inclined entirely from the support frame 12,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ange 11 extending upwardly inclin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lange 11, the stepped surface (13a) is a wide and deep finger is formed, the stepped surface (13a) is formed wide and deep Hurenji ( 11) the front surface of the protruding surface protruding is formed, the protruding surface is formed to be curved inwardly along the support frame (12).
The cooking po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portion of the protruding surface (15) connected to the step (18) comprises a curved surface (15a).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2568U KR200465367Y1 (en) | 2011-03-28 | 2011-03-28 | A pot for cooking |
JP2012006566U JP3181170U (en) | 2011-03-28 | 2012-10-29 | Cooking p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2568U KR200465367Y1 (en) | 2011-03-28 | 2011-03-28 | A pot for cook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6882U KR20120006882U (en) | 2012-10-08 |
KR200465367Y1 true KR200465367Y1 (en) | 2013-02-15 |
Family
ID=47503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2568U Expired - Fee Related KR200465367Y1 (en) | 2011-03-28 | 2011-03-28 | A pot for cooking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3181170U (en) |
KR (1) | KR200465367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5636B1 (en) | 2020-03-12 | 2021-08-04 | 최용웅 | Cooking vessel with insulation coating layer and its manufacture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682290B2 (en) * | 2016-02-10 | 2020-04-15 | サーモス株式会社 | Portable container |
KR102180317B1 (en) * | 2019-03-15 | 2020-11-18 | 김혁 | Smart multi-cooker system and cook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KR102288998B1 (en) * | 2020-05-19 | 2021-08-10 | 한병기 | Delivery container for keeping warm/col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3930A (en) * | 1990-08-03 | 1992-03-27 | 캐롤 에이. 빅스 | Tableware with vent lid |
JP2004035051A (en) | 2002-07-03 | 2004-02-05 | San Purasuto Mikasa:Kk | Food container for microwave oven |
KR200406414Y1 (en) * | 2005-11-03 | 2006-01-20 | 이하용 | Fire pot |
KR20090012218U (en) * | 2008-05-27 | 2009-12-02 | 이봉철 | Cooking container |
-
2011
- 2011-03-28 KR KR2020110002568U patent/KR200465367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10-29 JP JP2012006566U patent/JP3181170U/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20003930A (en) * | 1990-08-03 | 1992-03-27 | 캐롤 에이. 빅스 | Tableware with vent lid |
JP2004035051A (en) | 2002-07-03 | 2004-02-05 | San Purasuto Mikasa:Kk | Food container for microwave oven |
KR200406414Y1 (en) * | 2005-11-03 | 2006-01-20 | 이하용 | Fire pot |
KR20090012218U (en) * | 2008-05-27 | 2009-12-02 | 이봉철 | Cooking contain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5636B1 (en) | 2020-03-12 | 2021-08-04 | 최용웅 | Cooking vessel with insulation coating layer and its manufacture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6882U (en) | 2012-10-08 |
JP3181170U (en) | 2013-01-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596898S1 (en) | Gripping portion of a cookware handle | |
EP2976976B1 (en) | Cookware including lid having handle with utensil rest | |
USD617140S1 (en) | Thumb grip cookware handle | |
KR200465367Y1 (en) | A pot for cooking | |
USD636952S1 (en) | Utensil basket handle | |
USD611297S1 (en) | Cookware handle | |
USD834369S1 (en) | Utensil handle | |
US20140250698A1 (en) | Hook Spoon | |
USD596895S1 (en) | Mounting portion of a cookware handle | |
USD598704S1 (en) | Gripping portion of a cookware handle | |
KR100738349B1 (en) | Cookware Handle | |
KR20160075283A (en) | A scoop having a push bar | |
KR200288135Y1 (en) | Silicone handle for cooking | |
KR20090057506A (en) | Kitchenware handles | |
JP3136410U (en) | Nabeshiki | |
JP3168629U (en) | Cleat | |
KR102407302B1 (en) | Spoon head device for use with chopsticks | |
JP6625506B2 (en) | Pot handle cover | |
KR102485887B1 (en) | Handle cover for culinary article | |
JP2012249926A (en) | Toilet cover of western-style toilet | |
KR20210001319U (en) | food separation Ladle | |
CN205514254U (en) | Prevent couple of ladle landing | |
JP3206908U (en) | Tong | |
JP3096057U (en) | Bowl bowl handle | |
JP3011084U (en) | Synthetic resin hand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328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03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28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0608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121005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20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302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20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1111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