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117Y1 - Travelling crop supplying apparatus for bale silage - Google Patents
Travelling crop supplying apparatus for bale sil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5117Y1 KR200465117Y1 KR2020100010858U KR20100010858U KR200465117Y1 KR 200465117 Y1 KR200465117 Y1 KR 200465117Y1 KR 2020100010858 U KR2020100010858 U KR 2020100010858U KR 20100010858 U KR20100010858 U KR 20100010858U KR 200465117 Y1 KR200465117 Y1 KR 20046511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ler
- crop
- base plate
- silage
- for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treating of silage, e.g. upgrading with wate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6—Arrangements in forage silo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베일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을 공급한다. 이 장치는 전방측은 견인장치에 결합되고, 후방측은 베일러에 결합되어, 견인장치에 의해 이동하면서 베일러에 조사료작물을 공급한다. 이 장치는 베일러의 챔버로 조사료작물을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컨베이어부와 적재함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동하면서 적재함부에 조사료작물을 적재와 더불어 공급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Disclosed is a feed crop feeder for mobile bale silage. The device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aler to supply the silage forage crop. The device is coupled to the towing device on the front side and coupled to the baler to feed the crop crops to the baler while being moved by the towing device. The apparatus includes a conveyor section and a loading compartment that are installed to feed the forage crop into the chamber of the bal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carry and supply the forage crops to the loading compartment while moving.
Description
본 고안은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베일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동하면서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을 베일러에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 crop device for bale sil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feeding the feed crop for silage while moving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aler.
최근에는, 조사료작물을 원통형의 베일(bale)로 형성하여 사일리지로 저장하는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원통형의 베일은 보관과 운반이 용이하고 일단 베일로 형성되면 기온의 영향을 적게 받고 영양 손실이 작다는 장점이 있어서 이용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Recently, a method of forming a forage crop into a cylindrical bale and storing it in silage has been widely used. Such cylindrical bales are easy to store and transport, and once formed into a bale, they are less affected by temperature and have less nutritional loss.
특히 비교적 수분함량이 많은 옥수수, 청보리, 총체벼 등과 같은 조사료작물이 사일리지에 적합하다. 옥수수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청예 사료작물 중 생력 기계화에 적합하고 단위면적당 가소화양분총량(TDN)이 가장 높다. 조사료작물 중 볏짚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자급률이 떨어지고 있는 국내 실정에서는 조사료작물로서 옥수수가 권장되어야 할 것이다.In particular, forage crops such as corn, green barley, and whole rice are relatively suitable for silage. Corn is suitable for viable mechanization and has the highest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per unit area. Corn should be recommended as a forage crop in the domestic situation where rice straw is relatively high and the self-sufficiency rate is falling.
베일 사일리지의 제조에는 일반적으로 '베일러' 또는 '곤포기'라고 불리는 베일 성형 장치가 이용된다. 특히 원통형의 베일을 제조하는 원형 베일러는 챔버 내로 지속적으로 조사료작물을 공급하면서 챔버 내에서 회전시켜서 원통형으로 성형하게 된다. 즉, 챔버 입구를 통해 조사료작물을 공급하고 챔버 내에서 회전시켜서 원통형으로 성형하는 동작에 의해 원통형의 베일이 생성되는 것이다.The production of bale silage uses a bale shaping device, commonly referred to as a baler or baler. In particular, a circular baler for manufacturing a cylindrical bale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by rotating in the chamber while continuously feeding the forage crop into the chamber. That is, a cylindrical bale is generated by supplying the forage crop through the chamber inlet and rotating the chamber to form a cylindrical shape.
베일러는 일반적으로 자체적인 픽업부를 가지고 트랙터와 같은 견인장치에 견인되어 경작지에서 조사료작물을 챔버 내로 픽업하여 베일을 형성하는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A baler generally has its own pickup and is towed by a towing device such as a tractor to pick up the forage crop into the chamber in a farmland to form a bale.
그러나, 이러한 자체 픽업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옥수수, 청보리, 총체벼와 같이 크기가 작게 절단하여 저장하여야 하는 작물에 적용하기에는 작업효율이 낮다.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such a pickup, the work efficiency is low to be applied to crops that need to be cut and stored in small sizes such as corn, green barley, and whole rice.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의 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조사료작물을 미리 적재한 다음에 공급장치에서 베일러로 작물을 공급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 경우 기존에 많이 적용된 방식은 조사료작물 공급장치를 베일러에 결합한 다음 이들을 정치시킨 상태에서 일차적으로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에 절단된 조사료작물을 적재하여 베일러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치식이 경사지나 협소한 경작지에서는 매우 효과적일 수 있지만, 경작지가 평탄하고 넓은 경우에는 작업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this case, a method of providing a separate feeder, preloading the forage crop and then feeding the crops from the feeder to the baler is used. In this case, the conventionally applied method is to combine the feed crop feeder with the baler, and then load the cut feed crop into the feed crop feeder to the baler while leaving them still. Although this stationary formula may be very effective on slopes or narrow arable l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ing efficiency is lowered when the arable land is flat and wide.
이를테면, 조사료작물을 절단한 다음 정치된 조사료작물 공급장치로 반복적으로 운반을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cut the forage crop and then repeatedly transport it to the stationary forage crop supply device.
따라서, 옥수수, 총체벼, 청보리와 같이 베일 사일리지용의 조사료작물 공급장치로서 베일러와 함께 이동하면서 작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for feeding crops while moving with a baler as a feed crop for bale silage, such as corn, whole grain rice, and green barley.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일러에 탈부착이 가능한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provides a forage crop material supply device for a bale silage that can be attached to and removed from the baler.
본 고안은 베일러에 부착되어 이동하면서 조사료작물을 공급하는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rage crop feeder for a bale silage that is attached to the baler and feeds the forage crop.
본 고안은 공급 이송량을 조절함으로써 정량의 조사료작물을 공급할 수 있는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lage forage crop supply device capable of supplying a quantitative forage crop by adjusting a feed amount.
본 고안은 또한 상기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가 결합된 베일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ale forming apparatus combined with the forage crop material feeding device for the bale silage.
본 발명은 이동하면서 베일러에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을 공급하는 장치를 제공하며, 이 장치는: 상기 베일러의 챔버입구 측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을 상기 베일러의 챔버입구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부; 및 상기 베일러의 챔버입구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거리에, 바닥부위에 상기 컨베이어부를 노출하는 적재함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일러와 연결되는 부위의 반대 측에 견인수단이 연결되어 견인수단에 의해 상기 베일러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베일러에 조사료작물을 공급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supplying a silage forage crop to the baler while moving, the apparatus being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hamber inlet side of the baler to convey the silage forage crop to the chamber entrance of the baler. ; And a loading compartment for exposing the conveyor portion to a bottom portion at a distance spaced from the chamber entrance of the baler, and a traction means is connected to a side opposite to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baler, and is coupled with the baler by a traction means. Feed the crop crop to the baler while moving.
상기 컨베이어부는: 일측이 상기 베일러의 챔버입구 측에 연결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상기 챔버입구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방 및 후방의 기어축과, 상기 전방 및 후방의 기어축의 기어에 감김으로서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2개의 체인과, 상기 2개의 체인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배열 부착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를 지날 때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적재함부 내에 수용된 조사료작물을 상기 챔버입구로 이송하는 다수개의 스크래퍼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수단으로부터 유압동력을 전달받아서 구동된다.The conveyor unit may include: a base plat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chamber inlet side of the baler, a front and rear gear shaft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chamber inlet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base plate, and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onveyor plate. Two chains arranged to surrou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se plate by being wound around the gears of the gear shaft, and are arranged and attach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two chains so as to closely adher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when passing the upper part of the base plate. It comprises a plurality of scrapers for transferring the forage crops accommodated in the loading compartment to the chamber inlet, and is driven by receiving hydraulic power from the towing means.
상기 2개의 체인은 상기 베이스판의 양단부로부터 소정거리 안쪽에 배치된다.The two chains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ends of the base plate.
상기 적재함부에는 상기 견인수단으로부터 상기 베일러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설치된다.The load compartment is provided with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power for driving the baler from the towing means.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적재함부의 전방 측벽으로부터 후방 측벽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관요소와, 상기 관요소 내에 배치되는 동력전달축을 포함한다.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includes: a tubular element disposed to penetrate the rear sidewall from the front sidewall of the loading compartment, and a power transmission shaft disposed in the tubular element.
본 고안의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는 일반적인 베일러에 결합되어 베일러와 함께 이동하면서 조사료작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는 이동하면서 적재와 공급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통상의 베일러에서 기존의 픽업장치 등의 위치에 그대로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탈부착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많은 조사료작물을 적재하면서도 적재함부에 남겨지는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기존의 중형 베일러에 적합하고, 별도의 중대형 적재장치가 필요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특히, 정치식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에 비해 실질적으로 이동거리를 대폭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적인 효율은 물론 에너지 절감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The feed crop device for mobile bale sil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general baler and can feed the crop crop while moving with the baler. The feed crop equipment for the bale silage can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because the loading and supply can be carried out continuously while moving. Since the conventional baler can be combined as it is in the position of an existing pickup device, i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and is convenient to use. In addition, it provides a forage crop feeder for loading silage, while minimizing the remaining amount in the loading box while loading a large number of forage crops. By adopting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it is suitable for the existing medium bal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medium-large loading device. In particular, since the moving distance can be substantially reduced compared to the stationary forage crop feeding device, it is possible to obtain not only time efficiency but also energy saving effec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가 트랙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가 베일러에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적재함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컨베이어부의 베이스판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컨베이어부의 베이스판의 측면도이다.
도 10 및 1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컨베이어부의 체인과 스크래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컨베이어부에 채용된 기어축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rage crop feeder for bale sil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tractor.
2 is a view showing that the forage crop material supply device for a mobile bale sil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baler.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eed crop material for a mobile bale sil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the forage crop material supply device for a mobile bale sil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the feed crop material for a mobile bale sil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the forage crop material supply device for a mobile bale sil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loading compartment of the forage crop material supply device for a mobile bale sil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lan view showing a base plate of the conveyor unit of the forage crop material supply device for a mobile bale sil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of the base plate of the conveyor unit of the forage crop material supply device for a mobile bale sil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is a view showing a chain and a scraper of the conveyor portion of the forage crop material supply device for a mobile bale sil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gear shaft employed in the conveyor unit of the forage crop material supply device for a mobile bale sil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element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먼저 간략히 설명하면, 본 고안은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을 베일러에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는 기존의 베일러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부착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베일 제조가 가능하도록 베일러에 조사료작물을 공급한다. 이러한 공급장치 및 베일 시스템은 베일러가 단독으로 이용되는 경우보다 조사료작물의 손실이 적고 사일리지 제조에 더 효과적이다. 가능한 한 많은 양의 조사료작물을 적재하면서도 특별한 적재 장치가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매우 간편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이동식 조사료작물 공급장치는 베일러와 함께 이동하면서 조사료작물을 공급한다는 점에서 정지된 상태에서 작물을 공급하는 것에 비해 특히 현장에서의 작업시간 측면에서 효율이 상당히 높다. 따라서, 기존의 베일러 자체에 구비된 픽업 장치를 이용하는 작물 공급의 비효율의 개선은 물론 작업시간을 대폭 축소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Briefly, fir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upplying silage forage crops to balers. The bale silage forage crop feeder is detachable to an existing baler, and supplies the forage crop to the baler so that the bale can be manufactured while moving in the attached state. This feeder and bale system has less loss of forage crops and is more effective for silage manufacture than when balers are used alone. It is so simple that it loads as much of the forage crop as possible but does not require a special loading device. Such a mobile feed crop f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gnificantly more efficient in terms of working time in the field compared to feeding the crop in a stationary state in that it feeds the feed crop while moving with the bal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nefficiency of the crop supply using the pickup device provided in the existing baler itself, as well as to significantly reduce the working time.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가 트랙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가 베일러에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적재함부(120)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컨베이어부(110)의 베이스판(111)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컨베이어부(110)의 베이스판(111)의 측면도이다. 도 10 및 1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컨베이어부(110)의 체인(114)과 스크래퍼(115)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의 컨베이어부(110)에 채용된 기어축(112)을 도시한 도면이다.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mobile veil silage feed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rage crop feeder for bale sil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tractor. 2 is a view showing that the forage crop material supply device for a mobile bale sil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baler.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eed crop material for a mobile bale sil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the forage crop material supply device for a mobile bale sil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the feed crop material for a mobile bale sil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the forage crop material supply device for a mobile bale sil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는 트랙터(200)와 같은 견인장치에 견인되어 이동하며 트랙터(200)의 반대측에 베일러(300)가 결합된다(도 2 참조). 따라서 여기에서는 본 고안의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에 있어서 트랙터(200) 측, 다시 말해서 견인되어 이동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베일러(300)가 결합되는 측을 후방으로 지칭한다.As can be seen in Figure 1, the mobile veil silage feed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는, 베일러(30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을 베일러(300)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예로 든 베일러(300)는 트랙터(200) 등에 견인되어 이동하면서 원형 베일을 생산할 수 있는 베일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베일러(300)는 크기가 대형, 중형, 소형 등 스틸, 벨트 타입 등 크기와 형식에 관계없이 모든 원형 베일러에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ale silage forage crop
결국 본 고안의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는 트랙터(200)와 베일러(300) 사이에 결합되어 경작지 등을 이동하면서 베일러(300)에 조사료작물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로는 일반적인 수확기와 같은 장치가 측면에서 수확과 동시에 조사료작물을 적재할 수 있다. 일단 본 고안의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에 적재된 조사료작물은 안정적이고 균일하게 베일러(300) 조사료작물을 공급할 것이다.As a result, the
이러한 본 고안의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는 컨베이어부(110)와 적재함부(120)를 포함한다. 컨베이어부(110)는 적재함부(120)의 바닥부위에 위치됨으로써 적재함부(120)의 바닥부를 겸하게 된다. 이는 도 3 및 6에서 잘 확인할 수 있다. The forage crop
이러한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는 트랙터(200)와 베일러(300) 사이에 연결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적재함부(120)에 적재된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을 컨베이어부(110)가 베일러(300)로 적합한 량의 작물을 공급하게 된다. The bale silage forage crop
구체적으로,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부(110)는 그 일측(전단부)이 베일러(300)의 챔버입구(E) 측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될 수 있는 베일러(300)는 챔버입구(E)를 통해 조사료작물이 유입되면 회전이송부(390)에 의해 챔버(340) 내로 도입되어 챔버(340) 내에서 원형(원통형) 베일로 형성된 후, 뒷문프레임(320)을 개방하여 배출한다. 계속적으로 챔버입구(E)를 통해 작물이 챔버(340) 내로 공급되고, 챔버(340) 내의 작물들이 회전하는 롤(330) 들에 의해 회전되면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Specifically, as can be seen in FIG. 2, the
본 실시예에서의 베일러(300)는 그 동작을 위한 동력을 외부장치, 즉 트랙터(200)로부터 얻는다. 베일러(300)에 설치된 히치부(360)와 본 고안의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160)를 통해 트랙터(200)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는다. 동력전달부(160)는 바람직하게는 적재함부(12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전방에 위치하는 트랙터(200)로부터의 동력을 후방에 위치하는 베일러(300)에 전달한다. 이러한 동력전달부(160) 보호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관요소(161)와 관요소 내부에 설치되는 동력전달축(162)를 포함할 수 있다.The
본 고안의 적용되는 베일러(300)는 기존에 장착되어 지면에 놓인 작물을 걷어 올리는 픽업장치 등이 제거되고, 그 대신 본 고안의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200)가 장착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이미 구비하고 있는 베일러 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더구나 본 고안의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는 트랙터(200)에 견인되어 베일러(300)와 함께 이동하면서 조사료작물을 베일러에 공급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The
베일러(300)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310은 앞프레임이 도면부호 350은 베일러의 바퀴를 나타낸다.In the
따라서 본 고안의 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부(110)는 필요에 따라서 결합 가능한 모든 베일러에 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국내에 많이 보급되어 있는 중형 베일러에 적합한 크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컨베이어부(110)는 결합요소(119)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요소(119)는 예를 들어 기존의 픽업장치 등이 결합되는 부위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은 예를 들어 볼트, 너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결합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Therefore, the
본 고안의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는 베일러의 크기에 특별한 제약을 받는 것은 아니다. 통상의 베일러들은 회전이송부(390)에 작물을 중앙으로 모아주는 오거수단을 구비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오거 수단 외에도 챔버 앞에서 작물의 방향을 챔버입구(E)쪽으로 모아지도록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feed crop feeder for bale sil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y the size of the baler. This is because conventional balers are provided with auger means for collecting crops to the center in the
다시, 본 고안의 본 실시예의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의 컨베이어부(110)는, 도 3에서 잘 보이는 바와 같이, 평판형 베이스판(111)을 포함한다. 이러한 베이스판(111)은 후술되는 적재함부(120)의 바닥을 겸하는 것일 수 있다.Again, the
도 3, 6,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1)의 길이방향의 전방과 후방에는 베일러(300)의 챔버입구(E)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기어축(112)이 구비된다. 이 기어축(112)은 도 12에 별도로 도시되었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들 기어축(112)은 어느 일단부에 제1기어(117) 또는 풀리가 설치되어 유압모터(170) 또는 유압펌프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컨베이어부(110)의 회전시킨다. 유압모터(170)는 예를 들어 트랙터(200)로부터 압유를 전달받는다. 다시 기어축(112)으로 돌아와서, 각 기어축(112)에는 한쌍의 기어(113) 또는 풀리가 설치되고, 이 기어(113)에 체인(114) 또는 벨트가 감겨지게 된다. 이 체인(114)은 무한궤도 형태로 감겨지는 것이며, 바닥부위인 평판형 베이스판(111)을 내부에 포함하도록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베이스판(111)의 상면과 하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배치된다.3, 6, 11 and 12, the front and rea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이러한 양쪽 체인(114) 또는 벨트에는 다수개의 스크래퍼(115)가 연결된다. 스크래퍼(115)들은 양쪽 체인(114) 또는 벨트에 결합됨으로써 베이스판(111)의 상면을 가로지르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이동 시에 베이스판(111) 상에 놓인 작물을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베이스판(111) 상면에 밀착되어 미끄럼 이동할 수 있는 바(bar) 형태로 설치된다. 다수개의 스크래퍼(115)들은 바람직하게는 균일한 간격을 갖도록 체인(114) 또는 벨트의 전체에 걸쳐서 배치된다. 따라서 스크래퍼(115)들이 베이스판(111)의 위와 아래에 모두 위치하게 되며, 회전 시에 베이스판(111)의 상면과 아래를 지나게 된다. 스크래퍼(115)들은 작물들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凹' 형상을 가질 수 있다.A plurality of
본 고안의 기어축(112)은 베이스판(111)의 전후방에 배치되는 2개 이외에 필요에 따라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의 체인(114)은 각각 양측단부로부터 안쪽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판(111)의 해당 부위에는 홈이 마련되어 베이스판(111)의 위에 배치되는 체인(114) 부분은 그 홈 내부에 수용되는 형태를 취한다. 결과적으로 양 체인(114)은 스크래퍼(115)들의 양단부위가 아닌 안쪽에 결합되게 된다. 이를 통해, 적재함부(120)의 측벽(121)과의 경계부분에 체인(114) 등의 배치를 위한 복잡한 구조가 설치될 필요가 없게 되어, 측벽(121)과 베이스판(111)의 연결 등이 간편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그 경계부분에는 상대적으로 조사료작물이 잔류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본 실시예의 상술한 스크래퍼(115)들은 그 경계부분을 비교적 잘 이송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더욱이, 양단부가 체인에 결합된 기존의 스크래퍼들은 가운데 부위가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오래 사용하고 나면 그 부위에서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양 체인(114)이 중심부위에 가까이 접근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적재함부(120)의 회동구조를 채택하지 않은 간단한 구성으로도 잔량을 최소화하며 효율적으로 조사료작물의 이송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적재함부(120)는 그 바닥부위에 상술한 컨베이어부(110)를 노출하도록 설치되며, 이렇게 컨베이어부(110)가 바닥부위에 노출됨으로써 적재함부(120)에 적재된 작물을 베일러(300)의 챔버입구(E)로 이송할 수 있다.The
바람직하게는 적재함부(120)는 베일러(300)의 챔버입구(E)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거리에 설치된다. Preferably, the
적재함부(120)는 상술한 컨베이어부(110)의 양측단부에 설치되는 측벽(121)을 포함한다. 적재함부(120)의 측벽(121) 들 중 베일러(300)가 결합되는 측에는 하단부에 조사료작물의 이동통로(180)가 형성되며, 이는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동통로(180)를 통해 적재함부(120)에 적재된 조사료작물이 베일러(300)의 챔버 입구로 이동하게 된다.The stacking
또한 바람직하게는 각 측벽(121)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경사진 테두리 부위(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테두리 부위(123)는 본 고안의 공급장치(100)가 이동 시에 수확기 등으로부터 조사료작물을 공급받을 때 바람 등에 의해 외부로 낙하되는 것을 최소화해줄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upper end portion of each
본 고안의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는 컨베이어부(110) 아래에는 밑으로 떨어지는 조사료작물을 받기 위한 받이부를 구비한다. 받이부는 컨베이어부(110)의 체인(114)의 위치 등에서 일부 밑으로 낙하는 조사료작물을 받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고정구(127a)를 다수개 배치하고, 그 사이에 판재(127b)들을 삽입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Bale silage forage
컨베이어부(110) 도입부분에는 적재함부(120) 외부로 베이스판(111)이 노출연장되어 베일러(300)에 결합된다. 이 도입부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벽(125)이 베이스판(111)의 양측에 설치된다. 가이드벽(125) 사이에는 가로대(128)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가로대(128)에는 베일러(300)와의 결합을 위해 베일러(300)의 히치(360)가 연결된다.In the introduction portion of the
본 고안의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는 트랙터(200)에 연결하기 위한 링크부(143)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는 트랙터(200)에 결합되지 않을 경우에는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고정발(144)을 구비할 수 있다.Forage crop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컨테이너부가 일반적인 판형 벨트(컨베이어벨트)를 구비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판형 벨트가 베이스판의 위와 아래를 회전하면서 작물을 이송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ainer portion may have a general plate-shaped belt (conveyor belt). In this case, the plate-shaped belt can transport crops while rotating up and down the base plat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100)는 국내에 많이 보급되어 있는 중형베일러에 최적인 구성을 가지게 되며,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을 베일러에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ale silage
위에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In the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110: 컨베이어부 111: 베이스판
112: 기어축 113, 117: 기어
114: 체인 115: 스크래퍼
116: 프레임 119: 결합요소
120: 적재함부 121: 측벽
125: 가이드벽 127a: 고정구
127b: 판재 128: 가로대
160: 동력전달부 161: 관요소
162: 동력전달축 170: 유압모터
143: 링크부 300: 베일러
310: 앞프레임 320: 뒷문프레임
330: 롤 340: 챔버
E: 챔버입구 360: 히치
390: 회전이송부100: forage crop feeder
110: conveyor 111: base plate
112:
114: chain 115: scraper
116: frame 119: coupling element
120: loading compartment 121: side wall
125: guide
127b: plate 128: crossbar
160: power transmission unit 161: tubular element
162: power transmission shaft 170: hydraulic motor
143: link unit 300: baler
310: front frame 320: rear door frame
330: roll 340: chamber
E: chamber entrance 360: hitch
390: rotation transfer unit
Claims (5)
상기 베일러의 챔버입구 측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사료작물을 상기 챔버입구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부; 및
상기 챔버입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바닥부위에 상기 컨베이어부를 노출하는 적재함부를 포함하되,
상기 컨베이어부는, 일측이 상기 챔버입구 측에 연결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 후방 측에 상기 챔버입구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 후방 기어축과, 상기 전, 후방 기어축의 기어에 감김으로써 상기 베이스판의 상, 하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2개의 체인과, 상기 2개의 체인의 전체에 걸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를 지날 때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적재함부 내에 수용된 조사료작물을 상기 챔버입구로 이송하는 다수개의 스크래퍼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수단으로부터 유압동력을 전달받아서 구동되는 것인,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An apparatus for feeding a crop crop to a baler while moving with the baler by a towing means,
A conveyor unit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hamber inlet side of the baler to transfer the forage crop to the chamber inlet; And
It includes a loading compartment spaced apart from the chamber inle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exposing the conveyor portion on the bottom portion,
The conveyor unit has one side wound on a base plate connected to the chamber inlet side, the front and rear gear shafts arrang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ase plate in parallel with the chamber inlet, and the gears of the front and rear gear shafts. Two chains arranged to cover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se plate, and the forage contained in the loading compartment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when passing 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two base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plate It includes a plurality of scrapers for transporting the crop to the chamber inlet, which is driven by receiving hydraulic power from the towing means,
Feed crop feeder for mobile bale silage.
상기 2개의 체인은 상기 베이스판의 양단부로부터 소정거리 안쪽에 배치되는 것인,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wo chains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ends of the base plate,
Feed crop feeder for mobile bale silage.
상기 적재함부에는 상기 견인수단으로부터 상기 베일러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설치되는 것인,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ading compartment is provided with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power for driving the baler from the towing means,
Feed crop feeder for mobile bale silage.
상기 적재함부의 전방 측벽으로부터 후방 측벽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관요소와,
상기 관요소 내에 배치되는 동력전달축을 포함하는 것인,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 tubular element disposed to penetrate the rear sidewall from the front sidewall of the loading compartment;
It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shaft disposed in the tubular element,
Feed crop feeder for mobile bale silag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0858U KR200465117Y1 (en) | 2010-10-22 | 2010-10-22 | Travelling crop supplying apparatus for bale sil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0858U KR200465117Y1 (en) | 2010-10-22 | 2010-10-22 | Travelling crop supplying apparatus for bale sila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3001U KR20120003001U (en) | 2012-05-03 |
KR200465117Y1 true KR200465117Y1 (en) | 2013-02-04 |
Family
ID=46606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10858U Expired - Lifetime KR200465117Y1 (en) | 2010-10-22 | 2010-10-22 | Travelling crop supplying apparatus for bale sil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5117Y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16561A (en) * | 2002-08-19 | 2004-02-25 |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 Tractor attachable round bale chopper for rice straw |
JP2008011735A (en) * | 2006-07-04 | 2008-01-24 | Takakita Co Ltd | Shredded roll baler |
JP2009268422A (en) | 2008-05-09 | 2009-11-19 | Takakita Co Ltd | Apparatus for recovering feed dropped out in apparatus for forming and packing feed |
KR100935557B1 (en) | 2002-10-18 | 2010-01-07 | 가부시키가이샤 타카키타 | Roll baler |
-
2010
- 2010-10-22 KR KR2020100010858U patent/KR200465117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16561A (en) * | 2002-08-19 | 2004-02-25 |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 Tractor attachable round bale chopper for rice straw |
KR100935557B1 (en) | 2002-10-18 | 2010-01-07 | 가부시키가이샤 타카키타 | Roll baler |
JP2008011735A (en) * | 2006-07-04 | 2008-01-24 | Takakita Co Ltd | Shredded roll baler |
JP2009268422A (en) | 2008-05-09 | 2009-11-19 | Takakita Co Ltd | Apparatus for recovering feed dropped out in apparatus for forming and packing fee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3001U (en) | 2012-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105546B (en) | A kind of self-propelled pasture round bale baler | |
US3797807A (en) | Material mixer | |
CA2561029C (en) | Conveyor feeder house chain slat | |
CN101669421A (en) | Ordinary combine harvester | |
KR101211680B1 (en) | Crop supplying apparatus for bale silage | |
US10925215B2 (en) | Slat-bar cross-members in a feederhouse crop-conveying system | |
US4583354A (en) | Corn harvester combine assembly with corn removal attachment | |
US3701239A (en) | Harvesting machine | |
EP3586603B1 (en) | Baling system | |
CN208956475U (en) | Circle bale baler | |
US3952895A (en) | Large round bale handling apparatus | |
KR200465117Y1 (en) | Travelling crop supplying apparatus for bale silage | |
US3951288A (en) | Large round bale handling apparatus | |
CN104186120A (en) | Straw bale picking device | |
US3992860A (en) | Towed tobacco harvester | |
CN219919745U (en) | Knapsack suspension type packaging net film winding integrated machine | |
US4019644A (en) | Large round bale handling apparatus | |
CN216088247U (en) | Feed scattering vehicle | |
KR101275736B1 (en) | Crop supplying apparatus for bale silage | |
CN108174677A (en) | A kind of stalk combined harvesting bander | |
US3966063A (en) | Large round bale handling apparatus | |
KR101450639B1 (en) | Loading device | |
CA1041051A (en) | Large round bale handling apparatus | |
CN105393709A (en) | Small rice pickup threshing machine | |
KR102802957B1 (en) | Apparatus for hay feed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1022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0707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1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301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129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1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