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955Y1 - Pendant module - Google Patents
Pendant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4955Y1 KR200464955Y1 KR2020110002036U KR20110002036U KR200464955Y1 KR 200464955 Y1 KR200464955 Y1 KR 200464955Y1 KR 2020110002036 U KR2020110002036 U KR 2020110002036U KR 20110002036 U KR20110002036 U KR 20110002036U KR 200464955 Y1 KR200464955 Y1 KR 20046495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 necklace
- cover
- insertion hole
- penda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펜던트 모듈은 본체부, 덮개부 및 간격 유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장식부, 및 상기 장식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측면에 제1 삽입홀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체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의 제1 삽입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삽입홀이 형성된다.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체결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다.The pendant module includes a body portion, a lid portion and a spacing portion. The main body portion includes a decorative portion and a fastening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decorative portion and having a first insertion hole formed at a side thereof. The cover part is coupled to the fastening part, and a second insertion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ertion hole of the fastening part. The gap maintaining part is fixed between the fastening part and the cover part to maintain a constant gap between the fastening part and the cover part.
Description
본 고안은 펜던트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착이 용이한 펜던트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ndant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ndant module that is easily removable.
일반적으로, 목걸이는 펜던트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펜던트를 수리해야 하거나, 펜던트의 디자인이 지겨워져서 펜던트를 교체하고자 할 때, 목걸이를 새로 구입해야 한다. 한편, 펜던트가 목걸이의 줄(ring)과 탈착이 가능한 제품도 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제품에서도 목걸이 줄과 펜던트 사이의 특별한 결합구조를 채택하고 있지 않으며, 목걸이 줄을 목에서 푼 상태에서 풀린 부분을 통해 펜던트를 탈착하는 제품이 대부분이다.In general, a necklace is formed integrally with a pendant, so when the pendant needs to be repaired, or when the pendant's design becomes boring and a pendant is to be replaced, a new necklace must be purchased.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lso products that can be attached to the necklace ring and detachable pendant, but these products do not adopt a special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necklace string and the pendant. Most products are removable pendants.
따라서, 사용자가 펜던트의 교체를 원하는 경우, 목걸이를 목에서 탈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펜던트를 교환할 수 있는 펜던트와 목걸이 줄과의 결합 구조가 필요하다.Therefore, if the user wants to replace the pendant, there is a need for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pendant and the necklace string that can easily exchange the pendant without removing the necklace from the neck.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목걸이 줄로부터 탈착이 용이한 펜던트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conventional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ndant module that is easily removable from the necklace string.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펜던트 모듈은 본체부, 덮개부 및 간격 유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장식부, 및 상기 장식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측면에 제1 삽입홀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체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의 제1 삽입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삽입홀이 형성된된다.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체결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다.Penda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a cover portion and the interval maintaining portion. The main body portion includes a decorative portion and a fastening portion disposed on the decorative portion and having a first insertion hole formed at a side thereof. The cover part is coupled to the fastening part, and a second insertion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ertion hole of the fastening part. The gap maintaining part is fixed between the fastening part and the cover part to maintain a constant gap between the fastening part and the cover pa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덮개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덮개부와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astening part may be inserted into the cover part and combined with the cover pa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홀들 각각은 제1 및 제2 삽입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펜던트 모듈은 목걸이 결합부 및 목걸이 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걸이 결합부는 상기 체결부 및 상기 덮개부에 결합되며, 상기 목걸이 줄은 상기 목걸이 결합부에 연결되며 상기 목걸이 결합부의 단면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목걸이 결합부는 상기 제1 삽입부들을 통해서는 삽입되나, 상기 제2 삽입부들 통해서는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제1 삽입홀의 제2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홀의 제1 삽입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상기 체결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간격 유지부에 의한 상기 체결부 및 상기 덮개부 사이의 고정력보다 큰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1 삽입홀의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홀의 제1 삽입부가 서로 중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holes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insertion portions. The pendant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necklace coupling part and a necklace string. The necklace coupling part may be coupled to the fastening part and the cover part, and the necklace string may be connected to the necklace coupling part and have a cross section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necklace coupling part. In this case, the necklace coupling portion may be inserted through the first insertion portions, but not inserted through the second insertion portions. The gap maintaining part may maintain a gap between the fastening part and the cover part such that the second insertion part of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first insertion part of the second insertion hole overlap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when an external force greater than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by the gap maintaining portion is applied, the first insertion portion of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first insertion portion of the second insertion hole may overlap each other. .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 유지부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ap maintaining part may be a leaf spring.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덮개부와 본체부 사이에 판스프링이 고정되도록 펜던트 모듈을 형성함으로써, 펜던트를 목걸이 줄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취향 및 추세에 맞는 펜던트로 교환이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 pendant module so that the leaf spring is fixed between the cover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the pendant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necklace string, the user can easily replace the pendant according to your taste and trend Do.
즉, 펜던트를 판스프링이 삽입되는 덮개부와 본체부로 모듈화하여,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높이고,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며, 다양한 디자인으로 용이하게 변경이 가능한 목걸이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pendant can be modularized into a cover portion and a main body portion into which the leaf spring is inserted,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selection, easily detachable, and providing a necklace that can be easily changed in various designs to the consumer.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펜던트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펜던트 모듈의 목걸이 줄과 삽입 및 탈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펜던트 모듈이 목걸이 줄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nda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being inserted and detached with a necklace string of the pendant module of FIG.
FIG. 2B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endant module of FIG. 1 is coupled to a necklace string.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펜던트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nda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펜던트 모듈(100)은 본체부(10), 덮개부(20) 및 간격 유지부(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목걸이 줄(40) 및 목걸이 결합부(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상기 본체부(10)는 장식부(11) 및 체결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장식부(11)에는 다양한 무늬 및 다양한 금속이나 보석 등이 장식되며,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 기둥 형상 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장식부(11)의 상부에는 상기 체결부(12)가 배치된다. 상기 체결부(12)는 상기 장식부(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장식부(11)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체결부(12)는 후술할 상기 덮개부(20)의 내부로 삽입되며 결합되므로, 상기 덮개부(20)의 두께를 고려하여 상기 장식부(11)의 둘레보다 작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astening
상기 체결부(12)의 측면에는 제1 삽입부(13) 및 제2 삽입부(14)를 갖는 제1 삽입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삽입홀은 상기 체결부(12)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들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삽입홀의 제1 삽입부(13)는 상기 체결부(12)와 상기 덮개부(20)의 체결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l1 만큼의 너비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부(14)는 동일한 방향으로 l2 만큼의 너비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삽입부(13)의 너비는 상기 제2 삽입부(14)의 너비보다 크다.A first insertion hole having a
상기 제1 삽입부(13)의 너비 l1 은 후술할 목걸이 결합부(41)의 단면의 직경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하여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상기 제1 삽입부(13)를 통과하여 상기 체결부(1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 삽입부(14)의 너비 l2 는 상기 목걸이 결합부(41)의 단면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하여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상기 제2 삽입부(14)를 통과하지 못한다.The width l 1 of the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체결부(12)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덮개부(20)는 내부에 삽입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2)가 상기 삽입 공간으로 삽입되며 결합된다. 상기 덮개부(20)의 내부 또는 상기 체결부(12)의 외부에는 결합을 위한 별도의 결합홈(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덮개부(20)의 측면에는 제1 삽입부(21) 및 제2 삽입부(22)를 갖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삽입홀은 상기 덮개부(20)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들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삽입홀은 상기 체결부(12)의 제1 삽입홀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홀들의 배치 관계는 도 2a 및 2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삽입홀의 제1 삽입부(21)는 상기 체결부(12)와 상기 덮개부(20)의 체결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l3 만큼의 너비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삽입부(22)는 동일한 방향으로 l4 만큼의 너비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삽입부(21)의 너비는 상기 제2 삽입부(22)의 너비보다 크다.A second insertion hole having a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삽입부들의 너비인 l1 및 l3, l2 및 l4의 크기는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미 언급한 바와 동일하게, 상기 제1 삽입부(21)의 너비 l3 는 상기 목걸이 결합부(41)의 단면의 직경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하여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상기 제1 삽입부(21)를 통과하여 상기 덮개부(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 삽입부(22)의 너비 l4 는 상기 목걸이 결합부(41)의 단면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하여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상기 제2 삽입부(22)를 통과하지 못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s of l 1 and l 3 , l 2 and l 4 , which are the widths of the first and second inserts, are substantially the same. Therefore, as already mentioned, the width l 3 of the
상기 간격 유지부(30)는 상기 체결부(12)와 상기 덮개부(20) 사이에 고정된다. 즉, 상기 체결부(12)가 상기 덮개부(20)의 내부로 삽입되며 결합되는 경우, 상기 체결부(12)와 상기 덮개부(20) 내부의 서로 마주하며 결합되는 면에 고정된다. 상기 간격 유지부(30)는 예를 들어, 판스프링일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 유지부(30)는 중앙부가 상기 체결부(12)를 향하도록 휘어진 판스프링이므로, 상기 체결부(12)와 상기 덮개부(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상기 간격 유지부(30)의 중앙부가 상기 체결부(12) 방향으로 휘어져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면, 외력의 작용이 없는 경우, 상기 체결부(12)와 상기 덮개부(20)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휨 정도에 해당하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체결부(12)와 상기 덮개부(2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간격 유지부(30)의 중앙부는 상기 외력에 의해, 휨 정도가 줄어들게 된다. 즉, 외력에 의해 상기 체결부(12) 및 상기 덮개부(20)의 간격은 줄어들게 된다. 다만, 상기 외력이 소멸되는 경우, 상기 간격 유지부(30)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상기 체결부(12)와 상기 덮개부(20)는 다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Wh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이와 같이, 상기 간격 유지부(30)는 외력의 작용 여부에 따라서, 상기 체결부(12)와 상기 덮개부(20) 사이의 간격을 다르게 유지할 수 있다.As such, the
상기 목걸이 줄(40)은 후술할 목걸이 결합부(41)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목에 걸린다. 일반적으로 목걸이 줄(40)은 탈부착을 위한 연결고리를 포함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목걸이 줄(40)이 상기 본체부(10) 및 덮개부(20)와 분리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연결고리는 필요 없다.The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상기 목걸이 줄(40)의 양 끝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12) 및 상기 덮개부(20)와 결합된다.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구형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상기 목걸이 결합부(41)의 단면의 너비는 상기 체결부(12) 및 상기 덮개부(20)의 제1 삽입부들(13, 21)의 너비인 l1 및 l3 보다는 작고, 상기 제2 삽입부들(14, 22)의 너비인 l2 및 l4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상기 제1 삽입부들(13, 21)을 통해서는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하지만, 상기 제2 삽입부들(14, 22)을 통해서는 삽입 및 이탈이 불가능하게 된다. 결국,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상기 제1 삽입부들(13, 21)을 통해 삽입된 후 상기 제2 삽입부들(14, 22)의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10) 및 상기 덮개부(20)와 결합되며, 다시 상기 제1 삽입부들(13, 21)의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본체부(10) 및 상기 덮개부(20)와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목걸이 줄(40)은 상기 목걸이 결합부(41)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목걸이 결합부(41)의 단면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삽입부들(14, 22)의 너비인 l2 및 l4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 2a는 도 1의 펜던트 모듈의 목걸이 줄과 삽입 및 탈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ure 2a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being inserted and detached with a necklace string of the pendant module of FIG.
도 2a를 참조하면,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간격 유지부(30)에 의해 고정되는 힘보다 큰 외력(F)이 상기 체결부(12)와 상기 덮개부(20)의 결합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면, 상기 장식부(11)와 상기 덮개부(20) 사이의 간격이 감소한다. 이 때, 상기 장식부(11)와 상기 덮개부(20) 사이의 간격이 최소로 유지되는 경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삽입홀의 제1 삽입부(13)는 상기 제2 삽입홀의 제1 삽입부(21)와 중첩되며, 상기 제1 삽입홀의 제2 삽입부(14)는 상기 제2 삽입홀의 제2 삽입부(22)와 중첩된다. 따라서, 상기 목걸이 결합부(41)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홀들의 제1 삽입부들(13, 21)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12) 및 상기 덮개부(2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와 동일하게,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홀들의 제1 삽입부들(13, 21)이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놓일 경우, 상기 체결부(12) 및 상기 덮개부(20)의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as already mentioned, an external force F greater than the force fixed by the
도 2b는 도 1의 펜던트 모듈이 목걸이 줄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2B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endant module of FIG. 1 is coupled to a necklace string.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작용하던 외력(F)이 소멸되면, 상기 간격 유지부(30)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상기 체결부(12)와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외력(F)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하여, 상기 간격 유지부(30)에 의해 상기 체결부(12)의 제1 삽입홀의 제2 삽입부(14)와 상기 덮개부(20)의 제2 삽입홀의 제1 삽입부(21)가 서로 중첩되도록 상기 체결부(12)와 상기 덮개부(20)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상기 체결부(12) 및 상기 덮개부(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12)의 제1 삽입홀의 제2 삽입부(14)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상기 체결부(12)의 상기 제1 삽입홀의 제2 삽입부(14)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는 상기 체결부(12)의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며, 상기 체결부(12) 및 상기 덮개부(2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2B, when the applied external force F is extinguished, the external force F acts on the
이와 같이, 체결부(12)의 제1 및 제2 삽입부들(13, 14) 및 덮개부(20)의 제1 및 제2 삽입부들(21, 22)의 형상 및 위치관계를 상기 간격 유지부(30)가 갖는 탄성 회복력을 고려하여 형성함으로써, 외력을 작용한 상태에서 상기 목걸이 결합부(41)를 상기 체결부(12) 및 상기 덮개부(20)에 삽입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목걸이 결합부(41)가 상기 체결부(12) 및 상기 덮개부(2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s such, the shape and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first and
결국, 상기 본체부(10) 및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목걸이 줄(40) 및 상기 목걸이 결합부(41)와 서로 용이한 분리 및 재결합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새로운 장식부(11)가 형성된 본체부(10) 및 덮개부(20)로 교환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덮개부와 본체부 사이에 판스프링이 고정되도록 펜던트 모듈을 형성함으로써, 펜던트를 목걸이 줄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취향 및 추세에 맞는 펜던트로 교환이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 pendant module so that the leaf spring is fixed between the cover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the pendant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necklace string, the user can easily replace the pendant according to your taste and trend Do.
즉, 펜던트를 판스프링이 삽입되는 덮개부와 본체부로 모듈화하여,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높이고,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며, 다양한 디자인으로 용이하게 변경이 가능한 목걸이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pendant can be modularized into a cover portion and a main body portion into which the leaf spring is inserted,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selection, easily detachable, and providing a necklace that can be easily changed in various designs to the consumer.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본 고안은 귀금속 악세사리의 일종인 펜던트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취향 등에 따라 보석을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는 귀금속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ndant which is a kind of precious metal accessories, and has an industrial applicability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precious metals in which jewelry can be selected and manufactured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100 : 펜던트 모듈 10 : 본체부
20 : 덮개부 30 : 간격 유지부
40 : 목걸이 줄 41 : 목걸이 결합부100: pendant module 10: main body
20: cover part 30: gap holding part
40: necklace line 41: necklace combination
Claims (8)
상기 체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의 제1 삽입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삽입홀이 형성된 덮개부; 및
상기 체결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체결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격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삽입홀들 각각은 제1 및 제2 삽입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던트 모듈.A main body part including a decorative part and a fastening part disposed on the decorative part and having a first insertion hole formed at a side thereof;
A cover part coupled to the fastening part and having a second insertion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sertion hole of the fastening part; And
A gap maintaining part fixed between the fastening part and the cover part to maintain a constant gap between the fastening part and the cover part,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holes includes first and second insertion parts.
상기 목걸이 결합부에 연결되며, 상기 목걸이 결합부의 단면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의 단면을 갖는 목걸이 줄을 더 포함하는 펜던트 모듈.According to claim 1, Necklac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And
And a necklace string connected to the necklace coupling portion and having a cross section of a width smaller than a wid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necklace coupling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2036U KR200464955Y1 (en) | 2011-03-11 | 2011-03-11 | Pendant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2036U KR200464955Y1 (en) | 2011-03-11 | 2011-03-11 | Pendant modu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6476U KR20120006476U (en) | 2012-09-20 |
KR200464955Y1 true KR200464955Y1 (en) | 2013-01-25 |
Family
ID=51360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2036U KR200464955Y1 (en) | 2011-03-11 | 2011-03-11 | Pendant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4955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0244B1 (en) * | 2015-06-03 | 2016-12-12 | (주)렉스다이아몬드 | Coupling device for easy fastening Accessorie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89222A (en) | 1998-12-28 | 2000-07-11 | Honda Seimitsu Kogyo Kk | Joint metal fitting for necklace |
KR200269199Y1 (en) | 2001-12-12 | 2002-03-20 | 임건환 | Connection structure of personal ornaments |
KR200319379Y1 (en) | 2003-04-03 | 2003-07-10 | 김응선 | A necklace for portable terminal unit |
KR200331806Y1 (en) | 2003-07-28 | 2003-10-30 | 정학봉 | Conclusion structure of accessories |
-
2011
- 2011-03-11 KR KR2020110002036U patent/KR200464955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89222A (en) | 1998-12-28 | 2000-07-11 | Honda Seimitsu Kogyo Kk | Joint metal fitting for necklace |
KR200269199Y1 (en) | 2001-12-12 | 2002-03-20 | 임건환 | Connection structure of personal ornaments |
KR200319379Y1 (en) | 2003-04-03 | 2003-07-10 | 김응선 | A necklace for portable terminal unit |
KR200331806Y1 (en) | 2003-07-28 | 2003-10-30 | 정학봉 | Conclusion structure of accessori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6476U (en) | 2012-09-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952506S1 (en) | Article of jewelry | |
USD945918S1 (en) | Article of jewelry | |
USD920136S1 (en) | Watch | |
USD959315S1 (en) | Watch case | |
USD977475S1 (en) | Smart watch | |
USD913140S1 (en) | Wristband | |
USD911207S1 (en) | Wristband | |
USD491078S1 (en) | Wrist watch | |
USD968235S1 (en) | Watch | |
USD996254S1 (en) | Watchband | |
USD997011S1 (en) | Watch case | |
USD1017428S1 (en) | Watch with a QR code | |
USD911206S1 (en) | Wristband | |
USD1036273S1 (en) | Watch | |
KR200464955Y1 (en) | Pendant module | |
CA113869S (en) | Infant event monitoring bracelet | |
KR101682374B1 (en) | ring | |
USD1014296S1 (en) | Wrist watch | |
KR200462603Y1 (en) | Accessory module | |
USD556604S1 (en) | Combined watchcase and portions of a watchband | |
KR100760848B1 (en) | Diary Assembly Structure | |
USD955914S1 (en) | Watch bracelet | |
KR200467928Y1 (en) | Accessory module | |
KR101363175B1 (en) | Glasses having decorating parts | |
CN201011888Y (en) | double ear key 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311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0910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1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301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12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1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