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64844Y1 - 밸브실의 받침판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밸브실의 받침판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844Y1
KR200464844Y1 KR2020100007722U KR20100007722U KR200464844Y1 KR 200464844 Y1 KR200464844 Y1 KR 200464844Y1 KR 2020100007722 U KR2020100007722 U KR 2020100007722U KR 20100007722 U KR20100007722 U KR 20100007722U KR 200464844 Y1 KR200464844 Y1 KR 2004648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hamber
synthetic resin
pipe
valve
recyc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808U (ko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김태형
주식회사 지워터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형, 주식회사 지워터웍스 filed Critical 김태형
Priority to KR2020100007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844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8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8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84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4Shaft entirely made of synthetic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03B9/10Protective plate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09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지중에 매설된 관로와, 이 관로의 임의의 위치에 밸브를 설치하고, 밸브의 조작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지면 또는 도로면을 지하로 굴착하여 밸브실을 설치하는 밸브실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의 벽체를 일체형 합성수지관으로 제작하고, 상기 합성수지관의 바닥부를 재생PE 받침판으로 형성하되, 상기 재생PE 받침판은 합성수지관 하단부가 외삽되도록 일정높이 돌출되는 관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밸브실의 받침판 설치구조{Instrument structure of A valve room base}
본 고안은 밸브실의 받침판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실의 벽체로 사용하는 합성수지관의 바닥부를 재생PE 받침판으로 형성하도록 된 밸브실의 받침판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 매설되어 있는 상수도 관로는 접합된 연속관 형태의 관만으로 구성되지 않고 제수밸브, 공기밸브, 감압밸브, 안전밸브, 소화전 등의 부대설비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에서 제수밸브에 대해 설명하면, 관 파열 및 누수, 공사, 관 세정 배수, 급수관의 분기 작업시 단수를 위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제수밸브는 배수를 촉진하고 유체의 이동을 무리없이 진행시키기 위해 수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수밸브는 상수도 관로의 요소요소에 설치하고 해당 밸브를 조작할 수 있도록 밸브실을 지중에 시공하여 이 밸브실을 통해 관로를 통제하게 된다.
상기 목적으로 지중에 시공되는 재래식 밸브실의 시공형태는 주로 조적식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조적식 공법의 형태는 도 1이 대표적이다.
도 1은 상수도용 관로에 설치된 밸브를 중심으로 시공된 밸브실의 지중 단면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밸브실(1)을 만드는 주요부분은, 관로(2) 및 관로(2)에 설치된 밸브(3), 관로(2)와 약간의 간격을 두고 굴착된 바닥면에 깔린 기초 콘크리트(4), 밸브(3)를 중심으로 아래는 받침목(5)이 설치되고 관로(2)의 상하부 공간을 확보하여 밸브실(1)을 형성하는 벽돌(6) 및 벽체(7), 밸브실(1)의 상부면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보호 콘크리트(8), 밸브실(1)의 입구에 설치되는 철개(10) 및 철개 뚜껑(11) 등으로서 사용되는 원부자재는 벽돌, 시멘트 및 목재가 대부분이고 철개(10) 및 철개 뚜껑(11)을 제외하면 밸브실(1)을 시공할 때 현장에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밸브실(1)의 시공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관로(2)의 매립 위치 설계에서 밸브실(1)의 설치 위치를 결정하거나 아니면 기존 관로(2)에 신규로 밸브(3)를 설치할 경우 포장된 도로(13)를 절단기로 절단하여 밸브(3)의 설치 위치를 결정한다.
이후, 해당 설치위치에 굴삭기로 땅을 굴착한 후 굴착된 바닥면을 다지고 고른 다음 기초 콘크리트(4)를 타설한 뒤 밸브(3)를 관로(2)에 설치한다.
이후, 벽체를 만들기 위하여 조적공사를 하고 철근콘크리트흄관으로 벽체(7)를 형성한다.
특히, 조적공사는 밸브실(1)의 사방면을 쌓는 형태로 시공하며 조적공사가 끝나면 철근콘크리트흄관을 설치하고 이 흄관 위에 철개를 올려 놓는다. 그 뒤 밸브실 주위를 메우고 다지며 철개(10) 주위에 보호 콘크리트(8)를 타설하고 밸브실 주위를 포장하는 것으로 밸브실 시공을 마친다.
도 1과 같이 밸브실(1)의 조적공사는 밸브(3)를 중심으로 상하로 벽돌(6)(6A)을 쌓아 밸브실(1)을 만들고 있다.
이와 같이 벽브실(1)의 형성을 위하여 조적식으로 시공되는 밸브실(1)은 몰탈이 경화되어 소요의 강도가 나올 때까지 충분히 양생하여야 하나, 도심지에서는 차량 및 사람의 통행을 위하여 규정된 양생기간의 준수가 어렵고, 지하수가 흐르는 곳에서는 밸브실 안으로 물이 고여 관로(2) 또는 밸브(3)의 부식의 원인이 되며, 밸브 조작이 필요한 경우 밸브실 안의 물을 퍼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되는 주 재료는 벽돌 및 몰탈로서 방수가 어려워 지하수가 흐르는 곳에서는 특수방수를 해야 한다. 이러한 누수요인과 함께 방습이 어려워 밸브실은 항상 습한 조건을 만들어 관로(2) 및 밸브(3)의 부식을 촉진시킨다. 그리고 조적공사로 인한 방수공사는 반영구적이지 못해 검사와 하자보수 등 상당기간 사후관리가 반드시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이와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밸브실 벽체를 합성수지관으로 대체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합성수지관과 기초 콘크리트가 일체화되지 않아 밀림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합성수지관(벽체)의 바닥부를 재생PE 받침판으로 형성하되, 상기 재생PE 받침판은 합성수지관 하단부가 외삽되도록 일정높이 돌출되는 관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합성수지관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며, 종래의 조적식 벽체 시공방법에 비해 시공방법이 간단하고, 이로 인해 공사기간의 단축 및 자재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중에 매설된 관로와, 이 관로의 임의의 위치에 밸브를 설치하고, 밸브의 조작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지면 또는 도로면을 지하로 굴착하여 밸브실을 설치하는 밸브실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의 벽체를 합성수지관으로 제작함에 따라, 상기 합성수지관의 바닥부를 재생PE 받침판으로 형성하되, 상기 재생PE 받침판은 합성수지관 하단부가 외삽되도록 일정높이 돌출되는 관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의 받침판 설치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결합부는 합성수지관의 내부직경과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결합부 및 관결합부가 형성된 재생PE 받침판을 다수의 재생PE블록으로 분할 제작하고, 분할된 재생PE블록들을 현장에서 조립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할된 재생PE블록의 저면에 손잡이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실 바닥을 일정두께 몰타르로 충진시켜 방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밸브실의 벽체를 합성수지관으로 제작함에 따라 합성수지판과 받침판이 밀리지 않도록 바닥부를 재생PE 받침판으로 형성하되, 상기 재생PE 받침판은 합성수지관 하단부가 외삽되도록 일정높이 돌출되는 관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조적식 벽체 시공방법에 비해 시공방법이 간단하기 때문에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고, 바닥부 시공에 사용되는 자재를 최소화함으로써, 공사비용을 절감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밸브실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지중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밸브실의 받침판 설치구조를 도시한 시공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재생PE 받침판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실의 받침판 설치구조를 도시한 시공단면도로서, 지중에 관로(120)가 매설되고 있다. 상기 관로(120)는 상수도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로(120)의 임의의 위치에 밸브(130)가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밸브(130)는 관로(120)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통과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밸브(130)를 일명 제수밸브라 통칭하기도 한다.
이때, 상기 밸브(130)는 임의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밸브실(110)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밸브실(110)은 작업자가 들어가 밸브(130)를 조작하거나 유지 보수할 수 있는 작업공간이 확보되도록 하는 구조물로서, 최근 합성수지관(170)을 벽체로 사용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관(170)은 PVC이중벽관이 사용될 수 있는데, PVC이중벽관이라 함은 내, 외측에 이중 구조의 관을 형성하되, 외측의 관을 주름관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구조강도 및 내구성을 동시에 향상시킨 관이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관(170)의 바닥부를 재생PE 받침판(140)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재생PE 받침판(140)은 관로(120)와 약간의 간격을 두고 굴착된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밸브(130) 하부가 받침목(150)에 의해 재생PE 받침판(140) 상에 지지되고 있다.
또한, 상기 재생PE 받침판(140)은 합성수지관(170) 하단부가 외삽되도록 일정높이 돌출되는 관결합부(143)를 형성함으로써, 합성수지관(170)과 받침판이 일체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재생PE 받침판(140)의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생PE 받침판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재생PE 받침판(140)의 관결합부(143)는 합성수지관(170)의 내부직경과 동일하게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원형으로 제작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관결합부(143) 및 관결합부(143)가 형성된 재생PE 받침판(140)을 다수의 재생PE블록(141)으로 분할 제작하고, 분할된 재생PE블록(141)들을 현장에서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현장에서 벽체용으로 사용하는 합성수지관(170)과 받침판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할된 재생PE블록(141)의 저면에 손잡이홈(145)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운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합성수지관(170)이 결합된 재생PE블록(140) 바닥 즉, 밸브실(110) 바닥을 일정두께의 몰타르로 충진시켜서 방수성능이 향상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실(110)의 상측 입구에는 철개(18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철개(180)에는 철개 뚜껑(19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밸브실(110)의 시공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관로(120)의 매립 위치 설계에서 밸브실(110)의 설치 위치를 결정하거나 아니면 기존 관로(120)에 신규로 밸브(130)를 설치할 경우 포장된 도로(101)를 절단기로 절단하여 밸브(130)의 설치 위치를 결정한다.
이후, 해당 설치위치에 굴삭기로 땅을 굴착한 후, 굴착된 바닥면을 다지고 고른 다음 재생PE 받침판(140)을 설치한 뒤 밸브(130)를 관로(120)에 설치한다.
이때, 재생PE 받침판(140)은 다수의 재생PE블록(141)을 조립하여 설치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작업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합성수지관(170)을 수직방향으로 매설하여 밸브실(110)의 벽체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관(170)은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직경을 갖는 것으로서, 강도 및 내구성이 입증된 PVC이중벽관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관(170)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종래와 같은 조적공사 및 몰탈 양생과정이 불필요하고 손쉽고 빠르게 현장 설치가 가능한 이점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관(170)의 하단부가 재생PE 받침판(140)에 형성된 돌출 구조물인 관결합부(143)와 결합됨으로써, 밀림을 방지시켜 설치구조를 견고히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관(170) 바닥을 소정량의 몰탈(147)로 충진함으로써, 방수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합성수지관(170)의 설치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합성수지관(170) 상부에 철개(180) 및 철개 뚜껑(190)을 설치하고, 그 상부 주변을 도로(101) 포장함으로써, 밸브실(110) 설치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밸브실의 벽체가 합성수지관으로 제작되고, 상기 합성수지관의 바닥부를 재생PE 받침판으로 형성하되, 상기 재생PE 받침판은 합성수지관 하단부가 외삽되도록 일정높이 돌출되는 관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조적식 벽체 시공방법에 비해 시공방법이 간단하기 때문에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벽체 시공에 사용되는 자재를 최소화함으로써,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101: 도로 103: 보호 콘크리트
110: 밸브실 120: 관로
130: 밸브 140: 재생PE 받침판
141: 재생PE블록 143: 관결합부
145: 손잡이홈 147: 몰탈
150: 받침대 170: 합성수지관
180: 철개 190: 철개 뚜껑

Claims (5)

  1. 지중에 매설된 관로와, 이 관로의 임의의 위치에 밸브를 설치하고, 밸브의 조작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지면 또는 도로면을 지하로 굴착하여 밸브실을 설치하는 밸브실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합성수지관(170)으로 제작된 상기 밸브실의 벽체에 상기 합성수지관(170)의 바닥부를 재생PE 받침판(140)로 형성하되, 상기 재생PE 받침판(140)은 합성수지관(170) 하단부가 외삽되도록 일정높이 돌출되는 관결합부(143)를 형성하며,
    상기 관결합부(143)는 합성수지관(170)의 내부직경과 동일하게 제작되고,
    상기 관결합부(143) 및 관결합부(143)가 형성된 재생PE 받침판(140)을 다수의 재생PE블록(141)으로 분할 제작하고, 분할된 재생PE블록(141)들을 현장에서 조립 설치하며, 상기 분할된 재생PE블록(141)의 저면에 손잡이홈(14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의 받침판 설치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110) 바닥을 일정두께 몰타르로 충진시켜 방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실의 받침판 설치구조.
KR2020100007722U 2010-07-22 2010-07-22 밸브실의 받침판 설치구조 Expired - Lifetime KR2004648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722U KR200464844Y1 (ko) 2010-07-22 2010-07-22 밸브실의 받침판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722U KR200464844Y1 (ko) 2010-07-22 2010-07-22 밸브실의 받침판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808U KR20120000808U (ko) 2012-02-02
KR200464844Y1 true KR200464844Y1 (ko) 2013-01-23

Family

ID=45843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722U Expired - Lifetime KR200464844Y1 (ko) 2010-07-22 2010-07-22 밸브실의 받침판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84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995B1 (ko) * 2016-07-11 2016-12-27 주식회사 제이에스자원 상수도관 밸브실용 받침대
KR102366819B1 (ko) * 2020-02-28 2022-02-22 정경복 우수한 기밀성과 시공의 편의성을 겸비하는 부단수 밸브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9842A (ja) * 2001-10-12 2003-04-23 Yoshitsugu Hirano 地中弁室下部筺
KR20060040868A (ko) * 2004-11-05 2006-05-11 박용선 매몰형 제수밸브의 변실 시공방법
KR20060098014A (ko) * 2005-03-08 2006-09-18 부영산전주식회사 감시형 방수 맨홀 및 그 시공 공법
KR100747597B1 (ko) 2007-05-07 2007-08-08 유천수 복선 매설관의 밸브실 조립부재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9842A (ja) * 2001-10-12 2003-04-23 Yoshitsugu Hirano 地中弁室下部筺
KR20060040868A (ko) * 2004-11-05 2006-05-11 박용선 매몰형 제수밸브의 변실 시공방법
KR20060098014A (ko) * 2005-03-08 2006-09-18 부영산전주식회사 감시형 방수 맨홀 및 그 시공 공법
KR100747597B1 (ko) 2007-05-07 2007-08-08 유천수 복선 매설관의 밸브실 조립부재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808U (ko)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874310U (zh) 一种适用于高压富水区隧道减压排水装置
CN109505229B (zh) 公路高陡边坡应力平衡及减振防灾高桥墩结构及施工方法
KR101758023B1 (ko) 차수시트와 콘크리트 매트를 이용한 표면 차수형 댐
CN104805866A (zh) 预制的综合管廊及施工方法
CN206693363U (zh) 装配式塑料市政排水检查井
CN102839691B (zh) 无砂水泥管深井降水井口快速封堵方法及其装置
CN110552371A (zh) 基于逆作法的环形内衬墙消除水平施工缝的施工方法
CN110468938A (zh) 一种市政排水管道施工方法
WO2023202455A1 (zh) 一种带接茬止水结构和注浆系统的单层井壁及其施工方法
KR100808676B1 (ko) 흄관 매설 시공공법
KR200464844Y1 (ko) 밸브실의 받침판 설치구조
CN106193644B (zh) 带筏板基础建筑物的地下室改造结构
CN103205986A (zh) 混凝土筏基施工缝处注浆装置及方法
CN103410318A (zh) 卫生间管井防漏水施工方法
CN107152034A (zh) 一种综合管廊及其施工方法
CN112012763A (zh) 一种双层初期支护的多连拱隧道结构的施工方法
CN207828994U (zh) 一种排水及回灌施工结构
CN110468862A (zh) 一种用于地铁车站降水井口的封堵结构
KR20070113329A (ko) 합성구조 맨홀(상수도밸브실, 하수도맨홀)및 이를 이용한맨홀 시공공법
CN205636749U (zh) 用于砂卵石漂石地质层的基坑支护体系
CN111335445B (zh) 一种利用钢管作内模的混凝土雨水井施工方法
KR101272764B1 (ko) 밸브실의 철개고정 및 높이조절장치
KR101180451B1 (ko) 관 보호용 콘크리트블럭과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
KR100302684B1 (ko) 관로 밸브실 시공공법 및 밸브실의 벽 구조물
CN206545284U (zh) 一种下沉式卫生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72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06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1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