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64524Y1 - 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 - Google Patents

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524Y1
KR200464524Y1 KR2020120008696U KR20120008696U KR200464524Y1 KR 200464524 Y1 KR200464524 Y1 KR 200464524Y1 KR 2020120008696 U KR2020120008696 U KR 2020120008696U KR 20120008696 U KR20120008696 U KR 20120008696U KR 200464524 Y1 KR200464524 Y1 KR 200464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shoe
buoyancy
guide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한
Original Assignee
박진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한 filed Critical 박진한
Priority to KR2020120008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5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524Y1/ko
Priority to PCT/KR2013/008555 priority patent/WO2014051314A2/ko
Priority to JP2015534384A priority patent/JP2015530183A/ja
Priority to US14/429,509 priority patent/US20150223557A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43B7/08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in the upp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with pumping means o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2Special watertight footwe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화 등의 신발에 설치되어 신발 내/외 부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통풍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통풍기구가 물에 잠겼을 때에만 방수가 되도록 하는 자동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에 관한 것으로, 신발의 한쪽에 위쪽을 향하도록 설치된 통풍수단과; 그 통풍수단의 상단에 설치되어, 신발 내·외부의 공기가 통풍수단의 표면을 따라서 유동하도록 유도하는 통풍유도수단 및 그 통풍수단과 통풍유도수단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부력수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통풍수단이 물에 잠겨있지 않는 상태일 때에는 부력수단이 통풍유도수단의 유도몸체에 형성된 통풍유도공으로부터 떨어지는바, 신발 외부의 물이 신발 내부로 유입될 수 없는 환경에서는 신발 내·외부의 순환통풍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통풍수단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상태일 경우에는 부력수단이 부력에 의해서 통풍유도수단의 유도몸체로 이동되어 그 유도몸체에 형성된 통풍유도공을 막는바, 신발 외부의 물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환경을 부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감지하여 방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자동방수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 {Ventilation apparatus with auto waterproof}
본 고안은 장화 등의 신발에 설치되어 신발 내·외 부의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통풍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통풍기구가 물에 잠겼을 때에만 방수가 이루어지는 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1999-0035178호(1999.09.06. '신발용통기구')는 도 1에서와 같이, 크게 고무밸브(10)와 케이스(20), 캡(30) 및 고정구(40)로 구성된 것으로, 관 형상의 고정구(40)가 신발의 면 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그 고정구(40)에 구멍(22)이 형성된 케이스(20)가 설치되며, 그 케이스(20) 상부로 또 다른 구멍(12)이 형성된 고무밸브(10)가 구비되고, 그 고무밸브(10) 상부로 고정구(40) 상부를 덮는 또 다른 구멍(32)이 형성된 캡이 설치되어 결합완성된 신발용통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신발용통기구는 고무밸브(10)의 탄성력에 의해서 케이스(20)의 구멍(22)이 막혀져 방수의 기능이 수행되고, 신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에의 그 압력에 의해서 고무밸브(10)가 밀려 케이스(20)의 구멍(22)이 개방되어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종래의 신발용통기구는 상기 고무밸브(10)가 신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에만 개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그 신발용통기구가 물에 잠겨 있는지와는 상관없이 항상 케이스(20)의 구멍(22)이 고무밸브(10)에 의해서 막혀있는바, 항상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지 못하여, 신발 외부의 공기가 신발 내부로 유입되고 신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순환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신발 외부의 공기가 신발 내부로 유입되고 신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순환이 항상 이루어지되, 그 신발용통기구가 물에 잠겨있을 때에만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이 밀폐되어 물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 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를 완성함을 과제로 한다.
이에 본 고안은 신발의 한쪽에 위쪽을 향하도록 설치된 통풍수단과; 그 통풍수단의 상단에 설치되어, 신발 내·외부의 공기가 통풍수단의 표면을 따라서 유동하도록 유도하는 통풍유도수단 및 그 통풍수단과 통풍유도수단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부력수단이 구비된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통풍수단에는 안착부와 압착부 및 방습제가 더 구비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풍유도수단은 통풍유도공이 형성된 유도몸체와 뚜껑으로 구성하고, 그 뚜껑은 탄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부력수단의 한쪽 측면의 높이는 틈의 크기보다 큰 것을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통풍수단이 물에 잠겨있지 않는 상태일 때에는 부력수단이 통풍유도수단의 유도몸체에 형성된 통풍유도공으로부터 떨어지는바, 신발 외부의 물이 신발 내부로 유입될 수 없는 환경에서는 신발 내·외부의 순환통풍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통풍수단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상태일 경우에는 부력수단이 부력에 의해서 통풍유도수단의 유도몸체로 이동되어 그 유도몸체에 형성된 통풍유도공을 막는바, 신발 외부의 물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환경을 부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감지하여 방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자동방수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신발용통풍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순환상태를 도시한 절개도
도 5는 도 4에서의 공기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방수상태일 때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장금 상태를 도시한 절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의 작용관계를 도시한 도면
본 고안은 통풍기구가 물에 잠겼을 때에만 방수가 되도록 하는 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에 관한 것으로, 크게 통풍수단(100)과 통풍유도수단(200) 및 부력수단(300)으로 구성된 된다.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종래 신발용통풍기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순환상태를 도시한 절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의 공기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방수상태일 때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장금 상태를 도시한 절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의 작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상기 통풍수단(100)은 공기가 이동하도록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신발의 위쪽 면 부재에 관통되되, 위쪽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신발 내·외부의 공기가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통풍수단(100)의 한쪽 끝단에는 신발의 위쪽 면 부재의 하부 면과 밀착되는 안착부(110)가 더 형성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신발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통풍수단(100)에는 상기 안착부(110)와 대응하는 링 형상의 압착부(120)가 더 설치되는데, 압착부(120)는 면 부재로 돌출된 통풍수단(100)에 끼움 설치되어 신발의 면 부재를 압착하여 상기 안착부(110)와 함께 면 부재와 통풍수단(100) 사이의 미세한 틈을 완벽게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통풍수단(100)의 표면에는 나사 산이 형성되는데, 이는 이하 설명될 통풍유도수단(200)에 의한 장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채용한 것일 뿐이다.
그리고 안착부(110)가 형성된 통풍수단(100)의 안쪽에는 망체(130)가 더 설치되고, 그 망체(130)의 상부에 통풍수단(100)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방습제(140)가 더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이동될 때에 포함될 수 있는 수분을 흡수하여 신발 내부가 젖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습재(140)를 대신하여 방향재를 사용하여 신발의 악취를 개선할 수도 있다.
둘째, 상기 통풍유도수단(200)은 하나 이상의 통풍유도공(211)이 형성된 링 형상의 유도몸체(210)와 그 유도몸체(210) 상부에는 별도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반 구 형상의 뚜껑(22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풍유도공(211)은 이하 설명될 부력수단(300)이 부력에 의해서 상부로 이동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통풍유도수단(200)은 상기 통풍수단(100) 상단부의 표면에 끼움 되어 밀착고정되어, 상부방향으로 설치된 통풍수단(100)으로 공기가 유입되기 전에 외부의 공기가 유도몸체(210)의 통풍유도공(211)을 통해서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거나, 그 통풍수단(100)으로 공기가 배출될 때에는 신발 내부의 공기가 그 통풍수단(100)을 통과한 후에 유도몸체(210)의 통풍유도공(211)을 통해서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통풍수단(100)의 표면을 따라서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뚜껑(220)은 탄성 재질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눌렀을 때에 그 뚜껑(220)과 유도몸체(210)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통풍수단(100) 및 통풍유도공(211)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통풍유도공(211) 또는 통풍수단(100)에 끼일 수 있는 이물질을 공기압을 통해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도몸체(210)의 안쪽 면에는 나사 골이 형성되어, 상기 통풍수단(100)과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유도몸체(210)를 하부로 이동시켜서 이하 설명될 부력수단(300)을 압박함으로써, 통풍유도공(211)이 그 부력수단(300)에 의해서 항상 막혀있는 상태가 유지되어 항상 물속에 잠기게 되더라도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부력수단(300)은 링 형상의 튜브로 구성되어, 상기 통풍수단(100)의 표면에 삽입되되, 그 통풍수단(100)을 따라서 자유롭게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통풍수단(100)이 물에 잠기는 상황에서는 부력에 의해서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통풍유도수단(200)의 통풍유도공(211)을 막고, 통풍수단(100)이 물에 잠기지 않는 상황에서는 중력에 의해서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통풍수단(100)의 통풍유도공(211)이 개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부력수단(300)은 본 고안이 물속에 잠겨있는 상황을 부력을 통해서 자동으로 감지함과 동시에 물이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자동으로 막는 자동방수기능이 구현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부력에 의해서 공기의 유동이 차단되어 방수의 기능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도 8과 같이, 상기 부력수단(300)의 안쪽 면의 높이는 통풍수단(100)과 통풍유도수단(200)이 나사결합되는 구성에서 부력수단(300)에서 통풍유도수단(200)이 통풍수단(100)의 최상단에 위치할 경우, 그 통풍수단(100)과 통풍유도수단(200) 사이의 틈(부력수단의 안쪽 면과 대응하는 통풍수단과 통풍유도수단 사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그 틈에 부력수단(300)이 끼이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통풍수단(100)이 신발의 상부 면 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그 통풍수단(100)의 상부 표면으로 부력수단(300)이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위치하며, 그 통풍수단(100)의 상부로 통풍유도수단(200)이 설치되어 완성된다.
상기 통풍수단(100)에 안착부(110)가 더 형성되고, 압착부(120)가 더 설치될 경우에는 안착부(110)의 상부 면과 압착부(120)의 하부 면이 신발의 면 부재를 압착하여 외부의 물이 통풍수단(100)과 면 부재 사이의 미세한 틈으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이렇게 완성된 본 고안은 신발이 물속에 잠기지 않을 경우에는 부력수단(300) 통풍수단(100)의 하부로 이동된 상태로 유지되어 통풍유도수단(200)의 유도몸체(210)에 형성된 통풍유도공(211)이 항상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렇게 통풍유도공(211)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신발 외부의 공기가 신발 내부로 자유롭게 이동되고, 신발 내부의 공기가 신발 외부로 자유롭게 이동되는 순환통풍이 이루어진다.
특히, 보행자의 부주의 등으로 통풍수단(100)이 잠길 수 있는 웅덩이에 빠질 경우에는 부력수단(300)이 부력에 의해서 통풍유도수단(200)의 유도몸체(210)로 이동되어 통풍유도공(211)을 막음으로써, 물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방수기능이 이루어진다.
즉, 부력수단(300)의 부력에 의해서 통풍수단(100)이 물에 잠길 경우에, 그 부력을 통하여 신발 내부에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상황일 때에 자동으로 방수의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자동방수기능을 갖춘 것이다.
그리고 통풍수단(100)과 통풍유도수단(200)이 나사결합된 구성에서 그 통풍유도수단(200)을 회전시켜 유도몸체(210)가 부력수단(300)을 압박하도록 할 경우, 그 부력수단(300)이 유도몸체(210)의 통풍유도공(211)이 부력수단(300)에 항상 막히게 되는 장금 상태가 이루어진다.
이는, 신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의 압력이 부력보다 클 경우에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풍수단(100) 내부에 구비된 방습제(140)에 의해서 상기 물이 유입될 경우, 2차적으로 방습제(140)가 흡수하여 신발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00 : 통풍수단 110 : 안착부
120 : 압착부 130 : 망체
140 : 방습제 200 : 통풍유도수단
210 : 유도몸체 211 : 통풍유도공
220 : 뚜껑 300 : 부력수단

Claims (6)

  1. 신발에 설치되는 통풍기구에 있어서,
    신발의 한쪽에 위쪽을 향하도록 설치된 통풍수단(100)과;
    그 통풍수단(1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신발 내·외부의 공기가 통풍수단(100)의 표면을 따라서 유동하도록 유도하는 통풍유도수단(200) 및;
    그 통풍수단(100)과 통풍유도수단(200)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부력수단(300)이 구비되어, 부력에 의해서 공기의 유동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통풍수단(100)의 한쪽 끝단에는 신발의 안쪽 면과 접하는 안착부(110)가 더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그 안착부(110)와 대응하여 신발의 바깥쪽 면을 압착하는 압착부(12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수기능을 갖춘 통풍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통풍수단(100)의 내부에 방습제(1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통풍유도수단(200)은 부력수단(300)이 이동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통풍유도공(211)이 형성된 유도몸체(210)와 그 유도몸체(210)에 상부에 설치된 뚜껑(2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뚜껑(220)은 탄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부력수단(300)의 안쪽 면의 높이는 통풍수단(100)과 통풍유도수단(200)의 틈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
KR2020120008696U 2012-09-26 2012-09-26 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 Expired - Fee Related KR200464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696U KR200464524Y1 (ko) 2012-09-26 2012-09-26 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
PCT/KR2013/008555 WO2014051314A2 (ko) 2012-09-26 2013-09-25 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
JP2015534384A JP2015530183A (ja) 2012-09-26 2013-09-25 自動防水機能を有する通風器具
US14/429,509 US20150223557A1 (en) 2012-09-26 2013-09-25 Ventilation mechanism having automatic waterproof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696U KR200464524Y1 (ko) 2012-09-26 2012-09-26 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524Y1 true KR200464524Y1 (ko) 2013-01-09

Family

ID=50389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696U Expired - Fee Related KR200464524Y1 (ko) 2012-09-26 2012-09-26 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223557A1 (ko)
JP (1) JP2015530183A (ko)
KR (1) KR200464524Y1 (ko)
WO (1) WO201405131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617B1 (ko) 2017-06-23 2018-01-15 심건우 휴대용 장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7476Y2 (ko) * 1972-02-02 1976-11-16
JPH0379702U (ko) * 1989-12-06 1991-08-14
KR200252070Y1 (ko) 2001-07-26 2001-11-23 유찬우 통풍구
KR200459748Y1 (ko) 2009-06-03 2012-04-13 박형호 신발 통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1003A (en) * 1996-11-18 1999-07-13 Kim; Insop Shoe with replaceable hygienic cartridge
US6711832B2 (en) * 2002-07-11 2004-03-30 Eddie Chen Shoe having a lid for covering a drain hole
JP5015252B2 (ja) * 2006-08-10 2012-08-29 キュングド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履物用通気ソール
EP1990566B1 (de) * 2007-05-08 2009-07-01 Hawle Armaturen GmbH Be- und Entlüftungslement für Rohrleitungen bzw. Armaturen
US7762273B2 (en) * 2007-06-29 2010-07-27 Olab S.R.L. Venting device
KR200451519Y1 (ko) * 2008-10-04 2010-12-23 김덕기 통풍 신발
KR101140622B1 (ko) * 2009-07-15 2012-05-02 (주)경도상사 신발용 통풍 밑창
EP2607135B1 (en) * 2011-12-22 2014-07-02 Volvo Car Corporation Fuel ventilation system valv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7476Y2 (ko) * 1972-02-02 1976-11-16
JPH0379702U (ko) * 1989-12-06 1991-08-14
KR200252070Y1 (ko) 2001-07-26 2001-11-23 유찬우 통풍구
KR200459748Y1 (ko) 2009-06-03 2012-04-13 박형호 신발 통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1314A3 (ko) 2014-04-24
US20150223557A1 (en) 2015-08-13
WO2014051314A2 (ko) 2014-04-03
JP2015530183A (ja)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524Y1 (ko) 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
CN111270480A (zh) 一种单向透气结构、洗涤添加剂盒及洗涤设备
RU2017122145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CN208996172U (zh) 螺纹杆旋转活塞式防臭地漏
KR20150110037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JP6406807B2 (ja) 水槽の排水システム
ES2609762T3 (es) Tubo capaz de prevenir la infiltración de aire
KR20150034072A (ko) 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
KR101311214B1 (ko) 노즐고정형 펌핑식 화장품용기
JP6988037B2 (ja) トラップ
KR20130126154A (ko) 통풍수단을 구비한 장화
JP5386275B2 (ja) 排水用通気弁
JP6380885B2 (ja) 吐水装置
KR101373868B1 (ko) 배수지의 환기구
CN203869282U (zh) 除湿机防滴漏水装置
KR20130035462A (ko) 소변기의 배수장치
US20110180066A1 (en) Snorkel breathing tube regulator
KR20150053213A (ko) 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
CN209099495U (zh) 一种地漏防臭芯
KR101709939B1 (ko) 통풍 신발의 밸브 구조
CN204191714U (zh) 透气减震鞋底
KR102334756B1 (ko) 가습기
KR200463129Y1 (ko) 용기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JP6258120B2 (ja)
KR20150129240A (ko) 제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092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4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6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122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8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9100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