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897Y1 - Prefabricated Block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Bl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3897Y1 KR200463897Y1 KR2020120005995U KR20120005995U KR200463897Y1 KR 200463897 Y1 KR200463897 Y1 KR 200463897Y1 KR 2020120005995 U KR2020120005995 U KR 2020120005995U KR 20120005995 U KR20120005995 U KR 20120005995U KR 200463897 Y1 KR200463897 Y1 KR 20046389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ick
- widthwise
- coupling groove
- bricks
- wid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08—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돌과 벽돌을 서로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벽돌에 관한 것으로서 벽돌 한쪽 면의 좌측 1/4 위치에는 제1 폭방향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우측 1/4 위치에는 제2 폭방향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벽돌의 폭 정중앙에 는 길이 방향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벽돌의 다른 쪽 면에는 상기 제1 폭방향 결합홈과 제2 폭방향 결합홈 및 길이 방향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폭방향 돌출부와 제2 폭방향 돌출부 및 길이방향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rick that can be assembled brick and brick with each other, the first widthwise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left quarter position on one side of the brick and the second widthwise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right quarter position A longitudinal coupling groov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brick, and the other side of the brick corresponds to a position at which the first widthwise coupling groove, the second widthwise coupling groove, and the longitudinal coupling groove are formed. A first widthwise protrusion, a second widthwise protrusion and a longitudinal protrusion formed at the position are formed.
Description
본 고안은 건축물 시공에 사용하는 조립식 벽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돌과 벽돌을 서로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제조함으로써 시멘트 몰탈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또 누구라도 벽돌과 벽돌을 조립하기만 하면 원하는 폭과 높이로 벽돌을 쌓아 올릴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벽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efabricated bricks used in building construction. More specifically, it is not necessary to use cement mortar by manufacturing a structure in which bricks and bricks can be assembled with each other. It is about prefabricated bricks that can be stacked at a height.
주택이나 건물 기타 구조물을 건축할 때에는 적벽돌 또는 시멘트 벽돌(이하 '벽돌'이라 함)을 사용하여 벽체를 축조하게 된다. 벽돌은 통상 길이 190~200mm, 폭 90~100mm 및 높이 50~60mm의 직육면체로 되어 있고 벽돌을 쌓는 기본방법은 길이면(12)으로만 쌓는 길이쌓기(도 1a)와 마구리(11)가 보이는 방향으로만 쌓는 마구리쌓기(도 1b)가 있다. 벽돌을 쌓을 때에는 상기 두 가지 방법을 혼용하고 있다. When building a house, building, or other structure, red brick or cement brick (hereinafter referred to as 'brick') is used to build the walls. The brick is usually made of 190 ~ 200mm long, 90 ~ 100mm wide and 50 ~ 60mm high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basic method of stacking bricks is the length stacking (Fig. There is only a stacking rack (Fig. 1b). When stacking bricks, the above two methods are used in combination.
한편, 길이쌓기를 하면 벽의 두께는 벽돌 길이의 폭과 같으므로 1장 쌓기(1B)라고 하고 마구리쌓기를 하면 벽의 두께는 벽돌 길이(폭의 2배)와 동일하므로 2장 쌓기(2B)라고 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length is stacked, the thickness of the wall is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brick. Therefore, it is called stacking one sheet (1B). If the stacking is done, the thickness of the wall is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brick (double the width). It is called.
한편, 벽돌을 쌓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Meanwhile, the method of stacking bricks is as follows.
먼저 설계도와 시방서에 의해 벽돌을 쌓고자 하는 위치를 결정하고 규준기 또는 다림추 등을 이용하여 세로 규준틀을 세운다. 이어 상기 세로 규준틀 또는 먼저 시공된 벽체에 소정의 줄눈 너비를 결정하여 수평실을 치고 상기와 같이 결정된 세로 규준틀 및 수평실에 의존하여 바닥에 벽돌을 정렬한 후 상기 정렬된 벽돌과 벽돌 사이 및 벽돌의 윗면에 시멘트 몰탈(20)을 매질한다. 이어 상기 바닥에 정렬되고 시멘트 몰탈이 매질된 벽돌 위에 새로 벽돌을 올려 쌓고 상기 올려 쌓은 벽돌과 벽돌 사이 및 벽돌의 윗면에 시멘트 몰탈(20)을 매질하는 방식을 되풀이하여 벽돌을 쌓는다. 시멘트 몰탈(20)은 시멘트와 모래 및 물을 섞어 만든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벽돌 쌓는 방법은 일반인이나 비 숙련자들에게는 어려우므로 숙련된 조적공을 사용하여야 하고 따라서 인건비가 많이 들며 또 시멘트 몰탈(20)이 굳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므로 비용이나 축조 시간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었다. 즉,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32300호는 벽돌 본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암수 요철부를 형성하는 한편 내부에는 공간을 형성한 조립식 블럭 벽돌을 제시하고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이 벽돌에 의하더라도 벽의 두께가 1B 또는 2B만이 가능하므로 벽체를 두껍게 즉, 3B 또는 4B로 하려면 벽을 2중으로 쌓아야 하므로 시간이 2배 갈림은 물론 단지 2중으로 벽을 쌓은 것에 불과하므로 벽과 벽이 결합되지 않아 내구력이 떨어진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78737호는 벽돌의 상면 중심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면 중심부에는 요홈이 형성된 합성수지 복합블럭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 역시 길이 쌓기만이 가능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46168호는 조립식 벽돌과 모서리 벽돌 및 마무리 벽돌 등 3종의 벽돌을 세트로 하여 구성된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를 제시하고 있으나 이 발명은 반드시 3종의 벽돌이 한 세트로 되어야 하므로 번잡하고 또 이 발명 역시 벽의 두께가 1B만이 가능한 문제가 있다.First, determine the position to build bricks by design and specification, and build vertical screed frame using screed or iron. Then, the horizontal chamber is determined by arranging a predetermined joint width on the vertical scaffolding frame or the first constructed wall, and the bricks are aligned on the floor depending on the vertical scaffolding and horizontal chamber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and then, between the aligned bricks and the bricks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cks.
따라서 숙련된 조적공이 아니더라도 한 종류 벽돌만으로 2B는 물론 3B 이상 두께의 벽을 신속하게 쌓을 수 있는 벽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even if you are not a skilled mason, it is required to develop a brick capable of quickly stacking walls of 2B as well as 3B thickness with only one type of brick.
따라서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지 않고 또 숙련된 조적공을 사용하지 않고도 누구나 손쉽게 벽돌 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는 벽돌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urpose is to develop a brick that anyone can easily build a brick structure without using cement mortar and skilled masonry.
상기 과제는 벽돌의 상면(13)에는 가로 1줄 및 세로 2줄로 결합홈을 형성하는 한편, 벽돌의 하 면(14)에는 상기 각 결합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각 결합홈에 삽입되어 벽돌과 벽돌을 결합할 수 있도록 돌출부를 형성한 벽돌을 개발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The problem is that the
본 발명의 벽돌을 사용하면 숙련된 조적공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규준틀과 수평실에 맞추어 벽돌을 쌓을 수 있으므로 인건비와 인력난을 해결할 수 있다. 또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모래를 절약할 수 있고 또 시멘트 몰탈이 굳을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By using the brick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can stack bricks according to the screed frame and horizontal chamber even if the skilled masons can solve labor costs and labor shortages. In addition, since cement mortar is not used, sand can be saved and construction time can be greatly reduced because there is no need to wait for cement mortar to harden.
도 1은 벽돌 쌓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a)는 길이쌓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b)는 마구리쌓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 벽돌의 사시도로서
도 2(a)는 본 발명 벽돌 상면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 벽돌 하면의 사시도
도 3은 벽돌을 쌓을 때 추가로 사용하는 벽돌로서 도 3(a)는 바닥에 정렬하는 기반 벽돌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축조된 구조물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면 마감벽돌
도 4는 본 발명 벽돌을 사용하여 벽을 쌓은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 주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brickwork
Figure 1 (a) is a view showing the length stacking and Figure 2 (b) is a view showing the stackin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brick
Figure 2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brick, Figure 2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brick
3 is a brick additionally used when stacking bricks. FIG. 3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ndation brick aligned to the floor and FIG. 3 (b) is a top finishing brick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structed structure.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wall is stacke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brick;
본 고안은 벽돌과 벽돌을 서로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제조함으로써 시멘트 몰탈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또 누구라도 벽돌과 벽돌을 조립하기만 하면 원하는 폭과 높이로 벽돌을 쌓아 올릴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벽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rick that is manufactured by constructing a brick and a brick structure so that no cement mortar is used and anyone can stack the brick at a desired width and height by simply assembling the brick and the brick. .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 벽돌의 사시도로서 도 2(a)는 본 발명 벽돌 상면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 벽돌 하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벽돌을 쌓을 때 추가로 사용하는 벽돌로서 도 3(a)는 바닥에 정렬하는 벽돌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축조된 구조물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면 마감벽돌이고 도 4는 본 발명 벽돌을 사용하여 구축한 구조물의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i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ri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of the bri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rick additionally used when stacking bricks Figure 3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ick aligned to the floor and Figure 3 (b) is a top finishing brick loc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constructed structure and Figure 4 shows an embodiment of a structure built using the present invention brick Drawing.
한편, 동일한 부위에는 기존의 벽돌에서 사용된 용어와 부호를 그대로 사용한다.On the other hand, for the same site, the terms and signs used in the existing bricks are used as they are.
본 고안의 벽돌(100)의 상면(13)에는 벽돌과 벽돌을 폭 방향으로 조립하기 위한 폭방향 결합홈이 2개(110,120) 형성되어 있고 또 벽돌과 벽돌을 길이방향으로 조립하기 위한 길이방향 결합홈(130)이 1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벽돌(100)의 하면(14)에는 벽돌과 벽돌을 폭 방향으로 조립하기 위한 폭방향 돌출부가 2개(210,220) 형성되어 있고 또 벽돌과 벽돌을 길이방향으로 조립하기 위한 길이방향 돌출부(230)이 1개 형성되어 있다. On the
본 발명 벽돌(100)의 규격은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벽돌인 길이 200mm, 폭 100mm, 높이 50mm의 벽돌을 기준으로 하였다. The specification of the
제1 폭 방향 결합홈(110)은 벽돌(100) 상면(13)을 길이 방향으로 4등분으로 구획한 후 벽돌 좌측 1/4 위치에 있는 선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12.5mm 및 깊이 20mm의 홈을 파서 폭 25mm, 깊이 20mm의 홈을 폭 방향으로 형성하였다. 또 제2 폭 방향 결합홈(120)은 상기 벽돌 우측 1/4 위치에 제1 폭 방향 결합홈(110)과 동일하게 즉, 폭 25mm, 깊이 20mm의 홈을 폭 방향으로 형성하였다. 즉, 벽돌(100) 상(13)면에는 폭 25mm, 깊이 20mm 규격의 제1 폭방향 결합홈(110)과 제2 폭방향 결합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길이 방향 결합홈(130)은 벽돌(100)의 폭 정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정중앙선을 기준으로 하여 선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12.5mm, 깊이 20mm의 홈을 파서 폭 25mm, 깊이 20mm의 홈을 1 줄 형성하였다.
한편, 벽돌(100)의 하면(14)에는 제1 폭방향 결합홈(110)과 제2 폭방향 결합홈(120)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 즉 벽돌(100)의 좌우 각 1/4 위치에 폭 20mm, 깊이 15mm로 돌출된 돌출부 즉, 제1 폭방향 돌출부(210)와 제2 폭방향 돌출부(220)를 형성하였다. 또 벽돌의 길이방향 결합홈(130)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 즉 벽돌하면(14)의 폭 정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폭 20mm, 깊이 15mm의 돌출부 즉, 길이방향 돌출부(230)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결합홈의 폭과 깊이를 각각 25mm와 20mm로 하는 한편 돌출부의 규격을 폭 20mm, 깊이 15mm로 한 것은 각 돌출부가 각 결합홈에 여유있게 삽입되어 벽돌과 벽돌이 충분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만, 여유 공간을 5mm로 하여 벽돌과 벽돌이 결합된 후에는 벽돌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와 같이 폭 방향 결합홈과 돌출부는 벽돌의 좌우 각 1/4 위치에 폭 방향으로 2 줄 형성하고 길이방향 결합홈과 돌출부는 벽돌의 폭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1 줄 형성하여야 하지만 그 폭과 깊이 또는 길이는 조립된 벽돌과 벽돌이 움직이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조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idthwise coupling grooves and the protrusions should be formed in two rows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left and right quarter positions of the brick, and the lengthwise coupling grooves and the protrusions should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bric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ternatively, the length can be adjusted as long as the assembled brick and the brick do not move.
상기와 같이 제조된 벽돌을 사용하여 벽돌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It will be described how to install a brick structure using the brick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우선 설계도와 시방서에 의해 벽돌을 쌓고자 하는 위치를 결정하고 규준기 를 이용하여 세로 규준틀을 세우는 과정은 동일하다.First of all,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vertical scaffolding frame using the screed machine is the same.
이어 세로 규준틀 위에 본 발명 벽돌(100)을 길이쌓기 또는 마구리쌓기로 정렬한다. 이때 제1 폭 방향 결합홈 등 결합홈 부위가 위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제1 폭방향 돌출부 등 돌출부가 지반에 닿게 되지만 지반을 잘 정비하면 오히려 돌출부가 지반에 박혀 일종의 말뚝 구실을 하므로 기초가 튼튼해지는 장점이 있다. Next, the
그러나 기반벽돌(300)을 사용하여 길이쌓기 또는 마구리쌓기로 정렬할 수도 있다. 기반 벽돌(300)은 본 발명 벽돌(100)에서 하면의 돌출부(210,220,230)를 없앤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의 돌출부(210,220,230)를 없앤 것이다. 벽돌의 정열 폭은 설계된 규격에 따라 1B나 2B 또는 3B로 한다. However, using the
우선 1B로 쌓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벽돌(100)을 길이방향으로 상면(13)을 위로 하여 정렬한다. 이와 같이 벽돌(100) 상면(13)을 위로 할 경우 벽돌(100) 하면(14)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는 지면에 박히게 되므로 기반이 튼튼하게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반벽돌(300)을 지반에 정렬한 후 그 위로 본 발명의 벽돌을 사용하여 벽을 구축하여도 무방하다.First, the method of stacking 1B will be described. First, the
이어 상기 정렬된 벽돌(100) 위에 물을 뿌리고 이어 그 위에 시멘트 가루를 뿌린 후 또 시멘트 가루 위에 물을 뿌리고 상기 정렬된 벽돌(100)의 제1 폭 방향 결합홈(110)과 제2 폭 방향 결합홈(120)에 상기 정렬된 벽돌(100) 위에 쌓을 벽돌(100)의 제1 폭방향 돌출부(210)와 제2 폭방향 돌출부(220)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되풀이 하면서 벽을 쌓으면 된다. 벽돌쌓기가 끝나면 맨 위에 위치하는 벽돌의 상면에는 결합홈(110,120,130)이 남게 되어 미관상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이들 결합홈(110,120,130)을 그대로 두거나 이들 결합홈(110,120,130)에 시멘트 몰탈(20) 등으로 마감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구축물 맨 위에는 특별히 마감벽돌(400)을 사용하여 마감할 수 있다. 마감벽돌(400)은 본 발명 벽돌 상면에 결합홈(110,120,130)을 형성하지 않은 것이므로 별도로 손질을 하지 않아도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축물의 상면에 결합홈(110,120,130)이 남지 않는다. Then sprinkled with water on the aligned
한편, 벽돌 위에 물을 뿌리고 그 위에 시멘트 가루를 뿌린 후 또 그 위에 물을 뿌리고 벽돌을 조립하면 시멘트 가루가 물에 젖어 몰탈처럼 되므로 시멘트 몰탈(20)을 사용하지 않고도 벽돌과 벽돌이 마치 시멘트 몰탈(20)을 사용한 것처럼 강하게 결합된다. On the other hand, if you sprinkle water on the brick and sprinkle the cement powder on it, and then sprinkle the water on it and assemble the brick, the cement powder is soaked in water and becomes like mortar, so the brick and brick are like cement mortar without using the mortar (20). Strongly combined, as in 20).
이어 2B로 쌓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method of stacking with 2B will be described.
우선 벽돌(100)을 길이쌓기 또는 마구리쌓기로 정렬한다. 벽돌(100)을 길이쌓기로 할 때에는 벽돌(100)을 2 줄로 정렬하여야 하지만 마구리쌓기로 할 때에는 한 줄로 정렬하면 된다. First, arrange the
이어 상기 정렬된 벽돌(100) 위에 물을 뿌리고 그 위에 시멘트 가루를 뿌린 후 또 시멘트 가루 위에 물을 뿌리는 과정은 길이쌓기와 같다. Then, sprinkling water on the aligned
그러나 정렬된 벽돌(100)이 길이쌓기일 때에는 그 위에 조립하는 벽돌(100)은 마구리쌓기로 하는 것이 벽돌(100) 구조체의 내구력이나 미관상으로도 바람직하다. 즉,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렬된 벽돌(100)의 위에 위치하는 벽돌(100)은 그 폭이 벽돌(100) 길이의 1/2이고 제1 폭방향 결합홈(110)은 벽돌(100)의 좌측 1/4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제2 폭방향 결합홈(120)은 벽돌(100)의 우측 1/4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1 폭방향 돌출부(210)와 제2 폭방향 돌출부(220) 역시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열은 정확하게 밑에 정렬된 벽돌(100) 위에 위치하여 고정된다. 이어 제3열은 길이쌓기로 쌓고 제4열은 마구리쌓기로 하는 과정을 되풀이하여 소정 높이로 쌓으면 된다. 이때 벽돌(100)과 벽돌(100)은 각 결합홈(110,120,130)에 각 돌출부(210,220,230)를 삽입하기만 하면 되므로 숙련된 조적공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완구를 조립하듯 손쉽게 쌓을 수 있다.However, when the aligned
3B로 쌓을 경우에는 맨 밑에 정열하는 벽돌(100)은 2 줄로 마구리쌓기를 한다. 이어 그 위에 3줄로 길이쌓기를 하고 그 위에는 2 줄로 마구리쌓기를, 그 위로는 3줄로 길이쌓기를 계속하면 되며, 4B 또는 그 이상 폭으로 쌓을 경우에도 요령은 위와 같다.In the case of stacking with 3B, the bottom row of
10 : 기존의 벽돌(100) 11 : 마구리
12 : 길이면 13 : 상면
14 : 하면 20 : 시멘트 몰탈
100 : 본 발명 벽돌(100) 110 : 제1 폭 방향 결합홈
120 : 제2 폭 방향 결합홈 130 : 길이방향 결합홈
210 : 제1 폭 방향 돌출부 220 : 제2 폭 방향 돌출부
230 : 길이방향 돌출부
300 : 기반벽돌 400 : 마감벽돌10: conventional brick (100) 11: maguri
12: length surface 13: top surface
14: when 20: cement mortar
100: the present invention brick (100) 110: first width direction coupling groove
120: second widthwise coupling groove 130: longitudinal coupling groove
210: first width direction protrusion 220: second width direction protrusion
230: longitudinal protrusion
300: based brick 400: finishing brick
Claims (2)
상기 벽돌의 상면(13)에는
벽돌(100)을 길이 방향으로 4등분으로 구획한 후 상기 벽돌 좌측 1/4 위치에는 벽돌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폭방향 결합홈(110);
상기 벽돌 우측 1/4 위치에는 벽돌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제2 폭방향 결합홈(120); 및 벽돌(100)의 폭 정중앙에 길이 방향 결합홈(1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벽돌의 하면(14)에는 상기 제1 폭방향 결합홈(110)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1 폭방향 돌출부(210);
상기 제2 폭방향 결합홈(120)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2 폭방향 돌출부(220);
상기 길이 방향 결합홈(130)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길이방향 돌출부(2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돌In the prefabricated bricks used for building construction,
On the upper surface 13 of the brick
A first widthwise coupling groove 110 formed in a width direction of the brick at a position of the left quarter of the brick after partitioning the brick 100 into four equal parts in a length direction;
A second widthwise coupling groove 120 formed in a width direction of the brick at a right quarter position of the brick; And longitudinal coupling groove 130 is formed in the center width of the brick 100;
A first widthwise protrusion 2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widthwise coupling groove 110 on the bottom surface 14 of the brick;
A second widthwise protrusion 2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widthwise coupling groove 120;
Prefabricated brick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itudinal protrusions 230 ar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longitudinal coupling groove 130 is formed;
상기 제1 폭방향 결합홈(110), 제2 폭방향 결합홈(120) 및 길이 방향 결합홈(130)의 규격은 폭 25mm, 깊이 20mm이고 상기 제1 폭방향 돌출부(210), 제2 폭방향 돌출부(220) 및 길이방향 돌출부(230)의 규격은 폭 20mm, 깊이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돌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widthwise coupling groove 110, the second widthwise coupling groove 120, and the lengthwise coupling groove 130 have a width of 25 mm and a depth of 20 mm, and the first widthwise protrusion 210 and the second width. The size of the directional protrusion 220 and the longitudinal protrusion 230 is prefabricated brick,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20mm, depth 15m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5995U KR200463897Y1 (en) | 2012-07-09 | 2012-07-09 | Prefabricated Bl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5995U KR200463897Y1 (en) | 2012-07-09 | 2012-07-09 | Prefabricated Bloc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3897Y1 true KR200463897Y1 (en) | 2012-11-30 |
Family
ID=47566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5995U Expired - Fee Related KR200463897Y1 (en) | 2012-07-09 | 2012-07-09 | Prefabricated Blo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3897Y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5338B1 (en) | 2007-11-26 | 2008-06-04 | 윤승차 | Masonry thermal insulation loess thermal insulation block |
-
2012
- 2012-07-09 KR KR2020120005995U patent/KR200463897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5338B1 (en) | 2007-11-26 | 2008-06-04 | 윤승차 | Masonry thermal insulation loess thermal insulation bloc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71693B2 (en) | Interlocking masonry blocks | |
US20160090705A1 (en) | Block, flood protection barri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barrier of this type | |
KR100907112B1 (en) | Precast Blocks for Construction | |
US9021762B1 (en) | Interlocking concrete blocks with trapezoidal shape | |
US20110247289A1 (en) | Building Block Having The Appearance of Wood Shake | |
Kintingu | Design of interlocking bricks for enhanced wall construction, flexibility, alignment accuracy and load bearing | |
KR101278547B1 (en) | The precast concrete wall for the water-storage construct | |
KR101727688B1 (en) | Method construction clay brick and structure clay brick easy construction | |
CN103114676A (en) | Multi-purpose wall building block | |
KR101779878B1 (en) | The construction structure by using prefabricated brick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by | |
KR200463897Y1 (en) | Prefabricated Block | |
KR101412414B1 (en) | Brick constructing method using reinforcing member | |
CN202672454U (en) | Combined mortar-free wall building block | |
JP6231519B2 (en) | Building block for building | |
KR102588711B1 (en) | A building structure used in the building construction to form a wall of an apartment house | |
US11591791B2 (en) | Masonry block system | |
KR101365173B1 (en) | The assembly block for the construction to easy a masonry and thereof masonry method | |
CZ2011646A3 (en) | Modular system for exact building development | |
TWI675955B (en) | Block | |
JP2002013226A (en) | Block body | |
KR200454947Y1 (en) | PC block with masonry jaw | |
KR100653259B1 (en) | Mortares hollow concrete blocks | |
KR200443596Y1 (en) | The loess-brick structure of masonry type | |
KR200431819Y1 (en) | Prefabricated bricks | |
KR20110101746A (en) | Building bri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0709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7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9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092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211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211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112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610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