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811Y1 - 강연선 고정구 - Google Patents
강연선 고정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3811Y1 KR200463811Y1 KR2020100004900U KR20100004900U KR200463811Y1 KR 200463811 Y1 KR200463811 Y1 KR 200463811Y1 KR 2020100004900 U KR2020100004900 U KR 2020100004900U KR 20100004900 U KR20100004900 U KR 20100004900U KR 200463811 Y1 KR200463811 Y1 KR 20046381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dge
- piece
- strand
- tapered hole
- inci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강연선 고정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강연선 고정구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강연선 고정구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의 절개편을 나타낸 상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7a.b은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를 이루는 절개편을 나타낸 하부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를 이루는 절개편을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를 이루는 절개편을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에서 웨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를 강연선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은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를 이루는 절개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a,b는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에서 앵커의 다른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a,b,c는 본 고안의 강연선 고정구에서 앵커의 다른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1b : 측선 10 : 강연선 고정구
100 : 웨지 100a,b,c : 절개편
101a : 메인홈 203 101b : 서브홈 203
102 : 평면 103 : 경사면
104 : 밀착면 105 : 걸림턱
106 : 걸림돌기 107 : 걸림홈
108 : 접촉분활면 109 : 내입홈
120 : 개재편 130 : 링
200 : 앵커 201 : 테이퍼공
202 : 공간 202 203 : 홈
Claims (8)
- 토건구조물의 횡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지반에 삽입되어 인장시키는 나선형으로 꼬임된 강연선 및 상기 강연선의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는 웨지 및 앵커로 이루어진 강연선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웨지는 복수의 절개편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절개편이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절개편의 형상은 선단 외주연이 평면을 이루고 끝단측으로 외주연이 경사면을 갖도록 한 다음
상기 절개편 전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시킨 반호의 메인홈이 절개편의 선단에서 끝단측으로 예각 범위로 경사지고,
상기 메인홈 양측방에는 반원의 서브홈을 연접되게 각각 형성시킨 다음 상기 서브홈이 절개편의 선단과 끝단에 각각 대칭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서브홈의 끝부분이 메인홈측으로 만곡되게 접하며 상기 서브홈이 위치한 절개편 전면 양측부는 경사진 밀착면을 갖도록 하되,
상기 밀착면 중 일측에 위치한 밀착면에는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타측에 위치한 밀착면에는 걸림홈을 형성시켜 복수개의 절개편이 조합시 걸림돌기가 걸림홈 에 내입되도록 하여
상기 절개편의 조합에 의해 강연선 외주연에 원형으로 결합되는 웨지가 강연선 외주연을 압박한 상태에서 강연선의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앵커의 테이퍼공에 웨지가 더욱 내일 될 때,
각각의 절개편 외주연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시킨 평면의 접촉분할면에 의해 절개편 양측 외주연의 호 꼭지점이 테이퍼공 내주연에 다분활로 등분하여 복수개로 선 접촉됨으로서 상기 웨지와 테이퍼공의 선접촉 수를 증가시켜 웨지와 앵커의 테이퍼공과의 긴밀한 결합을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고정구.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편의 선단측 메인홈과 서브홈 입구 및 상기 절개편 끝단에 위치한 다른 개소의 서브홈의 입구에 걸림턱을 각각 형성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고정구.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공은 절개편의 외주연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홈을 원형으로 배치되게 형성시킨 것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고정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공은 원형으로 형성시켜 웨지를 결합시 절개편의 경계 사이와 테이퍼공 내주연 사이에 공간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공간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개재편을 복수개로 마련하되,
상기 개재편은 절개편과 앵커 보다 연질의 재질로 적용하고 각각의 개재편의 일면 양측에서 중심부 길이 방향으로 만곡되게 돌출되게 형성한 다음 테이퍼공 내주연과 공간에 각각 웨지와 개재편을 결합시켜 강연선의 인장시 테이퍼공에 긴밀하게 내입되는 웨지에 의해 개재편이 압박되면서 테이퍼공과 웨지와의 접촉면을 확대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고정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공은 원형으로 형성시켜 웨지를 결합시 절개편의 경계 사이와 테이퍼공 내주연 사이에 공간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공간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하나의 개재편을 마련하되,
상기 개재편은 절개편과 앵커 보다 연질의 재질로 적용하고 상기 개재편의 일면은 양측에서 중심부 길이방향으로 만곡되게 돌출되는 형상을 순차적으로 복수개 형성시킨 다음 테이퍼공 내주연과 공간에 각각 웨지와 개재편을 결합시켜 강연선의 인장시 테이퍼공에 긴밀하게 내입되는 웨지에 의해 개재편이 압박되면서 테이퍼공과 웨지와의 접촉면을 확대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고정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편의 경사면 또는 평면에 내입홈을 형성시켜 복수개로 조합되는 절개편을 웨지로 조합시 탄성을 갖는 링을 내입홈에 결합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연선 고정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4900U KR200463811Y1 (ko) | 2010-05-10 | 2010-05-10 | 강연선 고정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4900U KR200463811Y1 (ko) | 2010-05-10 | 2010-05-10 | 강연선 고정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0697U KR20110010697U (ko) | 2011-11-16 |
KR200463811Y1 true KR200463811Y1 (ko) | 2012-11-26 |
Family
ID=47566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4900U Expired - Lifetime KR200463811Y1 (ko) | 2010-05-10 | 2010-05-10 | 강연선 고정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3811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3053B1 (ko) * | 2017-11-06 | 2018-11-28 | 공대식 | 지반 보강 장치 |
KR102718505B1 (ko) * | 2023-07-25 | 2024-10-16 | 정대웅 | 타격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981967A (zh) * | 2021-11-19 | 2022-01-28 | 杭州富阳莱迪建材有限公司 | 一种方便回收钢绞线的锚具 |
CN114689193B (zh) * | 2022-02-28 | 2025-06-13 | 广东韶钢工程技术有限公司 | 一种汽包铠装热电偶的固定装置及使用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5008B1 (ko) | 2009-08-21 | 2010-04-28 | 이인귀 | 제거식 압축 앵커 |
-
2010
- 2010-05-10 KR KR2020100004900U patent/KR200463811Y1/ko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5008B1 (ko) | 2009-08-21 | 2010-04-28 | 이인귀 | 제거식 압축 앵커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3053B1 (ko) * | 2017-11-06 | 2018-11-28 | 공대식 | 지반 보강 장치 |
KR102718505B1 (ko) * | 2023-07-25 | 2024-10-16 | 정대웅 | 타격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0697U (ko) | 2011-1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172387B1 (en) | Apparatus with a cartridge for retaining a sheathing of a tendon within an anchor assembly | |
US7856774B1 (en) | Sheathing-retaining wedge assembly for use with a post-tension anchorage system | |
KR101988611B1 (ko) | 슬립 방지 철근 커플러 | |
US7963078B1 (en) | Compression cap sheathing lock | |
KR100791619B1 (ko) | 철근 연결구 | |
JP6235041B2 (ja) | ロープの端末定着方法および端末定着具付きロープ、ロープの端末定着方法に用いる端末金具 | |
KR101713525B1 (ko) | 마찰 지압형 영구앵커 | |
KR102202667B1 (ko) | 슬립 방지 철근 커플러 | |
KR200463811Y1 (ko) | 강연선 고정구 | |
KR100783728B1 (ko) | 분할된 다단 테이퍼 형상의 지압체를 구비한 앵커체 | |
KR101334750B1 (ko) | 상호 역방향으로 대향한 이중쐐기를 사용하여 체결력을 높인 케이블 고정장치 및 이 케이블 고정장치가 구비된 고정형 케이블 정착구 | |
KR101468584B1 (ko) |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 | |
US20230117964A1 (en) | Non-slip reinforcing bar coupler | |
KR20080006448U (ko) | 강연선 클램핑용 웨지 | |
KR101598339B1 (ko) | 데크플레이트 결합용 체결구 | |
KR100395772B1 (ko) | 토건구조물 고정을 위한 피시강선용 웨지 | |
KR101726497B1 (ko) | 쏘일 네일링 제거식 와이어 고정장치 | |
JP6721940B2 (ja) | 既設pc床版の拡幅構造 | |
KR20160066766A (ko) | 마찰형 복합 그라운드앵커 | |
KR20190029156A (ko) | 그라우트 앵커 조립체 | |
KR20140122692A (ko) | 원형관 연결구조 | |
KR102199131B1 (ko) | 영구형 앵커 | |
KR101339136B1 (ko) | 영구형 앵커의 제조방법 | |
KR102707091B1 (ko) | 다중나선을 이용한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 |
JPH0249816A (ja) | 陸地に定着可能な引張部品を製造する方法及びその引張部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510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0203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9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211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1120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