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63454Y1 - 발광다이오드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발광다이오드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454Y1
KR200463454Y1 KR2020100007409U KR20100007409U KR200463454Y1 KR 200463454 Y1 KR200463454 Y1 KR 200463454Y1 KR 2020100007409 U KR2020100007409 U KR 2020100007409U KR 20100007409 U KR20100007409 U KR 20100007409U KR 200463454 Y1 KR200463454 Y1 KR 2004634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base
cover
outer socke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4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551U (ko
Inventor
고성욱
Original Assignee
(주) 코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콤 filed Critical (주) 코콤
Priority to KR20201000074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454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5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5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4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45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2Details of end parts, i.e. the parts that connect the light source to a fitting;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en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5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specially adapted for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r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g. by adjustment of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5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2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e.g. for foc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다이오드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다이오드가 발산하는 광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광다이오드용 조명장치{Light device for LED}
본 고안은 발광다이오드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다이오드가 발산하는 광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LED)는 발열과 전력 사용량이 비교적 적으며 수명이 길어 기존의 필라멘트식 전구나 형광등을 대체하여 실내나 실외의 조명등, 직부등, 간이 스탠드 등의 조명 장치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산되는 광은 직진성을 가지기 때문에,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는 조명 장치가 조명할 수 있는 범위가 다소 제한적인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 장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발광다이오드용 조명장치의 구성은, 발광다이오드가 실장된 조명기판을 고정시키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단에 체결되는 찬넬과, 상기 커버가 결합된 찬넬의 양단에 결합되는 각각의 내측소켓과, 상기 내측소켓의 외측에 결합되되 전극이 삽입되는 각각의 외측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찬넬이 체결된 상태의 내측소켓과 외측소켓과의 체결 각도를 각각 상이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커버 내부에 고정된 조명기판 상의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조명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 발광다이오드용 조명장치는 커버 내부에 고정되는 조명기판 상의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조명 방향을 상기 내측소켓과 외측소켓의 결합 각도에 따라서 중앙 하방 부분, 우측 하방 부분 또는 좌측 하방 부분으로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직진성으로 인하여 그 조명 범위가 다소 제한적었던 종래의 단점을 해소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 커버와 찬넬의 견고한 결합 구조에 의하여 조명기판이 커버에 공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조명장치의 내구성과 신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진보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 조명장치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
도 2 는 본 고안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도 1 의 A-A' 선 단면도,
도 4 은 본 고안 내측소켓의 구성도,
도 5 는 본 고안 외측 소켓의 구성도,
도 6 내지 도 8 은 본 고안 조명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 은 외측 소켓의 마킹선이 내측소켓의 중앙기준선에 정렬하도록 결합될 경우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7 은 외측 소켓의 마킹선이 내측소켓의 제1측기준선에 정렬하도록 결합될 경우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8 은 외측 소켓의 마킹선이 내측소켓의 제2측기준선에 정렬하도록 결합될 경우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발광다이오드용 조명 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고안 조명 장치의 구성도로서, 도면 상단의 (a)는 조명장치의 평면도, 중단의 (b)는 조명장치의 측면도, 하단의 (c)는 조명장치의 저면도이다. 또한, 도 2 는 본 고안 조명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 조명 장치는 통상의 형광등의 구조와 유사하게 구성됨으로써 통상의 형광등용 소켓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 조명장치는 발광다이오드(51)가 실장된 조명기판(50)을 고정시키는 커버(40)와, 상기 커버(40)의 상단에 체결되는 찬넬(30)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고안 조명장치는 상기 커버(40)가 결합된 찬넬(30)의 양단에 고정나사(s)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각각의 내측소켓(20)들과, 각각의 내측소켓(20)의 외측에 고정나사(s)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각각의 외측소켓(10)들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소켓(10)은 통상의 형광등용 소켓에 삽입되는 전극(100)이 삽입된다.
상기 커버(40)는 내부에 고정된 조명기판(50)에 실장된 발광다이오드(51)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투과되는 커버로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 또는 유리재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외측소켓(10)에 삽입되는 전극(100)들과 상기 조명기판(50) 사이에는 전기적으로 결선된 배선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이는 통상의 구성이므로 별도의 도면 표시를 생략한다.
미설명부호 60 은 보강편(60)으로서, 찬넬(30)의 바닥면과 조명기판(50)의 상부 표면 사이에 게재되어 조명기판(50)상에 형성된 회로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도 3 은 도 1 의 A-A'선 단면도로서, 찬넬(30)에 결합되는 커버(40) 및 커버(40)에 고정되는 조명기판(50)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조명장치는 상부에 위치하는 찬넬(30)과, 찬넬(30)에 결합되며 조명기판(50)을 고정시키는 커버(40)를 가지고 있다.
상기 찬넬(30)은 상측에 다수개의 돌기들을 형성한 상부면(31)과 하측에 걸림턱(33)을 일체로 형성한 베이스(32)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면(31)에 고정나사가 삽입되는 한쌍의 삽입구(34)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40)의 양단에는 각각 암(41)이 커버(4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암(41)의 말단에는 갈레 형상으로 상측의 돌기(42)와 하측의 지지대(4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찬넬(30)과 커버(40)를 결합할 경우, 먼저 상기 찬넬(30)의 바닥면에 보강편(60)과 조명기판(50)을 위치시키고, 커버(40)의 돌기(42)를 상기 찬넬(30)의 걸림턱(33)으로 삽입시키면서 지지대(43)를 조명기판(50)의 하측으로 진입시키면 상기 찬넬(30)과 커버(40) 사이에 조명기판(50)이 게재되면서 상기 찬넬(30)과 커버(40)가 상호 결합되면서 찬넬(30)과 커버(40) 및 조명기판(50)이 상호 공고하게 결합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도 4 는 본 고안 내측소켓(20)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의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 (c)는 측면도, (d)는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내측소켓(20)은 커버(40)를 하부에 고정시킨 상태의 찬넬(30)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면과 바닥면이 개구된 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진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21)의 테두리의 내주면에서 수직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림(rim)(22)과, 베이스(21)의 내측에 형성되며 외측소켓(10)으로 삽입되는 고정나사(s)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관을 가지되, 본 고안 실시예는 상기 연결관으로서 중앙의 중앙연결관(23a)과, 중앙연결관(23a)의 좌우측으로 제1측연결관(23b)과 제2측연결관(23c)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21)의 내측에는 찬넬(30)의 삽입구(34)로 삽입되는 고정나사(s)가 관통되는 관통홀(24)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되, 본 고안 실시예에는 총 4 개의 관통홀(24)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림(2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25)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5)는 후술할 외측소켓(10)과의 결합을 보다 공고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d)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소켓(10)과 내측소켓(20)의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 내측소켓(20)의 베이스(21)면에는 후술할 외측소켓(10)의 마킹선(18)과 정렬되는 기준선들이 형성되되, 본 고안 실시예는 중앙의 중앙기준선(26a)와, 상기 중앙기준선(26a)의 좌우측으로 제1측기준선(26b)와, 제2측기준선(26c)이 각각 형성된다.
도 5 는 본 고안 외측소켓(10)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의 (a)는 배면사시도, (b)는 측면도, (c)는 단면도, (d)는 전면 사시도이다.
상기 외측소켓(10)은 찬넬(30)을 결합시킨 상태의 내측소켓(20)과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면이 개구된 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진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의 테두리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측소켓(20)의 베이스(21)과 림(22) 사이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1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1)의 내측 바닥면에는 전극(100)들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전극관통홀(13)과, 외측소켓(10)과 내측소켓(20)을 상호 결합시키는 고정나사(s)가 삽입되는 삽입관(14)이 형성된다.
이때, (c)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12)들은 베이스(11)의 테두리의 내주면에서 상방향으로 단차지게 돌출된 연장면(15)의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 연장면(15)의 내측벽에는 내측소켓(20)의 결합돌기(25)가 삽입되는 결합홈(16)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면(15)과 베이스(11)의 테두리의 내주면에는 단차진 형상의 결합면(17)이 형성되어, 상기 내측소켓(20)의 림(22)이 결합면(17)과 치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외측소켓(10)의 돌기(12)들이 내측소켓(20)의 베이스(21)와 림(22) 사이에 삽입되면서, 이와 동시에 내측소켓(20)의 림(22)이 외측소켓(10)의 결합면(17)과 치합되고, 이에 더하여 외측소켓(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연장면(15) 내측의 결합홈(16)으로 내측소켓(20(의 결합돌기(25)가 삽입되므로, 상기 외측소켓(10)과 내측소켓(20)이 공고히 결합되며, 이렇게 외측소켓(10)과 내측소켓(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소켓(10)의 바닥면의 삽입관(14)을 통하여 고정나사(s)를 진입시키고, 진입된 고정나사(s)가 외측소켓(10)에 형성된 중앙연결관(23a), 제1측연결관(23b), 제2측연결관(23c)들중 어느 하나의 연결관과 체결됨으로써 외측소켓(10)과 내측소켓(20)의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d)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외측소켓(10)의 베이스(11)면에는 마킹선(18)이 형성된다. 상기 마킹선(18)은 외측소켓(10)과 내측소켓(20)의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측소켓(20)의 중앙기준선(26a), 제1측기준선(26b), 제2측기준선(26c)들중 어느 하나의 기준선과 정렬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발광다이오드용 조명장치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 조명장치는 커버(40) 내부에 고정되는 조명기판(50) 상의 발광다이오드(51)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조명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조명기판(50)이 고정된 커버(40)를 결합시킨 찬넬(30)이 체결된 상태의 내측소켓(20)과 외측소켓(10)과의 체결 각도를 각각 상이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커버(40) 내부에 고정된 조명기판(50) 상의 발광다이오드(51)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조명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며, 본 고안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측소켓(20)과 외측소켓(10)과의 체결 각도를 각각 상이한 3 가지 태양으로 결합시키며, 이 3 가지 태양의 결합 상태와 그 작동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6 을 참조하면, 도 6 의 (a)는 외측소켓(10)과 내측소켓(20)의 결합체의 배면도로서, 외측소켓(10)의 삽입관(14)이 내측소켓(20)의 중앙연결관(23a)에 정렬된 상태에서 삽입관(14)을 관통한 결합나사(s)가 중앙연결관(23a)에 삽입 되어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위와 같이 결합되면, 도 6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소켓(10)의 마킹선(18)이 내측소켓(20)의 중앙기준선(26a)에 정렬되게 되며, 도 6 의 (c)의 상기 외측소켓(10)과 내측소켓(20)이 결합된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모식도와 같이, 커버(40)를 결합시킨 찬넬(30)에 설치된 조명기판(50)이 외측소켓(10)의 전극(100)과 평행하게 결합되면서 조명기판(50)에 실장된 발광다이오드(51)가 발산하는 광이 수직 하방으로 직진하면서 주로 본 고안 조명장치의 수직 하방 부분을 집중적으로 조명하게 된다.
그리고, 도 7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소켓(10)의 삽입관(14)이 내측소켓(20)의 제2측연결관(23c)에 정렬된 상태에서 삽입관(14)을 관통한 결합나사(s)를 제2측연결관(23c)에 삽입되어 외측소켓(10)과 내측소켓(20)을 상호 결합시키면, 도 7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소켓(10)의 마킹선(18)이 내측소켓(20)의 제1측기준선(26b)에 정렬되게 된다.
그러면, 도 7 의 (c)의 모식도와 같이, 커버(40)를 결합시킨 찬넬(30)에 설치된 조명기판(50)이 외측소켓(10)의 전극(100)을 기준으로 우상향으로 경사지게 결합되면서 조명기판(50)에 실장된 발광다이오드(51)가 발산하는 광은 우하방으로 직진하면서 주로 본 고안 조명장치의 우측 하방 부분을 집중적으로 조명시키게 된다.
또한, 도 8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소켓(10)의 삽입관(14)이 내측소켓(20)의 제1측연결관(23b)에 정렬된 상태에서 삽입관(14)을 관통한 결합나사(s)를 제1측연결관(23b)에 삽입되어 외측소켓(10)과 내측소켓(20)을 상호 결합시키면, 도 8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소켓(10)의 마킹선(18)이 내측소켓(20)의 중제2측기준선(26c)에 정렬되게 된다.
그러면, 도 8 의 (c)의 모식도와 같이, 커버(40)를 결합시킨 찬넬(30)에 설치된 조명기판(50)이 외측소켓(10)의 전극(100)을 기준으로 좌상향으로 경사지게 결합되면서 조명기판(50)에 실장된 발광다이오드(51)가 발산하는 광은 좌하방으로 직진하면서 주로 본 고안 조명장치의 좌측 하방 부분을 집중적으로 조명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 조명장치는 커버(40) 내부에 고정되는 조명기판(50) 상의 발광다이오드(51)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조명 방향을 상기 내측소켓(20)과 외측소켓(10)의 결합 태양에 따라서 중앙 하방 부분, 우측 하방 부분 또는 좌측 하방 부분으로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직진성으로 인하여 그 조명 범위가 다소 제한적었던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의 발광다이오드용 조명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외측 소켓 20; 내측소켓
30; 찬넬 40; 커버
50; 조명기판 60; 보강편
100; 전극

Claims (7)

  1. 조명장치에 있어서,
    발광다이오드(51)가 실장된 조명기판(50)을 고정시키는 커버(40)와,
    상기 커버(40)의 상단에 체결되는 찬넬(30)과,
    상기 커버(40)가 결합된 찬넬(30)의 양단에 결합되는 각각의 내측소켓(20)과,
    상기 내측소켓(20)의 외측에 결합되되 전극(100)이 삽입되는 각각의 외측소켓(1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찬넬(30)이 체결된 상태의 내측소켓(20)과 외측소켓(10)과의 체결 각도를 각각 상이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커버(40) 내부에 고정된 조명기판(50) 상의 발광다이오드(51)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조명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찬넬(30)은 상측의 상부면(31)과 하측의 걸림턱(33)을 일체로 형성한 베이스(32)를 가지며, 상기 상부면(31)에는 고정나사가 삽입되는 한쌍의 삽입구(34)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40)의 양단에는 커버(4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암(41)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암(41)의 말단에는 갈레 형상으로 상측 돌기(42)와 하측 지지대(43)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소켓(20)은,
    천정면과 바닥면이 개구된 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진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21)의 테두리의 내주면에서 수직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림(22)과, 상기 베이스(21)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외측소켓(10)으로 삽입되는 고정나사(s)가 삽입될 수 있는 중앙연결관(23a)과, 중앙연결관(23a)의 좌우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측소켓(10)으로 삽입되는 고정나사(s)가 삽입될 수 있는 제1측연결관(23b)과 제2측연결관(23c)과, 상기 베이스(21)의 내측에 형성되며 찬넬(30)의 삽입구(34)로 삽입되는 고정나사(s)가 관통되는 관통홀(24)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소켓(10)과 내측소켓(20)의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소켓(20)의 베이스(21) 면에 중앙기준선(26a)와, 상기 중앙기준선(26a)의 좌우측으로 제1측기준선(26b)와, 제2측기준선(26c)을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용 조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소켓(10)은,
    천정면이 개구된 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진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의 테두리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내측소켓(20)의 베이스(21)과 림(22) 사이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12)와,
    상기 베이스(11)의 내측 바닥면에는 형성되어 전극(100)들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전극관통홀(13)과,
    외측소켓(10)과 내측소켓(20)을 상호 결합시키는 고정나사(s)가 삽입되는 삽입관(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용 조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소켓(10)의 상기 돌기(12)들은 베이스(11)의 테두리의 내주면에서 상방향으로 단차지게 돌출된 연장면(15)의 말단에 형성되며, 상기 연장면(15)의 내측벽에는 내측소켓(20)의 결합돌기(25)가 삽입되는 결합홈(16)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면(15)과 베이스(11)의 테두리의 내주면에는 단차진 형상의 결합면(1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용 조명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소켓(10)과 내측소켓(20)의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외측소켓(10)의 베이스(11)면에 마킹선(18)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용 조명장치.
KR2020100007409U 2010-07-14 2010-07-14 발광다이오드용 조명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4634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409U KR200463454Y1 (ko) 2010-07-14 2010-07-14 발광다이오드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409U KR200463454Y1 (ko) 2010-07-14 2010-07-14 발광다이오드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551U KR20120000551U (ko) 2012-01-20
KR200463454Y1 true KR200463454Y1 (ko) 2012-11-05

Family

ID=45843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409U Expired - Lifetime KR200463454Y1 (ko) 2010-07-14 2010-07-14 발광다이오드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45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213093U (zh) 2014-09-28 2016-05-04 嘉兴山蒲照明电器有限公司 整流滤波电路、灯及led直管灯
CN205244887U (zh) * 2014-09-28 2016-05-18 嘉兴山蒲照明电器有限公司 用于led日光灯的灯头、led日光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2322A (ja) 2005-06-28 2007-01-18 Kictec Inc Led式照明装置
KR100951873B1 (ko) * 2009-08-24 2010-04-12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회전타입 엘이디 형광등
KR100959810B1 (ko) * 2009-11-05 2010-05-28 테크룩스 주식회사 몸체부의 회전이 가능한 형광등 타입의 엘이디램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2322A (ja) 2005-06-28 2007-01-18 Kictec Inc Led式照明装置
KR100951873B1 (ko) * 2009-08-24 2010-04-12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회전타입 엘이디 형광등
KR100959810B1 (ko) * 2009-11-05 2010-05-28 테크룩스 주식회사 몸체부의 회전이 가능한 형광등 타입의 엘이디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551U (ko)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4800B2 (en) LED linear lamp with up and down illumination
KR101423495B1 (ko) 레일콘센트용 막대형 조명기구
KR101620542B1 (ko) 톰스톤 커버를 갖는 루미네어 어댑터
KR20160053526A (ko) 엘이디 모듈과 케이스 일체형 엘이디 조명등
KR101389667B1 (ko) 조명등의 장착장치
KR20120040635A (ko) 조명 장치
KR20160082834A (ko) 차량용 램프
KR200463454Y1 (ko) 발광다이오드용 조명장치
JP5878731B2 (ja) 照明器具
JP2010160979A (ja) ランタン
KR200448976Y1 (ko) 형광등과 교체 가능한 발광표시소자 조명장치
KR20170000511U (ko) 시스템 조명등기구
KR20120107598A (ko) 엘이디 조명등
CN104214536A (zh) 灯具
CN212056881U (zh) 一种展柜灯具和展柜
KR20200107513A (ko) 다운라이트형 led 조명장치
KR100998179B1 (ko) 조명등 장치
CN211925450U (zh) 一种灯具
JP6279333B2 (ja) 照明用ユニット
KR102118890B1 (ko) 착탈형 led 조명장치
KR102172476B1 (ko) 엘이디 등기구
KR20120002883U (ko) 조명 기구
JP6726876B2 (ja) 照明器具
US20180172256A1 (en) Adaptor for fluorescent luminaire
CN211344935U (zh) 一种室内照明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71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1014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103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