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329Y1 - Floor cleaner with forward thrust by brush rotation - Google Patents
Floor cleaner with forward thrust by brush rot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3329Y1 KR200463329Y1 KR2020090002231U KR20090002231U KR200463329Y1 KR 200463329 Y1 KR200463329 Y1 KR 200463329Y1 KR 2020090002231 U KR2020090002231 U KR 2020090002231U KR 20090002231 U KR20090002231 U KR 20090002231U KR 200463329 Y1 KR200463329 Y1 KR 20046332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ush
- bracket
- floor cleaner
- floor
- for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14—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 A47L11/16—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the tools being disc brushes
- A47L11/16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the tools being disc brushes having only a single disc brush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14—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 A47L11/16—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the tools being disc brushes
- A47L11/164—Parts or details of the brushing tool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터작동에 의하여 브러쉬가 회전하면서 바닥을 세척하는 바닥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러쉬의 회전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구동력을 갖도록 되는 바닥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cleaner for cleaning the floor while the brush rotates by a motor oper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or cleaner having a driving force forwar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rush.
현재 사용되는 바닥청소기는 세정액을 분사하면서 브러쉬의 회전에 의하여 바닥청소를 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것의 문제가 청소기 본체의 무게가 너무 무거워서 바닥청소기를 미는데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이다.Currently used floor cleaner is to clean the floor by the rotation of the brush while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the problem of this is that the weight of the cleaner body is too heavy and requires a lot of force to push the floor cleaner.
따라서 여성이나 노약자의 경우 사용상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은 브러쉬가 장착되는 브라켓에 높이조절구를 이용하여 구동모터와 브러쉬의 장착상태를 경사지도록 하여 브러쉬가 바닥면에 밀착된 상대에서 회전할 경우 브러쉬와 바닥면의 마찰력에 의하여 바닥청소기 본체가 전방추진력을 갖도록 되어 적은 힘으로도 바닥청소기를 밀수 있고 바닥청소기의 정밀한 조향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Therefore, in the case of women or the elderly,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use.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height adjusting mechanism on the bracket on which the brush is mounted so that the mounting state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brush is inclined so that the brush rotates relative to the floor. In this case, the floor cleaner main body has forward thrust force by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brush and the floor surface, so that the floor cleaner can be pushed with a small force and precise steering of the floor cleaner is possible.
바닥청소기, 브러쉬, 전방 추진력, 모터장착 Floor cleaner, brush, forward thrust, motor
Description
본 고안은 모터작동에 의하여 브러쉬가 회전하면서 바닥을 세척하는 바닥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브러쉬가 회전될 경우에 전방으로 구동력을 갖도록 하여 작업이 용이토록 되는 바닥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cleaner for cleaning the floor while the brush rotates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or cleaner to facilitate the operation by having a driving force forward when the brush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일반적으로 바닥청소기는 대형건물이나 호텔 등의 로비 및 복도를 청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청소기 본체에 세정액을 보관하는 저장탱크가 형성되어 세정액을 분사하면서 동시에 브러쉬를 회전시켜서 바닥을 청소하게 되는 것이다.In general, the floor cleaner is used to clean the lobby and corridors of a large building or hotel, such that a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cleaning liquid is formed in the cleaner body to spray the cleaning liquid while rotating the brush to clean the floor.
이러한 바닥청소기의 구조는 본체의 하단 전방으로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작동하는 브러쉬가 장착되고, 브러쉬의 상부에는 세제와 물이 혼합되어진 세정액을 보관하는 탱크가 위치되어 브러쉬에 세정액을 공급토록 되고, 본체의 후방으로는 오수처리를 집수 스퀴지와 그 집수 스퀴지로부터 모아진 물을 보관하는 오수탱크가 장착되어지는 것이다.The structure of the floor cleaner is equipped with a brush that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to the front of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 tank for storing the cleaning liquid mixed with detergent and water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brush to supply the cleaning liquid to the brush, At the rear, a sewage treatment squeegee and a sewage tank for storing the water collected from the squeegee are installed.
따라서 브러쉬에 세정액을 분사시키면서 작업자가 청소기 본체의 후방에 형성된 손잡이를 잡고 밀게 되면 브러쉬에 의하여 바닥이 세척되는 것이고, 브러쉬에 의하여 세척되어진 물이 후방에 장착된 집수 스퀴지에 모아지면서 오수탱크로 흡입 되어 바닥에 수분이 남지 않도록 마무리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worker sprays the cleaning liquid onto the brush while holding the handle formed at the rear of the cleaner body, the floor is washed by the brush, and the water washed by the brush is collected in the collecting squeegee mounted at the rear and sucked into the sewage tank. It is finished so that no moisture remains on the floor.
하지만 이러한 바닥청소기는 청소기를 구동하기 위한 기계장치 및 전기장치,부속품이 많이 장착되어 청소기 본체의 중량이 너무 무거워서 사용자가 바닥청소기를 미는데 많은 힘이 든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고, 특히 여성이나 노약자와 같이 힘이 약한 사용자는 사용이 불가능한 것이다.However, such a floor cleaner is equipped with a lot of mechanical devices, electric devices, and accessories for driving the cleaner, so that the weight of the cleaner body is too heavy, so that the user has a lot of effort to push the floor cleaner, especially a woman or an elderly person. A user who is weak is unable to use it.
그러나 대형건물에서 청소업무를 담당하는 작업자는 여성이나 노약자의 비율이 많아서 특히나 사용상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However, the workers in charge of cleaning in large buildings have a large number of women or the elderly, especially in use.
또한, 청소기본체의 무게로 인하여 청소시 방향전환과 정밀한 조향이 어렵고, 건물 내벽의 모서리 부분을 청소하기가 매우 까다로운 것이다.In addition, due to the weight of the cleaning body is difficult to change the direction and precise steering when cleaning, it is very difficult to clean the corners of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모터의 작동시 적은 힘 즉 핸들을 잡고만 있어도 브러쉬의 회전력에 의하여 손쉽게 전방으로 향할 수 있어 바닥청소기를 누구나 손쉽게 사용가능하고 바닥청소기의 정밀한 조향(좌우회전)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can be easily moved forwar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rush even when only the handle of the motor is small, that is, the handle can be easily used by anyone. Precise steering (turn left and right) is possibl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구동모터가 브라켓에 전방으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경사진 상태로 장착되어지도록 하여 브러쉬가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브러쉬의 후방이 가압토록 하여 회전할 경우 브러쉬와 바닥면의 마찰력에 의하여 바닥청소기 본체가 전방추진력을 갖도록 하고, 이를 위하여 구동모터의 전방결합부에 높이조절구를 이용하여 브러쉬가 후방으로 기울어져 경사진 상태로 장착되도록 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driving motor to be mounted in an inclined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motor is lifted to the front of the bracket so that when the rear of the brush rotates to press the brush in a state in which the brus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he floor cleaner main body has a forward thrust force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bottom surface, and for this purpose, the brush is inclined backward to be mounted in an inclined state by using a height adjusting portion in the front coupling part of the driving moto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브러쉬가 경사지도록 되는 장착구조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용이하고, 브러쉬의 회전력에 의하여 전방추진력이 발생되어 적은 힘으로도 바닥청소기를 밀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imple structure of the mounting structure in which the brush is inclined, and is easy to manufacture, and a forward thrust force is gener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rush, so that the floor cleaner can be pushed with a small force.
또한, 바닥청소기의 제어가 용이하여 작업자가 손쉽게 방향전환을 할 수 있도록 되고, 좁은 공간에서도 청소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easy to control the floor cleaner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change th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clean in a narrow spac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 첨부도면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일반적인 바닥청소기의 구조는 청소기 본체의 전방에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작동하는 브러쉬(1)가 장착되고, 브러쉬(1)의 상부에는 세정액이 담겨진 저장탱크(110)가 장착되며,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에는 오수처리를 위한 스퀴지(120)와 스퀴지(120)로부터 흡입되어진 물을 보관하는 오수탱크(130)가 장착되어진 것으로, 세정액을 브러쉬(1)에 분사하면서 동시에 작업자가 청소기 본체(100)를 밀면서 바닥을 청소하게 되면 청소되어진 물, 즉 오수가 청소기 본체(100)의 후방에 형성된 스퀴지(120)에 모아지면서 흡입수단에 의하여 오수탱크(130)로 집수토록 되는 것이다.In general, the structure of the floor cleaner is equipped with a brush (1) rotates by a drive motor in front of the cleaner body, a storage tank (110) containing a cleaning liquid is mounted on the brush (1), the cleaner body (100) The
이때, 상기 브러쉬(1)는 청소기본체(100)의 전방에 장착된 상태에서 패달에 의하여 상,하작동하게 되는데, 본 고안은 이러한 브러쉬(1)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청소기 본체(100)가 전방추진력을 갖도록 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본체(100)의 전방에 구동모터(10)를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20)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0)의 측벽(21)에 작동바(30)가 연결되어 작동바(30)가 청소기본체(100)에 힌지(31)고정된 상태에서 패달(50)을 누름에 따라 작동바(30)가 힌지작동하며 브라켓(20)이 승하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이때, 상기 구동모터(10)는 브라켓(20)에 장착되어진 상태에서 개구홀(22)을 통하여 구동모터(10)의 구동축(11)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되는 것이고, 그 구동축(11)에 브러쉬(1)가 맞물려 회전되도록 장착되어 구동모터(10)가 작동함에 따라서 브러쉬(1)가 회전작동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브라켓(20)이 작동바(30)에 의하여 승,하강되어질 때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승,하강되는 것이고, 이를 위하여 브라켓(20)의 측벽(21)에 가이드바(40)를 장착하여 브라켓의 기울어짐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즉, 상기 가이드바(40)의 일단이 브라켓(20)의 측벽(21)에 힌지(41)고정된 상태에서 그 타단이 청소기본체(100)에 형성된 회동홀더부(101)에 힌지(42)고정되어, 브라켓(20)이 작동바(30)에 의하여 상하작동할 경우에 브라켓(20)의 이동반경을 제한하면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가이드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one end of the
또한, 이와같이 상,하 작동하면서 수평면을 유지하는 브라켓(20)에 구동모터(10)를 경사지게 장착하면, 브러쉬(1)의 장착상태가 구동모터(10)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이를 위하여 상기 구동모터(10)와 브라켓(20)이 결합공(13,23)을 이용한 볼트(60)와 너트(61)조임에 의하여 결합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고, 조립시 전방결합부에 높이조절구(62)를 넣어줌으로써 전방과 후방의 높이차가 생기게 되어 구동모터(10)의 전방이 뜬 상태로 미세하게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장착되는 것이다.To this end, the
따라서 바닥청소를 하고자 브러쉬(1)를 하방으로 낙하시키면 브러쉬(1)의 후면부만 바닥면에 마찰되어진 상태에서 브러쉬(1)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고, 이때 브러쉬(1)의 측면이 바닥면과 마찰되어지면서 전방추진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이때, 상기 브러쉬(1)는 구동모터(10)와 브러쉬(1)의 자체하중에 의하여 바닥면으로 낙하된 상태로써, 브러쉬(1)가 지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회전될 때 브러쉬 가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70)에 의하여 브라켓(20)이 하방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brush (1) is dropped to the bottom surface by the self-load of the
이러한 스프링(70)이 장착되는 구조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홀더부(101)의 연결봉(102)과 작동바(30)의 연결대(32)브라켓(20)에 가압대(34)를 형성하여 그 사이에 스프링(70)을 삽입장착하면 청소기본체(100)로부터 브라켓(20)이 하방으로 밀려지면서 브러쉬(1)를 바닥면으로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2, the
한편, 상기 브라켓(20)의 승하강을 구동시키는 패달(50)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바(30)가 청소기본체(100)의 후방에 장착되어진 가이드판(80)에 걸림되는 것으로, 가이드판(80)은 계단형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안착부(81,82)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바(30)는 안착부(81,82)에 안착토록 되면서 브라켓(20)이 승하강되어진 상태로 고정되며, 이에 따라 패달(50)을 밟아서 작동바(30)를 낮은 위치에 있는 안착부(81)에 고정시키면 브러쉬(1)가 상부로 들려진 상태에서 고정토록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패달(50)을 밟아서 높은 위치에 있는 안착부(82)에 놓게 되면 브라켓(20)에 장착되어진 구동모터(10) 및 브러쉬(1)의 자체하중에 의하여 브러쉬(1)가 바닥면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그리고 상기 작동바(30)는 가이드판(80)의 안착부(81,82)에 각각 안착토록 하기 위해서는 작동바(30)가 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동가능토록 하여야 하는 것이고, 이러한 작동바(30)의 힌지수단(31)을 측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토록 하여 작동바(30)의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And the
또한, 상기 가이드판(80)은 안착부(81,82)의 경계부에 스토퍼돌기(83)를 형성하여 작동바(30)가 임의적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도 1은 본 고안의 브러쉬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구동모터와 브러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drive motor and the 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구동모터와 브라켓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the drive motor and the bracket of the subject innova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브라켓의 승하강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Figure 4A and 4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bracket of the subject innovation
도 5는 본 고안의 브러쉬가 장착된 상태의 바닥청소기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loor cleaner in a state equipped with a 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브러쉬의 바닥면 밀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a bottom contact state of the 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바닥청소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7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loor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패달의 승하강 걸림를 나타낸 바닥청소기의 배면 사시도8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floor cleaner show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ped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구동모터 11: 구동축10: drive motor 11: drive shaft
13: 결합공13: joiner
20: 브라켓 21: 측벽20: bracket 21: side wall
22: 개구홀 23: 결합공22: opening hole 23: coupling hole
30: 작동대 31: 힌지30: operating platform 31: hinge
32: 연결대 34: 가압대32: connecting rod 34: pressurizing rod
40: 가이드바 41: 힌지40: guide bar 41: hinge
42: 힌지42: hinge
50: 패달50: pedal
60: 볼트 61: 너트60: bolt 61: nut
62: 높이조절구62: height adjustment
70: 스프링70: spring
80: 가이드판 81: 안착부80: guide plate 81: seating portion
82: 안착부 83: 스토퍼돌기82: seating portion 83: stopper protrusion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2231U KR200463329Y1 (en) | 2009-02-27 | 2009-02-27 | Floor cleaner with forward thrust by brush rot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2231U KR200463329Y1 (en) | 2009-02-27 | 2009-02-27 | Floor cleaner with forward thrust by brush rot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8820U KR20100008820U (en) | 2010-09-06 |
KR200463329Y1 true KR200463329Y1 (en) | 2012-10-30 |
Family
ID=4419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2231U KR200463329Y1 (en) | 2009-02-27 | 2009-02-27 | Floor cleaner with forward thrust by brush rot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3329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684427B (en) * | 2018-01-12 | 2020-02-11 | 聯潤科技股份有限公司 | Self-propelled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 |
CN115429173B (en) * | 2022-08-31 | 2024-04-02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Floor brush module for cleaning machine and cleaning machine |
-
2009
- 2009-02-27 KR KR2020090002231U patent/KR200463329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8820U (en) | 2010-09-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593386C (en) | Bare floor cleaner | |
KR101115344B1 (en) | Wet/dry bare floor cleaner | |
US7767030B2 (en) | Cleaning device | |
AU2005214976B2 (en) | Apparatus for floor cleaning and treatment | |
US7533435B2 (en) | Floor treatment apparatus | |
US20060064844A1 (en) | Floating deck for use with a floor cleaning apparatus | |
TW200840535A (en) | Displaceable domestic floor-cleaning appliance, and wetting device for a mopping roller | |
KR200463329Y1 (en) | Floor cleaner with forward thrust by brush rotation | |
US20150313437A1 (en) | Floor cleaning machine | |
US7137170B1 (en) | Manual scrubber with vacuum pick-up | |
US20150121648A1 (en) | Floor cleaning tool having a mechanically operated pump | |
US9877624B2 (en) | Floor cleaning tool having a mechanically operated pump | |
EP0621004A1 (en) | Floor cleaning machine | |
KR102655174B1 (en) | Cooking utensil and rice cooker cleaning device | |
JP6722054B2 (en) | Floor cleaner | |
CN115264155A (en) | Cleaning system | |
CN210842886U (en) | Multifunctional mop | |
CN220988710U (en) | Three-in-one carpet extractor | |
CN108685531B (en) | Floor washing machine | |
CN213155701U (en) | Roller lifting type cleaning device of mopping machine | |
JP3035615U (en) | Polisher | |
KR200449119Y1 (en) | A sweeper that allows you to get on and off the front mop with one touch. | |
AU2010257285B2 (en) | Cleaning Apparatus | |
KR100525376B1 (en) | A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wheels in a suction nozzle assembly of vacuum cleaners | |
WO2024256706A1 (en) | Squeegee assembly with adjustable suppo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227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100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7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420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11024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
|
U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code: UJ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23 Patent event code: UJ02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4 Appeal identifier: 2011101008904 Request date: 20111123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20723 |
|
AMND | Amendment | ||
U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code: UB09011R02I Patent event date: 20111223 Comment text: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Patent event code: UB09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12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0201 |
|
B701 | Decision to grant | ||
U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120723 Patent event code: UB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2 Patent event code: UB07011S01I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210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1023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9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