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62982Y1 - Apparatus for height adjustmetn of armrest in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height adjustmetn of armrest in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982Y1
KR200462982Y1 KR2020100004722U KR20100004722U KR200462982Y1 KR 200462982 Y1 KR200462982 Y1 KR 200462982Y1 KR 2020100004722 U KR2020100004722 U KR 2020100004722U KR 20100004722 U KR20100004722 U KR 20100004722U KR 200462982 Y1 KR200462982 Y1 KR 2004629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coupling
door trim
push button
fast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72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10565U (en
Inventor
김태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원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원테크
Priority to KR2020100004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982Y1/en
Publication of KR201100105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56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982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Height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8Arm-rests post or panel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87Arm-rests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암레스트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자동차에 승차한 승차자가 암레스트에 편안한 상태로 팔을 올려놓을 수 있게 상기 승차자는 본인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상기 암레스트를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면서 상기 암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암레스트의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홈부를 갖는 상하이동부재와, 도어트림에는 누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암레스트가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 및 고정하도록 조작되는 푸쉬버튼과, 상기 푸쉬버튼에 연결 결합되어 상기 푸쉬버튼의 조작에 따라 왕복이동 및 회동되는 링크 연결수단과, 상기 도어트림의 내측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이동부재의 각 체결홈부 중 어느 하나의 체결홈부에 일단부가 삽탈되는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커플링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스프링과,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암레스트를 이동을 안내하는 암레스트 이동 안내수단이 구비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mrest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the rider can lift the armrest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fit his / her physical condition so that the rider riding on the vehicle can put his arm in a comfortable state on the armrest. It i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armrest while reciprocating.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ankdo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rmrest, push button coupled to the door trim is operated so that the armrest reciprocating and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link connecting means coupled to the push button and reciprocated and rot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and installed reciprocally on the inside of the door trim, so that one of the fastening grooves of each fastening groove of the shank moving member It is provided with a coupling to be inserted and removed, an elastic spring which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to return the coupling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armrest movement guide means for guiding movement of the armrest recipro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Description

자동차용 암레스트 높이조절장치{APPARATUS FOR HEIGHT ADJUSTMETN OF ARMREST IN VEHICLE}Armrest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automobile {APPARATUS FOR HEIGHT ADJUSTMETN OF ARMREST IN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장착되어 상기 자동차에 타고 있는 승차자의 팔을 올려놓는 자동차용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자동차에 승차한 승차자가 상기 암레스트에 편안한 상태로 팔을 올려놓을 수 있게 상기 승차자가 본인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상기 암레스트의 높이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도록 한 자동차용 암레스트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 arm rest mounted on a door trim of a car to put the arm of a rider riding in the car, and more specifically, a rider riding the car in a comfortable state with the arm rest. It relates to a vehicle armrest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rmres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so that the rider to fit his physical condition so that it can be placed.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트림에는 상기 자동차에 승차하여 운전하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즉, 운전자 및 탑승자가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암레스트(ARMREST)가 구비되어 있다. In general, the door trim of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n ARMREST for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and the occupant who ride and drive in the vehicle.

종래의 암레스트는 상기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일체로 성형되거나 또는, 상기 도어트림에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Conventional armrests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door trim of the vehicle, or are fixed to the door trim by a fastening member.

상기 자동차에 승차하여 운전하는 운전자 및 탑승한 탑승자 즉, 자동차에 승차한 승차자는 상기 자동차 운행 중 또는, 신호대기 등에 의해 정차 및 도로정체에 의해 서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암레스트에 팔이 얹혀지도록 올려놓는다. The driver who rides and drives the vehicle and the occupant who rides on the vehicle, ie, the passenger who rides on the vehicle, are placed on the armrest so that the arm rests on the armrest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or in a state of slowing down due to traffic congestion or traffic jam. .

상기와 같이, 상기 승차자의 팔을 암레스트에 올려놓음으로서, 상기 승차자는 팔에서 느껴지는 피로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승차자의 팔은 물론이고 승차자의 신체는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placing the occupant's arm on the armrest, the occupant can not only reduce fatigue felt in the arm, but also the occupant's arm as well as the occupant's body can maintain a comfortable state.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암레스트는 상기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일체형으로 성형 및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설치위치가 고정된 암레스트에 상기 자동차 내에 승차한 승차자가 팔을 올려놓았을 때 상기 승차자의 신체조건 차이로 인하여 상기의 팔이 처지거나 들려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car armrest is fixedly installed by a molding and fastening member integrally to the door trim of the car, so that when a rider who rides in the car puts his arm on the armrest where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fixe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rider, the arm may sag or be lifted.

그러면, 상기 팔의 피로를 줄이기 위해 상기의 암레스트에 팔을 올려놓은 승차자는 오히려, 상기 암레스트에 올려놓은 팔이 불편함은 물론 이로 인해 팔의 피로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n, the occupant who put the arm on the armrest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arm, rather, the arm placed on the armrest was uncomfortable, as a result of this, the fatigue of the arm was increased.

또한, 상기 암레스트에 의한 팔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승차자는 암레스트에서 팔을 내려놓아야 하는 등 상기 승차자는 편안한 느낌 및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인하여 상기 승차자는 암레스트에 의한 최적의 편의를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addition, due to the discomfort of the arm by the armrest, the occupant has to put down the arm from the armrest, so that the occupant does not maintain a comfortable feeling and state, so the occupant is not provided with the optimum comfort by the armrest. There was also a problem.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암레스트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홈부를 갖는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상하이동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암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구비되는 푸쉬버튼과 링크 연결수단 및 커플링과 탄성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장치와, 암레스트 이동 안내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여 상기 자동차에 승차한 승차자는 푸쉬버튼을 눌러 높이조절장치를 작동시킴에 따라 암레스트는 암레스트 이동 안내수단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암레스트의 높이를 승차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위치시킨 다음 상기 승차자는 암레스트에 팔을 올려놓음에 따라 상기 암레스트에 올려놓은 팔의 피로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승차자는 편안한 느낌 및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의 승차자는 높이조절된 암레스트에 의한 최적의 편의를 제공받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shankdo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formed in the armrest of the vehicle, and the shankrest while the shankdong member reciproc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ider who rides on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ing device including a push button and a link connecting means and a coupling and an elastic spring, which are provided on the door trim of the vehic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vehicle, and armrest movement guide means. By operating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by pressing a button, the armrest is guided by the armrest movement guide means, and the height of the armrest is positioned to match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rider, and the rider puts his arm on the armrest. Therefore, not only can the fatigue of the arm placed on the armrest be reduced, The maintaining the relaxed state, and therefore it is an object to receive the occupant provides optimum comfort by the armrest height adjustmen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차 내에 승차한 승차자가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트림의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도어트림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복수개의 체결홈부를 갖는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암레스트의 하부인 상기 도어트림에는 누름 가능하게 결합되어 누르거나 누름을 해제함에 따라 상기 암레스트가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함과 함께 상기 암레스트를 고정하도록 하는 푸쉬버튼과, 상기 푸쉬버튼에 연결 결합되어 상기 푸쉬버튼의 조작에 따라 왕복이동 및 회동되는 복수개의 링크로 이루어진 링크 연결수단과, 상기 도어트림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푸쉬버튼의 조작과 상기 링크 연결수단의 작동에 따라 왕복이동되면서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각 체결홈부 중 어느 하나의 체결홈부에 일단부가 삽탈되는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커플링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일정한 탄성을 갖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도어트림과 암레스트에는 도어트림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암레스트를 이동을 안내하는 암레스트 이동 안내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높이조절장치가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n the car armrest is installed on the door trim of the vehicle to allow the occupant to ride on the vehicle, the armrest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armrest The armres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door trim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door trim, and has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and the door trim, which is a lower part of the arm rest, is pressably coupled to the arm rest as it is pressed or released. It is possible to reciproc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ush button for fixing the armrest, Link connection mean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inks coupled to the push button is reciprocated and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It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trim and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and the operation of the link connecting means And a coupling in which one end is inserted into one of the coupling grooves of each of the coupling grooves of the shank moving member, and an elastic spring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and has a constant elasticity to return the coupling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door trim and the armrest are provided with a vehicle armrest height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mrest movement guide means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armrest recipro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door trim.

또한 본 고안은, 링크 연결수단은, 푸쉬버튼에 결합되어 상기 푸쉬버튼과 함께 왕복이동하는 제1링크부와, 상기 제1링크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링크부의 왕복이동에 따라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2링크부와, 상기 제2링크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동되는 제2링크부에 의해 왕복이동하면서 커플링을 푸쉬버튼 측으로 당겨 상하이동부재의 체결홈부로부터 커플링이 분리되도록 상기 커플링의 일측부에 걸리는 절곡부를 갖는 레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높이조절장치가 제공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k connecting means is coupled to the push button, the first link portion reciprocating with the push button, and the first link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first link portion The coupling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link portion and the second link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push button side while the reciprocating movement by the pivoting second link portion from the coupling groove of the shank moving member. An armrest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n automobile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lever having a bent portion caught on one side of the coupling to be separated.

또한 본 고안은, 커플링의 일단부에는 각 체결홈부 중 어느 하나의 체결홈부에 삽탈되는 체결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부 측인 커플링의 일측부에는 레버의 절곡부에 맞닿은 상태로 걸어지는 걸림테가 형성되며, 상기 커플링의 타측부는 상기 커플링이 흔들림없이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도어트림의 내측에 형성된 안내공 내에 삽입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높이조절장치가 제공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coupling is form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to be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fastening groove portion of each of the fastening groove portion, one side of the coupling on the sid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is a hook that is engaged in contact with the bent portion of the lever The frame is formed, and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is provided with an armrest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an automob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position is located in the guide hol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door trim so that the coupling can be reciprocated without shaking.

또한 본 고안은, 상하이동부재의 각 체결홈부와 커플링의 체결돌부는 상기 상하이동부재와 커플링과의 체결력을 높이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높이조절장치가 제공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armrest height adjus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s of the coupling grooves and the coupling of the shankdong member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to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shankdong member and the coupling.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의 암레스트 하부에 복수개의 체결홈부를 갖는 상하이동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푸쉬버튼과, 제1,2링크부와 레버로 이루어진 링크 연결수단 및, 커플링 그리고,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암레스트의 왕복이동을 안내하는 암레스트 이동 안내수단이 구비된 자동차용 암레스트 높이조절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자동차에 승차한 승차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암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즉 상기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설치된 푸쉬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눌러지는 푸쉬버튼에 의해 링크 연결수단의 각 링크부와 레버가 작동되면서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체결홈부에 삽입 체결된 커플링이 체결홈부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상기 암레스트 이동 안내수단의 안내를 받으면서 암레스트는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푸쉬버튼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상기 커플링은 탄성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체결홈부 중 어느 하나의 체결홈부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암레스트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므로 인하여 상기 승차자는 암레스트의 높이를 원하는 위치 및 승차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보다 손쉽고 용이하게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shandong copper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formed on the lower armrest of the vehicle, and the push button, the first and second link portion and the lever on the door trim of the vehicle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ing device comprising a link connecting means, a coupling, and an elastic spring, and the armrest height adjusting device having an armrest movement guide means for reciprocating the armrest. The height of the armrest is adjusted to match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rider riding on the vehicle. That is, when the push button installed on the door trim of the vehicle is pressed, each link unit and the lever of the link connecting means are operated by the push button. As the coupling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of the mov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groove, the armless The armrest is recipr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being guided by the movement guide means, and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pushbutton is removed in this state, the coupling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spring to restore the shank member. Since the armrest is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any one of the fastening grooves of the fastening groove, the rider has an effect of easily and easi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rmrest to suit the desired position and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rider.

그러므로, 상기 자동차 운행 중 또는, 신호대기 등에 의해 정차 및 도로정체에 의해 서행하는 상태에서 승차자는 상기 승차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높이 조절된 암레스트에 팔을 올려놓음에 따라 상기 승차자는 팔의 피로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암레스트에 팔을 편안한 자세로 자연스럽게 올려놓음에 따라 상기 승차자는 안정적인 자세를 취함은 물론 보다 편안한 느낌 및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가능하므로 인해 상기 승차자는 높이 조절되는 암레스트에 의해 최적의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Therefore, as the rider puts his / her arm on the armrest which is height-adjusted to fit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rider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or in a state of slowing down due to traffic congestion or the like due to signal waiting, the rider may have arm fatigue. In addition to reducing the weight of the armrest to the armrest in a comfortable posture naturally, the occupant is able to maintain a stable posture as well as maintain a more comfortable feeling and state for a long time, so that the occupant is height-adjusted by the armrest.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be provided with the optimum convenience.

도 1은 본 고안 자동차의 도어에 암레스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자동차용 도어에 암레스트가 설치된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낸 정면도.
도 3a는 본 고안 자동차용 도어에서 암레스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 자동차용 도어에서 암레스트를 저면에서 본 상태로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높이조절장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 자동차용 암레스트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암레스트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나타낸 구조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rmrest is installed in the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r.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rmrest is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r door.
Figure 3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rmrest is separat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car door.
Figure 3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mrest in the state seen from the bottom in the door for automobil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r armrest.
Figure 5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armrest is operated by the armrest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armrest for the subject innovation of the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 높이조절장치의 일 실시예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One embodiment of the armrest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6 as follows.

본 고안은 자동차(10)의 도어(20) 내측에 도어트림(30)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도어트림(30)에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자동차(10)를 운전하는 운전자 및 승차한 탑승자 즉, 승차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상기 승차자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암레스트(ARMREST,100)가 설치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trim 3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door 20 of the vehicle 10, the door trim 30,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driver to drive the vehicle 10 and An armrest (ARMREST, 100) is provided for placing the occupant's arm in order to facilitate the occupant, that is, the occupant's convenience.

또한, 상기 도어트림(30)과 암레스트(100)에는 자동차(10)에 승차한 승차자의 팔을 보다 안정적이고 편안한 상태로 올려놓을 수 있도록 상기 승차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암레스트(100)를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면서 상기 암레스트(1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암레스트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door trim 30 and the armrest 100 have the armrest 100 adapted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rider so that the arm of the rider riding in the vehicle 10 can be placed in a more stable and comfortable state. Armrest height adjusting device is provid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armrest 100 while recipro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의 자동차용 암레스트 높이조절장치는 도 3a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암레스트(100)의 후면 하부에는 하방측으로 돌출되는 형태인 상하이동부재(1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이동부재(110)의 전면에는 후술할 높이조절장치(200)의 각 구성 중 하나인 커플링(250)의 일단부가 삽입 결합 및 분리 즉, 삽탈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체결홈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ure 3a to 5 for the vehicle armrest height adjustment device, the shandong member 11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of the armrest 100 protruding downward, the shanghai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111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astern member 110 so that one end of the coupling 250, which is one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

상기 상하이동부재(110)는 도면상에서와 같이 암레스트(100)의 후면 중앙부에 하나만 형성하거나, 상기 암레스트(100)의 후면 양측에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암레스트(100)의 후면에 둘 이상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hankdong member 110 is formed only one in the center of the rear of the armrest 100, or formed in pairs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armrest 100, or of the armrest 100 More than one can be formed on the back side.

상기 암레스트(100)의 상하이동부재(110)는 상기 도어트림(30)의 내측에 위치 즉, 상기 자동차(10)의 도어(20) 외면과 상기 도어(20)의 내측면에 결합된 도어트림(30)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The movable member 110 of the armrest 100 is located inside the door trim 30, that is, a door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2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20 of the vehicle 10. It is located between the trims 30.

그리고, 상기 도어트림(30)에는 상기 암레스트(100)를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하기 위한 높이조절장치(200)가 구비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door trim 30 is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ing device 200 for reciprocating the armrest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의 높이조절장치(200)는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트림(30)에는 상기 암레스트(100)가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함은 물론 상기 왕복이동하는 암레스트(100)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도록 눌러지는 푸쉬버튼(PUSH BUTTEN,210)이 누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4 and 5,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200, the armrest 100 is recipro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door trim 30, as well as the reciprocating armrest 100 The push button (PUSH BUTTEN, 210), which is pressed so as not to move, is coupled to be pressed.

즉, 상기 푸쉬버튼(210)에 외부의 힘을 가해 누르면 각 체결홈부(111) 중 어느 하나의 체결홈부(111) 내로 삽입되어 있던 커플링(250)의 일단부가 분리되고, 상기 푸쉬버튼(210)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누름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푸쉬버튼(210)은 후술할 탄성스프링(260)의 탄성력에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커플링(250)의 일단부가 각 체결홈부(111) 중 어느 하나의 체결홈부(111) 내로 삽입 체결된다. That i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ush button 210, one end of the coupling 250 inserted into one of the fastening grooves 111 of each of the fastening grooves 111 is separated, and the push button 210 is separated. When the force is released, the push button 210 returns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2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ile one end of the coupling 250 is removed from each of the fastening grooves 111. It is inserted into one of the fastening groove 111 is fastened.

상기 푸쉬버튼(210)은 암레스트(100)와의 간섭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승차자가 용이하게 조작가능하도록 상기 암레스트(100)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있다. The push button 210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armrest 100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interference with the armrest 100, as well as the rider easy to operate.

한편, 상기 푸쉬버튼(210)이 위치하는 측의 도어트림(30)의 내측면은 상기 도어트림(30)의 내측으로 푸쉬버튼(210)이 밀려 들어가면서 빠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푸쉬버튼(210)이 일정범위 내에서 왕복이동하게 상기 푸쉬버튼(21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trim 30 on the side where the push button 210 is located, as well as preventing the push button 210 from being pushed into the door trim 30 to be pulled out, as well as the push button 210. ) Is bent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push button 210 to reciprocate within a certain range.

상기 푸쉬버튼(210)에는 상기 푸쉬버튼(210)의 조작에 따라 왕복이동 및 회동되면서 후술할 커플링(250)의 일단부를 상하이동부재(110)의 체결홈부(111) 내로 삽입 결합 및 분리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링크로 이루어진 링크 연결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The push button 210 is inserted and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111 of the shangdong member 110 while one end of the coupling 250 to be described later while being reciprocated and rot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210. Link link mean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inks is provided.

상기의 링크 연결수단은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버튼(210)의 후면에는 상기 푸쉬버튼(210)과 직교되는 방향 즉, 도면상 가로방향으로 위치되어 상기 푸쉬버튼(210)과 함께 왕복이동하는 제1링크부(22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푸쉬버튼(210)과 결합된 측의 반대쪽인 상기 제1링크부(220)에는 제1링크부(220)의 왕복이동에 따라 힌지(231)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제2링크부(23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링크부(220)와 결합된 측의 반대쪽인 상기 제2링크부(230)에는 회동하는 제2링크부(230)에 의해 왕복이동하면서 후술할 커플링(250)을 푸쉬버튼(210) 측으로 당겨 상기 상하이동부재(110)의 체결홈부(111)로부터 커플링(250)의 일단부가 분리되도록 하는 레버(24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link connecting means is located at a rear surface of the push button 210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ush button 210, ie,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drawing.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first link unit 220 is coupled to the first link unit 220 opposite to the side coupled with the pushbutton 210. According to the hinge 231 is rotated around the second link portion 230 is rotatably coupled, the second link portion 230 opposite to the side coupled with the first link portion 220 In the reciprocating movement by the rotating second link unit 230, the coupling 250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push button 210 side pulls the coupling 250 of the coupling member 250 of the shank moving member 110 A lever 240 for allowing one end to be separated is rotatably coupled.

즉, 상기 링크 연결수단의 제1링크부(220)는 직선으로 왕복이동되고, 상기 제2링크부(230)는 힌지(231)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상기 레버(240)는 상기 제1링크부(220)와 반대방향으로 직선 왕복이동한다. That is, the first link portion 220 of the link connecting means is reciprocated in a straight line, the second link portion 230 is rotated around the hinge 231, the lever 240 is the first link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portion (220).

상기 레버(240)의 일단부에는 상기 레버(240)의 왕복이동에 따라 후술할 커플링(250)의 일측부에 형성된 걸림테(252)에 맞닿은 상태로 걸어져서 커플링(250)을 당기거나 당김을 해제하는 절곡부(241)이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One end of the lever 240 is pulled in contact with the engaging frame 252 form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250 to be described later in accordance with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lever 240 to pull the coupling 250 or The bent portion 241 for releasing the pulling is bent inward.

상기 도어트림(30)의 내측에는 상기 푸쉬버튼(210)의 조작과 상기 링크 연결수단 즉, 제1,2링크부(220,230)와 레버(240)의 작동에 따라 왕복이동되면서 상기 상하이동부재(110)의 각 체결홈부(111) 중 어느 하나의 체결홈부(111)에 일단부가 삽탈됨에 따라 상기 암레스트(100)를 왕복이동시킴은 물론 상기 왕복이동하는 암레스트(100)를 일정 위치에 고정하도록 하는 커플링(250)이 설치되어 있다. An inner side of the door trim 30 is reciprocat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210 and the operation of the link connecting means,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link parts 220 and 230 and the lever 240, and the moving member ( As one end is inserted into one of the fastening grooves 111 of each of the fastening grooves 111 of the 110, the armrest 100 is reciprocated as well as the reciprocating armrest 100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Coupling 250 is provided.

상기 커플링(250)의 구조는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링(250)의 일단부에는 상기 상하이동부재(110)의 각 체결홈부(111) 중 어느 하나의 체결홈부(111)에 삽입 결합 및 분리되는 즉, 삽탈되는 체결돌부(25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플링(250)의 일측부 즉, 상기 체결돌부(251)의 후방측인 커플링(250)의 일측부에는 상기 레버(240)의 왕복이동에 따라 커플링(250)이 레버(240)와 같은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상기 레버(240)의 절곡부(241)와 맞닿은 상태로 상기 절곡부(241)에 걸어지는 걸림테(242)가 커플링(25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플링(250)의 타측부는 상기 도어트림(30)의 내측에 형성된 안내공(31) 내에 삽입 위치되어 상기 안내공(31) 내를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커플링(250)이 상하, 좌우방향 등으로 흔들림없이 직선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안내공(3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coupling 250 has one end of the coupling 250, and one of the coupling grooves 111 of each of the coupling grooves 111 of the shank moving member 110. A fastening protrusion 251 which is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111 and that is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111 is formed, and one side of the coupling 250, that is, one side of the coupling 250 which is a rear sid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251. The bent portion 241 is in contact with the bent portion 241 of the lever 240 such that the coupling 250 reciproc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ever 240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lever 240. The engaging frame 24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upling 250,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25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31 formed inside the door trim 30 And the coupling 250 reciprocates in a linear direction without shaking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le reciprocating in the guide hole 31. It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said guide hole 31 so that it may be possible.

상기 안내공(31)이 형성된 도어트림(30)과 상기 커플링(250)의 걸림테(252) 사이인 상기 커플링(250)의 외주면에는 상기 링크 연결수단의 레버(240)에 의해 당겨진 커플링(250)을 원위치로 복귀 즉, 상기 커플링(250)의 일단부에 형성된 체결돌부(251)가 체결홈부(111)에 삽입되어 상기 암레스트(100)를 고정하도록 일정한 탄성을 갖는 탄성스프링(260)이 설치되어 있다. The couple pulled by the lever 240 of the link connecting mean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250 between the door trim 30 formed with the guide hole 31 and the engaging frame 252 of the coupling 250. Returning the ring 250 to its original position, that is, the fastening protrusion 251 formed at one end of the coupling 25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111 to have an elastic spring having a constant elasticity to fix the armrest 100. 260 is provided.

상기 커플링(250)의 일단부에 형성된 체결돌부(251)는 커플링(250)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커플링(25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커플링(250)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구매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가능하다. The fastening protrusion 251 formed at one end of the coupling 25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upling 250 or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250, which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250. It can be formed into various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effect and buyer's requirements.

그리고, 상기 상하이동부재(110)의 각 체결홈부(111)와 상기 커플링(250)의 체결돌부(251)는 상기 상하이동부재(110)와 커플링(250)과의 체결력을 높이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홈부(111)와 체결돌부(251)는 서로 맞물릴 수 있는 형상이라면 도면에서와 같이 단면형상이 사다리꼴 형상 및 원형, 삼각이나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stening protrusions 251 of the coupling grooves 111 and the coupling 250 of the shank moving member 110 are the same to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shank moving member 110 and the coupling 250. If the fastening groove 111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251 is a shape that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cross-sectional shape is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trapezoidal shape and a polygonal shape such as a circle, a triangle or a quadrangle as shown in the drawing. can do.

한편, 상기 도어트림(30)과 암레스트(100)에는 상기 도어트림(30)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암레스트(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암레스트 이동 안내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oor trim 30 and the armrest 100 is provided with armrest movement guide means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armrest 100 to reciproc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door trim (30).

상기 암레스트 이동 안내수단은 도 3a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암레스트(100)의 하방측인 상기 도어트림(30) 내측에는 삽입체결공(310)을 갖는 안내부재(30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안내부재(300)의 삽입체결공(310) 내의 상, 하부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오무려들었다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일정한 탄성 복원력을 갖는 복수개의 판 스프링(320)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3A and 6, the armrest movement guide means includes a guide member 300 having an insertion fastening hole 310 inside the door trim 30 which is a lower side of the armrest 100. Coupled, a plurality of leaf springs having a constant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n the fastening hole 310 of the guide member 300 is tainted by a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its own elastic force 320 are each coupled.

그리고, 상기 암레스트(100)의 후면에는 암레스트(100)의 왕복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안내부재(300)의 삽입체결공(310) 내로 삽입 체결되는 가이드부(1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부(120)의 외주면에는 왕복이동하는 암레스트(100)를 일정 위치에서 유동됨없이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각 판스프링(320)이 각각 삽입가능한 위치에 복수개의 위치고정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And, the rear of the armrest 100 is formed with a guide portion 1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fastening hole 310 of the guide member 300 to guide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armrest 10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120, a plurality of position fixing grooves 121 are formed at positions where the respective leaf springs 320 can be inserted to fix the armrest 100 reciprocating without being flow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have.

상기의 안내부재(300)와 가이드부(120)는 하나 또는, 한 쌍 및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암레스트(100)가 정확한 위치에서 상기 안내부재(300)와 가이드부(120)의 안내를 받으면서 흔들림없이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guide member 300 and the guide portion 120 may be formed in one, a pair and a plurality, which is the guide member 300 in the correct position the armrest 100 recipro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o guide the reciprocating movement without shaking while receiving the guide portion 120.

상기 각 가이드부(120)는 도 3a에서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부재(300)의 삽입체결공(310)은 가이드부(120)의 외경과 동일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즉 상기 가이드부(120)의 외경과 상기 삽입체결공(310)의 내경은 원형뿐만 아니라 타원형 및 삼각이나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Each guide portion 1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ure 3a, the insertion hole 310 of the guide member 300 is formed in the same cylindrical shap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120, that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12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fastening hole 3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 as well as an oval and a triangular or square as well as circular.

그리고, 상기 암레스트(100)의 가이드부(120)는 안내부재(300)의 삽입체결공(310)의 상부에서 하방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하거나(도 3a) 또는, 상기 가이드부(120)가 삽입체결공(310)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할 수 있는 등 상기 안내부재(300)와 가이드부(120)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결합가능하다. And, the guide portion 120 of the armrest 100 is coupled in the form inserted into the lower sid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hole 310 of the guide member 300 or (3a), or the guide portion 120 It can be coupled in a form that is fitted into the fastening hole 310, and can be combin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guide member 300 and the guide portion 120.

상기 안내부재(300)의 삽입체결공(310) 내에 결합되는 각 판스프링(320)은 단면으로 볼 때 반구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가이드부(120)의 위치고정홈(121)은 상기 반구형으로 돌출 형성된 각 판스프링(320)의 삽입 및 탈거가 가능하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Each leaf spring 320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310 of the guide member 300 is formed to protrude in a hemispherical shape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and the position fixing groove 121 of each guide portion 120 is Each of the leaf springs 320 protruding into the hemispherical shape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concave inward to enable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leaf spring 320.

상기 판스프링(320)과 위치고정홈(121)은 반구형뿐만 아니라 반원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The leaf spring 320 and the position fixing groove 12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semi-circular as well as hemispherical.

상기의 판 스프링(320)은 도 3a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삽입체결공(310)의 상, 하부에 각각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삽입체결공(310)의 상, 하부에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를 형성할 수 있는데, 즉 상기 안내부재(300)의 삽입체결공(310)에 삽입 체결되는 가이드부(120)가 원활하게 왕복이동가능함은 물론 삽입체결공(310)에 가이드부(120)가 유동됨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The leaf spring 320 is formed to form a pair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astening hole 31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ure 3a and 6, or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astening hole 310 A plurality of inner parts may b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is, the guide part 12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fastening hole 310 of the guide member 300 is smoothly reciprocated, as well as the guide part in the insertion fastening hole 310. If 120 can be firmly fixed without flowing, it may be formed in any structure.

그리고, 상기 위치고정홈(121)은 도 3a와 도 3b 및 도 6에서와 같이, 가이드부(120)의 외주면에 한 쌍을 이루는 형태로 가이드부(120)의 상, 하부에 복수개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가이드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형성함과 함께 상기의 형태로 형성된 위치고정홈(121)를 가이드부(120)의 상, 하부에 복수개를 형성할 수 있는데, 즉 상기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암레스트(1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판 스프링(320)이 삽입 및 탈거되면서 상기 암레스트(100)를 고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In addition, the position fixing groove 121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uide portion 120 in the form of a pai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120, as shown in Figure 3a, 3b and 6 or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position fixing grooves 121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shape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art 120, and may be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guide part 12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armrest 100 reciprocating in the direction, the leaf spring 320 may be formed in any structure as long as the armrest 100 can be fixed while being inserted and remov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차용 암레스트 높이조절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자동차(10) 내에 승차한 운전자 및 탑승자 즉, 승차자는 팔의 피로를 줄임은 물론 편안한 자세를 취하는 등 상기 승차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상기 자동차(10)의 도어(20) 내측에 결합된 도어트림(30)에 설치된 암레스트(100)에 상기 승차자의 팔이 얹혀지도록 올려놓는다. Referring to the vehicle armrest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of all the driver and the occupant, that is, the occupant in the vehicle 10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arm as well as to take the comfort of the occupant To achieve this, the arm of the passenger is placed on the armrest 100 installed on the door trim 30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door 20 of the vehicle 10.

이때, 상기 승차자의 신체조건이 서로 다름에 따라 상기 신체조건에 맞도록 즉, 상기 암레스트(100)에 올려 놓여지는 승차자의 팔이 너무 올라가거나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암레스트(100)의 높이를 조절한다.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armrest 100 so as to fit the physical condition, that is, the rider's arms placed on the armrest 100 is too raised or sagging as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rider different. Adjust

상기 암레스트(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2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상기 암레스트(100)의 하방측인 도어트림(30)에 결합된 푸쉬버튼(210)을 누르게 되면 상기 푸쉬버튼(210)은 도 4에서와 같이 위치된 상태에서 도 5에서와 같은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When describ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200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rmrest 100, when the push button 210 coupled to the door trim 30 which is the lower side of the armrest 100 is pressed The push button 210 is moved to a state as shown in FIG. 5 in a state as shown in FIG. 4.

이와 함께, 상기 푸쉬버튼(210)의 후면에 결합되어 있는 링크 연결수단의 제1링크부(220)도 상기 눌러지는 푸쉬버튼(210)과 함께 직선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제1링크부(2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링크부(230)가 힌지(231)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며, 상기 힌지(231)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2링크부(2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레버(240)는 푸쉬버튼(210)과 제1링크부(220)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In addition, the first link unit 220 of the link connecting means coupled to the rear of the push button 210 also moves linearly with the push button 210 which is pressed,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link unit 220. The second link unit 230 rotatably coupled to the lever is rotated about the hinge 231, the lever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link unit 230 rotated about the hinge 231 ( 240 is linearly mov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ush button 210 and the first link unit 220.

또한, 상기 레버(24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절곡부(241)와 커플링(250)의 걸림테(252)가 서로 맞닿은 상태로 걸려 있음에 따라 상기 레버(25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레버(250)가 이동하는 방향을 커플링(250)도 직선 이동한다. In addition, as the bent portion 241 formed at one end of the lever 240 and the engaging frame 252 of the coupling 25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lever (2)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lever 250. The coupling 250 also linearly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250 moves.

그러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암레스트(100)의 상하이동부재(110)의 체결홈부(111) 중 어느 하나의 체결홈부(111)에 삽입 결합되어 있던 상기 커플링(250)의 일단부에 형성된 체결돌부(251)는 상기 체결홈부(111)로부터 탈거됨에 따라 상기 암레스트(100)는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된다. Then, as shown in FIG. 4, at one end of the coupling 250 that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ny one of the fastening grooves 111 of the fastening grooves 111 of the shank-dong member 110 of the armrest 100. As the formed fastening protrusion 251 is removed from the fastening groove 111, the armrest 100 may be recipr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승차자는 신체조건에 맞도록 상기 암레스트(100)를 올리거나 내리게 되는데, 즉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트림(30)의 가이드부(120)에 형성된 삽입체결공(310)에 상기 암레스트(100)의 안내부재(300)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됨은 물론 상기 가이드부(120)의 각 위치고정홈(121)에 안내부재(300)의 판스프링(320)이 각각 삽입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각 위치고정홈(121) 중 어느 하나의 위치고정홈(121)에 각각 삽입 결합된 판스프링(320)에 의해 상기의 암레스트(100)는 유동됨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Here, the rider raises or lowers the armrest 100 to suit the physical condition, that is, the fastening hole 310 formed in the guide portion 120 of the door trim 30 as shown in FIG. The guide member 300 of the armrest 100 is coupled to move as well as the plate spring 320 of the guide member 300 is inserted into each position fixing groove 121 of the guide portion 120, respectively Therefore, the armrest 100 is maintained in a fixed state without flow by the leaf springs 320 respectively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ny one of the position fixing grooves 121.

이 상태에서, 상기 암레스트(100)를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안내부재(300)의 판스프링(320)은 가이드부(120)의 위치고정홈(121)으로 탈거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부(120)의 외주면에 의해 눌러졌다가 상기 가이드부(120)의 다른 위치고정홈(121)에 판스프링(320)이 위치하게 되면 상기 판스프링(320)은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다른 위치고정홈(121) 내로 삽입 결합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armrest 100 is recipr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eaf spring 320 of the guide member 300 is removed to the position fixing groove 121 of the guide portion 120 and at the same time the guide When the leaf spring 320 is pressed b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tion 120 and the other position fixing groove 121 of the guide portion 120 is positioned, the leaf spring 32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its elastic restoring force. It is inserted into the other position fixing groove 121 is coupled.

이와 같이, 상기 암레스트(100)를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킬 때 상기 암레스트(100)의 가이드부(120)는 상기 안내부재(300)의 체결삽입공(310) 내를 왕복이동됨에 따라 상기 암레스트(100)의 이동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암레스트(100)는 판스프링(320)과 위치고정홈(121)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유동됨없이 고정된다. As such, when the armrest 100 reciproc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guide part 120 of the armrest 100 reciprocates in the fastening insertion hole 310 of the guide member 300. In addition to guiding the movement of the armrest 100, the armrest 100 recipro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ixed without being moved to the desired position by the leaf spring 320 and the position fixing groove 121.

상기 암레스트(100)의 높이를 승차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위치하게 되면, 상기 누르고 있던 푸쉬버튼(210)에 가해진 힘을 제거한다. When the height of the armrest 100 is positioned so as to match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occupant, the force applied to the push button 210 held down is removed.

그러면, 상기 푸쉬버튼(210)에 의해 도 4에서와 같이 이동하여 위치한 커플링(250)에 의하여 압축되어 있던 탄성스프링(260) 즉, 상기 커플링(25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탄성스프링(260)이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커플링(250)은 도 5에서와 같은 위치에서 도 4에서와 같은 위치로 이동한다. Then, the elastic spring 260 compressed by the coupling 250 positioned and moved as shown in FIG. 4 by the push button 210, that is, the elastic spring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250 ( The coupling 250 moves from the same position as in FIG. 5 to the same position as in FIG. 4 by the elastic force 260 is about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탄성스프링(26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커플링(250)의 일단부는 상기 높이조절된 암레스트(100)의 상하이동부재(110)에 형성된 체결홈부(111) 중 어느 하나의 체결홈부(111) 내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One end of the coupling 250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spring 260 is any one of the fastening grooves 111 of the fastening groove 111 formed in the shankdong member 110 of the height-controlled armrest 100 ( 111) are inserted into and combined.

그럼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120)와 안내부재(300)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의 암레스트(100)는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함은 물론 상기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암레스트(100)는 상하이동부재(110)의 각 체결홈부(111) 중 어느 하나의 체결홈부(111)에 삽입 결합되는 커플링(250)의 체결돌부(251)에 의해 고정되므로 인하여 상기 암레스트(100)의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함에 따라 상기 승차자는 편안한 상태로 팔을 암레스트(100)에 올려놓을 수 있다. Accordingly, while receiving the guide of the guide 120 and the guide member 300, the armrest 100 is recipro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well as the armrest 100 recipro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hanghai Since the height of the armrest 100 is fixed by the fastening protrusion 251 of the coupling 250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ny one of the fastening grooves 111 of each of the fastening grooves 111 of the eastern member 110. By adjusting to the desired height the rider can put the arm on the armrest (100) in a comfortable state.

그러므로, 상기 승차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높이가 조절된 암레스트(100)에 승차자의 팔을 자연스럽게 얹혀지도록 올려놓음에 따라 상기 팔의 피로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차자는 보다 편안하면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등 상기 승차자는 높이 조절되는 암레스트에 의해 최적의 편의를 제공받게 된다. Therefore, by placing the rider's arm naturally on the armrest 100 whose height is adjusted to fit the rider's physical condition, the fatigue of the arm can be reduced, and the rider maintains a more comfortable and stable posture. The rider is provided with the optimum comfort by the height adjustment armrest.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의 자동차용 암레스트 높이조절장치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As such, the above-described vehicle armrest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자동차 20: 도어
30: 도어트림 31: 안내공
32: 삽입공 100: 암레스트
110: 상하이동부재 111: 체결홈부
120: 가이드부 121: 위치고정홈
200: 높이조절장치 210: 푸쉬버튼
220: 제1링크부 230: 제2링크부
231: 힌지 240: 레버
241: 절곡부 250: 커플링
251: 체결돌부 252: 걸림테
260: 탄성스프링 300: 안내부재
310: 삽입체결공 320: 판스프링
10: car 20: door
30: door trim 31: guide
32: insertion hole 100: armrest
110: Shanghai East member 111: fastening groove
120: guide portion 121: position fixing groove
200: height adjusting device 210: push button
220: first link unit 230: second link unit
231 hinge 240 lever
241: bend 250: coupling
251: fastening protrusion 252: hook
260: elastic spring 300: guide member
310: fastening hole 320: leaf spring

Claims (4)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차 내에 승차한 승차자가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트림의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도어트림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복수개의 체결홈부를 갖는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암레스트의 하부인 상기 도어트림에는 누름 가능하게 결합되어 누르거나 누름을 해제함에 따라 상기 암레스트가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함과 함께 상기 암레스트를 고정하도록 하는 푸쉬버튼과,
상기 푸쉬버튼에 연결 결합되어 상기 푸쉬버튼의 조작에 따라 왕복이동 및 회동되는 복수개의 링크로 이루어진 링크 연결수단과,
상기 도어트림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푸쉬버튼의 조작과 상기 링크 연결수단의 작동에 따라 왕복이동되면서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각 체결홈부 중 어느 하나의 체결홈부에 일단부가 삽탈되는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커플링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일정한 탄성을 갖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도어트림과 암레스트에는 도어트림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암레스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암레스트 이동 안내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링크 연결수단은, 푸쉬버튼에 결합되어 상기 푸쉬버튼과 함께 왕복이동하는 제1링크부와, 상기 제1링크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링크부의 왕복이동에 따라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2링크부와, 상기 제2링크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동되는 제2링크부에 의해 왕복이동하면서 커플링을 푸쉬버튼 측으로 당겨 상하이동부재의 체결홈부로부터 커플링이 분리되도록 상기 커플링의 일측부에 걸리는 절곡부를 갖는 레버로 구성되고,
상기 암레스트 이동 안내수단은, 도어트림의 내측에 결합되어 삽입체결공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삽입체결공 내의 상,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판스프링이 구비된 안내부재와, 상기 암레스트의 후면에 형성되어 안내부재의 삽입체결공 내로 삽입 체결됨과 함께 외주면에 판스프링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위치고정홈을 갖는 가이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높이조절장치.
In the car armrest installed on the door trim of the vehicle to allow the occupant to ride the arm in the vehicl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rmres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door trim has a mov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 to be located inside the door trim;
A push button which is coupled to the door trim which is a lower part of the arm rest so as to be pressed and releases or pushes the arm rest to reciproc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o fix the arm rest;
A link connecting means connected to the push button, the link connecting means comprising a plurality of links reciprocating and rotat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A coupling installed inside the door trim and one end of which is inserted into one of the fastening grooves of each of the fastening grooves of the shank moving member while being reciproc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and the operation of the link connecting means;
An elastic spring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and having a constant elasticity so that the coupling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door trim and the armrest are provided with armrest movement guide means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armrest recipro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door trim,
The link connecting means may be coupled to a push button, the first link part reciprocating together with the push button,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link part to pivot about a hinge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first link part. The couple is coupled to the second link portion and the second link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to be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of the shank moving member by pulling the coupling toward the push button while reciprocating by the pivoting second link portion. It consists of a lever having a bent portion caught on one side of the ring,
The armrest movement guide means is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door trim to form a fastening hole and a guide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leaf spring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astening hole, respectively, and on the rear of the armrest. The armrest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guide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position fixing grooves ar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guide member and the leaf spring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커플링의 일단부에는 각 체결홈부 중 어느 하나의 체결홈부에 삽탈되는 체결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부 측인 커플링의 일측부에는 레버의 절곡부에 맞닿은 상태로 걸어지는 걸림테가 형성되며, 상기 커플링의 타측부는 상기 커플링이 흔들림없이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도어트림의 내측에 형성된 안내공 내에 삽입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높이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of the coupling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to be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fastening groove of each of the fastening groove portion, one side of the coupling which is the fastening protrusion side is formed with a hook fram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bent portion of the lever, And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is inserted into a guide hole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door trim so that the coupling can be reciprocated without shaking.
삭제delete
KR2020100004722U 2010-05-04 2010-05-04 Apparatus for height adjustmetn of armrest in vehicle Expired - Lifetime KR20046298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722U KR200462982Y1 (en) 2010-05-04 2010-05-04 Apparatus for height adjustmetn of armrest in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722U KR200462982Y1 (en) 2010-05-04 2010-05-04 Apparatus for height adjustmetn of armrest in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565U KR20110010565U (en) 2011-11-10
KR200462982Y1 true KR200462982Y1 (en) 2012-10-11

Family

ID=4756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722U Expired - Lifetime KR200462982Y1 (en) 2010-05-04 2010-05-04 Apparatus for height adjustmetn of armrest in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982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276A (en) * 2019-07-30 2021-02-09 노홍길 Object come and go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276A (en) * 2019-07-30 2021-02-09 노홍길 Object come and go device
KR102238972B1 (en) 2019-07-30 2021-04-09 노홍길 Object come and go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565U (en)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6079B2 (en) Chair with seat depth adjustment and back support
US20110148171A1 (en) Height adjustable headrest for an automobile seat backrest
US9758076B2 (en) Automatic headrest
JP5829121B2 (en) Vehicle seat
KR20140013899A (en) Control device for chair
EP2261075B1 (en) Cushion mat assembly for use in a vehicle seat
JP2015221599A (en) Vehicle seat
KR102017614B1 (en) The Headrest for Neck Rest
KR200462982Y1 (en) Apparatus for height adjustmetn of armrest in vehicle
KR101806121B1 (en) neckrest of head rest for vehicle
CN108657033B (en) Safety seat with adjustable headrest
KR101372955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headrest
CN201192996Y (en) Automobile children safety seat
KR101541160B1 (en) Back of chair
KR102122867B1 (en) car-seat having headrest which operating pushing type knob
US10793039B2 (en) Headrest assembly with flexible support structure and stretched fabric cover
CN218661484U (en) Supporting structure of four-way waist rest
CN114194088A (en) Chair framework
KR200159427Y1 (en) Adjustable Head Rest
CN215883418U (en) Neck support mechanism
JP2005237519A (en) Seat cushion for vehicle seat
CN216659684U (en) Headrest assembly for seat and seat for vehicle
CN218683109U (en) Novel seat slide rail
JP2013112172A (en) Headrest and vehicle seat
CN213007754U (en) Vehicle armrest an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50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011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10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0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