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62775Y1 - 실내 분위기 연출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실내 분위기 연출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775Y1
KR200462775Y1 KR2020110010543U KR20110010543U KR200462775Y1 KR 200462775 Y1 KR200462775 Y1 KR 200462775Y1 KR 2020110010543 U KR2020110010543 U KR 2020110010543U KR 20110010543 U KR20110010543 U KR 20110010543U KR 200462775 Y1 KR200462775 Y1 KR 2004627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amp
substrate
coupled
enclos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5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2025U (ko
Inventor
이영철
김성수
임달순
Original Assignee
이영철
임달순
김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철, 임달순, 김성수 filed Critical 이영철
Priority to KR20201100105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775Y1/ko
Publication of KR201100120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0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77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21V23/00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the substrate is supporting als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05B47/12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by detecting audible s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색상의 LED 램프가 설치된 조명장치로부터 점등되는 LED 램프의 빛이 전후면의 반사체에 의해 여러 회 반복 반사되어 다수의 LED 램프가 발광되는 효과를 가짐으로써, 실내에 조명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실내 분위기 연출을 보다 극대화시키는 조명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본 발명은, 함체의 배면측에 결합되는 피씨비(PCB) 기판; 상기 함체의 측면에 결합되어 실내에 빛을 조사하는 측면엘이디(LED) 램프; 상기 피씨비(PCB) 기판의 전면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기판엘이디(LED) 램프; 상기 측면 및 기판엘이디(LED)의 점멸을 제어하는 점멸제어부; 상기 피씨비(PCB) 기판의 전면에 결합되는 반사체; 및, 배면측에 반사필름이 결합되어 상기 엘이디(LED) 램프와 이격되어 상기 함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반투명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1열의 기판엘이디(LED) 램프가 설치되어 있음에도 다수열의 기판엘이디(LED0 램프가 넓은 공간에 설치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실내 분위기 연출용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FOR DECORATION}
본 고안은 다양한 색상의 LED 램프가 설치된 조명장치로부터 점등되는 LED 램프의 빛이 전후면의 반사체에 의해 여러 회 반복 반사되어 다수의 LED 램프가 발광되는 효과를 가짐으로써, 실내에 조명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실내 분위기 연출을 보다 극대화시키는 조명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차량의 실내에는 어둠으로부터 실내를 밝히는 조명장치 이외에 실내의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은은하게 빛을 발하는 분위기 연출용 조명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 연출용 조명장치는 다양한 색상의 전구 또는 LED 램프를 설치하고 전면에 렌즈를 이격시켜 결합함으로써,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점멸되는 전구 또는 램프의 빛이 렌즈에 의해 조사되어 실내에 은은한 분위기가 연출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조명장치는 단순히 다양한 색상의 빛을 제공할 뿐이어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는데 한계가 있고, 실내 또는 차량에 있는 사람들의 눈에 직접적으로 마주쳐 눈이 부시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1열의 기판엘이디(LED) 램프가 얇은 조명판에 설치되어 있음에도 다수열의 기판엘이디(LED) 램프가 넓은 공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는데 해결의 과제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음악과 같은 소리의 높낮이에 의해 측면 및 기판엘이디(LED) 램프의 점멸 및 빛의 세기가 가변되도록 하는데 다른 해결의 과제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판엘이디(LED) 램프가 항상 일정한 상태로 빛을 발광하지 않고 움직이면서 발광함으로써, 역동적인 효과를 제공하도록 하는데 다른 해결의 과제가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함체의 배면측에 결합되는 피씨비(PCB) 기판, 상기 함체의 측면에 결합되어 실내에 빛을 조사하는 측면엘이디(LED) 램프, 상기 피씨비(PCB) 기판의 전면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기판엘이디(LED) 램프, 상기 측면 및 기판엘이디(LED) 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제어부, 상기 피씨비(PCB) 기판의 전면에 결합되는 반사체, 및 배면측에 반사필름이 결합되어 상기 기판엘이디(LED) 램프와 이격되어 상기 함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반투명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함체(100)의 측면에서 측면엘이디 램프(110)가 배치된 지점에는 각각의 램프(110)가 함체의 측면에 각각 수납되도록 수납홀이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이크로제어부에는 램프점멸동작 키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콘트롤부와, 상기 키입력콘트롤부에서 입력된 신호를 BCD코드로 변환시키는 BCD코드입력부와, 상기 BCD코드입력부에서 보내져오는 신호에 따라 릴레이를 제어하는 릴레이제어부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제어부에는 음의 높낮이에 따라 램프의 밝기 세기를 조절하는 음파감지부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제어부에는 각기 다른 조명장치 전체의 램프를 순차적으로 점멸하도록 하는 램프연동점멸부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피씨비(PCB) 기판의 중앙부는 함체에 힌지 결합되고, 일측 가장자리 하부에는 피씨비(PCB) 기판이 힌지를 중심으로 좌우로 승하강하도록 편심캠이 설치된다.
본 고안은 1열의 기판엘이디(LED) 램프가 설치되어 있음에도 다수열의 기판엘이디(LED0 램프가 넓은 공간에 설치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다수의 램프점멸동작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다수의 램프점멸동작을 선택하여 입력함에도 BCD코드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BCD코드로 인해 3개의 신호선만이 필요하므로 설치가 간단하다.
또한, 본 고안은 음악과 같은 소리의 높낮이에 의해 엘이디(LED) 램프의 점멸 및 빛의 세기가 가변되고, 다수의 조명장치가 미리 셋팅된 프로그램대로 램프가 순차적으로 연동 점멸되어 분위기 연출이 보다 극대화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판엘이디(LED) 램프가 설치된 기판이 움직이며 발광함으로써 역동적인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폭 방향 절결 단면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길이방향 절결 단면 개념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기판 일측이 상측으로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길이방향 절결 단면 개념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램프가 점등된 상태의 예시도
이하,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함체(100)는 합성수지재,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로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하며, 함체(100)와 동일한 형태의 피씨비(PCB) 기판(200)이 함체(100)의 배면측에 결합된다. 함체(1000의 측면에는 다수의 측면 엘이디(LED) 램프(110)가 결합된다.
피씨비(PCB) 기판(200)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각각의 관통공에는 각각 다른 색상의 빛이 점멸되는 기판엘이디(LED) 램프(300)가 전면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측면 및 기판엘이디(LED) 램프(110)(300)의 점멸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제어부(310)가 구비된다.
피씨비(PCB) 기판(200)의 전면에는 피씨비(PCB) 기판(200)의 관통공과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기판엘이디(LED) 램프(300)가 삽입 돌출되는 형태가 되도록 반사체(210)가 결합된다.
함체(100)에 결합되는 피씨비(PCB) 기판(200)은 중앙부가 함체(100)에 힌지(240) 결합되어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피씨비(PCB) 기판(200)의 일측 하부에는 구동모터(215)에 의해 회전하는 편심캠(220)이 점멸제어부(310)와 일체로 작동되도록 결합되고, 타측 하부에는 탄성체(230)가 결합된다.
함체(100)의 전면측에는 반투명판(400)이 결합되되, 기판엘이디(LED) 램프(300)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반투명판(400)의 배면에는 반사필름(410)이 접착된다.
함체(100)의 일측에 마련되는 마이크로제어부(310)와 별도로 키입력콘트롤부(320) 및 BCD코드변환부(330)가 더 결합된다. 또한, 마이크로제어부(310)에는 릴레이제어부(340) 및 음파감지부(350)와 램프연동점멸부(360)가 결합된다.
키입력콘트롤부(320)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램프가 점멸되도록 선택 입력하기 위해 마이크로제어부(310)에 연결된다.
BCD코드변환부(330)는 키입력콘트롤부(320)에 의해 선택되어진 키의 신호를 0000, 0001, 0011 등의 BCD(Binary Coded Decimal) 코드로 변환시켜 마이크로제어부(310)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따라서, 키입력콘트롤부(320)와 마이크로제어부(310) 사이에는 3개의 신호선만으로도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마이크로제어부(310)에서는 BCD코드변환부(330)에서 보내져 오는 신호에 해당하는 릴레이를 제어하도록 릴레이제어부(340)를 제어한다.
또한, 음파감지부(350)는 주변의 음의 높낮이를 감지하고, 이렇게 감지된 음의 높낮이 신호를 마이크로제어부(310)에 전달한다. 램프연동점멸부(360)는 각각의 조명장치가 서로 연동되어 작동되도록 마이크로제어부(310)에 연결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조명장치에 전원이 공급되고, 사용자에 의해 키입력콘트롤부(320)에서 선택되어진 키가 입력되면, BCD코드변환부(330)에서는 키입력콘트롤부(320)에서 보내져 오는 신호를 BCD(Binary Coded Decimal) 코드로 변환시켜 마이크로제어부(310)로 전달한다.
마이크로제어부(310)를 통해 측면 및 기판엘이디(LED) 램프(110)(300)가 점등될 때, 기판엘이디(LED) 램프(300)의 빛 일부는 전면에 설치된 반투명판(400)을 통해 외부로 조사되어 실내에 은은한 빛을 조사한다. 또한, 기판엘이디(LED) 램프(300)의 일부 빛은 반투명판(400)의 반사필름(410)에 의해 반사되고, 이는 다시 반사체(210)에 의해 반사되며, 이러한 반사를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반투명판(400)을 통해 보이는 함체(100) 내부의 반사체(210)에는 반사되어 보여지는 다양한 색상의 기판엘이디(LED) 램프(300)가 마치 여러 열의 기판엘이디(LED) 램프(300)가 넓은 공간에 점등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보여진다.
마이크로제어부(310)에서는 BCD코드변환부(330)에서 보내져 오는 신호에 해당하는 램프점멸동작 11가지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릴레이제어부(340)를 제어한다.
램프점멸동작 11가지 동작은 아래와 같다.
1. 기판 엘이디(LED) 램프 ON/OFF 동작
2. 측면 엘이디(LED) 램프 ON/OFF 동작
3. 감지된 음악의 세기에 따라 엘이디(LED) 램프 출력 세기 조절 동작
4. 미리 셋팅된 프로그램된 순서대로 엘이디(LED) 램프 ON/OFF 동작
5. 단색의 엘이디(LED) 램프가 점등되어 정지된 상태로 되는 단색 정지무드 동작
6. 엘이디(LED) 램프가 색깔별로 혼합 점등되어 정지된 상태로 되는 혼합 정지무드 동작
7,8,9. 다수의 조명장치를 설치하고, 다수의 조명장치 중 미리 셋팅된 조명
장치에만 전체 LED 램프가 점등되는 동작
10. 7,8,9 동작이 6초에서 9초동안 연속 반복 ON/OFF 동작
11. 다수의 조명장치를 설치하고, 다수의 조명장치 전체가 점등되는 동작
예를들어 램프점멸동작 중 1번이 선택되어지면, 기판엘이디(LED) 램프(300)가 점등되고, 2번이 선택되어지면 측면 램프(110)가 점등된다.
예를들어 램프점멸동작 중 4번이 선택되어지면, 미리 셋팅된 프로그램 순서대로 엘이디 램프(300)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점멸하거나, 모양을 이루며 점등될 수 있다.
예를들어 램프점멸동작 중 3번이 선택되어지면, 음파감지부(350)는 본 고안의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실내에 출력되는 음악 등의 음을 감지한다. 감지된 음의 높낮이를 분석하여 음의 높이가 높으면 측면 및 기판엘이디(LED) 램프(110)(300)를 강하게 점등하고, 음의 높이가 낮으면 측면 및 기판엘이디(LED) 램프(110)(300)를 약하게 점등한다.
예를들어 램프점멸동작 중 9번이 선택되어지면, 다수의 조명장치가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마이크로제어부(310)에 의해 각각의 조명장치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다수의 조명장치에 구비된 전체의 램프(110)(300)가 점등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10번이 선택되어지면, 램프연동점멸부(360)에 의해 각각의 조명장치 중 하나 또는 다수의 조명장치가 6~9초 동안 점등된 후 점멸하고 다시 다른 조명장치가 6~9초 동안 점등된 후 점멸되는 작동이 반복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조명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엘이디 램프(300)가 점멸되거나, 음의 높낮이에 따라 측면 및 기판엘이디(LED) 램프(110)(300)의 밝기가 가변되며 점멸되고, 음의 리듬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점멸됨으로써 역동적인 효과의 연출이 가능하다.
한편, 마이크로제어부(310) 의해 측면 및 기판엘이디(LED) 램프(110)(300)가 점멸되는 동안 피씨비(PCB) 기판(200) 하부의 편심캠(220)이 구동모터(215)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편심캠(220)이 반원 정도 회전하는 동안 피씨비(PCB) 기판(200)의 일측은 힌지(240)를 축으로 편심캠(220)에 의해 상승하고, 다시 편심캠(220)이 반원정도 회전하는 동안에는 피씨비(PCB) 기판(200)의 타측 하부에 결합된 탄성체(230)에 의해 피씨비(PCB) 기판(200)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기판엘이디(LED) 램프(300)가 점멸되는 동안 피씨비(PCB) 기판(200)이 중앙부의 힌지(240)를 축으로 시소처럼 승하강하면서 기판엘이디(LED) 램프(300)가 좌우로 각도를 가변하며 점멸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며, 실내의 분위기 연출을 극대화시킨다.
또한, 반투명판(400)을 통해 빛이 은은하게 조사됨으로써 빛이 실내의 사람에게 직접적으로 조사되지 않아 눈부심이 줄어들게 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함체 200 : 기판
210 : 반사체 220 : 편심캠
300 : 엘이디(LED) 램프 310 : 마이크로제어부
320 : 키입력콘트롤부 330 : BCD코드변환부
340 : 릴레이제어부 350 : 음파감지부
360 : 램프연동점멸부 400 : 반투명판
410 : 반사필름

Claims (5)

  1. 함체의 배면측에 결합되는 피씨비(PCB) 기판;
    상기 함체의 측면에 결합되어 실내에 빛을 조사하는 측면엘이디(LED) 램프;
    상기 피씨비(PCB) 기판의 전면측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기판엘이디(LED) 램프;
    상기 측면 및 기판엘이디(LED) 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제어부;
    상기 피씨비(PCB) 기판의 전면에 결합되는 반사체; 및,
    배면측에 반사필름이 결합되어 상기 기판엘이디(LED) 램프와 이격되어 상기 함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반투명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함체(100)의 측면에서 측면엘이디 램프(110)가 배치된 지점에는 각각의 측면엘이디 램프(110)가 함체의 측면에 각각 수납되도록 수납홀이 마련되며,
    상기 피씨비(PCB) 기판의 중앙부는 함체에 힌지 결합되고, 일측 가장자리 하부에는 피씨비(PCB) 기판이 힌지를 중심으로 좌우로 승하강하도록 편심캠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분위기 연출용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제어부에는 램프점멸동작 키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콘트롤부와, 상기 키입력콘트롤부에서 입력된 신호를 BCD코드로 변환시키는 BCD코드입력부와, 상기 BCD코드입력부에서 보내져오는 신호에 따라 릴레이를 제어하는 릴레이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분위기 연출용 조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제어부에는 음의 높낮이에 따라 램프의 밝기 세기를 조절하는 음파감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분위기 연출용 조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제어부에는 각기 다른 조명장치 전체의 램프를 순차적으로 점멸하도록 하는 램프연동점멸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분위기 연출용 조명장치.
  5. 삭제
KR2020110010543U 2011-11-28 2011-11-28 실내 분위기 연출용 조명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62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543U KR200462775Y1 (ko) 2011-11-28 2011-11-28 실내 분위기 연출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543U KR200462775Y1 (ko) 2011-11-28 2011-11-28 실내 분위기 연출용 조명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521U Division KR20110008124U (ko) 2010-02-10 2010-02-10 실내 분위기 연출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025U KR20110012025U (ko) 2011-12-29
KR200462775Y1 true KR200462775Y1 (ko) 2012-09-27

Family

ID=45569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54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62775Y1 (ko) 2011-11-28 2011-11-28 실내 분위기 연출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7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731B1 (ko) 2013-05-28 2015-01-12 주식회사 인터원 장식용 엘이디 조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755B1 (ko) * 2012-10-20 2014-08-20 주식회사 알토 백색소음과 조명이 상관관계를 가지고 변화되어 다용도 사용이 가능한 조명등 및 그 제어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325Y1 (ko) * 2002-04-19 2002-07-26 동광전자 주식회사 음파제어 반도체 전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325Y1 (ko) * 2002-04-19 2002-07-26 동광전자 주식회사 음파제어 반도체 전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731B1 (ko) 2013-05-28 2015-01-12 주식회사 인터원 장식용 엘이디 조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025U (ko) 201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8005B2 (en) Flameless electronic candle
NL2014352B1 (en) Lighting device simulating real flame illuminating.
KR100343026B1 (ko) 조명장치및그조명장치가부착되어이루어진액자
EP3092870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ighting control based on detected lighting change
US7581858B1 (en) Light-emitting device for the interior of a vehicle with music synchronization
WO2016177021A1 (zh) 360度led发光火焰灯
WO2016050872A1 (en) A luminaire and a method for providing task lighting and decorative lighting
KR101022690B1 (ko) 레이저조명과 led조명의 조합연출이 가능한 무대조명장치
KR101066067B1 (ko) 실내 살균기능을 갖는 조명등 장치
CN104848098B (zh) 一种可调图案led光影景观灯
KR200462775Y1 (ko) 실내 분위기 연출용 조명장치
KR100697181B1 (ko) 난반사면에 의한 후광 기능을 갖는 천정용 조명등
KR200412764Y1 (ko) 난반사면에 의한 후광 기능을 갖는 천정용 조명등
KR20110008124U (ko) 실내 분위기 연출용 조명장치
US10660187B1 (en) Smartphone controlled accent light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of operation
JP4491327B2 (ja) 照明器具
CN202392680U (zh) 一种艺术吊灯
CN201772363U (zh) 一种新型的小功率led节能转动壁灯
KR20160093832A (ko) 실내 살균기능을 갖는 조명등 장치
JP2013137894A (ja) 照明装置
KR20210154292A (ko) 순차점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24853A (ko) 차량의 인테리어 조명장치
CN205717008U (zh) 投射灯
KR101772041B1 (ko) 싸이키 조명과 메인 조명이 일체로 형성된 노래방 조명기기
JP2002313587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6 Division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UA0106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UA010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U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609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U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922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