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600Y1 - Fishing tackle having bait protection chamber - Google Patents
Fishing tackle having bait protection chamb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2600Y1 KR200462600Y1 KR2020120005433U KR20120005433U KR200462600Y1 KR 200462600 Y1 KR200462600 Y1 KR 200462600Y1 KR 2020120005433 U KR2020120005433 U KR 2020120005433U KR 20120005433 U KR20120005433 U KR 20120005433U KR 200462600 Y1 KR200462600 Y1 KR 20046260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it
- fishing
- protector
- bait protector
- upper ca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표층의 잡어 등으로부터 미끼를 보호하기 위한 미끼 보호구를 구비하는 낚시 채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낚싯대와, 상기 낚싯대에 연결된 원줄과, 상기 원줄에 각각 연결된 찌 및 봉돌과, 상기 봉돌에 연결되어 단부에 낚시 바늘이 구비된 목줄로 이루어진 낚시 채비에 있어서, 중심부에 줄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줄 관통공에 상기 목줄이 삽입되는 상부캡; 및 상기 상부캡과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낚시 바늘에 고정된 미끼가 위치되는 통체부로 구성되는 미끼 보호구를 포함하며, 상기 낚시 바늘이 수면 아래로 하강하여 일정 깊이에 도달하면, 상기 미끼 보호구의 부력에 의해 상기 미끼 보호구가 상기 목줄을 따라 상승함으로써 상기 통체부 내부에 위치된 미끼가 상기 미끼 보호구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gear provided with a bait protector for protecting the bait from the catch of the surface layer, in particular, a fishing rod, a raw wire connected to the fishing rod, and a bobbin and a bondol connected to the raw wi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od A fishing tackle consisting of a neckline provided with a fishing needle at an end, comprising: an upper cap having a string through hole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wherein the collar is inserted into the string through hole; And a bait protector coupled to the upper cap and configured with a tubular portion in which a bait fixed to the fish hook is located therein, and when the fish hook descends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to reach a predetermined depth, buoyancy of the bait protector The bait protector is lifted along the neck by means of which the bait located inside the tubular portion is peeled off from the bait protector.
Description
본 고안은 낚시 채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층의 잡어 등으로부터 미끼를 보호하기 위한 미끼 보호구를 구비하는 낚시 채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ge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shing gear provided with a bait protector for protecting the bait from the catch of the surface layer.
일반적으로, 낚시는 장소에 따라 민물 낚시와 바다 낚시로 나눌 수 있으며, 방법에 따라 대 낚시, 릴 낚시, 견지 낚시, 루어 낚시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 중 바다 낚시는 해안가의 모래밭, 갯바위, 방파제나 배?보트 등을 타고 바다로 나가서 하는 낚시로서, 가자미, 넙치, 감성돔, 노래미, 참돔, 우럭 등의 바다 고기를 목표로 한다.In general, fishing can be divided into freshwater fishing and sea fishing, depending on the place, depending on the method, such as large fishing, reel fishing, angular fishing, lure fishing, etc. Among these, the sea fishing sand beach, mud rock, breakwater or It is a fishing that goes out to sea by boat and boat, and aims at sea meat such as flounder, flounder, black sea bream, sea bream, red sea bream, and rockfish.
일반적으로, 낚시 채비는 지역, 어종, 낚시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낚시 채비'란 용어는 특정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낚시 도구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낚시 바늘과 낚싯줄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지칭하는 의미로부터 특정 낚시를 위해 구성되는 모든 부분(낚시 바늘, 낚싯줄, 봉돌, 도래, 찌, 낚싯대 등)을 지칭하는 용어까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fishing gear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region, fish species, fishing type, etc. The term 'fishing gear' is not limited to a fishing tackle having a specific configuration, but a portion consisting of a fishing hook and a fishing line It is used in various ways, from the meaning of designation to the term designating all parts (fishing hook, fishing line, boulder, auger, bobber, fishing rod, etc.) configured for a specific fishing.
또한, 이러한 낚시 채비를 통해 연출할 수 있는 낚시 방법에는 올림 찌 낚시 방법, 멍텅구리 채비 방법 및 내림 찌 낚시 방법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fishing methods that can be produced through such fishing gears include a raised bobs fishing method, a raccoon preparing method, and a lowered bobs fishing method.
상기 올림 찌 낚시 방법에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통적인 바닥 봉돌 2봉(사용하는 바늘 개수 따라 외봉, 3봉, 4봉 등) 방식(채비) 외에도 벌린 2봉 방식, 분할 봉돌 방식, 편대 방식, 멍텅구리(인치기) 채비 방식과 이 방식들을 조금씩 변형시킨 유사한 여러 가지 변형된 방식(채비)들이 있다.In the fishing method of the limber bob, two rods, split rods, squadrons, and stumps are used in addition to two traditional rods (two rods, three rods, four rods, etc.) according to the number of needles used. There are several variations of the method of preparation, and similar variations of these methods.
이러한 기존의 올림 찌 낚시 채비(방식)에서 올림 찌는 찌의 올림을 통해 물속의 물고기가 바늘과 미끼를 물고 올리는 상황을 짐작하기 위한 것이다.In this conventional Olim-Ji fishing fishing gear (method), Ol-Ji is to guess the situation where the fish in the water bites up the needle and bait through the raising of the bob.
또한, 멍텅구리 채비 방식은 아주 무거운 봉돌을 사용해서 조정(찌 부력과 상쇄해서 가볍게 하는)하지 않은 채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물고기가 미끼(봉돌에 부착된 먹이)를 흡입해 먹다가 미끼 부근의 낚시 바늘을 흡입하여 저절로 입에 걸려 낚이는 것으로, 민물 릴 낚시에 사용되는 채비와 거의 같은 것이며, 찌 올림을 보고 챔질을 해서 낚는 올림 찌 낚시 방식과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In addition, the dung beetle preparation method is used without using a very heavy rod to adjust (compensate lightly with the buoyancy) so that the fish inhale and feed the bait (prey attached to the rod), Sucking and catching the fish by itself, it is almost the same as the equipment used for freshwater reel fishing, and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from the fishing method of limping fishing by seeing the swelling.
또한, 내림 찌 낚시 방식은 찌의 내림을 통해 물속의 물고기가 바늘과 미끼를 물고 내리는 상황을 짐작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descending bobber fishing method is to guess the situation in which the fish in the water bites down the needle and bait through the lowering of the bobber.
이외의 낚시 방법으로는 줄 낚시, 릴 낚시(던질 낚시), 루어 낚시, 플라이 낚시, 훌치기 낚시와 같은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다.Other fishing methods include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rope fishing, reel fishing (throw fishing), lure fishing, fly fishing, and fly fishing.
관련하여, 상기한 바다 낚시에 관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4535호의 "바다 낚시용 봉돌 보호 구조(가봉섭)"(문헌 1)에는 암초가 많은 해저 지역이나 기타 굴곡이 심한 해저 암초대에 봉돌이 끼거나 걸려 낚싯줄로부터 이탈되어 바다에 수장됨으로써 납 성분의 봉돌이 바다를 오염시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바다 낚시용 봉돌 보호 구조가 개시된다.In relation to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for sea fishing, "Sea fishing rod protection structure (Gabongseop)" of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44535 (document 1) (Ref. 1) is a seabed area with a lot of reefs or other severe seabed Binder protection structure for sea fishing is disclosed, which can be prevented from contaminating the sea by the lead-based bondol by retracting it from the fishing line caught in the reef or caught in the sea.
한편, 종래의 바다 낚시에서의 경우 미끼를 하강시킬 때에 수면 표층에 있는 잡어나 작은 고기가 미끼를 채가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ea fishing, there is a problem that catches and small meat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catch the bait when the bait is lowered.
따라서, 수면 표층에 있는 잡어나 작은 고기로부터 미끼를 보호할 수 있는 낚시 채비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the necessity of the fishing gear which can protect a bait from the catch and small meat in the surface of the water surface is calculated | required.
본 고안의 목적은 미끼를 내부에 위치시켜 미끼를 수면 표층의 잡어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낚시 바늘이 일정 수심까지 내려가서 낚시 채비가 정렬되면 부력에 의해 찌가 설치된 위치까지 상승하여 미끼를 노출시킬 수 있는 미끼 보호구를 구비하는 낚시 채비를 제공함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lace the bait inside to protect the bait from the catch of the surface of the water surface, and when the fishing hook is lowered to a certain depth and the fishing gear is aligned, the bait rises to the position where the bobber is installed by buoyancy to expose the bait. It is to provide a fishing gear having a bait protection that can be made.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미끼 보호구에 하나 이상의 유출공을 형성하여 내려가는 도중에 물을 배출함으로써 미끼 보호구가 부력에 의해 너무 일찍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끼 보호구를 구비하는 낚시 채비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shing gear having a bait protector that can prevent the bait protector from peeling off too early by buoyancy by discharging water while forming one or more outlet holes in the bait protector. .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미끼 보호구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조류에 의한 압력을 완화시킴으로써 미끼 보호구가 조류에 의해 너무 일찍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끼 보호구를 구비하는 낚시 채비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shing gear having a bait protector that can prevent the bait protector from being peeled off too early by forming one or more through-holes on the side of the bait protector to relieve pressure by the algae In providing.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The above object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고안의 특유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o achieve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고안에 따른 미끼 보호구를 구비하는 낚시 채비는, 낚싯대와, 상기 낚싯대에 연결된 원줄과, 상기 원줄에 각각 연결된 찌 및 봉돌과, 상기 봉돌에 연결되어 단부에 낚시 바늘이 구비된 목줄로 이루어진 낚시 채비에 있어서, 중심부에 줄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줄 관통공에 상기 목줄이 삽입되는 상부캡; 및 상기 상부캡과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낚시 바늘에 고정된 미끼가 위치되는 통체부로 구성되는 미끼 보호구를 포함하며, 상기 낚시 바늘이 수면 아래로 하강하여 일정 깊이에 도달하면, 상기 미끼 보호구의 부력에 의해 상기 미끼 보호구가 상기 목줄을 따라 상승함으로써 상기 통체부 내부에 위치된 미끼가 상기 미끼 보호구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shing tackle provided with a bait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shing tackle, a fishing tackle consisting of a fishing rod, a raw wire connected to the fishing rod, a bobber and a bondol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aw wire, and a collar having a fishing needle attached to the end of the fishing line. In the, provided with a through-hole in the center, the upper cap is inserted into the string through-hole; And a bait protector coupled to the upper cap and configured with a tubular portion in which a bait fixed to the fish hook is located therein, and when the fish hook descends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to reach a predetermined depth, buoyancy of the bait protector The bait protector is lifted along the neck by means of which the bait located inside the tubular portion is peeled off from the bait protector.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끼 보호구의 상기 상부캡은, 적어도 하나의 유출공을 구비하며, 부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유출공에는 별도의 부력 조절 부재가 결합된다.Preferably, the upper cap of the bait protector, has at least one outlet hole,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buoyancy, and the outlet hole is coupled to a separate buoyancy control mem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끼 보호구의 상기 통체부는,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측면 관통공을 구비하며, 투시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캡과 일체로 구성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bait protector, having at least one side through-hole in the side,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configured to be integrally configured or detachable with the upper cap.
바람직하게는, 상기 낚시 채비는, 상기 목줄의 소정 위치에 수중찌를 더 구비하며, 상기 미끼 보호구가 상기 목줄을 따라 상승할 때, 상기 수중찌의 위치까지 상승하도록 한다.
Preferably, the fishing gear is further provided with a hand bobb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eash, and when the bait protector ascends along the leash, to rise to the position of the hand bobb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낚시 채비에서 낚시 바늘이 일정 수심까지 내려가는 동안 미끼를 미끼 보호구 내부에 위치시켜 보호하고, 낚시 바늘이 일정 수심까지 내려가 낚시 채비가 정렬되면 미끼 보호구가 부력에 의해 찌가 설치된 위치까지 상승하여 미끼를 노출시킬 수 있음으로써 수면 표층에 있는 잡어 또는 작은 고기가 미끼를 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fishing hook is lowered to a certain depth in the fishing gear, the bait is protected inside the bait protector, and when the fishing hook is lowered to a certain depth and the fishing gear is aligned, the bait protector is buoyed by buoyancy. By ris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bobber is install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catch or small meat on the surface of the surface to catch the bait.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미끼 보호구에 하나 이상의 유출공을 형성하여 내려가는 도중에 물을 배출함으로써 미끼 보호구가 부력에 의해 너무 일찍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one or more outflow holes in the bait protect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bait protector from peeling off too early by buoyancy by discharging water on the way down.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미끼 보호구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조류에 의한 압력을 완화시킴으로써 미끼 보호구가 조류에 의해 너무 일찍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one or more through-holes on the side of the bait protect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ait protector can be prevented from peeling off too early by alga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끼 보호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끼 보호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끼 보호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i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bai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the bait prot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fishing g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 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the particular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the context of an embodiment.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rang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본 고안은 낚시 바늘에 고정된 미끼를 내부에 위치시킴으로써 미끼를 수면 표층에 있는 잡어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미끼 보호구를 구비하는 낚시 채비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fishing gear provided with a bait protector capable of protecting the bait from being caught on the water surface layer by placing a bait fixed to the hook inside.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미끼 보호구는 중심부에 줄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줄 관통공에 목줄을 관통시킴으로써 미끼 보호구가 목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낚시 바늘이 수면으로부터 일정 수심까지 내려갈 동안 미끼 보호구가 미끼를 덮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며, 일정 수심으로 내려가 낚시 채비가 정렬되면 부력에 의해 미끼 보호구가 목줄을 따라 상승함으로써 미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it protector is provided with a string through hole in the center, and the bait protector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neck by penetrating the neck through the string through hole. Thus, while the hook is lowered from the water surface to a certain depth, the bait protector is kept covering the bait, and when the fishing gear is aligned down to a certain depth, the bait protector rises along the neckline by buoyancy to escape from the bait.
이렇게 함으로써 낚시 채비를 위치시킬 때 수면 표층에 있는 잡어 또는 작은 고기가 미끼를 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is prevents the catch or small fish on the surface of the water from catching the bait when placing the fishing gear.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끼 보호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끼 보호구(100)는 상부캡(110)과 통체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i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the
한편, 상기 상부캡(110)과 통체부(120)는 일체로 구성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캡(110)과 통체부(120)가 일체로 구성될 경우 전체가 부력을 갖는 재질 또는 혼용 재질(예컨대, 플라스틱, 고무, 나무 등)일 수 있으며, 분리된 구조일 경우 상부캡(110)만을 부력을 갖는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부캡(110)은 스티로폼 또는 나무 등의 부력을 갖는 재질로 제작하고, 통체부(120)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부캡(110)의 중심부에는 줄 관통공(111)이 구비되며, 상기 줄 관통공(111)에 목줄을 통과시킴으로써 미끼 보호구(100)가 목줄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A string through
또한, 상기 상부캡(11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유출공(1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미끼 보호구(100)가 수면 아래로 하강할 때, 상기 유출공(112)을 통해 물이 배출됨으로써 강한 부력에 의해 미끼 보호구(100)가 너무 일찍 미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출공(112)에 별도의 부력 조절 부재(미도시)가 결합되어 부력 조절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유출공(112)은 초기에 상기 미끼 보호구(100) 내에 존재하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고 조류에 의한 압력을 완화시키는 작용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통체부(120)의 바닥면(121)은 개구된 상태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면(121)을 통해 낚시 바늘에 고정된 미끼가 통체부(120) 내부로 들어오거나 이탈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통체부(120)는 그 내부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시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더욱 바람직하다. And, the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끼 보호구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미끼 보호구(100)의 상부캡(110)에는 그 중심부에 줄 관통공(111)이 구비되여 목줄을 통과시킴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미끼 보호구(100)가 목줄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2 is a plan view of a bait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상부캡(11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유출공(112)이 형성되어, 미끼 보호구(100)가 수면 아래로 하강할 때, 상기 유출공(112)을 통해 물이 배출됨으로써 강한 부력에 의해 미끼 보호구(100)가 너무 일찍 미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도 2에는 유출공(112)이 4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유출공(112)의 개수와 형태는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며, 본 고안이 도시된 개수와 형태에 제한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e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끼 보호구의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 1의 미끼 보호구(100)에서 통체부(120)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관통공(122)들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3 is a side view of the bait prot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side through
상기 측면 관통공(122)들은 미끼 보호구(100)가 조류가 심한 지역에 위치할 경우, 상기 측면 관통공(122)들을 통해 심한 조류에 의한 압력을 완화시킴으로써, 미끼 보호구(100)가 조류에 의해 너무 일찍 미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ide through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설명에서 상술한 미끼 보호구(100)를 낚시 채비의 목줄에 끼워 미끼를 보호하게 된다.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fishing g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 채비는 낚싯대(10), 원줄(11), 찌(12), 수중찌(13), 목줄(14), 봉돌(15), 낚시 바늘(1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shing ge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낚싯대(10)에 묶인 원줄(11)의 끝단에는 낚시 바늘(16)을 바닥면 쪽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중량체의 봉돌(15)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봉돌(15)에는 낚시 바늘(16)이 목줄(14)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원줄(11)에는 어신을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한 찌(12)가 연결된다.On the end of the
이에 따라, 고기가 낚시 바늘(16)에 매달린 미끼를 먹기 위해 입질을 하면 고기의 흡입력에 의해 봉돌(15)이 상승하므로 봉돌의 무게에 의해 수면에 잠겨져 있던 찌(12)가 봉돌(15)의 상승량만큼 함께 상승하고, 이에 따라 조사가 고기의 입질을 육안으로 식별하여 낚싯대(10)를 잡아당겨 낚시 바늘(16)에 고기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고기를 잡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meat is sieved to eat the bait suspended on the
이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미끼 보호구(100)가 목줄(14)에 결합되어 목줄(14)을 따라 수중찌(13)와 봉돌(15)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끼 보호구(100)의 상부캡(110)에 구비된 줄 관통부(111)를 통해 목줄(14)이 삽입된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런 다음, 미끼를 낚시 바늘(16)에 끼운 후, 상기 미끼 보호구(100)를 봉돌(15)의 위치까지 내리면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끼 보호구(100) 내에 낚시 바늘(16)을 포함한 미끼가 위치된다. 따라서, 미끼는 미끼 보호구(100)에 의해 보호된다. Then, after the bait is inserted into the
그리고, 도 4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낚시 채비를 수면 아래를 향해 던지면 찌(12) 아래 부분은 수면 아래로 하강한다. 이때, 미끼 보호구(100)는 낚시 바늘(16)이 일정 깊이 아래까지 내려가 낚시 채비가 정렬될 때까지 아래로 내려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수면 표층의 잡어나 작은 고기로부터 미끼를 보호한다.And, as shown in Figure 4, when throwing the fishing gear toward the bottom of the surface, 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낚시 바늘(16)이 원하는 깊이까지 내려가 낚시 채비가 정렬되면, 상기 미끼 보호구(100)는 부력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목줄(14)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때, 목줄(14)의 특정 위치에 수중찌(1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미끼 보호구(100)는 목줄(14)을 따라 수중찌(13)까지 상승한다.When the
따라서, 본 고안에 따라 낚시 채비가 정렬되기 전에는 미끼 보호구(100)가 미끼를 보호하며, 낚시 채비가 정렬된 후 미끼 보호구(100)가 미끼로부터 벗어나도록 함으로써 수면 표층의 잡어 등이 미끼를 채가는 것을 보호할 수 있다.Therefore, before the fishing gear is alig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덧붙여, 도 4의 도시 및 이상의 설명에서 상기 낚시 바늘(16)이 원하는 깊이까지 내려가 낚시 채비가 정렬되면 상기 미끼 보호구(100)가 부력에 의해 상승되어 미끼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상기 낚시 바늘(16)이 내려가는 도중에서 점차적으로 상기 미끼 보호구(100)가 부력에 의해 상승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the like,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not only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but all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idea. Will belong.
10 : 낚싯대 11 : 원줄
12 : 찌 13 : 수중찌
14 : 목줄 15 : 봉돌
16 : 낚시 바늘 100 : 미끼 보호구
110 : 상부캡 111 : 줄 관통공
112 : 유출공 120 : 통체부
121 : 바닥면 122 : 측면 관통공10: fishing rod 11: circle
12: Bobber 13: Underwater Bobber
14: Collar 15: Bone
16: fishing hook 100: bait protection
110: upper cap 111: string through hole
112: outflow hole 120: tube part
121: bottom surface 122: side penetration hole
Claims (4)
중심부에 줄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줄 관통공에 상기 목줄이 삽입되는 상부캡; 및 상기 상부캡과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낚시 바늘에 고정된 미끼가 위치되는 통체부로 구성되는 미끼 보호구를 포함하며,
상기 낚시 바늘이 수면 아래로 하강하여 일정 깊이에 도달하면, 상기 미끼 보호구의 부력에 의해 상기 미끼 보호구가 상기 목줄을 따라 상승함으로써 상기 통체부 내부에 위치된 미끼가 상기 미끼 보호구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보호구를 구비하는 낚시 채비.
In the fishing gear consisting of a fishing rod, a raw wire connected to the fishing rod, a bobber and a bondol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aw wire, and a neckline connected to the rod and having a fishing needle at an end thereof,
The upper cap is provided in the center, the upper cap is inserted into the string through the string through hole; And a bait protector coupled to the upper cap and configured with a tubular part in which a bait fixed to the fish hook is located therein,
When the fishing hook descends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to reach a certain depth, the bait protector rises along the neckline by buoyancy of the bait protector, so that the bait located inside the tubular portion is peeled off from the bait protector. Fishing gear provided with bait protection to say.
적어도 하나의 유출공을 구비하며, 부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유출공에는 별도의 부력 조절 부재가 결합되는, 미끼 보호구를 구비하는 낚시 채비.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cap of the bait protector,
Has at least one outlet hole and is made of a buoyant material,
Fishing outlet provided with a bait protector, the buoyancy control member is coupled to the outflow hole.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측면 관통공을 구비하며, 투시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캡과 일체로 구성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보호구를 구비하는 낚시 채비.
The said cylindrical part of the said bait protector,
At least one side through-hole provided on the side, and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integrally configured or detachable with the upper cap, fishing gear with a bait protector.
상기 목줄의 소정 위치에 수중찌를 더 구비하며,
상기 미끼 보호구가 상기 목줄을 따라 상승할 때, 상기 수중찌의 위치까지 상승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끼 보호구를 구비하는 낚시 채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shing gear,
Further provided with a hand floa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neckline,
When the bait protector ascends along the neckli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rise to the position of the hand bobber, fishing gear provided with a bait protect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5433U KR200462600Y1 (en) | 2012-06-25 | 2012-06-25 | Fishing tackle having bait protection chamb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5433U KR200462600Y1 (en) | 2012-06-25 | 2012-06-25 | Fishing tackle having bait protection chamb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2600Y1 true KR200462600Y1 (en) | 2012-09-18 |
Family
ID=47559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543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62600Y1 (en) | 2012-06-25 | 2012-06-25 | Fishing tackle having bait protection chamb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2600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6983B1 (en) * | 2018-01-29 | 2018-07-10 | 김원수 | Fishing trackle with protecting a fish bait |
KR20220026891A (en) | 2020-08-26 | 2022-03-07 | 주식회사 칸아르테미스 | Bait protective cov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1798A (en) | 2000-02-04 | 2001-08-07 | Km Engineering Kk | Protected bait for fishing |
KR200444321Y1 (en) | 2008-06-26 | 2009-05-07 | 문경모 | Fishing hook protector |
KR101020857B1 (en) | 2008-07-03 | 2011-03-09 | 민경태 | Fishing bobber |
-
2012
- 2012-06-25 KR KR2020120005433U patent/KR200462600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1798A (en) | 2000-02-04 | 2001-08-07 | Km Engineering Kk | Protected bait for fishing |
KR200444321Y1 (en) | 2008-06-26 | 2009-05-07 | 문경모 | Fishing hook protector |
KR101020857B1 (en) | 2008-07-03 | 2011-03-09 | 민경태 | Fishing bobb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6983B1 (en) * | 2018-01-29 | 2018-07-10 | 김원수 | Fishing trackle with protecting a fish bait |
KR20220026891A (en) | 2020-08-26 | 2022-03-07 | 주식회사 칸아르테미스 | Bait protective cov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00661U (en) | Artificial Bait for Boat Fishing | |
KR101061901B1 (en) | Four season fishing squadron | |
US11452282B2 (en) | Crawfish trap bait guard system and method | |
US20220046905A1 (en) | Fish pot | |
KR200462600Y1 (en) | Fishing tackle having bait protection chamber | |
CN206760503U (en) | A kind of floated anti-escape fishpot | |
CN207305778U (en) | Multi-functional net fence for cultivating fish | |
KR20180000103U (en) | fishing tackle for a hair tail | |
KR100817754B1 (en) | Natural fishing ground construction device | |
CN206547659U (en) | A kind of fish-catching apparatus | |
KR20170013731A (en) | Transplanter of seaweed for blocking sea urchin | |
KR101876983B1 (en) | Fishing trackle with protecting a fish bait | |
JP2008048630A (en) | Carnivorous fish capture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carnivorous fish | |
KR20210112781A (en) | Artificial bait apparatus for fishing cephalopod | |
GB2435603A (en) | Floating groundbait device | |
KR101020857B1 (en) | Fishing bobber | |
CN209171238U (en) | Attracting fishing shield | |
KR200487280Y1 (en) | Ottogi Fishing Float For Horn Fish | |
KR20220002477U (en) | Lure for cephalopoda capture | |
KR102597535B1 (en) | Fresh water fishing float optimized in the water plant | |
KR200370603Y1 (en) | Stick type holl float | |
KR20160017566A (en) | Throw Fishing has picked up a dedicated effects loop added luminaries | |
KR101594741B1 (en) | abalone trap | |
KR102786754B1 (en) | Fishing for cutlassfish equipped with auxiliary fishing that can fix bait | |
Martín-Sosa | Fisheries around Outermost Regions: Canary Islands Report for the Scientific, Technical and Economic Committee for Fisheries, European Commiss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0625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5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9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209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913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90623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