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878Y1 - a bookshelf combined with desk - Google Patents
a bookshelf combined with des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1878Y1 KR200461878Y1 KR2020090006932U KR20090006932U KR200461878Y1 KR 200461878 Y1 KR200461878 Y1 KR 200461878Y1 KR 2020090006932 U KR2020090006932 U KR 2020090006932U KR 20090006932 U KR20090006932 U KR 20090006932U KR 200461878 Y1 KR200461878 Y1 KR 20046187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desk
- pedestal
- bookshelf
- bookc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이 결합된 책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로 분리된 받침대와 책장의 내부로 수납된 받침대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의 상단으로 보강목을 안착고정시켜 그 상단으로 상판이 안착고정되어 이루어진 책상과;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kcase combined with a desk, and in particular with a stand separated to the outside and a stand accommodated into the inside of the bookcase, the seat is fixed to the top of the pedestal to secure the top plate to the top Consisting of a desk;
하단으로 상기 책상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대가 구비되며, 상단으로 분해조립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좌우 위치를 변경시켜 사용 가능한 책 받침대가 다단으로 구비되는 책장;으로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A pedestal is provided at the bottom to support the desk, and the bookshelf is provided with a multi-stage book stand that can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at the top and used by changing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as necessary.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책상 과 책장의 위치를 달리하여 사용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함이 극대화됨과 동시에 공간활용이 극대화되고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유통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the above structure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distribution area by maximizing convenience in use and maximizing space utilization and easy disassembly and assembly by using different positions of the desk and bookcase as necessary.
책상, 책장, 책상이 결합된 책장, 받침대 Desk, bookshelf, bookcase combined desk
Description
본 고안은 책상이 결합된 책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분해가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조립사용이 가능하고 유통에 따른 유통면적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조립후 배치공간에 따라 책상과 책장의 위치를 달리하여 공간 활용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책상이 결합된 책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kcase combined with a desk, more specifically,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nyone can easily use the assembly and minimize the distribution area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the position of the desk and the bookcas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pace after assembly It is related to a bookcase combined with a desk that can use space utilization efficiently by differently.
일반적으로 실내의 공간에는 사용 용도에 따라, 침대, 수납장, 서랍장, 장롱, 책장, 책상등의 가구가 배치되어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furniture, such as a bed, a storage cabinet, a chest of drawers, a chest of drawers, a bookcase, a desk, is arrange | positioned and used according to a use purpose in an indoor space.
이중 책상과 책장은 책을 수납하거나 또는 독서를 행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가구이다. 특히, 공부를 하는 자녀를 둔 가정에서는 필수 적이다.Double desks and bookcases are used to store books or to read books and are essential furniture for the home. This is especially true for families with children who study.
이러한 책상의 구조를 간단히 살피면 양측부에 받침대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부로 상판이 조립되어 의좌를 밀착시켜 앉아 독서를 행할 수 있게 이루어지며, 책장은 상기 양쪽으로 측판과 상기 측판의 상하부로 판재를 결합시키고 내측으로 다수의 격판을 조립하여 책을 꽂아 보관하도록 이루어진다.When the structure of the desk is briefly examined, the upper plate is assembled to the upper part in the state where the pedestal is provided at both sides, and the seat is closely attached to the seat to read. The bookcase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ide plate and the side plate on both sides. And assembling a number of diaphragms inward to keep the book plugged in.
이러한 책상과 책장은 조립이 완성된 상태로 유통되기 때문에 그 부피가 너 무커 유통에 따른 불편함이 있다.These desks and bookcases are distributed in a state where the assembly is completed, so the volume is too inconvenient due to distribution.
또한, 상기한 완제품은 조립나사에 의해 조립이 완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분해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책장의 경우 틀에 박힌 구조에 한하여 책이나 물품을 보관할 수밖에 없다. 즉,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nished product is not easy to disassemble because the assembly is completed by the assembly screw. In the case of bookcases, only the structure of the book has to store books or items.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tilization is lowered.
그리고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공부를 행할 수 있는 책상 따로 책을 꽂아 보관하는 책장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실내의 공간에 적당히 배치시켜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는 공간 활용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ly, bookshelves for storing books by putting books separately from each other should be used in an indoor space in a state in which book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is has a problem of decreasing space utilization.
이러한 문제로 최근에는 책상과 책장이 결합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책상과 책장역시 필요에 따라 책상과 책장의 위치를 서로 달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제한되고 있다. 즉, 실내 공간의 활용도를 최대화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Due to these problems, a combination of a desk and a bookcase has been recently released, but the desk and the bookcase are also limited in using different positions of the desk and the bookcase as necessary.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indoor space.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의 야기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책상과 책장의 위치를 서로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함으로써 실내의 공간 활용을 최대화 시킬 수 있는 책상이 결합된 책장을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As proposed above to improve the problems caused in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esk that can maximize the use of space in the room by providing a different position of the desk and bookcase as need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mbined bookcase.
본 고안의 책상이 결합된 책장은 조립 분해가 용이하여 유통에 따른 유통면적을 최소화 시키는데 목적이 있다.Bookshelf combined with the de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the purpose is to minimize the distribution area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부로 분리된 받침대와 책장의 내부로 수납된 받침대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의 상단으로 보강목을 안착고정시켜 그 상단으로 상판이 안착고정되어 이루어진 책상과;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sk made of a top plate is fixed to the top of the stand by fixing the reinforcement to the top of the base in the state having a stand separated into the outside of the bookshelf and ;
하단으로 상기 책상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대가 구비되며, 상단으로 분해조립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좌우 위치를 변경시켜 사용 가능한 책 받침대가 다단으로 구비되는 책장;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으로 한다. It is provided with a pedestal for supporting the desk at the bottom, the bookshelf is provided with a multi-stage book stand that can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to the top and used by changing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as necessary.
상기 외부로 분리된 받침대는, 양측으로 지지판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의 전,후로 수직판이 결합되어 내측으로 책을 꽂아 수납하는 책꽂이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상단은 단턱지게 형성하여 받침판을 안착고정하되, 상기 받침판 의 상부면에는 보강목의 안착고정을 위한 홈이 다수개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The pedestal separated from the outside, the support plate is provided on both sides and the vertical plate i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support plate is formed bookshelf space portion for inserting the book into the interior,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is formed to be stepped to secure the base plate However,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grooves for fixing the seating of the reinforcement.
상기 책장으로 수납되는 받침대는, 판재를 좌우, 상하로 배면으로 배치시켜 조립한 상태에서 내측으로 다수의 격판을 세로 및 가로로 구획시켜 책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형성하고, 받침대의 상부에는 보강목을 안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홈이 형성된 보조판이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The pedestal accommodated by the bookcase is formed by placing the plate material left and right, up and down in the rear and assembled into a plurality of diaphragm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wardly to form an accommodating portion for storing books, and the reinforcemen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edest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for fixing the seat.
상기 책 받침대는, 판재를 경사지게 구비한 단면상 " W "자 형의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측부 모서리 쪽으로 밀착 되는 평판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이 있다.The book hold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cross-section "W" shaped inclined plate provided with a plate material inclined, and a flat pl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edge of the inclined plate.
상기 경사판의 후단 상,하부에는 판재와 판재 사이에 조립공을 갖는 조립편이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The rear end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clined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ssembly piece having an assembly hole between the plate and the plate.
상기 평판의 일측부에는 경사판의 모서리부분에 밀착되게 상기 모서리 부분분의 경사면과 동일소위하게 경사홀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One side of the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hole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orner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ner portion of the inclined plate.
상기 책장의 마감판에는 책 받침대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책 받침대의 위치 이동시 기준을 잡아주기 위한 기준돌출부가 형성되고, 책 받침대를 고정하기 위한 조립공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okshelf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ing plate of the bookshelf while holding the bottom of the book stand is formed with a reference protrusion for holding a reference when the position of the book stand is moved, a plurality of assembly holes for fixing the book stan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책상 과 책장의 위치를 달리하여 사용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함이 극대화됨과 동시에 공간활용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유통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등의 여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convenience and maximizing space utilization by using different positions of desks and bookcases as necessary, and minimizing distribution area by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Various effects can be obtained.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가 기술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producer producing the product, and the definition of th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실시예)(Example)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2는 은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이 결합된 책장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정면도 이고,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이 결합된 책장의 구조중 책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다.1 to 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bookcase coupled to the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book stand of the bookcase combined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4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2.
본 고안은 크게 독서등을 행할 수 있는 책상(100)과 책을 꽂아 수납하는 책 장(200)으로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책상(100)을 일측으로 밀어 위치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provided with a
상기한 책상(100)은 외부로 돌출되어 책상의 상판(131)을 받쳐주는 받침대(110)와 책장(200)의 내부로 수납되는 받침대(120)로 구성하여 상기 받침대(110)(120)의 상부로 보강목(130)과 상판(131)을 안착시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받침대(110)는 상부로 단턱(111a)지게 형성된 지지판(111)이 양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111)의 사이로 전,후단부에 수직판(112)이 결합되어 내부로 책을 꽂아 보관하는 책 꽂이 공간부(113)가 형성된다.The
그리고 상부에는 단턱(11a) 상에 받침판(114)이 안착되되, 상기 받침판(114)의 상부 표면에는 보강목(130)이 안착되게 홈(114a)이 형성된다. 이때 홈(114a)는 단면상 " V "형상으로 구성된다.And the
한편, 책장(200)의 내부로 수납되는 받침대(120)는 판재를 좌우 상하로 구비하여 측판(121)과 상하판(122)을 설치하고, 후단부로 마감판이 밀착되어 구성되며, 내부로 다수의 격판(123)을 세로 및 가로로 설치하여 책을 꽂아 보관하는 수납부(124)를 가지게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받침대(120)의 상부에는 보강목(130)이 안착되게 단면상 " V "자형 홈(125a)이 다수개 형성된 보조판(125)이 안착된다.In addition, an
이때 받침대(110)에 형성된 홈(114a)의 개수와 보조판(125)에 형성된 홈(114a)의 개수는 동일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number of the
그리고 상기한 받침대(110)(120)의 상단에 형성된 홈(114a)(125a)에는 보강 목(130)이 안착되며, 상기 보강목(130)의 상에는 상판(131)이 안착되게 구성하되, 상기 상판(131)의 폭은 지지판(111)의 사이의 폭과 동일하게 하여 지지판(111) 내측으로 삽입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한편 책장(200)은 양측으로 측판(211)과 상부로 상판(212)을 구비하고 후단부로 마감판(213)이 구비되어 상호 조립되며, 하단은 받침대(120)가 안쪽으로 밀려들어 오도록 개방되게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부에는 책 받침대(220)가 다단으로 설치된다. 상기 책 받침대(220)는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된 경사판(221)과, 상기 경사판(221)에 밀착되어 구성된 평판(224)으로 이루어진다.And the upper portion of the
이때 경사판(221)은 마감판(213)에 나사조립할 수 있게 후단부의 상하단부에 조립공(223a)을 갖는 조립편(2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평판(224)은 일측이 상기 경사판(221)의 끝단, 즉 모서리부에 밀착되게 상기 경사판(221)의 모서리부와 동일한 경사면(222)을 갖는 경사홀(225)이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마감판(213)에는 상기 책 받침대(220)를 지지하면서 책 받침대(220)의 이동시 기준을 잡아주기 위한 기준돌출부(213a)가 형성되며, 기준 돌출부(213a)의 상단에는 책 받침대(220)를 나사조립하기 위한 조립공(213b)이 다수개 형성된다.The
미설명 부호 (A)는 책장(200) 측판(211) 설치되어 책 받침대(220)의 평판(224)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구이다.Reference numeral (A) i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이때 상기 조립공(213b)의 위치는 상기 경사판(221)에 설치되는 조립편(223)의 조립공(223a)의 위치와 동일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첨부도면 도 5는 책상받침대(110)의 다른실시 예로서, 상부가 단턱지게 형성된 지지판(111)의 사이에 수직판(112)을 전후단부에 설치하고, 상부로 단면상 "ㄷ"자형의 홈(114a)을 다수개 형성된 받침판(114)을 안착시켜 구성된 것이다.Figure 5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그리고 상기 지지판(111)의 일 측부를 개방하여 개방된 부분에 물건을 수나할 수 있는 서랍체(115)를 다단으로 설치되어 구성된 것이다.And it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the
이때, 보강목(130)이 안착되는 홈(114a)이 "ㄷ'자 형상이기 때문에 이에 안착되는 보강목(130)은 다야몬드 형상이 아닌 사각형상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since th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책상이 결합된 책장의 사용상태 및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The use state and operation of the bookcase coupled to the desk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고안의 책상과 책장은 실내 공간에서 공간의 면적에 제한을 받지않고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으면 배치 위치에 따라 책상과 책장의 위치를 달리하여 사용 할 수 있는 것이다.First, the desk and book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varying the positions of the desk and the bookshelf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if the space can be freely placed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area of the space.
즉, 첨부 도면 도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장이 오른쪽으로 위치하고 책상이 책장의 앞쪽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하면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bookcase may be used to the right and the desk to the front of the bookcase.
이러한 상태로 사용을 하다가 필요에 따라 왼쪽에 배치된 책장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받침대(124)의 상부에 설치된 보조판(125) 및 받침대(110)을 반대쪽으로 밀어 옮기면 된다.If you want to use the bookshelf disposed on the left side as needed in this state, it is necessary to move the
상기와 같이 책상(100)의 위치를 변경한 후 책받침대(220)의 위치를 바꾸기 위해서는 조립볼트(B)를 모두 제거한 상태에서 평판(224)을 제거한 후 경사판(221) 을 일측으로 밀어 측판(211)에 밀착시킨다.In ord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이때 경사판(221)은 기준돌출부(213a)의 상단에서 슬라이드 이동되기 때문에 경사판(221)이 측판(211)에 완전 밀착시키면 경사판(221)의 조립공(223a)과 마감판(213)에 형성된 조립공(213a)이 정 위치로 일치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이러한 상태에서 조립볼트(B)를 다시 조여 경사판(221)을 조립하고 경사판(221)의 측부로 평판(224)을 밀착시키게 되면 경사판(221)과 평판(224)의 위치가 변경된 책 받침대(22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such a state, when the assembly bolt B is retightened to assemble the
상기한 방법에 의해 책상과 책 받침대의 위치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효율적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By the above method, the positions of the desk and the book holder can be changed and used efficiently by the user as needed.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고안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However, it is to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s necessary,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and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이 결합된 책장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bookcase combined with a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이 결합된 책장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bookcase combined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이 결합된 책장의 구조중 책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book stand of the structure of the bookcase coupled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2의 요부 확대도.4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2;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이 결합된 책장의 구조중 책상 받침대의 제2실시예시도.Figure 5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desk pedestal of the structure of the bookcase combined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책장 110,120: 책상받침대100: bookshelf 110,120: desk stand
200: 책장 220: 책 받침대200: bookshelf 220: book stand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6932U KR200461878Y1 (en) | 2009-06-03 | 2009-06-03 | a bookshelf combined with des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6932U KR200461878Y1 (en) | 2009-06-03 | 2009-06-03 | a bookshelf combined with des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2178U KR20100012178U (en) | 2010-12-13 |
KR200461878Y1 true KR200461878Y1 (en) | 2012-08-10 |
Family
ID=44204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6932U KR200461878Y1 (en) | 2009-06-03 | 2009-06-03 | a bookshelf combined with des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1878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6618B1 (en) * | 2013-04-03 | 2014-12-26 | 주식회사 퍼시스 | Amenity system furnitur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821Y1 (en) * | 2000-05-26 | 2000-10-16 | 임해식 | Talle combined a bookshelf |
KR200252532Y1 (en) | 2001-08-17 | 2001-11-22 | 주식회사 성민산업 | Bookstand combined use desk |
KR200331362Y1 (en) | 2003-08-06 | 2003-10-30 | 고승원 | Multifunction desk |
KR200423486Y1 (en) * | 2006-05-29 | 2006-08-08 | 곽근영 | Living room furniture made of stone |
-
2009
- 2009-06-03 KR KR2020090006932U patent/KR200461878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821Y1 (en) * | 2000-05-26 | 2000-10-16 | 임해식 | Talle combined a bookshelf |
KR200252532Y1 (en) | 2001-08-17 | 2001-11-22 | 주식회사 성민산업 | Bookstand combined use desk |
KR200331362Y1 (en) | 2003-08-06 | 2003-10-30 | 고승원 | Multifunction desk |
KR200423486Y1 (en) * | 2006-05-29 | 2006-08-08 | 곽근영 | Living room furniture made of sto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2178U (en) | 2010-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51182B2 (en) | Bed and desk combination furniture | |
US4714027A (en) | Knockdown furniture | |
JP2010279619A5 (en) | ||
KR20110008725U (en) | Shelves for system furniture | |
US20080074014A1 (en) | Collapsible desk | |
KR102169818B1 (en) | Versatile system furniture | |
US20090120889A1 (en) | X-slot furniture system | |
KR200461878Y1 (en) | a bookshelf combined with desk | |
KR200451053Y1 (en) | Adjustable bookcase | |
KR101460583B1 (en) | System furniture | |
KR200452483Y1 (en) | Combination Furniture Set | |
KR20150003918U (en) | Multifunctional bed | |
US20130229094A1 (en) | Modular desk | |
KR102598229B1 (en) | A prefabricated bookshelf | |
US10045620B2 (en) | Reconfigurable furniture system | |
KR101649160B1 (en) | Three dimensional shaped consol made of plates and the method of making it | |
KR200349680Y1 (en) | Many using combination type furniture | |
KR200464697Y1 (en) | A table of variable type | |
CN221785729U (en) | Combined cabinet | |
KR20100000010A (en) | Sliding bookshelf | |
KR20110000249U (en) | Multipurpose bookshelf with bed mattress | |
KR20220160778A (en) | combination of reading stand and bookshelf | |
JP3067236U (en) | Multipurpose assembly storage shelves | |
KR200327839Y1 (en) | Chair | |
KR200386302Y1 (en) | Combined des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603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425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120224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7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208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806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607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