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61696Y1 - 전류 센서 - Google Patents

전류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696Y1
KR200461696Y1 KR2020110004599U KR20110004599U KR200461696Y1 KR 200461696 Y1 KR200461696 Y1 KR 200461696Y1 KR 2020110004599 U KR2020110004599 U KR 2020110004599U KR 20110004599 U KR20110004599 U KR 20110004599U KR 200461696 Y1 KR200461696 Y1 KR 2004616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ember
main body
fitting
body case
magne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5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스즈끼
나오야 후까자와
히데노리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20110004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6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6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69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G01R15/202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using Hall-effec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G01R15/207Constructional details independent of the type of device us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과제는, 전기 기기를 대상으로 하는 안전 규격을 고려하면서 연면 거리의 확보와, 소형화나, 소점유 면적화를 도모하도록 용이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고, 치수 편차를 갖는 자성체 코어의 덜걱거림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체 케이스 부재(10)는, 상면에 끼움 삽입 가능한 연면 거리를 갖는 제1 끼워 맞춤부(10a)를 구비하고, 제1 끼워 맞춤부(10a)의 길이 방향에서 상면과 하면 사이에 제1 공극부(10d)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 케이스 부재(40)는, 하면에 끼움 삽입 가능한 연면 거리를 갖는 제2 끼워 맞춤부(40a)를 구비하고, 제2 끼워 맞춤부(40a)의 길이 방향에서 하면과 상면 사이에 제2 공극부(40d)가 형성되어 있다. 1차 도체(30)는, 본체 케이스 부재(10)의 제1 끼워 맞춤부(10a, 10a) 사이에 조립되고, 덮개 케이스 부재(40)에 의해 압박된다. 단면 ㄷ자 형상의 코어(50)는, 1차 도체(30) 및 자기 센서(20)를 끼워 넣도록 제1 공극부(10d)와 제2 공극부(40d)에 삽입 고정된다.

Description

전류 센서 {CURRENT SENSOR}
본 고안은 전류 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기기를 대상으로 하는 안전 규격을 고려하면서, 연면 거리의 확보와, 소형화나 소점유 면적화를 도모하도록 용이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고, 치수 편차를 갖는 자성체 코어의 덜걱거림을 방지하는 전류 센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류 센서는, 산업용 범용 인버터나 모터 제어 기기, 또는 그러한 기기 내에 배선된 피측정 전류 도체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해, 대략 ㄷ자 형상의 코어와, 이 코어의 갭부에 배치된 자기 센서를 구비하고, 이들 코어나 자기 센서 등의 전체를 절연 수지로 피복하여 일체화를 도모하고, 자기 센서에 의해 코어에 발생하는 자속 변화를 전류로서 검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이들 코어나 자기 센서 등을 케이스 부재나 덮개 부재에 의해 끼움 지지 고정하기 위해 코어나 자기 센서 등을 수지 몰드하여 일체화한 것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최근, 전류 센서의 소형화나 박형화를 도모하기 위해, 전기 기기를 대상으로 하는 안전 규격을 고려하면서, 공간 거리나 연면 거리에 착안한 제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전기 부품 요소를 절연물에 의해 격리하는 일 없이 전기적 절연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공간 거리 및 연면 거리(Clearance and Creepage Distance)의 양쪽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공간 거리(clearance)라 함은, 2개의 도전성 부분 사이의 공간을 지나는 최단 거리이고, 연면 거리(creepage distance)라 함은, 2개의 도전성 부분 사이의 절연물의 표면을 따른 최단 거리를 의미하고 있다. 절연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해지는 이들 거리는, 필요한 절연의 강도, 동작 전압이나 상정되는 과전압의 정도, 오염도, 절연물의 내트래킹성 등을 포함하는 몇 가지의 요인의 영향을 받으므로, 전류 센서의 개발에도 충분한 배려가 필요해진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것은, 3층 전선을 사용하지 않고도 1차 회로-2차 회로 사이의 연면 거리를 확보하여 조립성을 양호하게 한 전류 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빈 내에 형성된 통 형상의 코어 다리 삽입 관통부 내에 코어의 한쪽 다리를 삽입 관통하고, 코어 다리 삽입 관통부의 외측의 코일 장착부의 외주 상에 코일의 코일 본체를 설치하고, 또한 코어의 연결부측은 보빈의 측면의 외측에 위치시켜, 보빈에 의해 코일과 코어의 연면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것은, 전류 검출 기구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연면 거리의 확보에 착안한 것은 아니지만, 탈착 가능한 2개의 피측정 전류 도체의 접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접합부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적어도 하나의 공극부를 갖는 자성체 코어와, 공극부에 배치된 자기 센서를 구비하여, 전류 검출 기구의 소형화나 소점유 면적화를 도모하도록 조립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일본특허출원공개평09-257836호공보 일본특허출원공개제2009-222729호공보 일본특허출원공개제2005-90982호공보 일본특허출원공개제2007-178241호공보
그러나 상술한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된 것은, 전류 센서의 구성 요소 전체를 피복하거나, 이들 구성 요소를 수납하여 패키지화를 도모하여, 그 패키지 내를 수지 몰드하거나 하므로, 일체화하기 위한 작업이 번잡해지거나 하여, 간편화나 소형화가 도모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특허 문헌 3의 것은, 연면 거리에 착안하여 소형화를 도모하고 있지만, 전류 센서의 부품 개수의 간소화나 조립의 간편화 등에 대해서는 가일층의 개선의 여지가 남겨져 있었다.
또한, 상술한 특허 문헌 4의 것은, 최소의 부품 개수로 소형이고 또한 용이한 조립을 실현한 점에서 그 의미는 크지만,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류 검출 기구의 조립을 사용자가 현장에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으로, 전류 센서로서의 제품을, 전기 기기를 대상으로 하는 안전 규격을 고려하면서 연면 거리에 착안한 제품 개발에 이바지하는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전류 센서 단체(單體)로서의 조립의 간편화나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가일층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치수 편차를 갖는 자성체 코어의 덜걱거림을 방지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전기 기기를 대상으로 하는 안전 규격을 고려하면서 연면 거리의 확보를 행하여, 고전압 환경에서도 동작 가능한, 또한 소형화나 소점유 면적화를 도모하도록 용이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고, 치수 편차를 갖는 자성체 코어의 덜걱거림을 방지하는 전류 센서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청구항 1에 기재된 고안은, 상면에 끼움 삽입 가능한 연면 거리를 갖는 제1 끼워 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끼워 맞춤부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상면과 하면 사이에 제1 공극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의 상기 상면측에 탑재되는 자기 센서와, 피측정 전류 도체에 접속되고, 상기 자기 센서의 대면 위치에서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는 1차 도체와, 상기 자기 센서와 상기 1차 도체를 덮도록, 하면에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끼워 맞춤부에 끼움 삽입 가능한 연면 거리를 갖는 제2 끼워 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끼워 맞춤부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하면과 상면 사이에 제2 공극부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 케이스 부재와, 상기 1차 도체를 끼워 넣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공극부에 삽입 고정되는 단면 ㄷ자 형상의 자성체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끼워 맞춤부에서 상기 연면 거리를 확보하는 동시에, 상기 자성체 코어의 상기 단면 ㄷ자 형상에 수반되는 갭부에 배치된 상기 자기 센서에 의해 상기 자성체 코어에 발생하는 자속 변화를 전류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제1, 제2 실시예).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 상기 1차 도체가,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에 의해 밀접하게 끼움 지지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가, 복수의 상기 제1 끼워 맞춤부를 갖고, 상기 1차 도체가,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끼워 맞춤부 사이에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제1 실시예).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 상기 자기 센서가,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에 의해 밀접하게 끼움 지지되고, 상기 1차 도체가, 상기 제1 끼워 맞춤부 및 상기 제2 끼워 맞춤부에 접합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제2 실시예).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 2 또는 3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워 맞춤부 및 상기 제2 끼워 맞춤부 중 어느 하나가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갖는 직사각형 또는 파형(波形)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의 상기 자기 센서의 장착 위치에 장착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의 상기 코어의 후단부 위치에 걸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6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돌기 또는 돌기와 절결부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의 상기 자기 센서의 탑재 부분에, 상기 자기 센서의 리드선의 구분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에 끼워 맞춤 갈고리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에 상기 끼워 맞춤 갈고리를 수용하는 끼워 맞춤 고정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0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코어의 상기 단면 ㄷ자 형상의 형상이, 단면 U자 형상 또는 선단이 좁혀진 단면 C자 형상의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1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 상기 자기 센서가, 홀 I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2에 기재된 고안은, 상면에 끼움 삽입 가능한 연면 거리를 갖는 제1 끼워 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끼워 맞춤부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상면과 하면 사이에 제1 공극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의 상기 상면측에 탑재되는 자기 센서와, 피측정 전류 도체에 접속되고, 상기 자기 센서의 대면 위치에서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는 1차 도체와, 상기 자기 센서와 상기 1차 도체를 덮도록, 하면에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끼워 맞춤부에 끼움 삽입 가능한 연면 거리를 갖는 제2 끼워 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끼워 맞춤부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하면과 상면 사이에 제2 공극부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 케이스 부재와, 상기 1차 도체를 끼워 넣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공극부에 삽입 고정되는 단면 ㄷ자 형상의 자성체 코어와,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 및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의 벽면에,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 및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의 상기 자성체 코어의 삽입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설치된 사이드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끼워 맞춤부에서 상기 연면 거리를 확보하는 동시에, 상기 자성체 코어의 상기 단면 ㄷ자 형상에 수반되는 갭부에 배치된 상기 자기 센서에 의해 상기 자성체 코어에 발생하는 자속 변화를 전류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제3, 제4 실시예).
또한, 청구항 13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2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스토퍼가, 상기 자성체 코어와의 접촉에 의해 꺾이는 볼록 형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제3 실시예).
또한, 청구항 14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3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볼록 형상 부재가, 단면 삼각형의 기둥 형상 부재 또는 단면 사다리꼴의 기둥 형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5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2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스토퍼가, 테이퍼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제4 실시예).
또한, 청구항 16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5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구조의 테이퍼면의 삽입 각도가, 5 내지 1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17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6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 상기 1차 도체가,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에 의해 밀접하게 끼움 지지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가, 복수의 상기 제1 끼워 맞춤부를 갖고, 상기 1차 도체가,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끼워 맞춤부 사이에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제1 실시예).
또한, 청구항 18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6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 상기 자기 센서가,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에 의해 밀접하게 끼움 지지되고, 상기 1차 도체가, 상기 제1 끼워 맞춤부 및 상기 제2 끼워 맞춤부에 접합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제2 실시예).
또한, 청구항 19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2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워 맞춤부 및 상기 제2 끼워 맞춤부 중 어느 하나가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갖는 직사각형 또는 파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0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2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의 상기 자기 센서의 장착 위치에 장착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1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2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의 상기 코어의 후단부 위치에 걸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2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21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돌기 또는 돌기와 절결부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3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2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의 상기 자기 센서의 탑재 부분에, 상기 자기 센서의 리드선의 구분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4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2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에 끼워 맞춤 갈고리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에 상기 끼워 맞춤 갈고리를 수용하는 끼워 맞춤 고정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5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2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코어의 상기 단면 ㄷ자 형상의 형상이, 단면 U자 형상 또는 선단이 좁혀진 단면 C자 형상의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6에 기재된 고안은, 청구항 12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안에 있어서, 상기 자기 센서가, 홀 I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1차 도체를 수지 케이스로 완전히 덮은 것으로 자성체 코어나 자기 센서의 연면 거리의 확보를 행하여, 고전압 환경에서도 동작 가능한, 또한 소형화나, 소점유 면적화를 도모하도록 용이한 조립을 가능하게 한 전류 센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센서를 수지 케이스로 완전히 덮어, 1차 도체나 자성체 코어로부터 자기 센서의 단자까지의 연면 거리를 확보하였으므로, 실효 전류가 큰 대전류 측정의 경우라도 동작 가능한, 또한 소형화나 소점유 면적화를 도모하도록 용이한 조립을 가능하게 한 전류 센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 부재 및 덮개 케이스 부재의 자성체 코어의 삽입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설치된 사이드 스토퍼로서, 본체 케이스 부재의 벽면에 일체 형성된 사이드 스토퍼를 설치하는 동시에, 덮개 케이스 부재의 벽면에 일체 형성된 사이드 스토퍼를 설치함으로써, 치수 편차를 갖는 자성체 코어의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한 전류 센서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관한 전류 센서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자성체 코어와, 덮개 케이스 부재 및 본체 케이스 부재와의 자성체 코어의 삽입 방향의 결합 수단인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자성체 코어와, 덮개 케이스 부재 및 본체 케이스 부재와의 자성체 코어의 삽입 방향의 결합 수단인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자성체 코어와, 덮개 케이스 부재 및 본체 케이스 부재와의 자성체 코어의 삽입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의 사이드 스토퍼인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도 8의 (a) 내지 (c)는, 도 7에 도시한 사이드 스토퍼에 의한 결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1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자성체 코어와, 덮개 케이스 부재 및 본체 케이스 부재와의 자성체 코어의 삽입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의 사이드 스토퍼인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도 11의 (a) 내지 (c)는 도 10에 도시한 사이드 스토퍼에 의한 결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D-D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요지 중 하나는, 전기 기기를 대상으로 하는 안전 규격을 고려하면서 연면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지만, 연면 거리가 공간 거리보다도 크기 때문에, 이 고안에서는 연면 거리만 고려하면 되게 된다. 따라서, 고전압으로 되는 부분은 피측정 전류가 흐르는 1차 도체이고, 이에 대해 안전 규격에 의해 보호해야 할 부위는 제어계의 신호 및 전원 단자로, 자기 센서의 단자부가 이것에 상당한다.
그것을 위한 고안으로서, 종래의 자기 센서 전체를 몰드하는 방식에 비해, 수지 케이스를 활용한 간편한 끼워 맞춤 방식을 발견함으로써, 전류 센서나 자성체 코어에 가해지는 응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조립 후의 오프셋 변동이나 온도 드리프트가 적은 고정밀도 전류 센서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수지 케이스로 각 부품을 고정하는 경우, 끼워 맞춤부를 따라 최단 연면 거리를 고려할 필요가 있지만, 본 고안에서는 소형화를 실현하기 위해,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끼워 맞춤부를 직사각형 또는 파형으로 형성하여, 연면 거리를 길게 함으로써 고전압 환경에서도 동작 가능한 소형 전류 센서를 실현하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고안에 관한 전류 센서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1 실시 형태는, 1차 도체를 수지 케이스로 완전히 덮은 것으로 자성체 코어나 자기 센서와의 연면 거리의 확보를 행한 예로, 자성체 코어의 갭이 좁아 자기 센서와 자성체 코어의 거리 확보가 곤란한 경우에 유효하다.
도면 중 부호 10은 본체 케이스 부재(수지 케이스), 10a는 제1 끼워 맞춤부, 10b는 자기 센서의 장착 홈, 10c는 코어의 후단부 위치에 설치된 걸림부, 10d는 제1 공극부, 20은 자기 센서, 20a는 자기 센서의 리드선, 30은 피측정 전류 도체와 접속되는 1차 도체, 40은 덮개 케이스 부재(수지 케이스), 40a는 제2 끼워 맞춤부, 40b는 자기 센서의 위치 결정 홈, 40c는 코어의 후단부 위치에 설치된 걸림부, 40d는 제2 공극부, 50은 자성체 코어를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의 제1 실시 형태의 전류 센서는, 본체 케이스 부재(10)와 자기 센서(20)와 1차 도체(30)와 덮개 케이스 부재(40)와 자성체 코어(50)의 5개의 구성 요소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조립은, 이들 구성 요소를 종래와 같은 수지 몰드나 접착제의 사용을 수반하는 일 없이, 끼워 맞춤 또는 접합에 의해서만 실현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 부재(10)는, 상면에 끼움 삽입 가능한 연면 거리를 갖는 제1 끼워 맞춤부(10a)를 구비하고, 이 제1 끼워 맞춤부(10a)의 길이 방향에서 상면과 하면 사이에 제1 공극부(10d)가 형성되고, 제1 끼워 맞춤부(10a)는 요철부를 갖고 있다.
또한, 덮개 케이스 부재(40)는, 하면에 끼움 삽입 가능한 연면 거리를 갖는 제2 끼워 맞춤부(40a)를 구비하고, 이 제2 끼워 맞춤부(40a)의 길이 방향에서 하면과 상면 사이에 제2 공극부(40d)가 형성되고, 제2 끼워 맞춤부(40a)는 요철부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본체 케이스 부재(10)의 요철부와 덮개 케이스 부재(40)의 요철부가 서로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요철부는, 직사각형 또는 파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 케이스 부재(10)의 자기 센서(20)의 탑재 위치에는 장착 홈(10b)이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덮개 케이스 부재(40)의 자기 센서(20)의 장착 위치에는 장착 홈(40b)이 형성되고, 이들 장착 홈(10b, 40b)에 의해 자기 센서(20)가, 본체 케이스 부재(10)와 덮개 케이스 부재(40)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자기 센서(20)는 홀 IC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기 센서(20)는, 자기 검출 소자와, 이 자기 검출 소자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회로를 구비하고, 이 신호 처리 회로는, 자기 검출 소자의 검출 특성의 편차를 저감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저항 트리밍을 조정 가능한 기능을 갖고 있다.
1차 도체(30)는, 피측정 전류 도체에 접속되고, 자기 센서(20)의 대면 위치에서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본체 케이스 부재(10)의 2개의 제1 끼워 맞춤부(10a) 사이의 오목부에 끼워 넣어져 있다. 즉, 본체 케이스 부재(10)는, 복수의 제1 끼워 맞춤부(10a, 10a)를 갖고, 1차 도체(30)는, 본체 케이스 부재(10)의 제1 끼워 맞춤부(10a, 10a) 사이에 조립되고, 덮개 케이스 부재(40)에 의해 압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면 ㄷ자 형상의 자성체 코어(50)는, 1차 도체(30) 및 자기 센서(20)를 끼워 넣도록 본체 케이스 부재(10)의 제1 공극부(10d)와 덮개 케이스 부재(40)의 제2 공극부(40d)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자성체 코어(50)의 단면 ㄷ자 형상의 형상은, 단면 U자 형상 또는 선단이 좁혀진 단면 C자 형상의 형상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자성체 코어(50)의 후단부, 즉, 단면 ㄷ자 형상에 수반되는 갭부의 반대측의 상하 단부를 고정하도록, 본체 케이스 부재(10)와 덮개 케이스 부재(40)의 자성체 코어(50)의 후단부 위치에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걸림부(10c, 40c)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체 케이스 부재(10)와 덮개 케이스 부재(40)의 제1 및 제2 끼워 맞춤부(10a, 40a)에서 연면 거리를 확보하는 동시에, 자성체 코어(50)의 갭부에 배치된 자기 센서(20)에 의해 자성체 코어(50)에 발생하는 자속 변화를 전류로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도 3은 본 고안에 관한 전류 센서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2 실시 형태는, 자기 센서를 수지 케이스로 완전히 덮은 것으로, 1차 도체나 자성체 코어로부터 자기 센서의 단자까지의 연면 거리를 확보한 예로, 실효 전류가 큰 대전류 측정의 경우, 1차 도체를 두껍게 해야 해, 그로 인해 자성체 코어와 1차 도체 사이의 거리 확보가 어려운 경우에 유효하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의 구성상의 차이점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자기 센서 전체가, 본체 케이스 부재와 덮개 케이스 부재에 의해 밀접하게 끼움 지지되어 있는 점 외에, 본체 케이스 부재와 덮개 케이스 부재의 끼워 맞춤이 1개소뿐이며, 1차 도체와 자성체 코어가 공극부를 통해 절연되어 있는 점이다.
도면 중 부호 110은 본체 케이스 부재(수지 케이스), 110a는 제1 끼워 맞춤부, 110b는 자기 센서의 장착 홈, 110c는 자성체 코어의 후단부 위치에 설치된 걸림부, 110d는 제1 공극부, 120은 자기 센서, 120a는 자기 센서의 리드선, 130은 피측정 전류 도체와 접속되는 1차 도체, 140은 덮개 케이스 부재(수지 케이스), 140a는 제2 끼워 맞춤부, 140b는 자기 센서의 위치 결정 홈, 140c는 자성체 코어의 후단부 위치에 설치된 걸림부, 140d는 제2 공극부, 150은 자성체 코어를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의 제2 실시 형태의 전류 센서는, 본체 케이스 부재(110)와 자기 센서(120)와 1차 도체(130)와 덮개 케이스 부재(140)와 자성체 코어(150)의 5개의 구성 요소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조립은, 이들 구성 요소를 종래와 같은 수지 몰드나 접착제의 사용을 수반하는 일 없이, 끼워 맞춤 또는 접합에 의해서만 실현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 부재(110)는, 상면에 끼움 삽입 가능한 연면 거리를 갖는 제1 끼워 맞춤부(110a)를 구비하고, 이 제1 끼워 맞춤부(110a)의 길이 방향에서 상면과 하면 사이에 제1 공극부(110d)가 형성되고, 제1 끼워 맞춤부(110a)는 요철부를 갖고 있다.
또한, 덮개 케이스 부재(140)는, 하면에 끼움 삽입 가능한 연면 거리를 갖는 제2 끼워 맞춤부(140a)를 구비하고, 이 제2 끼워 맞춤부(140a)의 길이 방향에서 하면과 상면 사이에 제2 공극부(140d)가 형성되고, 제2 끼워 맞춤부(140a)는 요철부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본체 케이스 부재(110)의 요철부와 덮개 케이스 부재(140)의 요철부가 서로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요철부는, 직사각형 또는 파형 형상이라도 좋은 것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끼워 맞춤부(10a)와 제2 끼워 맞춤부(40a)가 복수 세트였지만, 즉, 자기 센서(20)와 1차 도체(30) 사이에 1세트의 끼워 맞춤부가 설치되고, 1차 도체(30)와 자성체 코어 사이에 다른 1세트의 끼워 맞춤부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자기 센서(120)와 1차 도체(130) 사이에 1세트의 끼워 맞춤부가 설치되어 있을 뿐이며, 1차 도체(130)와 자성체 코어(150)의 절연은 공극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 부재(110)의 자기 센서(120)의 탑재 위치에는 장착 홈(110b)이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덮개 케이스 부재(140)의 자기 센서(120)의 장착 위치에는 장착 홈(140b)이 형성되고, 이들 장착 홈(110b, 140b)에 의해 자기 센서(120)가, 본체 케이스 부재(110)와 덮개 케이스 부재(140)에 의해 밀접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자기 센서(120)는 홀 IC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기 센서(120)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1차 도체(130)는, 피측정 전류 도체에 접속되고, 자기 센서(120)의 대면 위치에서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제1 끼워 맞춤부(110a)와 제2 끼워 맞춤부(140a)에 접합 배치되어 있다.
단면 ㄷ자 형상의 자성체 코어(150)는, 1차 도체(130) 및 자기 센서(120)를 끼워 넣도록 본체 케이스 부재(110)의 제1 공극부(110d)와 덮개 케이스 부재(140)의 제2 공극부(140d)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자성체 코어의 형상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자성체 코어(150)의 후단부, 즉, 단면 ㄷ자 형상에 수반되는 갭부의 반대측의 상하 단부를 고정하도록, 본체 케이스 부재(110)와 덮개 케이스 부재(140)의 자성체 코어(150)의 후단부 위치에는 돌기의 걸림부(110c, 140c)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체 케이스 부재(110)와 덮개 케이스 부재(140)의 제1 및 제2 끼워 맞춤부(110a, 140a)에서 연면 거리를 확보하는 동시에, 자성체 코어(150)의 갭부에 배치된 자기 센서(120)에 의해 자성체 코어(150)에 발생하는 자속 변화를 전류로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제1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자성체 코어와, 덮개 케이스 부재 및 본체 케이스 부재와의 결합 수단인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자성체 코어와, 덮개 케이스 부재 및 본체 케이스 부재의 결합 수단은, 이 제1 실시예의 결합 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자성체 코어(50)의 후단부, 즉, 단면 ㄷ자 형상의 갭부(201)의 반대측의 상하 단부를 고정하도록, 본체 케이스 부재(10)와 덮개 케이스 부재(40)의 자성체 코어(50)의 후단부 위치에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걸림부(10c, 40c)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체 케이스 부재(10)와 덮개 케이스 부재(40)의 자성체 코어(50)의 후단부에 적어도 1개소에 돌기를 설치함으로써, 자성체 코어(50)의 케이스 부재 내로의 삽입 후에 접착하는 일 없이 자성체 코어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이 돌기를 전술한 상하 단부 이외의 좌우 방향에 설치해도 된다. 이 걸림부는, 미세 가공이 용이하고 또한 높은 강도를 갖는 규소강 등의 금속 코어인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본 고안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의 제1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자성체 코어와, 덮개 케이스 부재 및 본체 케이스 부재의 결합 수단인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자성체 코어(50)의 후단부에, 단면 ㄷ자 형상의 갭부(201)의 반대측의 상하 단부를 고정하도록 돌기(50a)를 설치하고, 본체 케이스 부재(10)와 덮개 케이스 부재(40)의 자성체 코어(50)의 후단부 위치에는, 자성체 코어(50)의 돌기(50a)를 수용하는 절결부(40e)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자성체 코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최후의 1회 압박 뿐이므로, 자성체 코어에의 손상이 적고, 삽입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 걸림부는, 페라이트제의 자성체 코어 등의 강도적으로 무르고, 외력에 의해 코어에 금이나 절결이 발생하기 쉬운 재료인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본 고안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걸림부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접착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열효과 처치가 불필요해지고, 그 결과, 자기 센서에의 열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어, 신뢰성의 향상이 도모되는 동시에 제조 공정의 단축이 도모된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의 제1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자성체 코어와, 덮개 케이스 부재 및 본체 케이스 부재의 자성체 코어의 삽입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의 사이드 스토퍼인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고, 도 8의 (a) 내지 (c)는 도 7에 도시한 사이드 스토퍼에 의한 결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C-C선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의 개량형을 도시하고 있지만, 동일한 기능을 나타내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면 중 부호 10e, 40f는 사이드 스토퍼를 나타내고 있다.
본 제3 실시예의 사이드 스토퍼는, 본체 케이스 부재(수지 케이스)(10) 및 덮개 케이스 부재(수지 케이스)(40)의 자성체 코어(50)의 삽입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설치된 사이드 스토퍼로, 본체 케이스 부재(10)의 벽면에 일체 형성된 사이드 스토퍼(10e)를 설치하는 동시에, 덮개 케이스 부재(40)의 벽면에 일체 형성된 사이드 스토퍼(40f)를 설치함으로써, 치수 편차를 갖는 자성체 코어의 덜걱거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사이드 스토퍼(40f)의 형상은, 도 7의 확대 부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면 삼각형의 기둥 형상 부재 또는 단면 사다리꼴의 기둥 형상 부재 등이며, 삽입된 자성체 코어(50)와의 접촉에 의해 꺾이는 선단부(a)가 볼록 형상 부재이면 된다. 또한, 사이드 스토퍼(10e)의 형상도 마찬가지이다.
도 7 및 도 9에 있어서는, 자성체 코어(50)의 본체 케이스 부재(10) 및 덮개 케이스 부재(40)에의 삽입 방향을 따라, 본체 케이스 부재(10)의 벽면의 좌우에 합계 4개의 사이드 스토퍼(10e)를 설치하고, 덮개 케이스 부재(40)의 벽면의 좌우에 합계 4개의 사이드 스토퍼(40f)를 설치하고 있다. 즉, 본체 케이스 부재(10) 및 덮개 케이스 부재(40)의 벽면에 합계 8개의 사이드 스토퍼(10e, 40f)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도 8의 (a) 내지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성체 코어(50)를 본체 케이스 부재(10)와 덮개 케이스 부재(40) 사이에 삽입하면, 본체 케이스 부재(10) 및 덮개 케이스 부재(40)의 벽면에 설치된 사이드 스토퍼(10e, 40f)에 접촉하고, 더욱 힘을 가하여 삽입하면, 사이드 스토퍼(10e, 40f)의 선단부(a)가 꺾인다. 이 선단부(a)가 꺾여 노출된 면에 의해, 자성체 코어(50)는 본체 케이스 부재(10) 및 덮개 케이스 부재(40)의 사이드 스토퍼(10e, 40f)에 의해 지지되게 되어 자성체 코어(50)의 덜걱거림이 없어진다.
즉, 사이드 스토퍼(10e, 40f)를 얇은 벽 구조로 하고 있으므로, 삽입하는 자성체 코어(50)의 치수에 맞추어 비교적 약한 힘에 의해 사이드 스토퍼(10e, 40f)가 꺾여, 덜걱거림을 흡수할 수 있다고 하는 특징을 갖는다. 자성체 코어(50)가 두께가 얇은 페라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또한, 자성체 코어(50)의 후단부에는, 도 6과 마찬가지로, 결합 수단인 돌기(50a)가 설치되어 있다. 즉, 단면 ㄷ자 형상의 갭부의 반대측의 상하 단부를 고정하도록 돌기(50a)를 설치하고, 본체 케이스 부재(10)와 덮개 케이스 부재(40)의 자성체 코어(50)의 후단부 위치에는, 자성체 코어(50)의 돌기(50a)를 수용하는 절결부(40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밖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사이드 스토퍼(10e, 40f)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4 실시예]
도 10은 본 고안의 제1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자성체 코어와, 덮개 케이스 부재 및 본체 케이스 부재의 자성체 코어의 삽입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의 사이드 스토퍼인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고, 도 11의 (a) 내지 (c)는 도 10에 도시한 사이드 스토퍼에 의한 결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0의 D-D선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의 개량형을 도시하고 있지만, 동일한 기능을 나타내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면 중 부호 10f, 40g는 사이드 스토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그 밖의 구성은, 도 7 및 도 9와 마찬가지이다.
본 제4 실시예의 사이드 스토퍼는, 본체 케이스 부재(수지 케이스)(10) 및 덮개 케이스 부재(수지 케이스)(40)의 자성체 코어(50)의 삽입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설치된 사이드 스토퍼로, 본체 케이스 부재(10)의 벽면에 일체 형성된 사이드 스토퍼(10f)를 설치하는 동시에, 덮개 케이스 부재(40)의 벽면에 일체 형성된 사이드 스토퍼(40g)를 설치함으로써, 치수 편차를 갖는 자성체 코어의 덜걱거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2에 있어서는, 자성체 코어(50)의 본체 케이스 부재(10) 및 덮개 케이스 부재(40)에의 삽입 방향을 따라, 본체 케이스 부재(10)의 벽면의 좌우에 합계 2개의 사이드 스토퍼(10f)를 설치하고, 덮개 케이스 부재(40)의 벽면의 좌우에 합계 2개의 사이드 스토퍼(40g)를 설치하고 있다. 즉, 본체 케이스 부재(10) 및 덮개 케이스 부재(40)의 벽면에 합계 4개의 사이드 스토퍼(10f, 40g)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사이드 스토퍼(40g)의 형상은, 도 10의 확대 부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테이퍼 구조를 갖고, 그 삽입 각도가 5 내지 10도인 것이 최적이고, 삽입된 자성체 코어(50)와의 접촉에 의해 테이퍼면(b)이 서서히 깎아내어지는 구성이면 된다. 또한, 사이드 스토퍼(10f)의 형상도 마찬가지이다.
자성체 코어(50)를 본체 케이스 부재(10)와 덮개 케이스 부재(40) 사이에 삽입하면, 본체 케이스 부재(10) 및 덮개 케이스 부재(40)의 벽면에 설치된 사이드 스토퍼(10f, 40g)에 접촉하고, 더욱 힘을 가하여 삽입하면, 사이드 스토퍼(10e, 40f)의 테이퍼면(b)이 서서히 깎이면서 삽입 방향으로 진행해 간다. 이 서서히 깎인 노출면에 의해, 자성체 코어(50)는 본체 케이스 부재(10) 및 덮개 케이스 부재(40)의 사이드 스토퍼(10f, 40g)에 의해 지지되어, 자성체 코어(50)의 삽입시에 치우침이 있었다고 해도, 그 치우침이 테이퍼면에 의해 수정되어 중앙 위치로 들어가게 되어 자성체 코어(50)의 덜걱거림이 없어진다.
즉, 사이드 스토퍼(10f, 40g)가, 자성체 코어(50)의 삽입 방향에 대해 서서히 케이스 부재 사이의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얕은 삽입시는 힘을 가하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깊게 삽입함에 따라서 자성체 코어(50)의 선단 에지에서 사이드 스토퍼(10f, 40g)를 깎으면서 넓은 면적으로 확실하게 파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자성체 코어(50)를 삽입함에 따라서, 이 자성체 코어(50)는 사이드 스토퍼(10f, 40g)의 테이퍼면(b)에 의해 필연적으로 전류 센서의 좌우 중심에 파지되고, 자기 센서의 수감부(受感部)가 자성체 코어(50)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므로, 외래 자장 노이즈에 가장 강한 전류 센서로 된다. 또한, 사이드 스토퍼(10f, 40g)는 꺾이지 않고 서서히 깎이므로, 깎인 수지 부스러기는 주위에 떨어지지 않고, 자성체 코어(50) 선단에 부착되고, 수지 케이스의 선단 포켓에 수납되어 쓰레기가 발생하지 않는다. 자성체 코어(50)가 두꺼워 깨지기 어려운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또한, 자성체 코어(50)의 삽입시의 저항, 사이드 스토퍼(10f, 40g)의 절삭 상태로부터, 테이퍼면(b)의 삽입 각도는 5 내지 10도가 최적이다.
또한, 도 10 내지 및 도 12에 도시한 사이드 스토퍼(10f, 40g)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10, 110 : 본체 케이스 부재
10a, 110a : 제1 끼워 맞춤부
10b, 110b : 자기 센서의 장착 홈
10c, 110c : 코어의 후단부 위치에 설치된 걸림부
10d, 110d : 제1 공극부
10e, 10f, 40f, 40g : 사이드 스토퍼
20, 120 : 자기 센서
20a, 120a : 자기 센서의 리드선
30, 130 : 피측정 전류 도체와 접속되는 1차 도체
31 : 끼움 장착 홈
40, 140 : 덮개 케이스 부재
40a, 140a : 제2 끼워 맞춤부
40b, 140b : 자기 센서의 위치 결정 홈
40c, 140c : 코어의 후단부 위치에 설치된 걸림부
40d, 140d : 제2 공극부
40e, 140e : 절결부
50, 150 : 코어
50a, 150a : 돌기
201 : 갭부

Claims (26)

  1. 상면에 끼움 삽입 가능한 연면 거리를 갖는 제1 끼워 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끼워 맞춤부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상면과 하면 사이에 제1 공극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의 상기 상면측에 탑재되는 자기 센서와,
    피측정 전류 도체에 접속되고, 상기 자기 센서의 대면 위치에서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는 1차 도체와,
    상기 자기 센서와 상기 1차 도체를 덮도록, 하면에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끼워 맞춤부에 끼움 삽입 가능한 연면 거리를 갖는 제2 끼워 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끼워 맞춤부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하면과 상면 사이에 제2 공극부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 케이스 부재와,
    상기 1차 도체를 끼워 넣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공극부에 삽입 고정되는 단면 ㄷ자 형상의 자성체 코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끼워 맞춤부에서 상기 연면 거리를 확보하는 동시에, 상기 자성체 코어의 상기 단면 ㄷ자 형상에 수반되는 갭부에 배치된 상기 자기 센서에 의해 상기 자성체 코어에 발생하는 자속 변화를 전류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도체가,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에 의해 밀접하게 끼움 지지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가, 복수의 상기 제1 끼워 맞춤부를 갖고, 상기 1차 도체가,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끼워 맞춤부 사이에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센서가,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에 의해 밀접하게 끼움 지지되고, 상기 1차 도체가, 상기 제1 끼워 맞춤부 및 상기 제2 끼워 맞춤부에 접합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워 맞춤부 및 상기 제2 끼워 맞춤부 중 어느 하나가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갖는 직사각형 또는 파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5.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의 상기 자기 센서의 장착 위치에 장착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6.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의 상기 코어의 후단부 위치에 걸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돌기 또는 돌기와 절결부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8.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의 상기 자기 센서의 탑재 부분에, 상기 자기 센서의 리드선의 구분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9.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에 끼워 맞춤 갈고리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에 상기 끼워 맞춤 갈고리를 수용하는 끼워 맞춤 고정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10.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코어의 상기 단면 ㄷ자 형상의 형상이, 단면 U자 형상 또는 선단이 좁혀진 단면 C자 형상의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11.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센서가, 홀 I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12. 상면에 끼움 삽입 가능한 연면 거리를 갖는 제1 끼워 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끼워 맞춤부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상면과 하면 사이에 제1 공극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의 상기 상면측에 탑재되는 자기 센서와,
    피측정 전류 도체에 접속되고, 상기 자기 센서의 대면 위치에서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는 1차 도체와,
    상기 자기 센서와 상기 1차 도체를 덮도록, 하면에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끼워 맞춤부에 끼움 삽입 가능한 연면 거리를 갖는 제2 끼워 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끼워 맞춤부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하면과 상면 사이에 제2 공극부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 케이스 부재와,
    상기 1차 도체를 끼워 넣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공극부에 삽입 고정되는 단면 ㄷ자 형상의 자성체 코어와,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 및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의 벽면에,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 및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의 상기 자성체 코어의 삽입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설치된 사이드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끼워 맞춤부에서 상기 연면 거리를 확보하는 동시에, 상기 자성체 코어의 상기 단면 ㄷ자 형상에 수반되는 갭부에 배치된 상기 자기 센서에 의해 상기 자성체 코어에 발생하는 자속 변화를 전류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스토퍼가, 상기 자성체 코어와의 접촉에 의해 꺾이는 볼록 형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형상 부재가, 단면 삼각형의 기둥 형상 부재 또는 단면 사다리꼴의 기둥 형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스토퍼가, 테이퍼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구조의 테이퍼면의 삽입 각도가, 5 내지 1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도체가,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에 의해 밀접하게 끼움 지지되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가, 복수의 상기 제1 끼워 맞춤부를 갖고, 상기 1차 도체가,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끼워 맞춤부 사이에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18.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센서가,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에 의해 밀접하게 끼움 지지되고, 상기 1차 도체가, 상기 제1 끼워 맞춤부 및 상기 제2 끼워 맞춤부에 접합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19. 제12항, 제13항, 제14항, 제15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워 맞춤부 및 상기 제2 끼워 맞춤부 중 어느 하나가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갖는 직사각형 또는 파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20. 제12항, 제13항, 제14항, 제15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의 상기 자기 센서의 장착 위치에 장착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21. 제12항, 제13항, 제14항, 제15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의 상기 자성체 코어의 후단부 위치에 걸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돌기 또는 돌기와 절결부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23. 제12항, 제13항, 제14항, 제15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의 상기 자기 센서의 탑재 부분에, 상기 자기 센서의 리드선의 구분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24. 제12항, 제13항, 제14항, 제15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케이스 부재에 끼워 맞춤 갈고리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 부재에 상기 끼워 맞춤 갈고리를 수용하는 끼워 맞춤 고정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25. 제12항, 제13항, 제14항, 제15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코어의 상기 단면 ㄷ자 형상의 형상이, 단면 U자 형상 또는 선단이 좁혀진 단면 C자 형상의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26. 제12항, 제13항, 제14항, 제15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센서가, 홀 I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센서.
KR2020110004599U 2011-05-26 2011-05-26 전류 센서 Expired - Lifetime KR2004616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599U KR200461696Y1 (ko) 2011-05-26 2011-05-26 전류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599U KR200461696Y1 (ko) 2011-05-26 2011-05-26 전류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696Y1 true KR200461696Y1 (ko) 2012-07-30

Family

ID=47138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599U Expired - Lifetime KR200461696Y1 (ko) 2011-05-26 2011-05-26 전류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69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8255A (ja) 2004-09-08 2006-03-23 Yazaki Corp 電流センサ
JP2011027679A (ja) 2009-07-29 2011-02-10 Osaki Electric Co Ltd 電流検出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8255A (ja) 2004-09-08 2006-03-23 Yazaki Corp 電流センサ
JP2011027679A (ja) 2009-07-29 2011-02-10 Osaki Electric Co Ltd 電流検出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2542B2 (ja) 電流センサ
JP5098855B2 (ja) 電流センサ
JP5464098B2 (ja) 電流検出装置
US9086440B2 (en) Current sensor
JP5619471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固定具
US20140225593A1 (en) Current detection device
CN108735459B (zh) 噪声滤波器和降噪单元
KR101795326B1 (ko) 센서를 구비한 커넥터
US8952688B2 (en) Current Detector
JP2019009336A (ja) ノイズ低減ユニット
WO2012157362A1 (ja) 電流検出装置
JP6539623B2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WO2012026510A1 (ja) 電流検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044486A (ja) 電流センサ
US11187601B2 (en) Sensor device
JP5452190B2 (ja) 電流センサ及びその組立方法
KR200461696Y1 (ko) 전류 센서
JP2012237582A (ja) 電流センサ
US9921250B2 (en) Structure of mounting current sensor to battery cable
JP2012058080A (ja) 電流検出装置
JP6897329B2 (ja) 電流センサ
TWI411787B (zh) Current sensor
JP2015011874A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52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2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7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