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417Y1 - A packing box - Google Patents
A packing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1417Y1 KR200461417Y1 KR2020120000648U KR20120000648U KR200461417Y1 KR 200461417 Y1 KR200461417 Y1 KR 200461417Y1 KR 2020120000648 U KR2020120000648 U KR 2020120000648U KR 20120000648 U KR20120000648 U KR 20120000648U KR 200461417 Y1 KR200461417 Y1 KR 20046141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x body
- contents
- bent
- present
- box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 B65D5/2009—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ontainer body having hollow side-walls all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the side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일, 채소 등의 각종 내용물을 담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구성으로 견고한 박스 틀을 유지하여 포장된 내용물의 훼손을 방지함과 더불어 특히 각 모서리 부분이 견고하게 조립되어 뒤틀림이 쉽게 발생되지 않아 보관 및 유통과정에서 내용물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새로운 구성으로 인해 조립공정이 용이함은 물론이고 전/후면부재 및 좌/우측면부재를 이중격벽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좌/우측면부재에 형성된 돌출부를 하면부재에 형성된 삽입공으로 삽입시켜 결합함으로써 견고성이 더욱 향상됨과 더불어 전/후면부재 및 좌/우측면부재의 각 내벽부에는 하면부재의 가장자리 상면에 형성된 안착부로 안착되는 플랜지부가 각각 구비되어서 밀착되므로 박스몸체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어 보관 및 유통과정에서 내용물의 훼손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나타낸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box used for packing various contents such as fruits and vegetables,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damage to the packaged contents by maintaining a rigid box frame with a new configuration, in particular, each corner portion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box that is firmly assembled so that warpage is not easily generated so that damage of contents can be minimized during storage and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ing process is easy due to the new configuration, and the front / rear member and the left / right side member are composed of double partition walls, and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left / right sid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bottom member. By combining, the rigidity is further improved, and each inner wall portion of the front / rear member and the left / right side member is provided with a flange part seated by a seat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lower surface member, so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event distortion of the box body. And minimize the damage of the contents in the distribution process.
Description
본 고안은 과일, 채소 등의 각종 내용물을 담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구성으로 견고한 박스 틀을 유지하여 포장된 내용물의 훼손을 방지함과 더불어 특히 각 모서리 부분이 견고하게 조립되어 뒤틀림이 쉽게 발생되지 않아 보관 및 유통과정에서 내용물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box used for packing various contents such as fruits and vegetables,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damage to the packaged contents by maintaining a rigid box frame with a new configuration, in particular, each corner portion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box that is firmly assembled so that warpage is not easily generated so that damage of contents can be minimized during storage and distribution.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는 두꺼운 종이나 골판지로 된 것으로 제조하게 되는데,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하나 크게 덮개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타입과 덮개가 분리된 분리형 타입으로 구분된다.In general, the packing box is made of a thick paper or cardboard, which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but is largely divided into an integral typ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ver and a detachable type with the cover separated.
대부분 전자의 일체형 타입의 경우에는 부피가 큰 내용물을 포장하는데 사용되고, 후자의 분리형 타입은 소형 물품을 포장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일체형이던 분리형이던 포장박스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포장된 내용물을 보호하는데 있다 할 것이다. 그러나 근래에는 상기한 목적을 벗어나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포장박스가 제공되고 있다.Most of the former one-piece type is used for packing bulky contents, and the latter type is widely used for packing small items.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the one-piece or separate package is to protect the packaged contents. will be. In recent years, however, various types of packaging boxes have been provided that provide new functions beyond the above-described purpose.
예컨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442343호가 그 대표적인 것으로,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포장박스의 덮개에 장식문양을 구현시킬 수 있는 장식틀을 구비하여 각종 문양을 노출시킴으로서 미려감을 향상시키고 있다. 물론, 이 포장박스의 경우에는 미려감이 향상되어 고급스러움을 추구하고 있으나 이는 포장박스 단가를 상승시켜 소비자의 부담을 증가하는 요인이 됨과 더불어 포장되는 내용물을 보호하는 기능이 향상되지 못하고 있다. 즉, 재료를 단순히 박스 형태로 형성하여 그 내부에 내용물을 담아 포장하게 되므로 운반이나 보관시 측벽이나 모서리 부분에서 뒤틀림이 쉽게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42343 is a representative, referring to this publication, by providing a decorative frame that can implement a decorative pattern on the cover of the packaging box to improve the beauty by exposing various patterns. Of course, in the case of this packaging box, the sense of beauty is improved to pursue luxury, but this increases the cost of the packaging box and increases the burden on the consumer, and does not improve the function of protecting the packaged contents. That is, since the material is simply formed in the form of a box to pack the contents therei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distortion can easily occur in the sidewalls or corners during transportation or storage.
한편, 박스 재료인 종이를 두껍게 하여 제조하게 되면 견고성은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나 이는 곧 제조단가 상승을 초래하여 오히려 소비자 부담만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래서 얇은 재질로 박스를 제조하여 제조단가를 하락시켜 소비자 부담을 경감하면서도 견고성이 확보되는 등 실용성이 향상된 포장박스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box material is made of thick paper, the firmness can be improved, but this leads to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resulting in an increase in consumer burden.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packaging box with improved practicality, such as manufacturing a box made of a thin material and reducing manufacturing cost,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n the consumer and securing robustness.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새로운 구성으로 견고한 박스 틀을 유지하여 포장된 내용물의 훼손을 방지함과 더불어 특히 각 모서리 부분이 견고하게 조립되어 뒤틀림이 쉽게 발생되지 않아 보관 및 유통과정에서 내용물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포장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maintains a rigid box frame in a new configuration to prevent damage to the packaged contents, and in particular, corners are firmly assembled so that distortion is not easily generated and stored and We want to provide a packaging box that can minimize the damage of the contents in the distribution proces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각형 형상의 하면부재와, 상기 하면부재 전/후면에서 각각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내/외벽부로 이루어진 이중격벽을 형성하되 양 측면에는 플랩이 절곡 가능하도록 구성된 전/후면부재와, 상기 하면부재 좌우측에 각각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내/외벽부로 이루어진 이중격벽을 형성하면서 상기 전/후면부재에 형성된 플랩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지지되는 좌/우면측부재로 이루어진 박스몸체; 및 상기 박스몸체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하면부재의 좌우측에는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면부재의 내벽부 하면에는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견고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면부재의 가장자리에는 가운데 부분보다 높이가 낮은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부재 및 좌/우측면부재의 각 내벽부에는 상기 하면부재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안착부로 안착되는 플랜지부가 각각 형성되어 박스몸체의 뒤틀림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bent in each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lower surface member and the rectangular shape to form a double partition wall consisting of the inner / outer wall portion, but the front flap is configured to be bent on both sides A box body formed of a left / right side member which is bent and supported to surround a flap formed in the front / rear member while forming a double partition wall formed of inner / outer wall portions, the rear member being formed to be bent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member, respectively; And a cover coupled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box body, wherein insertion holes are form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surface member, respectively, and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wall of the left and right side members, respectively. It is coupled to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member is formed with a lower mounting height than the center portion, the inner wall portion of the front / rear member and the left / right side member, the flange portion which is seated by the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lower surface member, respectively Is formed i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minimize the distortion of the box body.
삭제delete
본 고안에 의하면, 새로운 구성으로 인해 조립공정이 용이함은 물론이고 전/후면부재 및 좌/우측면부재를 이중격벽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좌/우측면부재에 형성된 돌출부를 하면부재에 형성된 삽입공으로 삽입시켜 결합함으로써 견고성이 더욱 향상됨과 더불어 전/후면부재 및 좌/우측면부재의 각 내벽부에는 하면부재의 가장자리 상면에 형성된 안착부로 안착되는 플랜지부가 각각 구비되어서 밀착되므로 박스몸체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어 보관 및 유통과정에서 내용물의 훼손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나타낸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ing process is easy due to the new configuration, and the front / rear member and the left / right side member are composed of double partition walls, and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left / right sid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bottom member. By combining, the rigidity is further improved, and each inner wall portion of the front / rear member and the left / right side member is provided with a flange part seated by a seat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lower surface member, so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event distortion of the box body. And minimize the damage of the contents in the distribution proces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몸체를 보인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몸체를 접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4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몸체를 보인 평면도이며, "나"는 "가"의 a-a선 단면도.
도 5의 "가"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몸체를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b-b선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velopment view showing the box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of folding the box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of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box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 is aa cross-sectional view of "a".
"A" of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x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 line bb.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포장박스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packag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design the concept of the term appropriately to describe its own desig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a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stitu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박스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몸체를 보인 전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몸체를 접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몸체를 보인 평면도이며, "나"는 "가"의 a-a선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ckaging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velopment view showing a box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ing process of the box body, "A" of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box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 "a".
먼저, 도 1 및 2를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포장박스(10)는 크게 박스몸체(100) 및 덮개(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상기 박스몸체(100)는 사각형 형상의 하면부재(110), 상기 하면부재(110) 전면에서 상측으로 절곡된 후 다시 하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내/외벽부(122,124)로 이루어진 이중격벽을 형성하되 양 측면에는 플랩(126)이 절곡 가능하도록 구성된 전면부재(120), 상기 하면부재(110) 후면에서 상측으로 절곡된 후 다시 하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내/외벽부(132,134)로 이루어진 이중격벽을 형성하되 양 측면에는 플랩(136)이 절곡 가능하도록 구성된 후면부재(130), 상기 하면부재(110) 좌측에서 상측으로 절곡된 후 다시 하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내/외벽부(142,144)로 이루어진 이중격벽을 형성하되 상기 전/후면부재(120,130)에 형성된 일측 플랩(126,136)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지지되는 좌측면부재(140) 및 상기 하면부재(110) 우측에서 상측으로 절곡된 후 다시 하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내/외벽부(152,154)로 이루어진 이중격벽을 형성하되 상기 전/후면부재(120,130)에 형성된 타측 플랩(126,136)을 감싸도록 절곡되어 지지되는 우측면부재(150)로 이루어진다.The
이때, 상기 하면부재(110)의 좌우측에는 삽입공(1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면부재(140,150)의 각 내벽부(144,154) 하면에는 상기 삽입공(112)으로 삽입되는 돌출부(146,156)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부재(120,130) 및 상기 좌/우측면부재(140,150)의 각 내벽부(124,134,144,154) 하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면부재(110)의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플랜지부(128,138,148,158)가 각각 형성된다.In this case,
한편, 상기 좌/우측면부재(140,150)에 형성된 돌출부(146,156)는 도 2의 전개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플랜지부(148,158)에서 일부를 절개하여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다음으로, 상기 덮개(200)는 상기 박스몸체(100)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결합되어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보호하는 것으로, 하측으로 개방된 형상이다.
Next, the
한편, 상기 박스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부재(110)를 중심으로 우선 전/후면부재(120,130)를 상측으로 절곡하였다가 다시 하향 절곡하여서 내/외벽부(122,124,132,134)의 이중격벽으로 형성된 측벽을 이루도록 하고, 전/후면부재(120,130)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된 플랩(126,136)을 내측으로 절곡하여서 전면부재(120)에 구비된 플랩(126)과 후면부재(130)에 구비된 플랩(136)이 서로 마주보게 절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면부재(110)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우측면부재(140,150)를 상측으로 절곡하였다가 다시 하향 절곡하여 전/후면부재(120,130)에서 절곡된 플랩(126,136)을 감싸도록 절곡하되, 좌측면부재(140)는 전/후면부재(120,130)의 일측 플랩(126,136)을, 우측면부재(150)는 전/후면부재(120,130)의 타측 플랩(126,136)을 각각 감싸도록 절곡되어 내/외벽부(142,152,144,154)의 이중격벽으로 된 측벽을 형성하여 각 면에 측벽을 완성함으로써 그 내부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좌/우측면부재(140,150)의 내벽부(144,154) 하면에 형성된 돌출부(146,156)를 하면부재(110)에 형성된 삽입공(112)으로 하향 삽입시켜 좌/우측면부재(140,150)를 결합함으로써 플랩(126,136)을 매개로 하측에 위치한 전/후면부재(120,130)까지 같이 단단히 결속되도록 구성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그리고, 상기 전/후면부재(120,130) 및 좌/우측면부재(140,150)의 각 내벽부(124,134,144,154) 하면에 구비된 플랜지부(128,138,148,158)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서 상기 하면부재(110) 가장자리에 안착되어 있는데, 도 4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128,138,148,158)는 각 모서리 부분에서 포개진 상태가 아니라 서로 대항 즉, 면과 면이 동일한 수평 상태에서 밀착되어 있으므로 서로 지지하여 박스몸체(100)의 뒤틀림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The
또한, 도 4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면부재(140,150)의 외벽부(142,152)는 전/후면부재(120,130)의 플랩(126,136)에 지지되고, 내벽부(144,154)는 돌출부(146,156)를 매개로 하면부재(110)의 삽입공(112)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박스몸체(100)의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하여 쉽게 훼손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조립과정에서도 알 수 있듯이 좌/우측면부재(140,150)의 고정으로 전/후면부재(120,130)까지 같이 고정됨으로써 조립 공정 또한 극히 용이한 장점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4, the
따라서, 새로운 구성으로 인해 조립공정이 용이함은 물론이고 전/후면부재(120,130) 및 좌/우측면부재(140,150)를 이중격벽으로 구성하여 견고하면서도 상기 좌/우측면부재(140,150)에 형성된 돌출부(146,156)를 하면부재(110)에 형성된 삽입공(112)으로 삽입시켜 결합함으로써 견고성이 더욱 향상됨과 더불어 전/후면부재(120,130) 및 좌/우측면부재(140,150)의 각 내벽부(124,134,144,154)에는 하면부재(110)의 가장자리 상면에 안착되는 플랜지부(128,138,148,158)가 각각 구비되어서 안착되되 상기 플랜지부(128,138,148,158)는 각 모서리 부분에서 서로 대항되어 밀착되므로 박스몸체(100)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어 포장되어 보관 및 유통과정에서 내용물의 훼손을 최소화하게 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assembly process is easy due to the new configuration, and the front /
도 5의 "가"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몸체를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b-b선 단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x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ga".
도면을 참조로 하기 전, 상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몸체(100)의 경우에는 전/후면부재(120,130) 및 좌/우측면부재(140,150)의 각 내벽부(124,134,144,154)에서 절곡된 플랜지부(128,138,148,158)가 하면부재(110)의 가장자리 상면에 안착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하면부재(110)가 동일한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물론, 박스몸체(100)는 얇은 종이재질로 형성되므로 하면부재(110)가 수평이 되지 않더라도 크게 문제될 것은 없으나 미관상 좋지 못하고 또한 아주 정밀한 내용물을 포장하게 될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도 5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의 박스몸체(100')는 전술한 박스몸체(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하면부재(110)의 가장자리에 가운데 부분보다 높이가 낮은 안착부(114)를 추가로 형성하여 전/후면부재(120,130) 및 좌/우측면부재(140,150)에 구비된 각 플랜지부(128,138,148,158)가 상기 안착부(114)에 안착되도록 하여 하면부재(110)가 동일한 수평을 가지도록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Before referring to the drawings, in the case of the
즉, 상기 안착부(114)는 프레스 기기를 통해서 하면부재(110)의 가장자리 부분을 압착하여 형성하게 되며, 이 안착부(114)에 안치된 각 플랜지부(128,138,148,158)는 안착부(114)가 형성하는 단턱에도 서로 밀착되므로 더욱 견고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at is, the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스몸체(100')는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박스몸체(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였으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인지해야 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box body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has outlined rather broadly the features and technical advantages of the subject innovation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below. 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It should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ception and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ly disclosed subject matter can be used immediately as a basis for designing or modifying other structures for carrying out similar purposes as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to equivalents disclo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a basis for modifying or designing other structures to carry out the same purpose of the invention,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10 : 포장박스 100 : 박스몸체
110 : 하면부재 112 : 삽입공
114 : 안착부 120 : 전면부재
122 : 외벽부 124 : 내벽부
126 : 플랩 128 : 플랜지부
130 : 후면부재 132 : 외벽부
134 : 내벽부 136 : 플랩
138 : 플랜지부 140 : 좌측면부재
142 : 외벽부 144 : 내벽부
146 : 돌출부 148 : 플랜지부
150 : 우측면부재 152 : 외벽부
154 : 내벽부 156 : 돌출부
158 : 플랜지부 200 : 덮개10: packing box 100: box body
110: lower surface member 112: insertion hole
114: seating portion 120: front member
122: outer wall portion 124: inner wall portion
126: flap 128: flange
130: rear member 132: outer wall
134: inner wall portion 136: flap
138: flange 140: left side member
142: outer wall portion 144: inner wall portion
146: protrusion 148: flange
150: right side member 152: outer wall portion
154: inner wall portion 156: protrusion
158: flange 200: cover
Claims (2)
상기 박스몸체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하면부재의 좌우측에는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면부재의 내벽부 하면에는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견고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면부재의 가장자리에는 가운데 부분보다 높이가 낮은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부재 및 좌/우측면부재의 각 내벽부에는 상기 하면부재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안착부로 안착되는 플랜지부가 각각 형성되어 박스몸체의 뒤틀림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A rectangular bottom surface member and a front / rear member which are formed to be bent a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lower surface member to form a double partition wall composed of inner and outer walls, respectively,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members configured to bend the flap, respective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surface member. A box body formed of a left / right side member which is formed to be bent and is bent to support a flap formed in the front / rear member while forming a double partition wall formed of an inner / outer wall portion; And
Including a cover coupl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box body,
Insertion holes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surface member, respectively, and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wall of the left and right side members, respectively, and ar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An additional portion is formed, and each inner wall portion of the front / rear member and the left / right side member is formed with a flange portion seated by a seat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lower surface member, respectively, so as to minimize distortion of the box body. box.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0648U KR200461417Y1 (en) | 2012-01-27 | 2012-01-27 | A packing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0648U KR200461417Y1 (en) | 2012-01-27 | 2012-01-27 | A packing box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1417Y1 true KR200461417Y1 (en) | 2012-07-13 |
Family
ID=4713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0648U KR200461417Y1 (en) | 2012-01-27 | 2012-01-27 | A packing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1417Y1 (en) |
-
2012
- 2012-01-27 KR KR2020120000648U patent/KR200461417Y1/en active IP Right G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98275B2 (en) | Lid and packaging container provided with the lid | |
JP3151025U (en) | Fruit packaging container | |
JP3203904U (en) | Nail divider | |
KR200461417Y1 (en) | A packing box | |
KR20180090921A (en) | Packing box for eggs | |
KR200449399Y1 (en) | Pizza Packing Box | |
JP6119675B2 (en) | Packing material | |
KR200477061Y1 (en) | A packing box for pizza | |
JP5935608B2 (en) | Stackable carry cartons | |
KR20110121507A (en) | Saber Box | |
JP3220806U (en) | Packaging containers and packaging containers with lids | |
CN205738483U (en) | A kind of red eggs packing box | |
KR100942227B1 (en) | A wrapping box with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0383756Y1 (en) | Cake box | |
KR200476650Y1 (en) | Base for package box | |
JP3137275U (en) | Fruit packaging container | |
JP2012030887A (en) | Lid and packaging container having the lid | |
JP3164316U (en) | Cushioning material, package and package | |
JP3241594U (en) | Wet sheet package | |
JP6362422B2 (en) | Storage box | |
KR101476636B1 (en) | Assembling method for Reinforcement integral-type package box | |
KR101782112B1 (en) | A packaging box | |
JP2017132488A (en) | Packaging container, and packaging container with lid | |
KR101918859B1 (en) | Lens safety package with foldable structure | |
JP3165647U (en) | Assembly 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0127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31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27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050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207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704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2041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