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60778Y1 -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 - Google Patents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778Y1
KR200460778Y1 KR2020100001332U KR20100001332U KR200460778Y1 KR 200460778 Y1 KR200460778 Y1 KR 200460778Y1 KR 2020100001332 U KR2020100001332 U KR 2020100001332U KR 20100001332 U KR20100001332 U KR 20100001332U KR 200460778 Y1 KR200460778 Y1 KR 200460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inner body
vacuum
bottle
vacuum cha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3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983U (ko
Inventor
김홍열
Original Assignee
동아정밀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정밀공업(주) filed Critical 동아정밀공업(주)
Priority to KR2020100001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77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9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9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77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the thermal insulation
    • A47J41/0072Double walled vessels comprising a single insulating layer between inner and outer walls
    • A47J41/0077Double walled vessels comprising a single insulating layer between inner and outer walls made of two vessels inserted in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83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arrel or vat
    • B65D81/380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arrel or vat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병의 몸체 외부를 매질의 양이 희박해지도록 진공 챔버로 형성함으로써, 병의 몸체에 보관된 내용물에 대한 보관 성능을 항상 시키고, 내용물 변질을 방지하며, 몸체 파손에 의한 내용물 유출에 대비할 수 있는 등 다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부에 유출입구(21a)가 있으며,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22a)이 형성되며 내벽(20b)과 외벽(20c)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다중 벽으로 구성된 내부 몸체(20a)와, 상기 내부 몸체(20a)의 외부를 형성하고 그 내부 몸체(20a)의 표면을 형성하도록 일체형으로 벌어진 진공 챔버(40)를 두어 내부 몸체(20a)의 표면에 진공을 형성하며 내벽(30b)과 외벽(30c)으로 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다중 벽으로 구성된 외부 몸체(30a)와, 상기 내부 몸체(20a)와 외부 몸체(30a)를 형성하는 다중 벽체(20b)(20c)(30b)(30c)들 사이에 게재되어 공기 유출을 차단하여 내부 진공을 지속 유지시키는 밀폐강화층(23)과, 상기 내부 몸체(20a)와 외부 몸체(30a)의 상부에 결합 되어 진공 챔버(40a) 속으로의 대기중 공기 유입을 차단하고 밀폐하는 커플러(50a)와, 상기 커플러(50a) 상부에 결합 되어 유출입구(21a)를 여닫는 마개(60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A functional bottle having heat and cold insulation function}
본 고안은 병의 몸체 외부를 매질의 양이 희박해지도록 진공 챔버로 형성하고 병의 외부에서 내부 내용물을 볼 수 있도록 투명 처리한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내용물의 확인이 가능하고, 보관 성능을 개선하여 내용물 변질을 방지하며, 몸체 파손에 의한 내용물 유출에 대비할 수 있는 등 다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은 액체를 담는 목이 좁은 그릇으로,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과 저장된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로 되어 있다. 재질은 유리, 합성수지, 금속 및 비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되어, 내용물을 저장하거나 보관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지만 외부 열 영향을 받아 대기 중에서 보온과 보냉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냉,온수 등을 담아 장시간 보관하면서 내용물의 온도를 보존하도록 하는 보온병이 알려져 있다.
보온병은 병의 외 표면을 매질 전달 양이 희박해 지도록 매질을 줄인 진공 챔버를 구성한 것으로써, 보온병에 액상의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면, 매질이 희박해진 진공 챔버에 의해 온도 전달을 줄여 몸체에 보관된 내용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일반적인 보온병은, 보온병 몸체와, 몸체의 상측에는 몸체의 직경을 감소시킨 유출구와, 몸체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되도록 장착된 진공병과, 진공병을 몸체의 내부에 고정하여 기밀을 유지시키도록 상측에는 유출구의 내측면과 진공병의 입구 끝 부분이 대응 되도록 밀착시키는 실링과, 하측에는 기밀을 유지하여 압착시키도록 나사식 회전에 의해 조절하는 조절구를 구비한다.
몸체의 중앙부에는 조절구가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저면 외측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 시키는 저면 뚜껑이 구성된다.
또한 진공병 입구부까지 동일면으로 삽입 되어지도록 돌출된 돌출부와, 유출구의 내측과 밀착시켜 기밀을 유지 하기 위한 링을 상기 돌출부 외측 둘레면에 억지 끼움으로 삽입하여 유출구의 외측과 나사 결합에 의해 내용물의 유출 및 보온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마개가 구성된다.
그리고, 컵 대용으로 사용 가능하면서도 보온효과를 얻기 위해 몸체의 상부 외측에 나사 결합 되는 뚜껑을 구비하는 것도 있다.
또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벽에 진공 챔버를 형성한 플라스틱 이중 용기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진공 챔버를 갖는 종래의 보온병 및 진공 챔버를 갖는 이중 용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외부에서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없어 내용물의 확인이 불가능하다.
둘째, 몸체와 진공병이 따로 떨어져 있어 제조가 어렵고 실링제의 적용, 진공병을 받쳐주는 지지구조물 등이 있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다.
셋째, 몸체에 결합하는 저면 뚜껑 구조가 복잡하다.
넷째, 몸체의 유출구를 열고 닫기 위한 마개의 구조가 복잡하다.
다섯째, 진공 챔버를 갖는 플라스틱류 이중 용기는 합성수지 재료 자체의 신축으로 진공을 장시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진공 용기로 미흡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병의 외부를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간단히 진공 챔버로 형성하고 내부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사출로 형성함으로써, 외부에서 보관된 내용물의 확인이 가능하고, 병의 몸체에 보관된 내용물에 대한 보관 및 보온 성능을 항상 시키며, 내용물 변질을 방지하고, 병의 몸체 파손에 의한 내용물 유출에 대비할 수 있게 하는 등 다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내부 진공 상태를 강화하고 지속 유지시킬 수 있는 기능성 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은,
상부에 유출입구가 있으며,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내벽과 외벽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다중 벽으로 구성된 내부 몸체,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내부 몸체의 외부를 형성하고 그 내부 몸체의 표면을 형성하도록 일체형으로 벌어진 진공 챔버를 두어 내부 몸체의 표면에 진공을 형성하며 내벽과 외벽으로 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다중 벽으로 구성된 외부 몸체,
상기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를 형성하는 다중 벽체들 사이에 게재되어 공기 유출을 차단하여 내부 진공을 지속 유지시키는 밀폐강화층,
상기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의 상부에 결합 되어 진공 챔버 속으로의 대기중 공기 유입을 차단하고 밀폐하는 커플러,
상기 커플러 상부에 결합 되어 유출입구를 여닫는 마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는 투명 수지를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내부 투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몸체의 외벽과 외부 몸체의 내벽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1개 또는 그 이상의 독립된 진공 챔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몸체의 상부측 선단부 높이는 외부 몸체의 선단부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 몸체의 바닥면을 따라 별도의 독립된 진공 챔버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병의 몸체 외부를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간단히 진공 챔버로 형성함으로써, 병에 보관된 내용물에 대한 보관 및 보온 성능을 항상 시키고, 내용물 변질을 방지하며, 몸체 파손에 의한 내용물 유출에 대비할 수 있게 하는 등 다목적으로 광범위한 내용물 보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을 구성하는 몸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부분 단면도로써, (a)는 A-A선 단면도, (b)는 B-B선 단면도, (c)는 C-C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을 구성하는 몸체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부분 단면도로써, (a)는 A-A선 단면도, (b)는 B-B선 단면도, (c)는 C-C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의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을 구성하는 몸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 단면도로써, (a)는 A-A선 단면도, (b)는 B-B선 단면도, (c)는 C-C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을 구성하는 몸체 단면도 이다. 도 6은 도 5의 부분 단면도로써, (a)는 A-A선 단면도, (b)는 B-B선 단면도, (c)는 C-C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부에 유출입구(21)가 있으며,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22)이 형성된 내부 몸체(20), 내부 몸체(20)의 외부를 형성하고 그 내부 몸체(20)의 표면을 형성하도록 일체형으로 벌어진 진공 챔버(40)를 두어 내부 몸체(20)의 표면에 진공을 형성하는 외부 몸체(30),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의 상부에 결합 되어 진공 챔버(40) 속으로의 대기중 공기 유입을 차단하고 밀폐하는 커플러(50), 커플러(50) 상부에 결합 되어 유출입구(21)를 여닫는 마개(60)로 구성된다.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는 투명 수지를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내부 투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몸체(20)의 상부측 선단부 높이는 외부 몸체(30)의 선단부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되어 구성된다.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는 분할된 일체형 지지대(70)에 의해 지지 된다. 여기서, 지지대(70)의 갯 수는 0.1.2.3.4...N 등으로 지지대(70)를 두지 않거나 1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지지대(70)의 갯 수가 4개인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 챔버(40)의 갯 수도 4개로 형성되는 독립 격실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몸체(30)의 바닥면을 따라 별도의 독립된 진공 챔버(80)를 구성할 수 있다. 바닥면에 독립적으로 형성하는 진공 챔버(80)는 외부 몸체(30)의 측벽(31)에 결합될 수 있는 캡(90)을 장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커플러(50)는 챔버(40)를 진공 상태인 워크 챔버로 만들기 위한 밀폐 기능과 마개(6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 매개 기능을 동시에 하게 되며, 이에 따라 내,외부 몸체(20)(30)에 결합 되는 부분, 마개(60)가 결합 되는 부분은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내,외경 상에 나사산(51)(52)을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커플러(50)와 접촉하는 외부 몸체(30)의 선단부 쪽 외경과 마개(60)의 내경은 각각 나사산(31)(61)을 가공하여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커플러(50)에는 독립된 진공 챔버를 구비하여 보온.보냉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은,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상부에 유출입구(21a)가 있으며,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22a)이 형성되며 내벽(20b)과 외벽(20c)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다중 벽으로 구성된 내부 몸체(20a), 상기 내부 몸체(20a)의 외부를 형성하고 그 내부 몸체(20a)의 표면을 형성하도록 일체형으로 벌어진 진공 챔버(40)를 두어 내부 몸체(20a)의 표면에 진공을 형성하며 내벽(30b)과 외벽(30c)으로 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다중 벽으로 구성된 외부 몸체(30a), 내부 몸체(20a)와 외부 몸체(30a)를 형성하는 다중 벽체(20b)(20c)(30b)(30c)들 사이에 게재되어 공기 유출을 차단하여 내부 진공을 지속 유지시키는 밀폐강화층(23), 내부 몸체(20a)와 외부 몸체(30a)의 상부에 결합 되어 진공 챔버(40a) 속으로의 대기중 공기 유입을 차단하고 밀폐하는 커플러(50a), 커플러(50a) 상부에 결합 되어 유출입구(21a)를 여닫는 마개(60a)로 구성된다.
내부 몸체(20a)와 외부 몸체(30a)는 투명 수지를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내부 투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몸체(20a)의 외벽(20c)과 외부 몸체(30a)의 내벽(30c)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1개 또는 그 이상의 독립된 진공 챔버(40a)로 구성될 수 있다.
내부 몸체(20a)와 외부 몸체(30a)는 내부 몸체(20a)의 외벽(20c)과 외부 몸체(30a)의 내벽(30b)에 의해 형성되는 진공 챔버(40a)에 의해 지지 된다.
여기서, 진공 챔버(40a)의 갯 수는 0.1.2.3.4...N 등으로 진공 챔버(40a)는 1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진공 챔버(40a)의 갯 수가 4개인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진공 챔버(40)들은 독립 격실로 구성될 수 있다.
내부 몸체(20a)의 내벽(20b)과 외벽(20c) 사이, 외부 몸체(30a)의 내벽(30b)과 외벽(30c) 사이에 구성되는 밀폐강화층(23)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규소 알콕사이드 가수분해물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로 되는 일반적인 가스 차단제로 쓰이는 소재를 대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스 차단제로 되는 밀폐강화층(23)은 통상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되는 내부 몸체(20a)와 외부 몸체(30a)를 구성하는 다층상의 내,외벽(20b)(20c)(30b)(30c) 사이에 수지 필름형으로 적층이 가능하다.
내부 몸체(20a)와 외부 몸체(30a)의 소재에 이물질을 혼합하여 성형함으로써 진공 상태의 지속적 유지에 유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몸체(20a)와 외부 몸체(30a)의 소재로 흔히 쓰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소재를 90% 정도로 하고 나머지 10% 정도는 가능하면 밀폐성이 우수한 다른 재질인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등을 혼용하여 성형함으로써 진공 유지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내부 몸체(20a)의 상부측 선단부 높이는 외부 몸체(30a)의 선단부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되어 구성된다.
외부 몸체(30a)의 바닥면을 따라 별도의 독립된 진공 챔버(80a)를 구성할 수 있다. 바닥면에 독립적으로 형성하는 진공 챔버(80a)는 외부 몸체(30a)의 측벽(31a)에 결합될 수 있는 캡(90a)을 장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커플러(50a)는 챔버(40a)를 진공 상태인 워크 챔버로 만들기 위한 밀폐 기능과 마개(60a)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 매개 기능을 동시에 하게 되며, 이에 따라 내,외부 몸체(20a)(30a)에 결합 되는 부분, 마개(60a)가 결합 되는 부분은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내,외경 상에 나사산(51a)(52a)을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커플러(50a)와 접촉하는 외부 몸체(30a)의 선단부 쪽 외경과 마개(60a)의 내경은 각각 나사산(31a)(61a)을 가공하여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커플러(50a)에는 독립된 진공 챔버(미도시)를 구비하여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그 밖에 커플러(50a), 마개(60a), 캡(90a) 등의 사출 성형에 있어서 이물질을 혼합하여 성형함으로써 진공 상태의 지속적 유지에 유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용기 제작용 소재로 흔히 쓰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소재를 90% 정도로 하고 나머지 10% 정도는 가능하면 이물질인 밀폐성이 우수한 다른 재질인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등을 혼용하여 성형함으로써 진공 유지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병을 구성하는 주요 부분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4 및 도 5 내지 도 7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22)(22a)은 내부 몸체(20)에 형성되어 있다. 내부 몸체(20)(20a)에는 유출입구(20)(21a)가 있어 이곳을 통해 내용물을 넣거나 빼낼 수 있으며, 내부 몸체(20)(20a)와 별도로 표면을 형성하는 외부 몸체(30)(30a)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내부 몸체(20)(20a)와 외부 몸체(30)(30a)는 일체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합성수지 소재를 사용하면 사출성형이 가능하며, 유리 및 금속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내부 몸체(20)(20a)와 외부 몸체(30)(30a)를 투명 처리로 일체형으로 성형하면 내용물의 외부 식별이 가능하다.
병의 몸체를 내부 몸체(20)(20a)와 외부 몸체(30)(30a)로 따로 구분하여 구성하는 것은, 내부 몸체(20)(20a)와 외부 몸체(30)(30a) 사이에 진공 챔버(40)(40a)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진공 챔버(40)(40a)를 두면 통상의 보온병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이는 열을 직접 전달하는 매질이 진공이 형성된 챔버(40)(40a)에 의해 희박해져 열전달을 포함한 충격 등이 내부 몸체(20)(20a)나 외부 몸체(30)(30a)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진공은 공간의 기체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 즉 분자밀도가 약 2.5 * 1019분자/cm3 보다 적은 상태를 의미한다. 진공 챔버(40)(40a) 내에서의 진공 형성은 내부 몸체(20)(20a)와 외부 몸체(30)(30a) 상부를 밀폐하는 커플러(50)(50a)를 통해 유지된다.
진공 챔버(40)(40a)의 진공은 일반적인 진공 형성방법으로 병을 구성하는 내,외부 몸체(20)(20a)(30)(30a)를 제조하고 난 후 다음 단계에서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워크 챔버로 부터 공기와 기체를 제거하고 이어서 커플러(50)(50a)를 기계적으로 체결하여 챔버(40)(40a)내 공간을 진공공간으로 간단히 만들 수 있으며, 챔버(40)(40a) 내 진공은 러프 및 고진공 정도가 적당하다.
도 1 및 도 5에는 내부 몸체(20)(20a)의 상부측 선단부 높이가 외부 몸체(30)(30a)의 선단부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유출입구(21)(21a)를 통한 내용물의 유입과 유출이 보다 원할 하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는 내부 몸체(20)와 외부 몸체(30)에 일체형 지지대(70)를 형성하여 이를 통하여 일정한 공간의 챔버(40)를 형성한 예가 나타나 있다. 지지대(70)의 갯 수가 많으면 지지강도는 좋아지지만 매질의 양이 많아지므로 열전달 계수는 높아진다. 열 차단 성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지지대(70)를 두지 않아도 되지만 강도가 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달리 도 6과 같이, 내부 몸체(20a)의 외벽(20c)과 외부 몸체(30a)의 내벽(30c)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1개 또는 그 이상의 독립된 진공 챔버(40a)를 구성하는 경우, 내부 몸체(20a)와 외부 몸체(30a)는 내부 몸체(20a)의 외벽(20c)과 외부 몸체(30a)의 내벽(30b)에 의해 형성되는 진공 챔버(40a)에 의해 별도의 지지대 없이 지지 된다.
진공 챔버(40a)의 갯 수는 0.1.2.3.4...N 등으로 진공 챔버(40a)는 1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7에는 진공 챔버(40a)의 갯 수가 4개인 경우와 각각의 진공 챔버(40)들을 독립 격실로 구성한 예가 나타나 있다.
내부 몸체(20a)의 내벽(20b)과 외벽(20c) 사이, 외부 몸체(30a)의 내벽(30b)과 외벽(30c) 사이에 구성된 밀폐강화층(23)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규소 알콕사이드 가수분해물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로 되는 일반적인 가스 차단제로 쓰이는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진공 유지에 유리한 병 제조하고 구성할 수 있다.
적절한 가스 차단제를 선택하여 내부 몸체(20a)와 외부 몸체(30a) 사이에 층상으로 밀폐강화층(23)을 구성하는 경우 내부 측 진공 유지에 보다 유리한 결과를 얻으며 진공 성능이 개선된다.
또한, 도 6 및 도 7과 같이, 내부 몸체(20a)와 외부 몸체(30a)를 포함하여 커플러(50a), 마개(60a), 캡(90a) 등의 사출 성형에 있어서 진공 유지에 유리한 이물질을 적절히 혼합하여 성형함으로써, 진공 상태의 지속적 유지에 유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진공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일체형 내,외부 몸체(20)(20a)(30)(30a)를 통해 진공 챔버(40)(40a)를 갖는다. 이에 따라 통상의 보온병 구조에 비해 간결하면서도 저비용 제작이 가능하다. 즉 실링제나 별도의 지지구조물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낱개의 제품으로 완성되는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사용 분야도 보온,보냉 기능이 강화된 일회용 식음료 판매용 병, 단열이 필요한 내용물에 대하여 개선된 단열 기능을 제공하는 물질보관용 병, 실험과 연구를 위한 연구소 및 산업현장 등에서 소요되는 물질처리 및 보관용 병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다목적으로 쓰일 수 있다.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고, 단순한 수정 및 변형은 모두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에 속한다.
20.20a:내부몸체 21.21a:유출입구
20b:내벽 20c:외벽
30b:내벽 30c:외벽
22.22a:저장공간 23 : 밀폐강화층
30.30a:외부몸체 31.31a:나사산
40.40a:챔버 50.50a:커플러
51.51a:나사산 52.52a:나사산
60.60a:마개 61.61a:나사산
70:지지대 80.80a:챔버
90.90a:캡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상부에 유출입구(21a)가 있으며,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22a)이 형성되며 내벽(20b)과 외벽(20c)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다중 벽으로 구성된 내부 몸체(20a)와,
    상기 내부 몸체(20a)의 외부를 형성하고 그 내부 몸체(20a)의 표면을 형성하도록 일체형으로 벌어진 진공 챔버(40)를 두어 내부 몸체(20a)의 표면에 진공을 형성하며 내벽(30b)과 외벽(30c)으로 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다중 벽으로 구성된 외부 몸체(30a)와,
    상기 내부 몸체(20a)와 외부 몸체(30a)를 형성하는 다중 벽체(20b)(20c)(30b)(30c)들 사이에 게재되어 공기 유출을 차단하여 내부 진공을 지속 유지시키는 밀폐강화층(23)과,
    상기 내부 몸체(20a)와 외부 몸체(30a)의 상부에 결합 되어 진공 챔버(40a) 속으로의 대기중 공기 유입을 차단하고 밀폐하는 커플러(50a)와,
    상기 커플러(50a) 상부에 결합 되어 유출입구(21a)를 여닫는 마개(60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몸체(20a)와 외부 몸체(30a)는 투명 수지를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내부 투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몸체(20a)의 외벽(20c)과 외부 몸체(30a)의 내벽(30c)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1개 또는 그 이상의 독립된 진공 챔버(40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몸체(20a)의 상부측 선단부 높이는 외부 몸체(30a)의 선단부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몸체(30a)의 바닥면을 따라 별도의 독립된 진공 챔버(80a)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
KR2020100001332U 2010-02-05 2010-02-05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 Expired - Lifetime KR2004607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332U KR200460778Y1 (ko) 2010-02-05 2010-02-05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332U KR200460778Y1 (ko) 2010-02-05 2010-02-05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983U KR20110007983U (ko) 2011-08-11
KR200460778Y1 true KR200460778Y1 (ko) 2012-06-11

Family

ID=45596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332U Expired - Lifetime KR200460778Y1 (ko) 2010-02-05 2010-02-05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77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877373B (zh) * 2024-09-30 2024-12-13 菏泽瑞诚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耐折的高阻隔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4721U (ja) 1983-05-24 1984-12-08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加熱保温容器
JP2001231693A (ja) 2000-02-24 2001-08-28 Zojirushi Corp 保温容器
KR20010088628A (ko) * 2001-08-14 2001-09-28 김홍열 투명 보온병
KR20020021938A (ko) * 2000-09-18 2002-03-23 정형근 진공보온병의 이중용기 제조방법 및 그 제조에 의한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4721U (ja) 1983-05-24 1984-12-08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加熱保温容器
JP2001231693A (ja) 2000-02-24 2001-08-28 Zojirushi Corp 保温容器
KR20020021938A (ko) * 2000-09-18 2002-03-23 정형근 진공보온병의 이중용기 제조방법 및 그 제조에 의한 용기
KR20010088628A (ko) * 2001-08-14 2001-09-28 김홍열 투명 보온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983U (ko)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5693B2 (en) Synthetic resin bottle-type container with improved deformation resistance
ES2200856T3 (es) Recipiente de plastico para pasteurizacion a altaa temperatura.
KR200466730Y1 (ko)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
JP2001206331A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H04501693A (ja) プラスチックブロー成形ボトル及びプラスチックボトル作製方法.
CN104080706A (zh) 承受载荷和耐真空的容器
BR112018007218B1 (pt) Recipiente polimérico
US9139327B2 (en) Plastic container having tapered vacuum panels
US9027783B2 (en)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200460778Y1 (ko) 보온.보냉 기능을 갖는 기능성 병
JP4887665B2 (ja) 把手付耐熱容器
JP5284601B2 (ja) 合成樹脂製ブロー容器
KR200446283Y1 (ko) 세로접이선이 구비된 용기
JPH11130035A (ja) 薄肉容器
JP7651932B2 (ja) 合成樹脂製容器
JP3608420B2 (ja) プラスチック製容器
CN105793161A (zh) 具有偏置型水平肋和面板的耐真空容器
US20070125740A1 (en) Detachable containers
JP4894034B2 (ja) 角形樹脂製容器
JP2008030843A (ja) 氷結用容器
CN206579978U (zh) 隔热一次性塑料瓶
JP2007039109A (ja) 飲料用ボトル容器
JP7567198B2 (ja) 合成樹脂製容器
JP5353959B2 (ja) 把手付容器
JPH012260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2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121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5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