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413Y1 - Handle for sliding door - Google Patents
Handle for sliding do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0413Y1 KR200460413Y1 KR2020110006576U KR20110006576U KR200460413Y1 KR 200460413 Y1 KR200460413 Y1 KR 200460413Y1 KR 2020110006576 U KR2020110006576 U KR 2020110006576U KR 20110006576 U KR20110006576 U KR 20110006576U KR 200460413 Y1 KR200460413 Y1 KR 20046041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joint
- support
- base
- sliding do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abstract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는 도어의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레버가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에 있어서, 일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와 일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레버에 고정되는 조인트와, 상기 조인트의 타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라운드가 형성된 회전유닛 및, 상기 라운드에 고정되어 도어의 잠금장치에 연결되는 연결바를 포함하며, 상기 라운드는 조인트의 타측 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베이스의 관통공 주변에 밀착 지지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조인트와 라운드의 결합부에서 마모와 파손 및 핸들의 흔들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door handle, the sliding door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iding door handle formed with a lever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locking device of the door,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on one side, The base and one end of which the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base and fixed to the lever, and integrally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joi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A rotating unit having a close support round and a connecting bar fixed to the round and connected to a locking device of the door, wherein the round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joint to be closely supported around the through hole of the base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support. Thereby, the handle for the sliding door which can prevent abrasion and abrasion, and shaking of a handle in the joint part of a joint and a round is provided.
Description
본 고안은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잠금장치가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조인트와 라운드를 일체로 형성하여, 조인트와 라운드의 결합부에서 마모에 따른 핸들의 흔들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for a sliding door, and more specifically, to form a joint and round integrally coupled so that the locking device is rotated, which can prevent the shaking of the handle due to wear at the joint of the joint and round A sliding door handle.
일반적으로 거실이나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문은 사용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대부분 미닫이타입이 사용되고 있으며, 미닫이타입의 문은 옆 방향으로 밀어서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것이다.Generally, doors installed in living rooms or verandas are mostly used for sliding typ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use space, and sliding type doors can be opened or closed by sliding sideways.
미닫이 타입의 문은 별도의 잠금장치(예:크리센트)와 잠금장치에 연결된 작동레버가 구비되어, 문을 닫으면 잠금장치가 작동되고, 문을 열기 위해 작동레버를 잡아 당기면 잠금장치가 해제되었다.The sliding type door has a separate locking device (e.g., a crescent) and an operating lever connected to the locking device. When the door is closed, the locking device is activated, and the locking device is released by pulling the operating lever to open the door.
이때, 손쉽게 문을 여닫기 위해 작동레버와 연결되어 문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잠금장치가 사용되었고, 대형 문의 경우에도 잠금장치의 회동에 따라 잠금장치가 잠금 및 잠금해제 되도록 하기 위해 레버형의 잠금장치가 사용되었다.At this time, the lock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lever and installed on the door frame for easy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In the case of large doors, the lever type locking device is used to lock and unlock the lock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ocking device. It became.
상기 레버형 잠금장치를 통해 문을 닫기 위해 레버를 잡고 힘을 가하면 레버가 회동하지 않는 상태로 문에 힘이 전달되어 닫히게 된다. 문을 열기 위해 레버를 열고자 하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시키면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되고, 레버가 회동된 상태에서 문이 열리는 방향으로 당기면 문이 열리게 된다.When the lever is applied to the door to close the door through the lever-type locking device, th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door in a state in which the lever does not rotate, and is closed. When a predetermined angle is rotated in the direction to open the lever to open the door, the lock is released, and the door is opened by pull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with the lever rotat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인트(200)의 일측은 바디(100)의 상부면에서 레버(400)와 결합되었고, 바디(100)에 관통 삽입된 조인트(200)의 타측은 바디의 저면에 지지되는 라운드(300)와 결합되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door hand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ferring to FIG. 1, one side of the
이때, 라운드(300)에는 레버(400)의 회전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500)가 삽입되는 안착홈(600)이 형성되었다.At this time, the
하지만, 레버(400)의 작동에 따라 연동되는 조인트(200)와 라운드(300)의 결합면에서 유격이 발생하여 레버(400)가 흔들거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lay occurs in the coupling surface of the
또한, 바디(100)에 지지되는 라운드(300)에는 안착홈(600)이 형성되므로 바디(100)와 레버(400)의 회전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실질적으로 지지하는 것은 라운드(300)의 테두리부분의 상면이었으며, 테두리부분의 상면으로만 바디(100)를 지지함에 따라 좁은 면적에 큰 힘이 작용하게 되어 라운드(300)의 마모, 파손 및, 레버의 흔들거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버의 회전시 레버의 흔들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o provide a sliding door handle that can prevent the lever shake when the lever is rotated.
또한, 부품수를 줄여 조립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o provide a sliding door handle that can reduce the number of parts to shorten the assembly process.
또한, 레버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라운드의 마모를 줄이고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force applied to the lever is distributed to support the sliding door handle that can reduce the wear of the round and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도어의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레버가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에 있어서, 일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와 일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레버에 고정되는 조인트와, 상기 조인트의 타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라운드가 형성된 회전유닛 및, 상기 라운드에 고정되어 도어의 잠금장치에 연결되는 연결바를 포함하며, 상기 라운드는 조인트의 타측 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베이스의 관통공 주변에 밀착 지지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andle for the sliding door is formed a lever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locking device of the door,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base is formed with a through-hole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on the other side; A rotating unit having one en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base and fixed to the lever, and a round unit formed integrally with the other end of the joint to be tightly support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space; And a connecting bar fixed to the round and connected to the locking device of the door, wherein the round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joint, the first supporting part being tightly supported around the through hole of the base, and disposed outside the first supporting part. The handle for sliding do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support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Is achieved by.
여기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단부가 제2지지부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는 관통공의 하단부 테두리에 상기 제1지지부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걸림홈에 밀착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so that the upper end portion is formed higher than the second support portion, the base is formed in the lower edge of the bottom end of the through hole is formed with the engaging groove for receiving the upper end portion,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It is preferable to be closely attached to the locking groove.
또한,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사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일단부가 베이스측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회전유닛측에 지지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레버의 회동이 탄성복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seating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supported on the base side and the other end supported on the rotating unit side is installed in the seating groove so that rotation of the lever is elastic. It is desirable to allow for restoration.
또한, 상기 조인트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함몰되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가 삽입되는 레버의 삽입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요홈부와 대응하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와 상기 조인트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joint is formed in the groove recess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of the lever in which the joint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concave-convex corresponding to the groove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lever and the joint. Do.
또한, 상기 관통공의 상단부에는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레버의 하면에 밀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through hole is preferably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ever.
본 고안에 따르면, 레버의 회전시 레버의 흔들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liding door handle that can prevent the lever from shaking when the lever is rotated.
또한, 부품수를 줄여 조립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가 제공된다.In addition, a sliding door handle that can reduce the number of parts to shorten the assembly process is provided.
또한, 레버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라운드의 마모를 줄이고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sliding door handle that can reduce the wear of the round and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by allowing the force applied to the lever to be distributed and support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대한 회전유닛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대한 작용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door hand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 rotating unit for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unctional diagram for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embodiments,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do.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handle for a sliding do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대한 회전유닛(20)의 확대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는 크게 베이스(10), 회전유닛(20), 연결바(30) 및, 레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o 4, the handle for the sliding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베이스(10)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1)과, 수용공간(11)의 일측에 베이스(10)의 내측면과 외측면이 관통되는 관통공(12)과, 관통공(12)의 상단부에서 레버(40)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13)와, 수용공간(11)에서 관통공(12)의 하단부 테두리에 함몰되는 걸림홈(14)이 포함된다.The
회전유닛(20)은 수용공간(11)에서 관통공(12)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조인트(21)와, 조인트(21)보다 큰 직경으로 조인트(21)와 일체로 형성되며 수용공간(11)에서 베이스(10)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라운드(22)가 포함된다.The rotating
여기서, 조인트(21)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함몰되는 요홈부(23)가 형성된다.Here, the
또한, 라운드(22)는 조인트(21)의 하단부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지지부(24)와, 제1지지부(24)를 감싸는 제2지지부(25)와, 제1지지부(24)와 제2지지부(25) 사이의 상면에서 함몰되는 안착홈(26)과, 중앙에 연결바(30)이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고정홈이 포함된다.In addition, the
아울러, 제1지지부(24)는 걸림홈(14)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제2지지부(25)보다 높게 형성되며, 안착홈(26)에는 일측이 베이스(10)측에 지지되고 타측이 회전유닛(20)측에 지지되어 회전유닛(20)의 회전이 탄성복원되도록 하는 탄성부재(T)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연결바(30)는 일측이 라운드(22)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측이 도어의 잠금장치에 연결된다.The
레버(40)는 사용자가 잠금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레버(40) 일측에는 조인트(21)가 삽입되는 삽입공(41)이 형성되고, 삽입공(41)의 내측면에는 요홈부(23)와 대응되는 요철부(42)가 형성되어 레버(40)와 조인트(21)가 끼움결합됨으로써 레버(40)와 연동하여 회전유닛(20)이 회전된다.The
이때, 레버(40)가 조인트(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B)가 레버(40)의 일측을 관통하여 조인트(21)에 고정된다.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지금부터는 상술한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liding door handle described above will now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레버(40)의 하부에는 베이스(10)가 배치되고, 베이스(10)의 수용공간(11)에는 회전유닛(20)이 배치된다.Figure 5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여기서, 회전유닛(20)의 조인트(21) 상단부는 수용공간(11)에서 관통공(12)을 통해 베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고, 조인트(21)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라운드(22)의 상부면은 수용공간(11)에서 베이스(10)의 내측면에 지지되며, 베이스(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조인트(21)의 상단부는 레버(40)와 결합된다.Here, the upper end of the
이때, 레버(40)의 내주면에는 조인트(21) 외주면의 요홈부(23)와 대응되는 요철부(42)를 통해 레버(40)와 조인트(21)가 끼움결합되므로, 레버(40)의 회전력을 조인트(21)로 전달하여 레버(40)와 회전유닛(20)이 연동하는 것이 가능하다.At this time, since the
또한, 조인트(21)와 끼움결합된 레버(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버(40)와 조인트(21)는 체결부재(B)로 고정된다.In addition, the
상기한 레버(40)와 조인트(21)의 결합에 있어서, 레버(40)의 하부면은 돌출부(13)의 상부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며, 레버(40)와 돌출부(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마찰방지부재가 설치되어 레버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combination of the
한편, 수용공간(11)에서 베이스(10)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라운드(22)는 제1지지부(24a)가 베이스(10)의 관통공(12) 내주면에서 걸림홈(14)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되고, 제2지지부(25a)의 상부면이 제1지지부(24a)의 외측에서 베이스(10)의 내측면에 지지된다.Meanwhile,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라운드(22)의 접촉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지지력이 향상된다. 또한, 제1지지부(24)와 제2지지부(25)에 의해 레버(40)의 회전에 따른 하중이 분산 지지됨으로써 라운드(22)의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s the contact area of the
또한, 제1지지부(24a)가 걸림홈(14)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되므로, 베이스(10)의 내측면을 평면 상태에서 지지할 때보다 레버(40)와 회전유닛(20)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어 레버(40)에 결합된 회전유닛(20)이 임의로 유동되어 흔들거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support part 24a is suppor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locking
이때, 안착홈(26)에는 토션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T)가 설치되며, 탄성부재(T)의 일단부는 베이스(10)측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회전유닛(20)측에 지지되어 레버(40)의 회동을 탄성복원되도록 함으로써, 레버(40)가 작동 전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mounting
여기서, 테두리부(25)에는 외주면 일측에서 돌출되는 돌출편(27)이 형성되며, 베이스(10)의 양측면에 돌출형성되어 돌출편(27)을 지지하는 스토퍼(28)와, 돌출편과 스토퍼 사이에 개재되도록 수용공간(11)에 지지편(29)이 설치되어 회전유닛(20)의 회전방향이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한편, 연결바(30)는 수용공간(11) 개구측에서 삽입공(29)에 밀착되도록 삽입되며, 레버(40)의 회전에 따라 도어의 잠금장치가 작동되도록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대한 작용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10)는 상부에 레버(40)가 결합되고 수용공간(11)에 회전유닛(20)과 연결바(30)가 결합되어 도어의 일측에 설치된다. 6 is a functional diagram for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이때,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잠금장치가 잠김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며, 닫혀있는 문을 열기 위해 레버(40)를 열고자 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레버(40)와 연동하여 회전유닛(20)과 연결바(30)가 회전되므로, 연결바(30)와 연결된 잠금장치가 해제된다.At this time, when the door is closed, the locking device is set to the locked state, and when the
여기서, 도어가 잠금해제된 상태에서, 즉 레버(40)가 회전된 상태에서 레버(40)를 여는 방향으로 당기면 회전유닛(20)의 돌출편(27)이 스토퍼(28)에 지지되어 손쉽게 도어를 여는 것이 가능하다.Here, when the door is unlocked, that is, when the
이때, 레버(40)에 전달된 힘은 제1지지부(24a)와 제2지지부(25a)를 통해 분산 지지되고 제1지지부(24a)는 걸림홈(14)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레버(40)를 회전시 흔들거리는 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라운드(22)의 균열 및 파손이 방지된다.At this time, since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이후 문이 열린 상태에서 레버(40)를 놓으면 탄성부재(T)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레버(40)가 작동 전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After the
반면, 도어를 닫기 위해 레버(40)를 닫는 방향으로 미는 경우 돌출편(27)이 지지편(29)에 지지되므로 레버(40)의 회전없이 손쉽게 슬라이딩 도어를 닫는 것이 가능하며, 도어가 닫힘에 따라 잠금장치가 작동되어 잠김 상태가 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appended claims.
10:베이스, 11:수용공간, 12:관통공, 13:돌출부, 14:걸림홈,
20:회전유닛, 21:조인트, 22:라운드, 23:요홈부, 24:제1지지부,
25:제2지지부, 26:안착홈, 27:돌출편, 28:스토퍼, 29:지지편,
30:연결바, 40:레버, 41:삽입공, 42:요철부, B:체결부재,
T:탄성부재,10: base, 11: accommodation space, 12: through hole, 13: protrusion, 14: locking groove,
20: rotary unit, 21: joint, 22: round, 23: groove, 24: first support,
25: 2nd support part, 26: seating groove, 27: protrusion piece, 28: stopper, 29: support piece,
30: connecting bar, 40: lever, 41: insertion hole, 42: uneven portion, B: fastening member,
T: elastic member,
Claims (5)
일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
일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레버에 고정되는 조인트와, 상기 조인트의 타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라운드가 형성된 회전유닛; 및,
상기 라운드의 중앙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결합하여 도어의 잠금장치에 연결되는 연결바;를 포함하며,
상기 라운드는 조인트의 타측 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베이스의 관통공 주변에 밀착 지지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에는 일단부가 베이스측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회전유닛측에 지지되어 상기 레버를 잠금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In the handle for the sliding door is formed a lever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lock of the door,
A base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at one side and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at the other side;
A rotating unit having one en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base and fixed to the lever, and a round unit integrally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joint to be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nd a connection bar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ound and connected to the locking device of the door.
The roun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join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through the perforated hole of the base, the second support is disposed outside the first support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and It includes a mounting groove formed between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And a resilient member having one end supported on the base side and the other end supported on the rotation unit side to elastically support the lever in a locked position.
상기 제1지지부는 상단부가 제2지지부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는 관통공의 하단부 테두리에 상기 제1지지부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걸림홈에 밀착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so that the upper end portion is formed higher than the second support portion, the base is formed in the lower edge of the through hole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the engaging groove Sliding door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close to.
상기 조인트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함몰되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가 삽입되는 레버의 삽입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요홈부와 대응하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상기 레버와 상기 조인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joint is formed in the groove recess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of the lever into which the joint is inserted is formed with a concave-convex corresponding to the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ver and the joint is coupled Handle for sliding door.
상기 관통공의 상단부에는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레버의 하면에 밀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Sliding door hand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through hole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ev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6576U KR200460413Y1 (en) | 2011-07-20 | 2011-07-20 | Handle for sliding do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6576U KR200460413Y1 (en) | 2011-07-20 | 2011-07-20 | Handle for sliding do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0413Y1 true KR200460413Y1 (en) | 2012-05-24 |
Family
ID=46607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6576U Expired - Lifetime KR200460413Y1 (en) | 2011-07-20 | 2011-07-20 | Handle for sliding do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0413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9444Y1 (en) | 2018-01-30 | 2019-06-18 | (주)에스알 | Handle used for sliding doo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3876Y1 (en) * | 2006-01-27 | 2006-04-11 | 이판대 | Handle structure of window automatic locking device |
-
2011
- 2011-07-20 KR KR2020110006576U patent/KR200460413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3876Y1 (en) * | 2006-01-27 | 2006-04-11 | 이판대 | Handle structure of window automatic locking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9444Y1 (en) | 2018-01-30 | 2019-06-18 | (주)에스알 | Handle used for sliding do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8737366U (en) | Bolt lock structure and server with bolt lock structure | |
TWI417126B (en) | Vehicle toy | |
KR101252818B1 (en) | Locking device for sliding door | |
KR101012497B1 (en) | Automatic window lock | |
CN102936982A (en) | Case latch assembly | |
CN105863409B (en) | The inside door handle package assembly of vehicle | |
KR200460413Y1 (en) | Handle for sliding door | |
US9523220B2 (en) | Door outside handle for vehicle | |
KR101206056B1 (en) | Inbody of digital door lock | |
KR100911950B1 (en) | Automatic door lock | |
KR102076141B1 (en) | Lockless handle assembly with automatic locking and unlocking | |
KR200489444Y1 (en) | Handle used for sliding door | |
KR100720192B1 (en) | Door lock | |
KR101823359B1 (en) | Vibration-responsive automatic locking apparatus and furniture comprising the same | |
KR101791331B1 (en) | Handle for sliding doors and windows | |
JP2006169958A (en) | Earthquake resistant lock device | |
KR200484813Y1 (en) | Handle for locking device of sliding windows | |
KR200480546Y1 (en) | Handle used for sliding door | |
KR101683129B1 (en) | Window locking unit for windows and doors | |
KR200460414Y1 (en) | Handle for sliding door | |
KR200452695Y1 (en) | Cabinet lock | |
KR101550944B1 (en) | Outside handle for vehicle with sliding door mounted | |
US20060185406A1 (en) | Locking latch assembly | |
CN110886559A (en) | Vehicle door, vehicle door lock and control mechanism | |
KR101770042B1 (en) | Folding door knob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720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08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0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0106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4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205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51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2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