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9715Y1 - 덕트형 개집 공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덕트형 개집 공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715Y1
KR200459715Y1 KR2020070003144U KR20070003144U KR200459715Y1 KR 200459715 Y1 KR200459715 Y1 KR 200459715Y1 KR 2020070003144 U KR2020070003144 U KR 2020070003144U KR 20070003144 U KR20070003144 U KR 20070003144U KR 200459715 Y1 KR200459715 Y1 KR 200459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nnel
dogs
air
dog
p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581U (ko
Inventor
정명구
Original Assignee
정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구 filed Critical 정명구
Priority to KR2020070003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715Y1/ko
Publication of KR200800035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5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71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8Construction of air inlets or outlets in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3Cat or dog houses
    • A01K1/034Dog-ke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24F3/163Clean air work stations, i.e. selected areas within a space which filtered air is pas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5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active carb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기존의 개집은 폐쇄형이므로 외기와의 접촉이 순탄치 않아 그 내부가 견들의 배설물이나 기타 오물에 의하여 냄새가 나고 습도가 높아 비위생적인 경우가 많다. 이에 본 고안은 무게센서를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대에 개집 내부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덕트형 개집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무게센서를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대에 수시로 개집 내부의 공기를 정화시킴으로써 항상 쾌적하고 위생적인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개의 후각 능력을 최대한 활용해야 하는 특수견들(예를 들어, 마약탐지견, 군견의 추적견, 수색견 등)에게는 보다 극대화된 효과가 발생한다.
개집, 공조 시스템

Description

덕트형 개집 공조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for Dog Hous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덕트형 개집 공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흡입펜
200: 공기청정기
300: 자외선 살균기
400: 숯방
500: 방출펜
600: 무게센서
한때 외국에서 주로 유행하던 애견문화가 한국에서도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동반견이란 개념이 다른 나라와는 조금 다른데, 예전 한국에서는 강아지를 묶어놓고 집을 지키도록 하는 목적으로 키웠거나 드물게는 식용견으로 생각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외국에서와 같이 애완견을 가족의 일원으로서 매우 중요한 존재로 여기며 동반동물, 애완동물로서 인식이 바뀌 어 가고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애견을 꾸며서 다니는 장난감처럼 여길 뿐, 하나의 생명체로서 존중하고 관심과 보살핌을 갖는 것을 무시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이는 아직까지는 한국의 애견문화가 다른 외국의 경우처럼 선진화되지는 않았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볼 때, 외국의 애견문화가 어느 정도의 수준까지 형성되어 있는지를 아는 것은 상당히 의미가 있는 일이다.
일본에서는 최근 애견들의 인기가 급증하면서 인간들이 즐기는 많은 것들을 견들도 함께 즐기고 있다. 온천을 즐기는 개들, 값비싼 옷을 입은 개들, 고급 음식을 제공하는 식당, 개들만을 위한 제과점 등 일본에서는 최근에 많이 보이는 것들이다. 전통식 일본 집들은 점점 더 서구화되어 가고 있다. 일본과 같이 신발을 집 밖에서 벗고 실내로 들어오는 문화가 발달한 나라에서 동물을 집안에서 키우는 것은 예전에는 상상도 못했을 것이다. 가족도 더욱 핵가족화 되어감에 따라 노부부들은 자식들과 따로 살면서 견들에게로 정을 돌리고 있다.
최근 오랜 경제 불황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는 일본인들에게 개들은 큰 안식처가 되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얘기한다. 최근 한 조사 결과에 의하면 대부분 견 주인들은 45세 이상으로 나왔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일본의 주거 형태가 변했고, 아파트들도 동물들에 대한 배려가 많아졌으며 견과 함께 산책할 수 있는 도심 속 공원도 많아졌다. 그리고 많은 식당들이 견을 데리고 오는 주인들을 위하여 견에게 물을 제공하기도 한다.
한편, 일본에서는 애완동물을 사랑하는 만큼 그에 따른 여러 가지 상품도 발달되고 또 새로운 것들이 나오고 있다. 그중 하나가 `애완동물 초상화" 이다. 정들었던 동물을 그림으로 간직하려는 사람들이 생겨나면서 초상화를 그리려 하고 있다. 심지어는 전시회까지 열어서 관심을 끌고 있다. 동물을 전문적으로 그리는 전업 화가군이 형성되고, 관련 산업도 성업 중이다. 이는 일부 유한계층의 호사스런 취미만은 아니다. 순수 화가들도 동물초상화 쪽에 손을 대기 시작했으며, 예술적 가치가 있다고 평가받는 작품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동물 초상화라는 분야가 하나의 미술 장르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과정이다.
미국은 공원뿐 아니라 모든 지역이 절대적으로 Off leash 지역과 아닌 지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대부분 끈을 하고 다녀야 하고 아닌 경우 벌금을 물어야 한다는 법규가 있다. 끈을 안 하고 다녔을 때 사고가 나면 전적으로 개 주인의 책임이니 모든 사람들이 지키는 편이다. Off leash 공원의 경우 보통 공원 전체가 강아지 전용공원이란 것은 아니고 조그만 구간을 담을 쌓아 강아지들이 뛰어놀 수 있게 만든 공간을 말한다. 이 공간 안에서 강아지들끼리 싸움이 벌어질 경우 쌍방에게 책임이 있다고 보며, 혹시 사납거나 거친 강아지인 경우 공원 관리 하에서 출입을 막을 수도 있다.
입마개 착용은 법으로 규제하지는 않지만, 사나운 강아지나 소란한 강아지는 주인들이 알아서 입마개를 착용하고 다니는 편이며 아이들이 다가올 경우 주인이 스스로 저지시킨다. 당연히 강아지 배변을 치우는 일도 거의 상식화 되어있고 집 주위나 산책로 등지에서 강아지 배설물과 마주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또한 미국인들은, 내가 키우는 강아지가 다른 사람에게 정답게 다가가려 하는 것도 주인이 먼저 막는 편이다. 애완견의 천국으로 불리는 미국에도 강아지를 싫어하는 사람들이 많으니까 그들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한 보편화된 행동이다.
미국은 강아지를 차안에 혼자 두게 되면 법에 저촉된다. 그런 모습이 다른 사람의 눈에 띄거나 경찰의 눈에 띄게 되면 $50정도의 벌금을 물게 된다. 주마다 약간씩의 차이가 있는데 애완견이 집에서 짖는 경우 이웃사람이 신고하게 되면 경찰이 찾아와 상황이 어떤지 살핀 후에 주인이 문제가 있어 그런 경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세 번까지 경고를 준다. 여러 민족이 공존하는 미국에서 시민권을 따기 전 음주 운전 등으로 세 번의 경고를 받으면 국외추방당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쫓겨나게 된다. 이처럼 선진 애견국으로 알려진 미국인들의 보편화되어 몸에 베어 있는 준법 습관은 우리가 보기에 나 아닌 남을 배려하는 아름다운 모습이다.
미국 아이오와주에 위치한 한 회사가 개발, 판매중인 ‘Dogone’은 애견의 방귀 냄새로 고통을 겪는 애견가들에게 꼭 필요한 제품이라고 한다. 기저귀 모양의 애견용 팬티는 숯 성분이 함유된 특수 섬유로 제작되어, ‘애견 방귀 냄새’를 말끔하게 걸러준다는 것. 또 꼬리 구멍이 달려있어 착용 시 아무런 불편도 없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방귀 냄새 중화 팬티’의 가격은 40개 들이 한 박스에 20달러(약 20,000원)인데, 애견이 아닌 ‘사람용 제품’도 판매 중에 있는 점도 눈길을 끈다.
미국은 소형견보다 대형견이 많기 때문에 애견 호텔 구조도 자연히 대형화해 객실형(2~3) 호텔이 많다. 영국처럼 다양하고 질 높은 서비스보다는 건강 위주의 실용적 서비스를 특징으로 하며 이용률도 영국보다 낮은 편이다.
싱가폴 더 스트레이츠 타임즈 (The Straits Times)에 의하면 난양공대생들은 애완동물이 입을 수 있는 재킷형식의 옷에 카메라를 장착해 주인이 집에 없을 때 그 옷을 입히도록 했다. 카메라를 통해 주인은 애완동물의 하루 생활과 행동을 컴퓨터로 확인 할 수 있다고 한다. 집주인이 강아지 또는 고양이가 불안해하거나 우울해 하면 컴퓨터를 통해 강아지, 고양이가 좋아하는 부분을 쓰다듬어주고, 그 쓰다듬는 행위는 애완동물이 입고 있는 재킷을 통해 강아지, 고양이한테 전해진다고 한다. 이렇게 원격으로 보듬어 주는 행위 및 관심이 스트레스 받고 있는 동물에게 도움이 된다고 한다.
애견선진국 프랑스의 거리에서는 변 봉투나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찾아볼 수가 없다. 이유는 도시마다 시에서 주관하는 환경 정책시스템 때문인데 도시마다 환경정책을 담당하는 부서에서 24시간 도시 구석구석의 애완견 주인들이 방치해놓은 강아지들의 배설물을 수거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치워주는 사람 따로 있으니 맘껏 방치해도 무관하다는 식의 방식이다.
영국도 개 천국이지만 프랑스를 따라가기에는 역부족이다. 슈퍼마켓, 식당 등 어디고 못 다니는 데가 없는 프랑스 견공들은 영국에서 답답증을 견디기 어려울 것이다. 영국 개들은 카페, 식당은 물론 몇몇 공원에도 ‘입장불가’다. 프랑스에는 흡연자를 사절하는 식당은 있어도 개를 사절하는 식당은 없다.
2백여 년 전 이미 군주제를 청산한 프랑스인들이지만 개에 관한 한 ‘명가’를 선호한다. 프랑스인들이 애완견 순종 혈통을 지키기 위해 들이는 공은 대단하다. 프랑스에서는 개가 태어나면 정부 기관에 신고해야 한다. 출생증명서는 개를 사고 팔 때 없어서는 안 될 서류다. 강아지들은 태어난 지 12~15개월이 되면 주인을 따라 심사관 앞에 출두해 순종인지 아닌지를 검사받아야 한다. 심사에 합격한 개는 농업장관이 주무하는 LOF(프랑스 태생 등기부)에 등록된다. LOF에 이름이 오르면 혈통을 인정받는다. 그래서 프랑스에서 잡종견은 18%수준이다.
프랑스와 독일에서는 도심의 좁은 공간을 이용, 개장을 차곡차곡 쌓아 놓은 밀집형 애견 호텔이 대부분이다. 특히 질박하고 검소한 것을 좋아하는 독일 국민들은 개 호텔을 이용하기보다는 손수 데리고 떠나거나 사정이 여의치 않을 경우 2~3일 가량은 아예 그냥 두고 떠나기 때문에 바캉스 철엔 애견용 자동 급식기 수요가 증가한다.
애견 선진국인 영국에서는 강아지 헌혈이 점차 보편화 되고 있다. 얼마 전, 영국 보스톤에 위치한 Angell 동물 병원에는 수십 마리의 강아지들이 헌혈을 하기 위해 몰려왔다. 헌혈 한 개의 피는 암 등의 난치병으로 고통 받고 있거나 교통사고 등을 당해 상해를 입은 다른 개들을 치료하는데 쓰이게 된다. 수의 진료 수준과 치료 기술이 날로 발전하면서, 이러한 동물 헌혈 및 수혈은 매우 당연한 일이 되어가 고 있다. 현재 Angell 동물병원에서만도 연간 1200여건의 헌/수혈이 발생하고 있다.
동물 헌/수혈이 보편화 되지 않은 한국에서는 매우 낯설게 느껴지지만, 사실 동물 헌혈은 애완동물들을 위해 매우 필요하며, 그 과정 또한 간단하고 안전하다. 또한 헌혈을 한 동물은 헌혈증서 같은 스카프와 함께 무료로 건강 검진, 각종 백신 접종, 심장 사상충 예방약 등을 제공 받으며, 만약 향후에 위급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우선적으로 수혈을 받을 수 있는 혜택이 부여된다. 헌혈을 원하는 강아지는, 먼저 동물병원에 예약 접수 한 후, 몇 가지 요구 사항이 충족 되는지 테스트를 거치는데, 테스트 내용은 나이, 몸무게, 건강 상태 등이다.
영국의 쇼핑몰 쿨스터프치프(Cool Stuff Cheap)는 최근 애완견이 쓸 수 있는 우산을 내놓아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이 제품을 사용하면 비가 오는 날에도 강아지를 데리고 밖에 나가 마음껏 운동을 하거나 산책을 할 수 있다. 이 우산은 손잡이가 위로 나와 애완견 주인이 잡도록 만들어져 있다. 우산의 아랫부분은 강아지의 목에 두르게 돼 있다. 우산의 손잡이는 물에 젖어도 잘 미끄러지지 않는 우레탄 재질이다. 우산은 탈 부착이 가능해 맑은 날에는 따로 보관해 놓으면 된다. 또 우산 위쪽은 투명한 비닐로 만들어져 있어 주인이 애완견의 모습을 볼 수 있게 돼있다. 물론 이 제품을 사용한다고 해도 애완견의 발과 배가 물에 젖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비 오는 날도 함께 산책을 할 수 있다는 것에 후한 점수를 줄 수 있는 제품이다.
영국은 동물학대로 인한 고발과 구속 사례가 잦을 만큼 세계 제 1의 동물 천 국으로 개 호텔 투숙객 만족도 역시 최고이다. 대부분 애견 호텔이 도심이 아닌 교외에 위치한 ‘전원주택형"으로 시설과 서비스 수준이 높다. 영국 북부 빈샐프시 교외에 위치한 한 애견호텔의 경우 각 객실이 개장이 아닌 방 형태로 되어 있어 견공 손님들의 자유 공간을 최대한 확보했는가 하면 TV, 놀이기구 등 문화시설도 갖추어져있다. 개를 위한 산책로도 따로 마련해 투숙객의 건강을 최대한 배려하고 있다. 일반 잡지책이나 전화번호부 등에도 개 호텔 광고가 버젓이 실릴 만큼 인식이 일반화됐지만 개 호텔 투숙은 생각보다 까다로운 편이다. 대부분 호텔에서 입실시 수의사가 발행한 병원 수첩이나 건강 진단을 의무적으로 요구할뿐더러 인기 있는 애견호텔의 경우 사철 예약객이 밀려 방 잡기가 힘들다.
네덜란드의 벨로박스 사가 만든 배설물 처리기의 이름은 ‘벨로박스’인데, 이 벨로박스를 쓰면 애완견과 산책할 때 배설물 때문에 난감해할 이유가 없다. 벨로박스는 뒷주머니에 꽂고 다니다가 필요할 때 조립해서 쓰면 된다. 접혀 있던 벨로박스를 펴서 동그랗게 만든 다음 애완견 배설물 위에 놓고 발로 살짝 밟아주면 손도 대지 않고 애완견 배설물을 들어 올릴 수 있다. 그 다음 통째로 휴지통에 버리면 그만이다. 벨로박스는 흙 속에서 분해 되는 재질의 종이와 토양을 오염시키지 않는 접착제로 만들어져 있어 그야말로 환경친화적인 제품이다.
전반적으로 태국사람들은 개가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기 전 단계에 있는 것으로 생각을 하고 있다. 모든 개들은 다음 생에 인간으로 태어난다고 하는 믿음 탓에 이들 태국인은 개들에게 아주 잘 대한다. 예를 들면, 한국의 경우 초대를 받아 다른 사람 집에서 식사를 하면 밥그릇을 말끔히 비워 잘 먹어주어야 좋은 대접을 했구나 하지만, 태국인의 경우, 밥을 조금 남겨야 한다. 이유는 남은 밥을 주인이 개(집에서 키우는 개 또는 길거리를 떠도는 개)에게 주어 덕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특히, 국민적으로 막대한 존경을 받고 있는 태국의 국왕과 왕비도 애견을 좋아하고 관련 산업을 육성 장려하고 있어서 태국에는 애견관련 박람회 등이 자주 열려서 일반인에게 볼거리를 많이 제공하고 있다.
태국 방콕의 한 수의사가 제대로 걷지 못하는 개들이 이용할 수 있는 휠체어를 만들어 주고 있다. 동물병원을 운영하고 있는 소와프럭스씨. 지난 20년 동안 천여마리 개들에게 몸 상태에 맞는 휠체어를 제작해 재활을 돕고 있다고 한다. 소와프럭스씨는 오래전 자신이 기르던 개가 크게 다치자 한 건축가의 도움으로 휠체어를 제작하게 되었다고 한다.
모스크바시(市)가 러시아에서는 처음으로 개와 고양이 등 가축용 묘지를 건설할 계획을 마련, 현재 투자자를 물색 중이라고 베도모스티지(紙)가 20일 보도했다. 유리 루즈코프 모스크바 시장이 총재로 있는 `신세계-500" 재단은 현재 화장터와 납골당 등을 갖춘 500만~1천만달러짜리 가축용 묘지를 건설할 계획이며, 이미 모스크바시로부터 3곳의 부지를 제안 받은 상태다.
중국에 중산층이 증가하면서 중국 대도시 시민들은 애완견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고 있다. 이슈팡씨는 1,800달러 순종 포메라니안을 구입하면서 비싼 음식에 명품의류를 입히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견용 backpack에 애완견을 등에 업고 다니기도 한다. 중국인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수입이 늘면서 많은 가족들이 애완견을 선호하기 시작했다. 견 용품 박람회 참석차 중국에 온 규삭씨는 향후 중국에서 인기가 있을 것들로 개 입 냄새 제거제, 자외선 차단제, 고양이 변비약 등을 꼽는다.
중국의 애견 시장 급증은 최근 일이다. 1990년대까지 애견을 키우는 것은 매우 부르주아적인 행위였고, 공식적으로도 그다지 권장 되는 일이 아니었다. 주인들은 등록비로 해마다 수백 달러를 내야하며 어떤 동물을 키울 수 있는지, 어디서 산책 시킬 수 있는지도 통제된다. 그리고 정부 당국에서는 많은 유기견들을 수시로 모아 안락사 시키곤 한다. 아직도 광견병이 존재하는 중국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애완견들을 위험 요소라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여러 규제가 서서히 완화되어가고 있다. 정부 공식 발표 자료에 의하면 북경의 10가구당 1가구가 애완견을 키운다고 한다. 개 또는 다른 애완동물들은 특히 노인들에게 인기가 좋다. 중국의 1가구 1자녀 출산 정책에 따른 파급 효과로 볼 수 있다.
한국에서는 강아지의 생활환경, 사회적응 교육, 오비디언스(복종) 훈련, 프리즈비, 그리고 어질리티와 같은 활동이 아직 걸음마 수준이며, 이런 부분의 활성 화가 중요하다.
특히, 한국은 개의 거주 공간(개집)이 매우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개 관점에서의 편의성을 고려한 예를 찾아보기 힘들며, 더불어 인간이 개집을 관리하는 측면에서 볼 때에도 위생 면이나 효율성 면에서 아주 낙후된 수준임을 부정할 수 없다. 따라서, 보다 성숙하고 발전된 애견문화를 한국에 정착시키기 위하여 애견문화의 가장 기본적이고 본질적인 요소라고 볼 수 있는 개집의 선진화에 박차를 가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기존의 개집은 폐쇄형이므로 외기와의 접촉이 순탄치 않아 그 내부가 견들의 배설물이나 기타 오물에 의하여 냄새가 나고 습도가 높아 비위생적인 경우가 많다. 이에 본 고안은 무게센서를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대에 개집 내부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덕트형 개집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 내용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개집의 천정부에 설치되어 원하는 시간대에 개집 내부의 공기를 정화시킴으로써 항상 쾌적하고 위생적인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덕트형 개집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개집 내부의 공기 를 빨아들이는 흡입펜(100); 상기 흡입펜(100)의 측면에 연이어서 설치되며 상기 흡입펜(100)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여 통과시키는 공기청정기(200); 상기 공기청정기(200)의 측면에 연이어서 설치되며 상기 공기청정기(200)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를 다시 살균 처리하는 자외선 살균기(300); 상기 자외선 살균기(300)의 측면에 연이어서 설치되며 몸체 내부에 수납된 숯을 이용하여 상기 자외선 살균기(300)에 의하여 살균된 공기를 최종적으로 항균/탈취/제습하여 통과시키는 숯방(400); 상기 숯방(400)의 측면에 연이어서 설치되며 상기 숯방(400)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항균/탈취/제습된 공기를 다시 개집 내부로 방출하는 방출펜(500); 및 개집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펜(100) 및 방출펜(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개집 내부의 무게 변화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여 이에 따라 상기 흡입펜(100) 및 방출펜(500)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무게센서(600)를 포함하는 덕트형 개집 공조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 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개집의 천정부에 설치되어 원하는 시간대에 개집 내부의 공기를 정화시킴으로써 항상 쾌적하고 위생적인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덕트형 개집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덕트형 개집 공조 시스템은 흡입펜(100), 공기청정기(200), 자외선 살균기(300), 숯방(400), 방출펜(500)이 덕트 내에 순서대로 연이어 연결되어 있어, 개집 내부의 공기가 흡입펜(100)으로 들어가서 방출펜(500)으로부터 나오는 과정을 거치면서 정화된다.
흡입펜(100)은 프로펠러의 회전압력을 이용하여 개집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이며, 방출펜(500)은 프로펠러의 회전압력을 이용하여 개집 내부로 공기를 방출하게 된다. 흡입펜(100)과 방출펜(500)의 프로펠러의 회전력은 서로 같으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이러한 흡입펜(100) 및 방출펜(500)은 개집 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소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구동시 견들이 신경 쓰지 않도록 소음이 없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입펜(100) 및 방출펜(500)은 무게센서(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무게센서(600)는 개집 내부의 무게 변화에 따른 신호를 흡입펜(100) 및 방출펜(500)으로 전송하여 이에 따라 흡입펜(100) 및 방출펜(500)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시스템 관리자는 개가 개집 안으로 들어와 개집 내부의 무게가 증가하면 흡입펜(100) 및 방출펜(500)이 작동하도록 세팅할 수도 있고, 반대로 개가 개집 밖으로 나가서 개집 내부의 무게가 감소하면 흡입펜(100) 및 방출펜(500)이 작동하 도록 세팅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게센서(600)는 개집 바닥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청정기(200)는 흡입펜(100)의 측면에 연이어서 설치되며, 흡입펜(100)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여 통과시키는 기능을 한다. 공기청정기(20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기청정기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공기청정기(200)는 필터에 의해 개집 내의 더러워진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세균류를 집진(集塵)하여 체취하거나 냄새를 탈취한다. 이와 더불어 오염 때문에 감소된 음(陰)이온을 이온발생기에 의해 회복시키기도 한다.
자외선 살균기(300)는 공기청정기(200)의 측면에 연이어서 설치되며, 공기청정기(200)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에 다시 자외선을 방사하여 살균 처리하게 된다.
자외선(10~400 나노미터)은 가시광선(380~770 나노미터)보다 파장이 짧으며, 254 나노미터 정도의 파장에서 모든 미생물과 접촉하여 세균을 살균시키는 독특한 기능을 갖는다. 자외선이 세균을 살균할 수 있는 것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효모, 곰팡이, 조류의 외부 세포막을 관통하기 때문이다. 특히 세균이 생존하고 증식하는데 필요한 DNA를 무력화하고 충격을 가해 파괴시킨다. 약품, 가열 등 자외선 이외에 다양한 살균방법이 있지만, 자외선 살균이 인기를 끌고 있는 이유는 인체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을 뿐 아니라, 가열과 같이 번거롭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모든 종류의 세균 및 곰팡이류에 대해 99.7%이상의 강력한 살균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을 정도로 효과가 좋을 뿐 아니라 전기도 많이 들지 않는다.
숯방(400)은 자외선 살균기(300)의 측면에 연이어서 설치되며, 내부에는 숯 을 수납하고 있다. 숯방(400)은 숯을 이용하여 자외선 살균기(300)에 의하여 살균된 공기를 최종적으로 항균/탈취/제습하게 된다. 숯방(400)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항균/탈취/제습된 공기는 방출펜(500)에 의하여 다시 개집 내부로 방출된다. 이러한 순환 과정을 통하여 개집 내부의 공기는 말끔하게 정화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무게센서를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대에 수시로 개집 내부의 공기를 정화시킴으로써 항상 쾌적하고 위생적인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개의 후각 능력을 최대한 활용해야 하는 특수견들(예를 들어, 마약탐지견, 군견의 추적견, 수색견 등)에게는 보다 극대화된 효과가 발생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무게센서를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대에 수시로 개집 내부의 공기를 정화시킴으로써 항상 쾌적하고 위생적인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개의 후각 능력을 최대한 활용해야 하는 특수견들(예를 들어, 마약탐지견, 군견의 추적견, 수색견 등)에게는 보다 극대화된 효과가 발생한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Claims (1)

  1. 개집의 천정부에 설치되어 원하는 시간대에 개집 내부의 공기를 정화시킴으로써 항상 쾌적하고 위생적인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덕트형 개집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개집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펜(100); 상기 흡입펜(100)의 측면에 연이어서 설치되며 상기 흡입펜(100)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여 통과시키는 공기청정기(200); 상기 공기청정기(200)의 측면에 연이어서 설치되며 상기 공기청정기(200)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를 다시 살균 처리하는 자외선 살균기(300); 상기 자외선 살균기(300)의 측면에 연이어서 설치되며 몸체 내부에 수납된 숯을 이용하여 상기 자외선 살균기(300)에 의하여 살균된 공기를 최종적으로 항균/탈취/제습하여 통과시키는 숯방(400); 상기 숯방(400)의 측면에 연이어서 설치되며 상기 숯방(400)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항균/탈취/제습된 공기를 다시 개집 내부로 방출하는 방출펜(500); 및 개집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펜(100) 및 방출펜(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개집 내부의 무게 변화에 따른 신호를 전송하여 이에 따라 상기 흡입펜(100) 및 방출펜(500)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무게센서(600)를 포함하는 덕트형 개집 공조 시스템.
KR2020070003144U 2007-02-23 2007-02-23 덕트형 개집 공조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2004597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144U KR200459715Y1 (ko) 2007-02-23 2007-02-23 덕트형 개집 공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144U KR200459715Y1 (ko) 2007-02-23 2007-02-23 덕트형 개집 공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581U KR20080003581U (ko) 2008-08-27
KR200459715Y1 true KR200459715Y1 (ko) 2012-04-12

Family

ID=4149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144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9715Y1 (ko) 2007-02-23 2007-02-23 덕트형 개집 공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71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5387A (ko) * 2014-11-08 2016-05-18 최유필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
KR20160003287U (ko) * 2015-03-16 2016-09-27 주식회사 삼안 반려동물 하우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4216A (ja) 1998-04-17 1999-11-05 Jettaa:Kk 空調装置
JP2001170144A (ja) 1999-12-17 2001-06-26 Fujii Kinzoku Kako Kk 小型多機能空気清浄器
KR20040083133A (ko) * 2003-03-21 2004-10-01 박진수 애견집의 살균·탈취기
KR20050093674A (ko) * 2004-03-17 2005-09-23 김문식 패널조립형 공기정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4216A (ja) 1998-04-17 1999-11-05 Jettaa:Kk 空調装置
JP2001170144A (ja) 1999-12-17 2001-06-26 Fujii Kinzoku Kako Kk 小型多機能空気清浄器
KR20040083133A (ko) * 2003-03-21 2004-10-01 박진수 애견집의 살균·탈취기
KR20050093674A (ko) * 2004-03-17 2005-09-23 김문식 패널조립형 공기정화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5387A (ko) * 2014-11-08 2016-05-18 최유필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
KR101636009B1 (ko) * 2014-11-08 2016-07-04 최유필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
KR20160003287U (ko) * 2015-03-16 2016-09-27 주식회사 삼안 반려동물 하우스
KR200481790Y1 (ko) * 2015-03-16 2016-11-10 주식회사 페트롬 반려동물 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581U (ko) 200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porte History of shit
KR200459715Y1 (ko) 덕트형 개집 공조 시스템
KR200459656Y1 (ko) 덕트형 개집 공조 시스템
Miller et al. Housing, husbandry, and behavior of dogs in animal shelters
Curtis The dangers of dirt: household hygiene and health
KR200467701Y1 (ko) 좌우 확장형 개집
KR200467698Y1 (ko) 수납형 숯방을 갖춘 개집
KR200459716Y1 (ko) 확장형 지붕을 갖는 개집
KR20080003571U (ko) 수납용 서랍을 갖춘 개집
KR200467699Y1 (ko) 숯 내장 벽체를 갖는 개집
KR20080003641U (ko) 다목적 공간을 갖는 개집
KR200459658Y1 (ko) 견사 정화 시스템
KR200467700Y1 (ko) 조립용 개집 울타리
KR200467702Y1 (ko) 상하 확장형 개집
KR20100071229A (ko) 개에게 자동으로 담요를 덮어주는 개집
Margolies Vagueness gridlocked: a map of the smells of New York
KR20070000941U (ko) 다층구조의 개집
KR20100071469A (ko) 자동 냉방장치를 구비한 개집
KR20080003582U (ko) 태양열을 이용한 다목적 개집
KR20080003579U (ko) 개폐식 구조를 갖는 개집
KR20100071499A (ko) 자동 난방시스템을 갖춘 개집
Weismann Scents and Sensibilities: Interwar Lublin's Courtyards
KR20080003574U (ko) 옥돌바닥을 갖는 개집
KR20080003577U (ko) 회전형 개집 출입문
Mareci-Sabol CHANGE YOUR HABITS! HEALTH AND HYGIENE ISSUES IN BUKOVINA DURING THE 19TH CENTU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223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2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3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4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603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