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9516Y1 - 다목적 와인캐리어 - Google Patents

다목적 와인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516Y1
KR200459516Y1 KR2020090004085U KR20090004085U KR200459516Y1 KR 200459516 Y1 KR200459516 Y1 KR 200459516Y1 KR 2020090004085 U KR2020090004085 U KR 2020090004085U KR 20090004085 U KR20090004085 U KR 20090004085U KR 200459516 Y1 KR200459516 Y1 KR 2004595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wine
wine bottle
seating
bott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0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151U (ko
Inventor
유민수
Original Assignee
제이윌컴퍼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윌컴퍼니(주) filed Critical 제이윌컴퍼니(주)
Priority to KR20200900040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516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1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1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5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51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03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 B65D71/0029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formed by folding one blank so as to form a tubular element in which the upper wall is provided with openings through which the articles extend partially
    • B65D71/0033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formed by folding one blank so as to form a tubular element in which the upper wall is provided with openings through which the articles extend partially with parts of the walls bent against one another so as to form a longitudinal partition for two rows of articles
    • B65D71/0037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formed by folding one blank so as to form a tubular element in which the upper wall is provided with openings through which the articles extend partially with parts of the walls bent against one another so as to form a longitudinal partition for two rows of articles with additional locating elements for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246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432Handles or suspending means
    • B65D2571/00493Handles or suspending means attached to the wrap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인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와인병의 하부가 담겨지고, 상부가 고정되면서, 와인병의 중간부분이 외부에서 보여질 수 있도록 하여, 와인병이 상품 진열대에 놓여도 효과적으로 와인병의 상품명, 설명 등을 용이하게 볼 수 있어 광고의 효과가 있으며, 또한 그대로 운반이 가능하도록 하여 광고, 운반,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목적 와인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와인병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와인안착공간(101)이 형성된 와인병담체부(10); 상기 와인병담체부(10)의 양측에 양 끝단이 결합되어 상향으로 마련되는 손잡이(20); 상기 손잡이(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와인병 상부가 지지되도록 하는 상부지지부(30)가 구비되어, 상기 와인병담체부(10)와 상기 상부지지부(30) 사이로 와인병의 중앙부분이 보여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와인, 와인포장, 와인캐리어, 손잡이

Description

다목적 와인캐리어{WINE'S CUTIE CARRIER}
본 고안은 와인병을 보관하거나 운반하기 위한 와인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인병담체부, 와인병담체부와 연결된 손잡이, 손잡이의 내측 상부측에 구성된 상부지지부로 되어 와인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운반시에 와인병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운반 후 심플한 외관에 의해 와인병을 외측에서 볼 수 있으면서 보관도 용이하도록 하는 다목적 와인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인병에 담겨진 와인은 저가로 판매되는 저가용과 고가로 판매되는 고가용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저가용의 경우 가정에서 많이 음용하는 용도로 판매가 이루어지고, 고가용의 경우에는 가정에서의 음용보다는 주로 지인 등에 선물 용도로 판매되고 있다.
이 중, 선물 용도로 많이 판매되고 있는 고가용 와인이 담겨진 와인병의 경우, 와인이 가격에 맞도록 화려한 포장박스에 담겨져 진열되거나 또는 판매가 이루 어지고 있으며, 종래 와인병 포장박스는 일면이 개구되며 와인병이 수납되는 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박스와, 상기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진열 시에는 와인병이 보이도록 박스를 분리한 상태에서 와인병만을 진열을 하였고, 소비자가 와인을 구매하면 따로 보관하고 있던 박스를 찾아 박스에 와인병을 넣고 개구부를 닫은 후 별도의 포장 끈으로 포장박스를 묶어서 소비자에게 판매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와인병 포장박스는 박스와 와인병이 분리된 상태에서 와인병만 진열하고 있음에 따라, 박스를 보관하는 장소가 별도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박스가 별도로 보관됨으로 박스를 분실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였다.
그리고 와인 구매 시에 따로 보관된 박스를 찾아 박스의 포장을 완료하고, 별도의 포장 끈으로 마무리를 해야하므로 신속하게 판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신속하게 판매하지 못하므로 다수의 소비자가 동시에 와인을 구매하면 구매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가중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간혹 포장박스에 와인병이 넣어진 상태에서 진열되기도 하나, 와인병 전체를 소비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으며, 와인병 전체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포장박스로부터 와인병을 꺼내야 하기 때문에, 꺼내는 도중에 와인병이 떨어지거나 또는 포장박스의 포장상태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와인캐리어는, 와인병의 하부가 지지되는 와인병담체부, 와인병담체부의 양측면에 연결되는 손잡이, 손잡이의 상부 내측에 위치되어 와인병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부에 의해 와인병이 수납 보관되도록 하여, 와인병의 전체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와인병을 육안으로 식별함이 용이하도록 하고, 또한 와인병이 넣어진 상태로 운반이 가능하여 별도의 포장작업이 생략되어 사용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플하고 미려한 외관에 의해 와인병을 꺼내지 않고 와인병이 넣어진 상태 그대로 가정 등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실내 인테리어 효과도 겸하여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와인캐리어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와인캐리어는, 와인병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와인안착공간(101)이 형성된 와인병담체부(10); 상기 와인병담체부(10)의 양측에 양 끝단이 결합되어 상향으로 마련되는 손잡이(20); 상기 손잡이(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와인병 상부가 지지되도록 하는 상부지지부(30)가 구비되어, 상기 와인병담체부(10)와 상기 상부지지부(30) 사이로 와인병의 중앙부분이 보여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와인병담체부(10)는, 와인병 바닥이 닿아 안착되도록 하는 와인안착공간(101)의 내측바닥인 안착바닥부(102)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바닥부(102) 주 변으로 둘러지는 벽체로 되어 와인병의 저부측면을 지지하도록 하는 안착벽체부(103)가 구비되어, 상기 와인안착공간(101)은 상기 안착바닥부(102)와 상기 안착벽체부(103)에 의해 형성되어 와인병의 저부가 위치되게 되며, 상기 안착벽체부(103)의 상부에서 외향의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캐리어폭확장부(104)가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폭확장부(104)의 외향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외벽면을 형성하는 담체외벽면부(105)가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인병담체부(10)는, 상기 와인병담체부(10)의 형상을 이루도록 내부에 형성된 틀성형부(11); 상기 틀성형부(11)의 상부 외부를 감싸는 담체외층부(12); 상기 틀성형부(11)의 저부를 감싸는 담체저층부(13)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틀성형부(11)는 안착바닥부(102), 안착벽체부(103), 캐리어폭확장부(104), 담체외벽면부(105)의 형상틀을 이루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담체외층부(12)는 상기 안착바닥부(102)의 상부면, 상기 안착벽체부(103)의 내벽면, 상기 캐리어폭확장부(104)의 상부면을 둘러져서 형성되는 내측층부(121)와, 상기 담체외벽면부(105)의 외벽면을 감싸는 외벽층부(122)로 이루어져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인병의 하부가 안착되는 상기 와인병담체부(10)의 와인안착공간(101)은 단일 또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와인병 상부를 지지하는 상기 상부지지부(30)는 단일 또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복수 개의 상기 상부지지부(30)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상부지지부(30)의 체결부(31)와 체결되는 보조체결부(41)와, 상기 연결부재(40)의 양측 끝단이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와인캐리어는, 와인병의 하부를 지지하는 와인병담체부, 손잡이 및 와인병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부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외관이 미려하고 심플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캐리어에 와인병을 수납한 상태에서의 진열이 가능하다.
또한 와인병 전체가 개방되어 있음에 따라 와인병을 꺼내지 않고도 와인병 전체를 소비자가 쉽게 외부에서 보면서 구매하거나 진열된 상태를 살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매장에 진열된 상태에서 와인병을 따로 포장하지 않고 바로 와인캐리어의 손잡이를 들어 와인병의 운반이 가능하기 때문에 포장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으로 와인병을 수납하여 진열 또는 운반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와인병보다 와인병담체부의 폭이 넓게 되어 수납된 와인병이 견고하게 지지되어, 진열시 또는 운반 도중에 와인병이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일담체형 와인캐리어에 대한 사시도로, 도 1은 상부지지부의 체결부가 암수의 단추형태로 이루어지는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체결부가 벨크로테잎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일담체형 와인캐리어에 와인병이 담겨진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단일담체형 와인캐리어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단일담체형 와인캐리어의 와인병담체부에 대한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된 것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복수담체형 와인캐리어에 대한 사시도로, 도 6은 암수의 단추형으로 되는 체결부가 풀어진 상태이고, 도 7은 벨크로테잎형의 체결부가 풀어진 상태이며, 도 8은 와인병이 담겨진 상태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복수담체형 와인캐리어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된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와인캐리어(A)는 도 1 내지 도 9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인병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와인안착공간(101)이 형성된 와인병담체부(10)와, 상기 와인병담체부(10)의 양측에 양 끝단이 결합되어 상향으로 마련되는 손잡이(20), 그리고 상기 손잡이(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와인병 상부가 지지되도록 하는 상부지지부(3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와인병의 아래측은 와인병담체부(10)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이고, 와인병의 상부는 상부지지부(30)가 체결된 상태이며, 이러한 상부지지부(30)는 손잡이(20)에 의하여 와인병담체부(10)에 고정된 것이다.
따라서 와인병담체부(10)에 와인병(W)의 하부를 견고하게 받쳐지기 때문에, 운반 도중에 와인병의 하중에 의해 하부가 빠져나가 와인병이 떨어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또한 와인병보다 와인병담체부(10)가 넓게 되어 받치기 때문에 세워놓은 상태에서도 와인병 및 와인캐리어가 쓰러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손잡이(20), 상부지지부(30) 그리고 와인병담체부(10) 등은 서로 재봉질방식 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방식에 의하여 고정될 수도 있고, 단추부재에 의하여, 클립부재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도 3 및 도 8 등에서와 같이, 와인병이 와인병담체부(10)에 안착되고 와인병 상부가 상부지지부(30)와 체결된 상태에서는 손잡이(20) 중간의 연결부(21)가 가지런히 상하방향으로 늘어져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손잡이(20)의 상부 중앙부분(22)은 '∩'자형 모양의 고리형태를 이루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와인캐리어(A)에 의하면, 와인병의 하부와 상부가 각각 상기 와인병담체부(10)와 상기 상부지지부(30)와 안착되고 체결되는 것으로, 안정적으로 와인병이 들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일반 전시장 진열대에 올려진 상태에서도, 손잡이(20) 중간의 연결부(21)는 상하방향으로 늘어진 상태로, 결국 와인병(W)의 전방과 후방 방향으로는, 와인병담체부(10)와 상부지지부(30) 사이로 와인병의 중앙부분이 보여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일반 구매자들은 와인병(W) 중앙부분의 라벨(상표), 안내글, 상품명 등을 용이하게 확인하여, 구매활용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 탁월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와인캐리어(W)는 일반 매장의 진열대에 놓여진 상태에서도 와인병(W)의 상표, 상품명, 안내글을 구매자가 쉽게 읽고 확인하도록 하여 구매의욕을 상실하지 않도록 하는 목적 및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와인병(W)이 와인병담체부(10)에 안착되고, 상부지지부(30)와 체결된 상태에서는 손잡이(20)가 늘어지지 않고, 중앙부분(22)이 '∩'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손으로 잡을 수 있어, 운반이 편리하도록 하는 목적 및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에 연결부(21) 및 '∩'자 형상의 중앙부분(22)으로 되는 손잡이(20)는 금속재, 가죽재, 인조가죽재, 종이재, 합성수지재, 쎄무(스웨이드, suede) 등으로 형 성될 수 있으며, 정하여진 모양을 이루어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부드러운 재질로 되어 유연성을 갖도록 하는 재질로 마련되어 병의 크기 또는 모양이 다른 와인병을 자유롭게 담아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도록 함이 좀더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와인병(W)을 담아 사용할 경우에는 와인병(W) 모양으로 와인캐리어(A)의 형상을 이루며, 반면 와인병을 담지 않고 여러개의 와인캐리어(A)를 적층하여 보관 및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손잡이(20)가 와인병담체부(10) 측으로 접혀지도록 하여, 전체 공간이 적게 차지하도록 하여, 보관 및 이동성이 양호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처럼 와인병담체부(10), 손잡이(20) 및 상부지지부(30)에 의하여 와인병(W)을 담아 이동이 편리하도록 하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와인캐리어(A)의 세부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와인병담체부(10)를 살펴보면, 와인병(W)의 바닥이 닿아 안착되도록 하는 와인안착공간(101)의 내측바닥인 안착바닥부(102)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바닥부(102) 주변으로 둘러지는 벽체로 되어 와인병의 저부측면을 지지하도록 하는 안착벽체부(103)가 구비되어, 상기 와인안착공간(101)이 상기 안착바닥부(102)와 상기 안착벽체부(103)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안착바닥부(102)와 안착벽체부(103)로 되는 와인안착공간(10)에 의하여 와인병의 저부가 위치되어 안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벽체부(103)의 상부에서 외향의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캐리어폭확장부(104)가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폭확장부(104)의 외향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외벽면을 형성하는 담체외벽면부(105)가 형성되는 것이다.
물론 안착바닥부(102)는 안착벽체부(103)의 아래측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결국 캐리어폭확장부(104)의 폭만큼 안착바닥부(102)도 넓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캐리어폭확장부(104)의 넓어지는 만큼, 와인병(W)보다 와인캐리어(A) 전체 폭이 넓어지는 것이 된다. 이처럼 와인캐리어(A)의 저부 폭인 안착바닥부(102)의 폭이 넓어짐으로 인하여, 직립되어 안착되는 와인병(W)이 옆으로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서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캐리어폭확장부(104)의 넓이는 일반적인 와인병(W)이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서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안착벽체부(103)와 담체외벽면부(105)의 높이로 인하여 와인안착공간(101)에 담겨지는 와인병(W)의 저부가 감싸여지는 높이가 커버되는 것으로, 사용하다 발생되는 측방향 외력이 와인병(W)에 작용하더라도, 와인병(W) 저부가 안착벽체부(103) 및 담체외벽면부(105)의 높이만큼 감싸여지기 때문에, 와인병(W)이 쉽게 쓰러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인병담체부(10)는, 상기 와인병담체부(10)의 형상을 이루도록 내부에 형성된 틀성형부(11); 상기 틀성형부(11)의 상부 외부를 감싸는 담체외층부(12); 상기 틀성형부(11)의 저부를 감싸는 담체저층부(13) 등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상기 틀성형부(11)는 안착바닥부(102), 안착벽체부(103), 캐리 어폭확장부(104), 담체외벽면부(105)의 형상틀을 이루어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틀성형부(11)는 대체로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에 틀성형부(11)는 플라스틱재, 종이판재, 나무재, 합성수지재, 금속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종이판재로 되는 경우에는 전체 소재의 무게를 줄일 수 있어 사용하기에 가볍게 되고, 친환경소재로 되는 것이므로, 자연보호의 장점도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틀성형부(11)는 안착벽체부(103), 캐리어폭확장부(104), 그리고 담체외벽면부(105)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형성틀이 되는 폭확장틀부(111)가 주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안착바닥부(102)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형성틀이 되는 바닥틀부(112)가 마련되는 것으로, 바닥틀부(112)에 의하여 와인캐리어(A)가 쓰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바닥면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9에서와 같은 복수담체형으로 하여 다목적 와인캐리어(A)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양측 와인안착공간 사이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는 간격틀부(113)가 마련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마련되는 틀성형부(11)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와인캐리어(A)의 와인병담체부(10) 전체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틀을 이루는 것으로, 결국 와인병(W)이 안정적으로 담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담체저층부(13)는 와인캐리어(A)의 바닥 표면을 이루는 것으로, 와인캐리어(A)가 세워졌을 때, 잘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고, 잘 마모가 되지 않아 표면의 상태가 양호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유리 위에 놓여도 유리가 깨지지 않도록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이러한 담체저층부(13)의 소재로는 천연가죽재, 인조가죽재, 합성수지재, 종이재, 쎄무(스웨이드, suede) 재 질로 될 수 있고, 표면보호를 위하여 코팅이 되어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담체외층부(12)는 와인병담체부(10)의 상부 및 외측을 감싸는 표면층부재에 대한 것으로, 이러한 상기 담체외층부(12)는 상기 안착바닥부(102)의 상부면, 상기 안착벽체부(103)의 내벽면, 상기 캐리어폭확장부(104)의 상부면을 둘러져서 형성되는 내측층부(121)와, 상기 담체외벽면부(105)의 외벽면을 감싸는 외벽층부(122)로 이루어져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내측층부(121)는 비교적 부드러운 소재로 되어, 담겨지는 와인병(W)이 부드럽게 와인안착공간(101)에 담겨지도록 하고, 또한 담겨지는 과정 중에 와인병(W)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내측층부(121)는 종이재, 합성수지재, 천연가죽재, 인조가죽재, 쎄무(스웨이드, sue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잔털이 작은 크기로 융기된 형태의 소재로 되는 경우에는 부드러운 표면을 유지하면서 와인병(W) 담는 경우에도 부드럽게 미끄러지듯 담겨지면서도 와인병이 손상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외벽층부(122)는 대체로 사용자, 구매자가 측벽면을 잘 보기 때문에, 장식을 위한 표면으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다양한 디자인으로 하여 도안된 면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죽무늬가 형성되도록 하여 고급스러운 심미감을 갖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면서도 외부물체와 접촉되어도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종이재, 합성수지재, 가죽소재, 쎄무(스웨이드, sue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표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팅처리가 되어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마련될 수 있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와인캐리어(A)는, 상기 와인병의 하부가 안착되는 상기 와인병담체부(10)의 와인안착공간(101)은 단일 또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와인병 상부를 지지하는 상기 상부지지부(30)는 단일 또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기 상부지지부(30)는 끈 또는 고리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부지지부(30)에는 내측에 위치된 와인병 상부가 상기 상부지지부(30)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31)가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31)는 암수결합의 체결단추 또는 체결벨크로테잎 등 다양한 방식으로 와인병(W)과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와인병담체부(10)와 상부지지부(30)가 단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6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와인병담체부(10)의 와인안착공간(101)과 상부지지부(30)가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복수 개로 하여 와인병담체부(10)의 와인안착공간(101)과 상부지지부(30)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복수 개의 상기 상부지지부(30)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40)가 더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상부지지부(30)의 체결부(31)와 체결되는 보조체결부(41)와, 상기 연결부재(40)의 양측 끝단이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42)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40)의 결합부(42)는, 암수결합의 체결단추 또는 체결벨크로테잎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하여 양측 상부지지부(30) 사 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와인병이 수납된 와인캐리어를 상품 매장에서 그대로 진열하여 판매하여도, 손잡이(20), 상부지지부(30), 연결부재(40) 등으로 하여 와인이 와인병담체부(10)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면서, 와인병의 중간부분이 쉽게 보일 수 있도록 하는 바, 와인병이 수납된 본 고안인 와인캐리어에 의해 고가인 와인의 상품가치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충동시킬 수 있다.
또한 판매된 와인은 본 고안인 와인캐리어에 의해 수납된 상태에서 그대로 판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와인병을 따로 포장하거나 하는 등의 생략되어 포장시간에 대한 시간절약이 유도된다.
더욱이, 미려하고 심플한 외관을 갖는 본 고안의 와인캐리어에 의해 선물용으로 훌륭할 뿐만 아니라, 와인캐리어에 수납된 와인을 와인캐리어와 함께 그대로 가정의 거실이나 진열대에 보관함으로써 실내 인테리어 효과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일담체형 와인캐리어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일담체형 와인캐리어에 와인병이 담겨진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단일담체형 와인캐리어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단일담체형 와인캐리어의 와인병담체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복수담체형 와인캐리어에 대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복수담체형 와인캐리어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와인캐리어
10 : 와인병담체부 11 : 틀성형부
12 : 담체외층부 13 : 담체저층부
20 : 손잡이 30 : 상부지지부
31 : 체결부 40 : 연결부재
41 : 보조체결부 42 : 결합부
101 : 와인안착공간 102 : 안착바닥부
103 : 안착벽체부 104 : 캐리어폭확장부
105 : 담체외벽면부

Claims (6)

  1. 와인병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와인안착공간(101)이 형성된 와인병담체부(10);
    상기 와인병담체부(10)의 양측에 양 끝단이 결합되어 상향으로 마련되는 손잡이(20);
    상기 손잡이(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와인병 상부가 지지되도록 하는 상부지지부(30)가 구비되는 와인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와인병담체부(10)와 상기 상부지지부(30) 사이로 와인병의 중앙부분이 보여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와인병담체부(10)는,
    와인병 바닥이 닿아 안착되도록 하는 와인안착공간(101)의 내측바닥인 안착바닥부(102)와,
    상기 안착바닥부(102) 주변으로 둘러지는 벽체로 되어 와인병의 저부측면을 지지하도록 하는 안착벽체부(103)와,
    상기 안착벽체부(103)의 상부에서 외향의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캐리어폭확장부(104)와,
    상기 캐리어폭확장부(104)의 외향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외벽면을 형성하는 담체외벽면부(105)가 포함되어 구비되어,
    상기 와인안착공간(101)은 상기 안착바닥부(102)와 상기 안착벽체부(103)에 의해 형성되어 와인병의 저부가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와인캐리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병담체부(10)는
    상기 와인병담체부(10)의 형상을 이루도록 내부에 형성된 틀성형부(11);
    상기 틀성형부(11)의 상부 외부를 감싸는 담체외층부(12);
    상기 틀성형부(11)의 저부를 감싸는 담체저층부(13)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틀성형부(11)는 안착바닥부(102), 안착벽체부(103), 캐리어폭확장부(104), 담체외벽면부(105)의 형상틀을 이루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와인캐리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외층부(12)는 상기 안착바닥부(102)의 상부면, 상기 안착벽체부(103)의 내벽면, 상기 캐리어폭확장부(104)의 상부면을 둘러져서 형성되는 내측층부(121)와, 상기 담체외벽면부(105)의 외벽면을 감싸는 외벽층부(122)로 이루어져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와인캐리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병의 하부가 안착되는 상기 와인병담체부(10)의 와인안착공간(101)은 단일 또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와인병 상부를 지지하는 상기 상부지지부(30)는 단일 또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복수 개의 상기 상부지지부(30)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와인캐리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상부지지부(30)의 체결부(31)와 체결되는 보조체결부(41)와, 상기 연결부재(40)의 양측 끝단이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4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와인캐리어.
KR2020090004085U 2009-04-08 2009-04-08 다목적 와인캐리어 Expired - Fee Related KR2004595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085U KR200459516Y1 (ko) 2009-04-08 2009-04-08 다목적 와인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085U KR200459516Y1 (ko) 2009-04-08 2009-04-08 다목적 와인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151U KR20100010151U (ko) 2010-10-18
KR200459516Y1 true KR200459516Y1 (ko) 2012-03-28

Family

ID=44200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085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9516Y1 (ko) 2009-04-08 2009-04-08 다목적 와인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5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799U (ko) 2019-02-01 2020-08-11 퍼니피쉬(주) 네트형 캐리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037Y1 (ko) * 2012-10-31 2013-11-20 김재현 음료수 병의 운반기구
KR101447972B1 (ko) 2014-07-01 2014-10-13 오길식 전원소켓이 삽입되어 등기구에 밀착 지지하도록 한 엘이디 램프
KR101667370B1 (ko) 2014-12-04 2016-10-28 오병오 산업용 등기구의 엘이디램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3169U (ja) * 1999-04-19 1999-10-19 株式会社信誠努 ワインボトルの運搬用バッ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3169U (ja) * 1999-04-19 1999-10-19 株式会社信誠努 ワインボトルの運搬用バッ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799U (ko) 2019-02-01 2020-08-11 퍼니피쉬(주) 네트형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151U (ko) 2010-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7399B2 (en) Convertible display fixture
US20050045499A1 (en) Product ensemble display and carrying package
US8011502B2 (en) Reusable underwear storage container box
US6494316B1 (en) Article storage and display container
KR200459516Y1 (ko) 다목적 와인캐리어
US5076432A (en) Combination package and point-of-purchase display
US2761568A (en) Display rack
US7451879B2 (en) Convertible package for merchandising a wallet and for forming a personal item caddy or valet
US20070235963A1 (en) Interchangeable and nestable storage bin and lid
US6726019B2 (en) Display and carrying case for a doll and doll accessories
US20070181451A1 (en) Boot and accessory storage bag
US4646921A (en) Packaging and display container
KR20190009922A (ko) 진열 기능을 구비한 포장용 상자
KR20130107039A (ko) 쇼핑백
US20080217210A1 (en) Self-contained rack display
KR200441621Y1 (ko) 상품 케이스
KR20120056961A (ko) 상품 진열함 겸용 포장상자
KR20120103210A (ko) 상품 경사 진열이 가능한 상품 진열함 겸용 포장상자
KR200469737Y1 (ko) 진열대 겸용 포장케이스
KR200485499Y1 (ko) 높이 조절 진열이 가능한 포장 상자
TWI766689B (zh) 包裝套件及含有包裝套件之層架
KR102741621B1 (ko) 사용이 편리한 접이식 구조로 이루어진 포장용 상자
KR100741487B1 (ko) 수용함이 구비된 화환
KR200365580Y1 (ko) 진열대가 내장된 포장용 상자
CN209331577U (zh) 卷烟终端展示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4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12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3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90101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