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8728Y1 - 외부보강재와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가설교량 - Google Patents

외부보강재와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가설교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728Y1
KR200458728Y1 KR2020090010685U KR20090010685U KR200458728Y1 KR 200458728 Y1 KR200458728 Y1 KR 200458728Y1 KR 2020090010685 U KR2020090010685 U KR 2020090010685U KR 20090010685 U KR20090010685 U KR 20090010685U KR 200458728 Y1 KR200458728 Y1 KR 2004587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tressing
bridge
mold
temporary
exter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830U (ko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코 이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코 이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코 이엠씨
Priority to KR2020090010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72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8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8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72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외부보강재와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가설교량이 개시된다. 상기 가설교량은, H-빔 주형을 구비하며, 외부 보강재가 상기 주형의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의 양단을 각각 지그재그로 연결하면서 상기 외부 보강재의 양단이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에 고정된다.
가설 교량, 주형, H-빔, 보강, 좌굴, 강성, 수명

Description

외부보강재와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가설교량{temporary installation bridge having external reinforcement and prestressing}
본 고안은 가설교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보강재와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가설교량에 관련한다.
가설교량은 도로 공사 시 우회도로의 확보, 본 교량의 보수공사 시 차량의 우회횡단, 통행이 심한 도로의 횡단 육교, 항만시설에 따른 작업용 교량 등 다양한 용도로 설치 및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가설교량은 아이-빔(I-Beam)과 복공판을 사용하여 지간 거리가 짧고 복잡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공사비의 과다 지출, 공사기간의 장기화는 물론 시공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폭우로 인한 장마시 지간이 좁은 가설 교량에 부유 물질이 걸려 강이 범람할 우려가 있으며 유속이 빠른 횡 하중에 의하여 교량이 전도될 우려가 있으므로 지간이 넓은 가설 교량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 장지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몇 가지 공법들이 제안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주형 즉, H-빔에 수직 및 수평 보강재와, H-빔 하부 중앙에 편향부를 부착 하고, 양 끝단에 정착구를 설치한 후 고강도 강봉을 사용하여 프리스트레싱 시키는 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책에 불구하고, 교량의 상부 하중에 의해 주형이 좌굴된다는 문제점이 있거나,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국부적인 응력집중으로 좌굴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교량의 상부하중에 의한 주형의 좌굴에 저항함과 동시에 주형의 단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가설교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프레스트레싱에 의한 국부적인 응력집중에 의한 좌굴에 저항할 수 있는 가설교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H-빔 주형을 갖는 가설교량에 있어서, 외부 보강재가 상기 주형의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의 양단을 각각 지그재그로 연결하면서 상기 외부 보강재의 양단이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에 고정되는 외부보강재를 적용한 가설교량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 보강재는 단면이 "ㄱ" 또는 "ㄷ"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 보강재는 직립 외부 보강재와 경사 외부 보강재가 쌍을 이루어 반복되면서 이어질 수 있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주형에 가해지는 응력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국부적인 응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교량의 계획된 수명을 유지 또는 연장할 수 있으며, 가설교량에 대한 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보강재로 인해 토션 스티프니스(torsion stiffness)가 증가하여 사교, 곡선부, 가설교량의 진입부, 출입부 등의 비틀림이 발생하는 구조물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어 비틀림 하중에 저항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설교량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설교량은 다수의 교각(10), 교각(10) 위에 설치되는 주형(20), 주형(20) 위에 설치된 복공판(30), 및 주형(20) 하부에서 교각(10) 사이에 설치된 프리스트레싱 유닛(50)으로 이루어진다.
교각(10)은 복수 개의 에이치-빔(H-Beam)이 설치된 강재로서, 지면에 설치되며, 교각(10)의 상단에 주형(20)이 설치되고, 주형(2)의 상면에는 철재의 복공판(30)이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리스트레싱 유닛(50)은 주형(20) 하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새들(52)과, 새들(52) 사이에 연결되는 인장부재(56), 및 인장부재(56)를 잡아당겨 새들(52)에 고정시키는 정착구(5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 잘 알려진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주형(20)의 상부 및 하부 플랜지의 양단을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외부 보강재(40)가 설치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외부 보강재(40)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주형(20)은 상부 플랜지(22)와 하부 플랜지(23) 및 이들을 연결하는 복 부(21)로 구성되는데, 외부 보강재(40)는 상부 플랜지(22)의 양단과 하부 플랜지(23)의 양단을 지그재그로 연결한다.
바람직하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보강재(40)는 톱니 형상으로 이어지는바, 직립 외부 보강재(41)와 경사 외부 보강재(42)가 쌍을 이루어 반복되면서 이어진다.
외부 보강재(40)는 강재로 구성되며, 단면이 "ㄱ" 또는 "ㄷ"자 형상을 이루어 주형(20)을 따라 지그재그로 상부 플랜지(22)와 하부 플랜지(23)에 양단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교량의 상부 하중에 의한 주형(20)의 좌굴에 저항하는 동시에 상부 플랜지(22)에 가해지는 모든 하중을 하부 플랜지(23)에 전달하기 위해 주형의 단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도 3을 참조하면, 프리스트레싱 유닛(50)에서 새들(52)이 주형(20)에 고정되는 부분에서는 프리스트레싱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여 고정 부분(58)에 국부적인 응력이 집중하게 된다. 이때, 외부 보강재(40)에 의해 고정 부분(58)에 가해지는 국부적인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주형(20)에 작용하는 응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전체적으로 주형에 가해지는 응력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국부적인 응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교량의 계획된 수명을 유지 또는 연장할 수 있으며, 가설교량에 대한 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보강재로 인해 토션 스티프니스(torsional stiffness)가 증가하 여 사교, 곡선부, 가설교량의 진입부, 출입부 등의 비틀림이 발생하는 구조물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어 비틀림 하중에 저항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이하에 기재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설교량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외부 보강재(40)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프리스트레싱 유닛의 주형과의 결합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다.

Claims (3)

  1. 다수의 교각, 상기 교각 위에 설치되는 주형, 및 상기 주형 하부에서 상기 교각 사이에 설치된 프리스트레싱 유닛을 구비한 가설교량에 있어서,
    상기 주형은, 서로 대향하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및 이들을 연결하는 복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고,
    외부 보강재가 톱니 형상으로 이어지면서, 상기 외부 보강재의 양단이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보강재와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가설교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보강재의 단면은 "ㄱ" 또는 "ㄷ"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보강재와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가설교량.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트레싱 유닛이 상기 주형에 고정되는 부분에 프리스트레싱에 의해 가해지는 응력은 상기 외부 보강재에 의해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보강재와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가설교량.
KR2020090010685U 2009-08-17 2009-08-17 외부보강재와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가설교량 Expired - Lifetime KR200458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685U KR200458728Y1 (ko) 2009-08-17 2009-08-17 외부보강재와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가설교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685U KR200458728Y1 (ko) 2009-08-17 2009-08-17 외부보강재와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가설교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830U KR20110001830U (ko) 2011-02-23
KR200458728Y1 true KR200458728Y1 (ko) 2012-03-06

Family

ID=44207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685U Expired - Lifetime KR200458728Y1 (ko) 2009-08-17 2009-08-17 외부보강재와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가설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72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993B1 (ko) * 2022-03-30 2023-02-21 이룸토건 주식회사 H-빔을 갖는 보강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382B1 (ko) 2000-12-01 2003-03-31 코벡주식회사 기존 교좌장치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교량의 교좌장치를포함한 교좌부 보수 및 교체를 하기 위한 잭 받침장치
KR100423757B1 (ko) * 2001-05-04 2004-03-22 원대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 트러스 보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382B1 (ko) 2000-12-01 2003-03-31 코벡주식회사 기존 교좌장치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교량의 교좌장치를포함한 교좌부 보수 및 교체를 하기 위한 잭 받침장치
KR100423757B1 (ko) * 2001-05-04 2004-03-22 원대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 트러스 보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830U (ko) 201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3408A (en) Frame structured bridge
KR101256130B1 (ko) 프리캐스트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구조물
KR101823492B1 (ko) 강거더 하로형 교량 및 그 시공방법
CN107119583A (zh) 一种双幅t型刚构桥背塔斜拉加固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10086498A (ko) 휨 저항력을 향상시킨 가설교량용 주형 어셈블리
CN107905084B (zh) Rpc钢桁组合桥面和连续梁桥
CN103911948B (zh) 应用于宽混凝土肋板梁的横向桁式钢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458728Y1 (ko) 외부보강재와 프리스트레싱을 적용한 가설교량
CN206941424U (zh) 一种双幅连续刚构桥系杆拱加固结构
CN109930469A (zh) 一种适用于跨座式单轨的钢箱梁薄壁墩刚构斜拉桥
CN107100094B (zh) 一种连续刚构桥系杆拱加固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20062882A (ko) 프리캐스트 합성구조를 갖춘 육교
KR20100062895A (ko) 다수의 보조파일이 구비된 무조인트 교량
CN105821752A (zh) 一种宽幅箱梁桥主梁顶板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512663B1 (ko) 사장교 타입 장지간 가설 교량
CN112832144B (zh) 人行悬索桥加固结构及其施工工艺
CN212404777U (zh) 一种用于高架桥的箱梁与拱形横梁组合结构
KR100572860B1 (ko) 관통공이 형성된 가로보를 이용한 장지간 가설교량
KR200466593Y1 (ko) 휨 저항력을 향상시킨 가설교량
KR200381696Y1 (ko) 관통공이 형성된 가로보를 이용한 장지간 가설교량
CN108978490B (zh) 一种连续梁-拱组合梁体的施工方法及连续梁-拱组合梁体
KR101109128B1 (ko) 보강설치 구성을 갖는 가설 인도교
KR101167152B1 (ko) 장경간 교량용 거더
KR200458729Y1 (ko) 휨 저항력을 향상시킨 가설교량
Guțiu et al.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w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81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6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2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7092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U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7092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00217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