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7798Y1 - 다용도 수납장 - Google Patents

다용도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798Y1
KR200457798Y1 KR2020090000941U KR20090000941U KR200457798Y1 KR 200457798 Y1 KR200457798 Y1 KR 200457798Y1 KR 2020090000941 U KR2020090000941 U KR 2020090000941U KR 20090000941 U KR20090000941 U KR 20090000941U KR 200457798 Y1 KR200457798 Y1 KR 2004577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space
living room
storing
stor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837U (ko
Inventor
이현정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0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798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8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8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7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79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나 주택의 거실 일측 벽면에 서적, 장식품, 기타 다양한 종류의 물품들을 수납하기 위한 다용도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물품을 진열하거나 보관하는 다용도 수납장에 있어서,
제1수납장과 제2수납장으로 구성되는 다용도 수납장으로, 상기 제1수납장은 큰 물품 수납함과 작은 물품 수납함으로 구성되며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하고 있는 물품수납공간부와, 내부에 물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구비되고 힌지결합에 의하여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 상판과 수납함을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공간부 및 상기 제1수납장과 제2수납장을 연결하여 거실의 벽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로 구성되고, 상기 제2수납장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 수납함과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하고 있는 물품수납공간부와, 한쪽에는 옷을 보관하는 의류보관실이 구비되고 다른 쪽에는 힌지에 의하여 절첩가능한 다림질판이 구비되며 개폐가능한 문짝과 수납함을 구비하고 있는 작업활동공간부 및 상기 제1수납장과 제2수납장을 연결하여 거실의 벽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기존의 TV 시청을 위한 공간에서 가족들의 커뮤니케이션이나 작업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거실 한쪽의 벽면 전체를 다용도 수납장으로 구성하여 가구를 통해 거실에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책, CD 등의 물품 수납은 물론 책상, 다림질 공간 등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고, 청소기 수납공간, 가족들의 취미활동을 위한 블로그(Blog) 공간으로 활용가능하며, 거실과 멀티룸을 하나의 공간으로 묶어 공간의 깊이 감을 증대시키고 다양한 물품을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Figure R2020090000941
장식장, 수납장, 조립식 가구

Description

다용도 수납장{Multipurpose Cabinet}
본 고안은 아파트나 주택의 거실 일측 벽면에 서적, 장식품, 기타 다양한 종류의 물품들을 수납하기 위한 다용도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실공간 자체의 역할을 TV 시청을 위한 공간에서 가족들의 커뮤니케이션이나 작업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거실 한쪽의 벽면 전체를 다용도 수납장으로 구성하여 가구를 통해 거실에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적, 장식품, 기타 다양한 종류의 물품들을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한 장식장이나 수납장 등은 전체적인 크기가 규격화된 일체형 수납 가구의 형태로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주택이나 아파트 등에서는 거실이나 실내공간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적절한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일정규격으로 제품화되어 판매되는 장식장이나 수납장은 그 제품이 출고되면서 그 구성이나 전체적인 크기가 규격화되어 출고되므로, 그 운반시 부피가 커져 운송 물류비가 많이 소비될 뿐만 아니라 그 내부의 수납 공간의 조절이 매우 한정적이어서 자유로운 수납 공간의 조절이 곤란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일정규격으로 제품화되어 판매되는 장식장이나 수납장은 단순히 서적이나 기타 장식품들을 진열하거나 보관하는 용도로 한정되어 가족들의 휴식공간이나 다양한 용도로의 공간활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거실공간 자체의 역할을 TV 시청을 위한 공간에서 가족들의 커뮤니케이션이나 작업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거실 한쪽의 벽면 전체를 다용도 수납장으로 구성하여 가구를 통해 거실에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책, CD 등의 물품 수납은 물론 책상, 다림질 공간 등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고, 청소기 수납공간, 가족들의 취미활동을 위한 블로그 공간으로 활용가능하며, 거실과 멀티룸을 하나의 공간으로 묶어 공간의 깊이 감을 증대시키고 다양한 물품을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 추구하는 기술적 수단은 물품을 진열하거나 보관하는 다용도 수납장에 있어서,
제1수납장과 제2수납장으로 구성되는 다용도 수납장으로, 상기 제1수납장은 큰 물품 수납함과 작은 물품 수납함으로 구성되며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하고 있는 물품수납공간부와, 내부에 물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구비되고 힌지결합에 의하여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 상판과 수납함을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공간부 및 상기 제1수납장과 제2수납장을 연결하여 거실의 벽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로 구성되고, 상기 제2수납장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 수납함과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하고 있는 물품수납공간부와, 한쪽에는 옷을 보관하는 의류보관실이 구비되고 다른 쪽에는 힌지에 의하여 절첩가능한 다림질판이 구비되며 개폐가능한 문짝과 수납함을 구비하고 있는 작업활동공간부 및 상기 제1수납장과 제2수납장을 연결하여 거실의 벽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납장을 제시한다.
삭제
본 고안은 기존의 TV 시청을 위한 공간에서 가족들의 커뮤니케이션이나 작업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거실 한쪽의 벽면 전체를 다용도 수납장으로 구성하여 가구를 통해 거실에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책, CD 등의 물품 수납은 물론 책상, 다림질 공간 등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고, 청소기 수납공간, 가족들의 취미활동을 위한 블로그 공간으로 활용가능하며, 거실과 멀티룸을 하나의 공간으로 묶어 공간의 깊이 감을 증대시키고 다양한 물품을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수납장의 우측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수납장의 좌측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수납장에 있어서, 다림질판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전체적인 구성부를 크게 분류하여 보면, 아파트나 주택의 거실 일측벽면 전체에 설치되는 2개의 수납장 즉, 제1수납장(10)과 제2수납장(100)으로 구 성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수납장(10)(100)은 붙박이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단일제품의 형태로 제작하여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운반시의 부피와 운송 물류비 등을 감안하면 붙박이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수납장(10)은 다양한 소품들을 수납할 수 있는 물품수납공간부(20)와 가족들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커뮤니케이션공간부(30)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수납장(100)은 생활 소도구나 장식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물품수납공간부(200)와 의복을 손질하거나 다림질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활동공간부(300)을 구비하고 있어 가족들의 커뮤니케이션 및 작업활동을 위한 멀티 룸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수납장은(10)은 물품수납공간부(20)와, 커뮤니케이션공간부(30) 및 지지대(40)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수납장(10)의 물품수납공간부(20)는 비교적 큰물품을 수납하는 큰 물품 수납함(21)과 작은 물품을 수납하는 작은 물품 수납함(22)으로 구성되며 수납함(22)에 수납된 소품들을 보호함과 동시에 장식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도어(23)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비교적 큰물품을 수납하는 큰 물품 수납함(21)은 여닫이 문이 설치되어 있고, 작은 물품을 수납하는 작은 물품 수납함(22)은 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23)에 의하여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슬라이딩 도어(23)는 표면에 다양한 형태의 무늬를 표현하여 장식적 효과를 높히거나, 재질 자체를 반투명이나 다양한 무늬를 갖춘 재질을 선택함으로써 장식장이나 수납장으로서의 품위를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납장(10)의 상기 커뮤니케이션공간부(30)는 내부에 물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31)이 구비되는 한편, 힌지결합에 의하여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 상판(32)과 수납함(33)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상판(32)은 개폐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내부에는 소품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에는 가족들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위한 컴퓨터나 기타 가전기기들의 설치, 또는 독서를 위한 책상으로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수납함(33)에는 수납된 물품을 보호하기 위한 문짝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수납함(33)은 상판(32)에 설치되는 제품이나 상판의 용도(예를 들어 책상으로 사용할 경우)에 부응하여 수납함(33) 전체를 조명시설로 구성하거나 문짝이나 저면 일부에 조명시설을 설치하는 구성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뮤니케이션공간부(30)의 일측과 후술하는 제2수납장(100)의 물품수납공간부(200)의 일측에는 지지대(40)(40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대(40)(400)들은 상기 제1수납장(10)과 제2수납장(100)을 서로 연결하여 거실의 벽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수납장(100)은 물품수납공간부(200)와, 작업활동공간부(300) 및 지지대(400)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물품수납공간부(200)에는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 수납함(201)과 상기 수납함(201)에 수납된 소품들을 보호함과 동시에 장식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도어(202)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제1수납장의 슬라이딩 도어(23)와 제2수납장(100)의 슬라이딩 도어(202)는 거실의 천정과 바닥에 안내홈을 형성하고 이 안내홈을 따라 도 어가 이동하도록 구성하거나 이와는 반대 즉, 거실과 천정면에 안내레일을 설치하고 도어의 저면에 홈과 롤러를 설치하여 도어가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수납장(100)의 작업활동공간부(300)는 옷을 보관하는 의류보관실(301)과 힌지(302)에 의하여 절첩가능한 다림질판(303)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의류보관실(301)에 보관된 옷과 다림질판(303)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개폐가능한 문짝(310) 및 보조수납함(311)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수납장(10)과 제2수납장(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뮤니케이션공간부(30)의 일측에 구비된 지지대(40)와 제2수납장(100)의 물품수납공간부(200) 일측에 구비된 지지대(400)에 의하여 서로 연결하여 거실의 벽면에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수납장(100)의 작업활동공간부(300)에 구비된 다림질판(303)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힌지(302)에 의하여 절첩가능하도록 설치된 다림질판(303)과 상기 다림질판(303)을 지지하는 가이드대(304) 및 가이드힌지(305)로 구성되어 있는데, 수직상태의 다림질판(303)을 당기면 다림질판(303)은 힌지(302)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때 가이드대(304)와 가이드힌지(305)가 회전하여 가이드대(304)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는 위치에서 다림질판(303)이 수평상태로 놓이게 되고, 다림질 작업 완료 후 다림질판(303)를 수직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다림질판(303)은 수직상태로 복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기존의 TV 시청을 위한 공간에서 가족들의 커 뮤니케이션이나 작업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거실 한쪽의 벽면 전체를 다용도 수납장으로 구성하여 가구를 통해 거실에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책, CD 등의 물품 수납은 물론 책상, 다림질 공간 등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고, 청소기 수납공간, 가족들의 취미활동을 위한 블로그 공간으로 활용가능하며, 거실과 멀티룸을 하나의 공간으로 묶어 공간의 깊이 감을 증대시키고 다양한 물품을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수납장의 우측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수납장의 좌측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수납장에 있어서, 다림질판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수납장 20: 물품수납공간부
21: 큰물품 수납함 22: 작은물품 수납함
23: 슬라이딩 도어 30: 커뮤니케이션공간부
31: 공간 32: 상판
33: 수납함 40: 지지대
100: 제2수납함 200: 물품수납공간부
201: 물품수납함 202: 슬라이딩 도어
300: 작업활동공간부 301: 의류보관실
302: 힌지 303: 다림질판
304: 가이드대 305: 가이드 힌지
310: 문짝 311: 수납함
400: 지지대

Claims (3)

  1. 물품을 진열하거나 보관하는 다용도 수납장에 있어서,
    제1수납장과 제2수납장으로 구성되는 다용도 수납장으로, 상기 제1수납장은 큰 물품 수납함과 작은 물품 수납함으로 구성되며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하고 있는 물품수납공간부와, 내부에 물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구비되고 힌지결합에 의하여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 상판과 수납함을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공간부 및 상기 제1수납장과 제2수납장을 연결하여 거실의 벽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로 구성되고,
    상기 제2수납장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 수납함과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하고 있는 물품수납공간부와, 한쪽에는 옷을 보관하는 의류보관실이 구비되고 다른 쪽에는 힌지에 의하여 절첩가능한 다림질판이 구비되며 개폐가능한 문짝과 수납함을 구비하고 있는 작업활동공간부 및 상기 제1수납장과 제2수납장을 연결하여 거실의 벽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납장.
  2. 삭제
  3. 삭제
KR2020090000941U 2009-01-29 2009-01-29 다용도 수납장 Expired - Fee Related KR2004577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941U KR200457798Y1 (ko) 2009-01-29 2009-01-29 다용도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941U KR200457798Y1 (ko) 2009-01-29 2009-01-29 다용도 수납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837U KR20100007837U (ko) 2010-08-06
KR200457798Y1 true KR200457798Y1 (ko) 2012-01-03

Family

ID=4445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941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7798Y1 (ko) 2009-01-29 2009-01-29 다용도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798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521A (ko) * 1998-03-12 1999-10-05 조범규 시스템퍼니쳐
KR100385389B1 (ko) * 2000-09-25 2003-06-02 이스지 수납장에 내장되는 다림질판의 구동구조
KR20030054275A (ko) * 2001-12-24 2003-07-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KR200354275Y1 (ko) * 2004-03-12 2004-06-25 주식회사 넵스 다기능 슬라이드식 벽장
KR20080001755A (ko) * 2006-06-30 2008-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521A (ko) * 1998-03-12 1999-10-05 조범규 시스템퍼니쳐
KR100385389B1 (ko) * 2000-09-25 2003-06-02 이스지 수납장에 내장되는 다림질판의 구동구조
KR20030054275A (ko) * 2001-12-24 2003-07-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KR200354275Y1 (ko) * 2004-03-12 2004-06-25 주식회사 넵스 다기능 슬라이드식 벽장
KR20080001755A (ko) * 2006-06-30 2008-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837U (ko) 201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22925A (en) Utility-door storage container
US20070262683A1 (en) Jewelry storage cabinet
KR20120045345A (ko) 천장 매립형 수납장
KR200457798Y1 (ko) 다용도 수납장
KR101302721B1 (ko) 절첩식 테이블이 구비된 가구
CN204908598U (zh) 多功能客厅组合柜
CN209950751U (zh) 多功能家居柜
CN202800728U (zh) 一种组合式柜
KR101241297B1 (ko) 코너용 물품 수납장
KR101279556B1 (ko) 슬라이드식 붙박이형 수납가구
KR200288618Y1 (ko) 보관함이 설치된 장롱
CN205106933U (zh) 一种多功能家用储物柜
KR20140040573A (ko) 수납실이 형성된 책상
CN220236367U (zh) 一种多功能衣柜
KR20140046886A (ko) 텔레비젼 수납형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가구
KR200472591Y1 (ko) 다기능 매립형 가구
KR20220146908A (ko) 공간효율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거실장
KR20190126226A (ko) 수납가구에 부착되는 도어장치
CN210354456U (zh) 一种浴室边柜
US1714115A (en) Article of furniture
KR200391113Y1 (ko) 관물함
CN205457473U (zh) 一种柜床
KR200389214Y1 (ko) 화장품 보관통이 구성된 화장대겸용 서랍장
CN206659482U (zh) 多功能门厅柜
CN206062824U (zh) 一种收纳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12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20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122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51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