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7690Y1 - 지반보강용 블록 - Google Patents

지반보강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690Y1
KR200457690Y1 KR2020080015557U KR20080015557U KR200457690Y1 KR 200457690 Y1 KR200457690 Y1 KR 200457690Y1 KR 2020080015557 U KR2020080015557 U KR 2020080015557U KR 20080015557 U KR20080015557 U KR 20080015557U KR 200457690 Y1 KR200457690 Y1 KR 200457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block
ground
nail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5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578U (ko
Inventor
홍순범
Original Assignee
한솔물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4511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57690(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솔물산(주) filed Critical 한솔물산(주)
Priority to KR20200800155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69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5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5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69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반보강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블록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본체 상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는 네일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별도의 각도 조절부재가 없더라도 네일을 다양한 각도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지반보강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지반, 블록, 네일

Description

지반보강용 블록{Block for the ground reinforcement structure}
본 고안은 지반보강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블록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본체 상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는 네일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지반보강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지반보강 콘크리트 블록은 한국등록실용 제20-0185877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먼저, 콘크리트 블록으로 보강할 지반(a)에 별도의 장비로 앵커공을 천공하여 어스 앵커(8)를 설치하고, 지표면으로 노출된 와이어의 외측단부에 스페이서(12)를 끼워서 와이어의 외측단이 스페이서(12)의 외면으로 노출되게 하고, 스페이서(12)의 앵커공을 통하여 몰탈을 주입하여 어스 앵커(8)를 안정시키며, 상판으로 노출된 와이어 부분을 웨지로 정착시켜 스페이서(12)를 고정한다.
이어서 거푸집(1)의 형태를 닮게 짠 철근(18)은 그 중심을 스페이서(12)에 축끼움하여 리브(14)에 걸터앉히고 가지부측 배근은 지표면(a)에 배치한 철근받침(19)으로 떠받쳐서 주저앉지 않게 한다.
이렇게 철근(18)을 설치한 후 그 철근(18)에 거푸집(1)을 씌워서 스페이서(12)의 보울트(17)에 체결한다. 이때, 물론 앵커(8)는 앵커공으로 빠지게 해야 한다.
그리고 아래쪽 가지부부터 그 콘크리트 타설공(3)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콘크리트가 채워질 때 거푸집(1)내의 공기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양에 따라 숨구멍으로 빠져나간다. 그러나 숨구멍이 콘크리트로 채워지더라도 이리로 빠져나가는 양은 극히 드물다. 망이 고와서 공기는 유통될지언정 콘크리트 입자는 통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타설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보울트(17)의 너트를 풀고 거푸집(1)을 탈형하면 스페이서(12)는 그대로 머물고 앵커 고정판(4)만 거푸집(1)에 딸려 나온다. 도 1은 이렇게 해서 얻어진 지반보강 콘크리트 블록(b)이다.
이러한 종래의 지반보강 콘크리트 블록(b)은 앵커(8)를 지반보강 콘크리트 블록(b)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해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부재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각도 조절부재가 없더라도 네일을 다양한 각도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지반보강용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지반보강용 블록은, 블록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본체 상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는 네일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블록본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블록본체에는 상기 관통공에 연통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본체는 상하부 및 양측에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는 폭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폭방향으로 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지반보강용 블록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블록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본체 상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는 네일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별도의 각도 조절부재가 없더라도 네일을 다양한 각도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블록본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블록본체에는 상기 관통공에 연통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되어, 네일이 더욱 정확한 각도로 설치될 수 있으며 네일의 끝부분 및 지압판 등이 보호된다.
상기 블록본체는 상하부 및 양측에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는 폭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폭방향으로 천공이 형성되어, 프리케스트로 만들어진 블록본체가 천공에 의해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으며, 홈으로 인해 타 블록본체와 수평 또는 수직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고안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반보강용 블록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지반보강용 블록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지반보강용 블록은, 블록본체(100)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본체(100) 상면에는 경사면(120)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120)에는 네일(미도시)이 관통되는 관통공(130)이 형성된다.
블록본체(100)는 중심부(101)가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부 및 양측에 돌출부(140)가 각각 형성된다.
이로 인해, 블록본체(100)는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십자형상으로 된다.
이러한 블록으로 인해 지반에는 블록본체(100)가 격자형상으로 배치된다.
중심부(101)는 상면의 가운데에 경사면(120)이 형성되며, 경사면(120) 주위는 수평하게 형성된다. 즉, 중심부(101)의 상면 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경사면(120)의 경사각도는 블록본체(100)가 설치되는 지반 또는 상황에 따라 블록본체(100) 성형시에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설치시 지반과 맞닿는 블록본체(100)의 바닥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120)에는 네일(미도시)이 관통되는 관통공(130)이 형성된다.
관통공(130)은 블록본체(100)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관통공(130)은 경사면(120)에 대해 수직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관통공(130)을 관통하여 네일(미도시)이 더욱 정확한 각도로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네일에 설치되는 지압판 등도 네일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되어 더욱 효과적으로 지압할 수 있다.
또한, 블록본체(100)의 중심부(101) 가운데에는 관통공(130)에 연통되도록 안착홈(110)이 형성된다.
안착홈(110)은 수평 단면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안착홈(110)의 깊이는 네일에 설치되는 지압판의 두께보다 더 깊이 형성한다.
이러한, 안착홈(110)으로 인해 네일의 끝부분 및 지압판 등이 보호된다.
돌출부(140)의 폭은 중심부(101)의 각 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각각의 돌출부(140)는 서로 이격되게 된다.
돌출부(140)의 상면(141)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돌출부(140)는 중심부(101)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140) 상면(141)에는 폭방향으로 홈(150)이 여러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홈(150)은 홈(150)의 양측경사면(151)과, 홈(150)의 양측경사면(151)을 잇는 수평면(15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홈(150)으로 인해, 사면에 블록을 설치할 때에 타 블록본체(100)와 수평 또는 수직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즉, 홈(150)은 근접한 블록본체(100)의 수평 수직의 기준이 되어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홈(150)은 미끄럼 방지역할을 하여 작업자가 사면에서 작업을 할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140)에는 폭방향으로 천공(160)이 형성된다.
천공(160)은 중심부(101)보다 돌출부(140)의 자유단에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프리케스트로 만들어진 블록본체(100)를 운반할 때 천공(160)에 고리 등을 삽입하여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한편, 블록본체(100)는 240kg.f/㎠ 이상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시멘트로 제작된다. 또한, 블록본체(100) 내부에는 인장 톤수에 따라 철근배근(미도시)을 실시하여 견고하게 제작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소일 네일링(Soil Nailing)한 지반에 설치된 네일이 블록본체(100)의 관통공(130)에 관통하도록 배치시킨다.
네일을 잡아당긴 상태에서 지압판 또는 너트를 네일에 설치하여 블록본 체(100)가 지반에 유격없이 견고하게 밀착된다.
이때, 지압판 또는 너트는 경사면(120)에 맞닿기 때문에 다양한 각도로 설치되는 네일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의 블록본체(100)를 통해서는 별도의 각도 조절부재가 없더라도 네일을 다양한 각도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블록본체(100)에는 돌출부(140)가 십자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돌출부(140) 끝부분에 동일한 힘이 분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반보강용 블록은, 특히, 사면 안정을 위해 설치되는 어스 앵커에 적합하다.
도 1은 종래의 블록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반보강용 블록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지반보강용 블록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앵커를 중심으로 배근한 후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블록본체 110 : 안착홈
101 : 중심부 120 : 경사면
130 : 관통공 140 : 돌출부
150 : 홈 160 : 천공
141 : 상면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블록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본체 상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는 네일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블록본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블록본체에는 상기 관통공에 연통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블록본체는 상하부 및 양측에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는 폭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은 홈의 양측경사면과 홈의 양측경사면을 잇는 수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에는 폭방향으로 천공이 형성되는 지반보강용 블록.
KR2020080015557U 2008-11-24 2008-11-24 지반보강용 블록 Expired - Lifetime KR200457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557U KR200457690Y1 (ko) 2008-11-24 2008-11-24 지반보강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557U KR200457690Y1 (ko) 2008-11-24 2008-11-24 지반보강용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78U KR20100005578U (ko) 2010-06-03
KR200457690Y1 true KR200457690Y1 (ko) 2011-12-29

Family

ID=44451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557U Expired - Lifetime KR200457690Y1 (ko) 2008-11-24 2008-11-24 지반보강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6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568A (ko) 2014-12-10 2015-01-07 (주)스마텍엔지니어링 지반 관입 앵커가 정착되어 비탈면을 보강하게 되는 강-콘크리트 합성구조의 앵커 수압판
KR200476043Y1 (ko) * 2014-04-04 2015-01-23 주식회사 씨그린 앵커블럭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2051A (ja) 1996-09-06 1998-03-31 Kinki Concrete Kogyo Kk 棒形のり枠ブロック
JP2005133509A (ja) 2003-10-31 2005-05-26 Ohbayashi Corp アースアンカー用受圧板
JP2006118204A (ja) 2004-10-21 2006-05-11 Kensetsu Kiso Eng Co Ltd 斜面安定構造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2051A (ja) 1996-09-06 1998-03-31 Kinki Concrete Kogyo Kk 棒形のり枠ブロック
JP2005133509A (ja) 2003-10-31 2005-05-26 Ohbayashi Corp アースアンカー用受圧板
JP2006118204A (ja) 2004-10-21 2006-05-11 Kensetsu Kiso Eng Co Ltd 斜面安定構造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043Y1 (ko) * 2014-04-04 2015-01-23 주식회사 씨그린 앵커블럭
KR20150002568A (ko) 2014-12-10 2015-01-07 (주)스마텍엔지니어링 지반 관입 앵커가 정착되어 비탈면을 보강하게 되는 강-콘크리트 합성구조의 앵커 수압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78U (ko)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521B1 (ko) 다층 건축물의 지하층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KR200457690Y1 (ko) 지반보강용 블록
KR101270697B1 (ko) 프리캐스트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중저층 건물의 기둥 리모델링 보강공법
KR101967425B1 (ko) 부벽식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482523B1 (ko) 안전휀스 설치 구성을 가지는 조립식 노듈러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829424B1 (ko) Uhpc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JP6192972B2 (ja) カルバート
KR102120647B1 (ko) 가공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및 그 제작방법
KR20090020082A (ko) 사면안정용 텐션 소일네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블록의시공방법
KR20090083661A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20160064745A (ko) 법면에 시공된 조립식 다기능 안전계단
KR102457875B1 (ko)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물
KR100626718B1 (ko) 보강토 옹벽 및 그 설치방법
JP3778392B2 (ja) 基礎ブロック
KR102511425B1 (ko) 하프피씨 타입 개량형 옹벽 구조
KR102127192B1 (ko) 하중 저항력이 강화된 부벽형 옹벽 및 이의 제작방법
KR100848081B1 (ko) 조립형 갱폼의 지지부 연장 설치 구조
KR100863003B1 (ko) 난간 설치 구조 및 시공 방법
KR200348534Y1 (ko) 날개형 보도 블록
JP4553190B2 (ja) 布基礎用型枠装置
KR200414936Y1 (ko) 거푸집 설치용 합판 받침대
KR102825724B1 (ko) 슬래브 관통 센터파일 지지장치
KR20160108779A (ko)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US6902353B2 (en) Top block for retaining wall
KR100940339B1 (ko)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112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1221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11062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122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UJ0206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Patent event code: U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14090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U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111223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quest date: 20140903

Appeal identifier: 2014100002200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Decision date: 2015020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40903

Effective date: 20150209

U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150209

Patent event code: UJ13011S02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identifier: 2014100002200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Decision date: 20150209

Request date: 2014090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