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7587Y1 - 스트로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한 병뚜껑 - Google Patents

스트로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한 병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587Y1
KR200457587Y1 KR2020110006506U KR20110006506U KR200457587Y1 KR 200457587 Y1 KR200457587 Y1 KR 200457587Y1 KR 2020110006506 U KR2020110006506 U KR 2020110006506U KR 20110006506 U KR20110006506 U KR 20110006506U KR 200457587 Y1 KR200457587 Y1 KR 2004575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traw
closing cover
coupling
bottle ca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5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재경
Original Assignee
차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재경 filed Critical 차재경
Priority to KR20201100065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5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587Y1/ko
Priority to PCT/KR2012/002242 priority patent/WO2013012155A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47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within a flat surface of the base element
    • B65D47/0852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within a flat surface of the base element consisting of a strap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 B65D47/1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with devices for removing frangible parts of the pouring element or of its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2Applications of coated or impregnat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05Tearable non-integral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스트로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한 병뚜껑이 개시된다. 개시된 병뚜껑은 페트병과 같이 음료가 내부에 수용된 음료용기의 병목부에 결합되며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병뚜껑에 있어서, 상면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형성되고, 중앙에 스트로우가 투입되는 스트로우 투입관을 구비한 원판형의 내측 커버; 및, 일측면이 상기 중공부의 일부분과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부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중공부의 내측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스트로우 투입관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관을 구비한 개폐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트로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한 병뚜껑 {BOTTLE CAP CAPABLE OF OPENING AND SHUTTING STRAW-INSERT HOLE}
본 고안은 병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로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스트로우 투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스트로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한 병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트병과 같은 음료용기에 들어 있는 음료제품은 음료용기의 병목부에 결합된 병뚜껑을 비틀어 분리한 후, 병목부의 주입부를 통해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를 마실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34081호에는 스트로우(빨대)를 꽂아 마실 수 있는 취수가 형성되고, 상기 취수구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취수구 커버를 구비한 병뚜껑이 개시된다.
하지만, 등록실용신안 공보 20-0434081에 개시된 병뚜껑은 취수구가 병뚜껑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직선형의 스트로우를 꽂아 마시기는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취수구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취수구를 덮는 취수구 커버가 개시되기는 하나, 취수구 커버가 취수구에 부착되는 방식이어서 커버를 병뚜껑으로부터 떼어내서 제거한 후 음료를 마신 다음, 음료가 남을 경우 취수구를 다시 덮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중앙에 형성된 돌기가 취수구에 삽입되는 구조의 취수구 커버가 개시되기는 하나, 이러한 취수구 커버를 빼낸 후, 보관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잃어버리기가 쉬어 음료를 마신 후 다시 취수구를 덮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탄산 음료로부터 가스가 외부로 세어나가지 않도록 밀폐판이 음료용기의 병목부에 형성된 구조가 있었으나, 이럴 경우,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는 병뚜껑을 음료용기로부터 비틀어 분리한 후, 음료용기의 병목부에 형성된 밀폐판을 제거하여 버리고 음료수를 마셔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스트로우를 꽂아 음료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스트로우 투입구를 구비할 뿐 아니라, 스트로우 투입구를 통해 상기 음료용기 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트로우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병뚜껑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트로우 비 사용시, 스트로우 투입구 주변의 청결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병뚜껑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트로우를 꽂아 음료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스트로우 투입구를 구비하고, 스트로우 투입구를 통해 상기 음료용기 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트로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할 뿐 아니라, 초기상태에서 음료 용기에 수용된 탄산 음료로부터 용출되는 가스가 외부로 세어나지 않도록 밀폐판을 구비하고, 음용시에 스트로우를 상기 스트로우 투입관에 꽂을 수 있도록 상기 밀폐판을 용이하게 절개할 수 있는 구조가 개선된 병뚜껑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병뚜껑은 페트병과 같이 음료가 내부에 수용된 음료용기의 병목부에 결합되며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병뚜껑에 있어서, 상면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형성되고, 중앙에 스트로우가 투입되는 스트로우 투입관을 구비한 원판형의 내측 커버; 및, 일측면이 상기 중공부의 일부분과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부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중공부의 내측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스트로우 투입관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관을 구비한 개폐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트로우 투입관의 외주면에는 외주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분리가능하게 스냅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관과 상기 스트로우 투입관의 결합 시, 상기 결합관이 상기 스트로우 투입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개폐 커버는 원판의 일부가 직선으로 잘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 커버와 상기 중공부 사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삽입이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개폐 커버의 측면에는 상기 개폐 커버가 상기 중공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중공부와 결합된 복수 개의 고정이음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이음부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중공부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트로우 투입관의 외주면에는 외주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며 상하로 서로 이격된 하부 결합돌기 및 상부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관의 내주면에는 내주방향을 따라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서로 이격된 상부 결합홈 및 하부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결합홈이 상기 상부 결합돌기에 결합된 상기 개폐 커버의 제 1 위치와, 상기 하부 결합홈이 상기 하부 결합돌기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결합홈이 상기 상부 결합돌기에 결합된 상기 개폐 커버의 제 2 위치를 가지며, 상기 스트로우 투입관은 내주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스트로우 투입관을 밀봉시키며, 외력에 의해 일부가 절개되는 절취선이 형성된 밀폐판; 및, 상기 개폐 커버는 상기 스트로우 투입관에 삽입되어 상하이동되도록 상기 결합관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푸쉬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 커버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할 경우, 상기 푸쉬부재가 상기 밀폐판을 밀어 상기 밀폐판이 상기 절취선을 따라 절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외주면과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코팅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팅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기 중공부를 덮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절개되어 분리되는 절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취부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가 연장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에 의하면, 스트로우 투입구를 통해 스트로우를 꽂아 음료용기에 수용된 음료를 마실 수 있을 뿐 아니라, 스트로우 투입구를 개폐 커버에 의해 개폐할 수 있으므로, 음료가 남은 경우에도 스트로우 투입구를 차단하여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트로우 투입관이 개폐 커버에 의해 덮여질 뿐 아니라, 개폐 커버의 결합관이 스트로우 투입관을 감싸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스트로우 투입구 주변의 청결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밀폐판이 구비되어 음료 용기에 수용된 탄산 음료로부터 용출되는 가스가 외부로 세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판이 종래와 같이 음료용기에 설치되지 않고 스트로우 투입관에 설치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서 번거롭게 병뚜껑을 음료용기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고, 특히, 개폐 커버를 누른 다음에 여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밀폐판이 절개되어 스트로우 투입관에 스트로우를 꽂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스트로우를 사용해 음료수를 마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병뚜껑이 음료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병뚜껑에서 개폐커버가 회동하여 스트로우 투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병뚜껑의 동작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병뚜껑이 음료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병뚜껑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병뚜껑에서 코팅부의 절개부가 분리된 후, 개폐 커버의 동작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스트로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한 병뚜껑(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병뚜껑(100)은 페트병과 같이 음료가 내부에 수용된 음료용기(10)의 병목부에 결합되어 음료용기(10) 내의 음료가 외부로 쏟아지지 않도록 한다.
병뚜껑(100)은 본체(101), 내측 커버(110) 및, 개폐 커버(130)를 포함한다.
본체(101)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101)의 상면에는 중공부(102)가 형성되고, 본체(101)의 하부 내면에는 음료용기(100)의 병목부에 결합되기 위한 나사부(103)가 형성된다.
내측 커버(110)는 본체(101)의 내주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고 중앙이 관통된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 커버(110)의 중앙에는 스트로우가 투입되도록 내부에 스트로우 투입구(113)를 구비한 스트로우 투입관(112)이 형성된다. 스트로우 투입관(112)은 내측커버(110)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스트로우 투입관(112)의 상부 외주면에는 외주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결합돌기(112a)가 형성된다. 스트로우 투입관(112)의 내경은 통상의 스트로우 외경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개폐 커버(130)는 중공부(102)의 내측에 수평 배치된다. 개폐 커버(130)는 일부가 직선으로 잘린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직경은 중공부(102)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개폐 커버(130)와 중공부(102) 사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삽입이 가능하도록 공간부(S)가 형성된다. 개폐 커버(130)는 일부가 중공부(102)와 일체로 연결된 연결부(13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개폐 커버(130)와 중공부(102) 사이에는 개폐 커버(130)를 중공부(102)에 고정하는 복수 개의 고정이음부(135)가 형성된다. 병뚜껑(100)을 사용되지 않은 초기에는 복수 개의 고정이음부(135)에 의해 개폐 커버(130)의 측면과 중공부(102)가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가 되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공간부(S)에 넣어 잡아당기면, 외력에 의해 고정이음부(135)가 끊어지면서 중공부(102)로부터 분리되어 개폐 커버(130)가 연결부(131)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개폐 커버(130)는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결합관(132)이 연장형성된다. 결합관(132)의 하부에는 스트로우 투입관(112)의 결합돌기(112a)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132a)이 형성된다. 결합관(132)의 중심과 스트로우 투입관(112)의 중심은 동일하며, 결합관(132)의 내경은 스트로우 투입관(112)의 외경보다 크다.
따라서, 결합관(132)의 결합홈(132a)은 개폐 커버(130)의 회동에 따라 스트로우 투입관(112)의 결합돌기(112a)에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병뚜껑(100)을 사용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는 도 3에 실선으로 표시된 개폐 커버(130)와 같이, 결합관(132)의 결합홈(132a)이 스트로우 투입관(112)의 결합돌기(112a)에 결합된 상태가 되어, 스트로우 투입관(112)이 개폐 커버(130)에 의해 차단된다{개폐 커버(130)의 닫힌 상태}. 이때, 결합홈(132a)이 결합돌기(112a)를 감싸므로, 스트로우 투입관(112)의 외측이 외부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점선으로 표시된 개폐 커버(130)와 같이, 개폐 커버(130)가 회동하여 중공부(102)를 개방하게 되면, 결합관(132)의 결합홈(132a)이 스트로우 투입관(112)의 결합돌기(112a)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되어, 스트로우 투입관(112)이 개방된다{개폐 커버(130)의 열린 상태}.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병뚜껑(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병뚜껑(100)이 음료용기(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공간부(S)에 손가락을 넣어 개폐 커버(130)를 잡아당기면 고정 이음부(135)가 끊어지면서 도 3에 표시된 점선과 같이, 개폐 커버(130)가 연결부(131)에 대해 회동하게 된다. 이 경우, 결합관(132)의 결합홈(132a)이 스트로우 투입관(112)의 결합돌기(112a)로부터 분리되어 스냅결합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스트로우를 스트로우 투입관(112)에 투입하여 음료용기(10) 내에 수용된 음료를 빨아서 마실 수 있다.
사용자가 음료를 충분히 음용한 후에 음료용기(10) 내에 음료가 남아 있다면, 사용자는 스트로우(미도시)를 빼내고 개폐 커버(130)를 닫아 결합관(132)의 결합홈(132a)이 스트로우 투입관(112)의 결합돌기(112a)에 스냅결합되도록 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처럼, 간편하게 개폐 커버(130)를 열어 스트로우 투입관(112)을 통해 스트로우를 꽂아 음료용기(10)의 음료를 마실 수 있으며, 음료가 남아 있을 경우, 스트로우 투입구(112)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음료용기(10)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개폐 커버(130)를 닫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특히, 개폐 커버(130)를 열어 음료를 마시고, 다시 닫았을 경우도 결합관(132)의 결합홈(132a)이 스트로우 투입관(112)의 결합돌기(112a)를 감싸기 때문에 스트로우 투입관(112)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스트로우 투입관(112)의 청결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스트로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한 병뚜껑(200)을 설명한다.
병뚜껑(200)은 본체(201), 내측 커버(210) 및, 개폐 커버(230)를 포함한다.
본체(201)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201)의 상면에는 중공부(202)가 형성되고, 본체(201)의 하부 내면에는 음료용기(100)의 병목부에 결합되기 위한 나사부(203)가 형성된다.
내측 커버(210)는 본체(201)의 내주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고 중앙이 관통된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 커버(210)의 중앙에는 스트로우가 투입되도록 내부에 스트로우 투입구(213)를 구비한 스트로우 투입관(212)이 형성된다.
스트로우 투입관(212)은 내측커버(210)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스트로우 투입관(212)의 상부 외주면에는 외주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한 쌍의 상부 결합돌기(212a)와 하부 결합돌기(212b)가 형성된다. 상부 결합돌기(212a)와 하부 결합돌기(212b)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스트로우 투입관(212)의 내경은 통상의 스트로우 외경보다 크다.
스트로우 투입관(212)은 내주면에 수평방향을 밀폐판(214)이 결합 설치되어 스트로우 투입관(212)을 밀봉시킨다. 특히, 밀폐판(214)은 음료용기(10) 내의 음료가 탄산음료일 경우에 더 필요한 구성으로서, 탄산음료의 가스가 음료용기(10)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밀폐판(214)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밀폐판(214) 외주면 내측에는 외력에 의해 일부가 절개되는 절취선(214a)이 형성된다. 절취선(214a)은 원형으로 형성되되, 원형의 일부는 절개되지 않는 이음부(214b)를 포함하고 있다. 밀폐판(214)은 통상의 밀봉부재가 가지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밀폐판(214)의 두께보다 아주 얇은 절취선(214a)이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절취선(214a)이 절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개폐 커버(230)는 중공부(202)의 내측에 수평 배치된다. 개폐 커버(230)는 일부가 직선으로 잘린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직경은 중공부(202)의 크기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개폐 커버(230)와 중공부(202) 사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삽입이 가능하도록 공간부(S2)가 형성된다. 개폐 커버(230)는 일부가 중공부(202)와 일체로 연결된 연결부(23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 예의 개폐 커버(230)와 중공부(202) 사이에는 제 1 실시 예와 같은 복수 개의 고정이음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 커버(230)는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결합관(132)이 연장형성된다. 결합관(232)의 내주면에는 내주방향을 따라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결합홈(232a) 및 상부 결합홈(232b)이 형성된다. 하부 결합홈(232a) 및 상부 결합홈(232b)은 서로 이격 형성되며, 그 간격은 스트로우 투입관(212)의 상부 결합돌기(212a)와 하부 결합돌기(212b) 간격과 동일하다. 결합관(132)의 중심과 스트로우 투입관(112)의 중심은 동일하며, 결합관(132)의 내경은 스트로우 투입관(112)의 외경보다 크다.
결합관(232)의 하부 결합홈(232a) 및 상부 결합홈(232b)은 개폐 커버(230)의 회동에 따라 스트로우 투입관(212)의 상부 결합돌기(212a)와 하부 결합돌기(212b)에 분리되거나 결합된다.
이 경우, 하부 결합홈(232a)이 상부 결합돌기(212a)에 결합된 상태를 개폐커버(230)의 제 1 위치라 정의하고, 하부 결합홈(232a)이 하부 결합돌기(212b)에 결합되고, 상부 결합홈(232b)이 상부 결합돌기(212a)에 결합된 상태를 개폐 커버(230)의 제 2 위치라 정의한다.
개폐 커버(230)는 하방으로 원기둥형상의 푸쉬부재(234)가 연장 형성된다. 푸쉬부재(234)의 중심은 결합관(232)의 중심과 동일하고, 푸쉬부재(234)는 결합관(232)의 내측에 배치된다. 푸쉬부재(234)는 스트로우 투입관(210)의 내측에 삽입되고, 개폐커버(230)의 누름 또는 회동에 따라, 스트로우 투입관(210)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또는 스트로우 투입관(210)으로부터 빠져나와 벗어날 수 있다.
병뚜껑(200)을 사용하지 않은 초기에는 도 5에 표시된 개폐 커버(230)와 같이, 개폐커버(230)는 제 1 위치가 되고{개폐 커버(230)의 닫힌 상태}, 사용자가 개폐 커버(230)를 누르면 도 6에 표시된 개폐 커버(230)와 같이, 결합관(232)이 하방으로 내려가 개폐 커버(230)는 제 2 위치가 된다{개폐 커버(230)의 눌린 상태}.
사용자가 개폐 커버(230)를 눌러, 개폐 커버(230)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면, 푸쉬부재(234)도 연동되어 밀봉부재(214)를 가압함으로써 도 6과 같이, 밀폐판(214)에 형성된 절취선(214a)이 절개되어, 이음부(214b)에 대해 하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점선으로 표시된 개폐 커버(230)와 같이, 개폐 커버(230)가 회동하여 중공부(202)를 개방하게 되면, 결합관(232)의 하부 결합홈(232a) 및 상부 결합홈(232b)은 개폐 커버(230)가 스트로우 투입관(212)의 상부 결합돌기(212a)와 하부 결합돌기(212b)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되어 스트로우 투입관(212)이 개방된다{개폐 커버(230)의 열린 상태}.
본 실시 예의 병뚜껑(200)은 본체(201)의 외면 즉, 외주면과 상면을 덮도록 코팅되어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본체(201)를 보호하도록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코팅부재(207)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코팅부재(207)의 상면에는 절취부(207a)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절취부(207a)가 코팅부재(207)의 상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절취부(207a)의 일측에는 연장형성된 손잡이부(207ab)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손잡이부(207ab)를 잡고 상측으로 당기면 절취부(207a)가 코팅부재(207)로부터 절개되어 분리된다. 이때, 절취부(207a)는 본체(201)의 상면에 형성된 중공부(202)를 커버하는 면적을 갖는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병뚜껑(2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병뚜껑(200)이 음료용기(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207ab)를 잡아당겨, 코팅부재(207)의 절취부(207a)를 제거하면, 본체의 중공부(202) 및 개폐 커버(230)가 외부에 노출된다. 이때, 개폐 커버(230)는 제 1 위치{개폐 커버(230)의 닫힌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개폐 커버(230)를 누르면, 연결부(231)에 대해 개폐 커버(230)가 하방으로 회동하여 내려가 도 6에 실선으로 표시된 개폐 커버(230)와 같이, 결합관(232)은 하방으로 내려가게 되어 개폐 커버(230)는 제 2 위치가 된다{개폐 커버(230)의 눌린 상태}. 이 경우, 즉, 사용자가 개폐 커버(230)를 눌러, 개폐 커버(230)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면, 푸쉬부재(234)가 연동되어 밀봉부재(214)를 가압함으로써 도 6과 같이, 밀폐판(214)에 형성된 절취선(214a)이 절개되어, 이음부(214b)에 대해 하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공간부(S2)에 손가락을 넣어 개폐 커버(230)를 잡아당기면 도 6에 표시된 점선과 같이, 개폐 커버(230)가 연결부(231)에 대해 상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경우, 결합관(232)의 하부 결합홈(232a) 및 상부 결합홈(232b)은 개폐 커버(230)가 스트로우 투입관(212)의 상부 결합돌기(212a)와 하부 결합돌기(212b)로부터 분리되어 스트로우 투입관(212)이 개방되고{개폐 커버(230)의 열린 상태}, 이와 함께 푸쉬부재(234)도 스트로우 투입관(232)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스트로우를 스트로우 투입관(212)에 투입하여 음료용기(10) 내에 수용된 음료를 빨아서 마실 수 있다.
사용자가 음료를 충분히 음용한 후에 음료용기(10) 내에 음료가 남아 있다면, 사용자는 스트로우를 빼내고 개폐 커버(230)를 닫아 하부 결합홈(232a)이 상부 결합돌기(212a)에 스냅결합되도록 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의 병뚜껑(200)은 사용자가 개폐 커버(230)를 눌러 밀폐판(214)을 절개한 후, 개폐 커버(230)를 여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스트로우 투입관(112)에 스트로우를 꽂아 음료용기(10)의 음료를 마실 수 있으며, 음료가 남아 있을 경우, 스트로우 투입구(212)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음료용기(10)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개폐 커버(230)를 닫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특히, 개폐 커버(230)를 열어 음료를 마시고, 다시 닫았을 경우도 결합관(232)의 하부 결합홈(232a)이 스트로우 투입관(212)의 상부 결합돌기(212a)를 감싸고 개폐 커버(230)가 스트로우 투입관(112)을 덮기 때문에, 스트로우 투입관(212)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스트로우 투입관(212)의 청결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1...본체
102...중공부
103...나사부
110...내측 커버
112...스트로우 투입관
112a...결합돌기
113...스트로우 투입구
130...개폐 커버
131...연결부
132...결합관
132a...결합홈
135...고정이음부
201...본체
202...중공부
203...나사부
207...코팅부재
207a...절취부
207ab...손잡이부
210...내측 커버
212...스트로우 투입관
212a...상부 결합돌기
212b...하부 결합돌기
213...스트로우 투입구
214...밀폐판
214a...절취선
214b...이음부
230...개폐 커버
231...연결부
232...결합관
232a...하부 결합홈
232b...상부 결합홈
234...푸쉬부재
235...고정이음부

Claims (6)

  1. 페트병과 같이 음료가 내부에 수용된 음료용기의 병목부에 결합되며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병뚜껑에 있어서,
    상면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형성되고, 중앙에 스트로우가 투입되는 스트로우 투입관을 구비한 원판형의 내측 커버; 및,
    일측면이 상기 중공부의 일부분과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부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중공부의 내측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스트로우 투입관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관을 구비한 개폐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로우 투입관의 외주면에는 외주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분리가능하게 스냅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관과 상기 스트로우 투입관의 결합 시, 상기 결합관이 상기 스트로우 투입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커버는 원판의 일부가 직선으로 잘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 커버와 상기 중공부 사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삽입이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커버의 측면에는 상기 개폐 커버가 상기 중공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중공부와 결합된 복수 개의 고정이음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이음부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중공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 투입관의 외주면에는 외주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며 상하로 서로 이격된 하부 결합돌기 및 상부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관의 내주면에는 내주방향을 따라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서로 이격된 상부 결합홈 및 하부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결합홈이 상기 상부 결합돌기에 결합된 상기 개폐 커버의 제 1 위치와,
    상기 하부 결합홈이 상기 하부 결합돌기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결합홈이 상기 상부 결합돌기에 결합된 상기 개폐 커버의 제 2 위치를 가지며,
    상기 스트로우 투입관은 내주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스트로우 투입관을 밀봉시키며, 외력에 의해 일부가 절개되는 절취선이 형성된 밀폐판; 및,
    상기 개폐 커버는 상기 스트로우 투입관에 삽입되어 상하이동되도록 상기 결합관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푸쉬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 커버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할 경우, 상기 푸쉬부재가 상기 밀폐판을 밀어 상기 밀폐판이 상기 절취선을 따라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과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코팅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팅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기 중공부를 덮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절개되어 분리되는 절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취부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가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
KR2020110006506U 2011-07-18 2011-07-18 스트로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한 병뚜껑 Expired - Fee Related KR200457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506U KR200457587Y1 (ko) 2011-07-18 2011-07-18 스트로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한 병뚜껑
PCT/KR2012/002242 WO2013012155A1 (ko) 2011-07-18 2012-03-28 스트로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한 병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506U KR200457587Y1 (ko) 2011-07-18 2011-07-18 스트로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한 병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587Y1 true KR200457587Y1 (ko) 2011-12-26

Family

ID=4755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506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7587Y1 (ko) 2011-07-18 2011-07-18 스트로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한 병뚜껑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57587Y1 (ko)
WO (1) WO201301215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360B1 (ko) * 2013-08-14 2014-02-06 (주) 부광케미컬 일회용 밀폐용기
KR20220005329A (ko) * 2020-07-06 2022-01-13 강신원 빨대 삽입 가능 구조를 포함하는 병뚜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5943U (ko) 1985-10-17 1987-04-24
JP2001199464A (ja) 2000-01-18 2001-07-24 Shikoku Kakoki Co Ltd 密封容器
JP2007168825A (ja) 2005-12-20 2007-07-05 Sakura Color Prod Corp チューブ容器用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9997Y2 (ja) * 1990-06-13 1996-12-1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キャップ
KR200363733Y1 (ko) * 2004-07-07 2004-10-08 정봉영 혼합용 뚜껑
JP5445993B2 (ja) * 2009-02-12 2014-03-19 グリコ乳業株式会社 ストロー差込部位保護の容器入り飲食物及び該ストロー差込部位保護の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5943U (ko) 1985-10-17 1987-04-24
JP2001199464A (ja) 2000-01-18 2001-07-24 Shikoku Kakoki Co Ltd 密封容器
JP2007168825A (ja) 2005-12-20 2007-07-05 Sakura Color Prod Corp チューブ容器用キャップ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360B1 (ko) * 2013-08-14 2014-02-06 (주) 부광케미컬 일회용 밀폐용기
KR20220005329A (ko) * 2020-07-06 2022-01-13 강신원 빨대 삽입 가능 구조를 포함하는 병뚜껑
KR102374700B1 (ko) 2020-07-06 2022-03-15 강신원 빨대 삽입 가능 구조를 포함하는 병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12155A1 (ko)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1259C2 (ru) Нажимно-вытяжной затвор для емкости для питья
US9162802B2 (en) Drink bottle
JP5240313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US10077143B2 (en) Lid for container with rotatable reclosable spout
TWM418208U (en) Improved water control switch
KR200457587Y1 (ko) 스트로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한 병뚜껑
TWI858920B (zh) 飲料容器之蓋體總成
KR100870696B1 (ko) 밀봉 지퍼 빨대를 구비한 용기
KR101373638B1 (ko) 원터치 방식의 기능성 컵 마개
TWI860780B (zh) 具有可互換插入件之飲料容器系統
KR102370526B1 (ko) 음료 용기
CN201325706Y (zh) 一种蜂蜜包装瓶
KR101053388B1 (ko) 음료용기
KR19990066913A (ko) 음료수 용기용 뚜껑
KR101311949B1 (ko)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 용기
KR101373637B1 (ko) 원터치 방식의 기능성 컵 마개
KR200434081Y1 (ko) 취수구 커버를 구비하는 병뚜껑
KR200435196Y1 (ko)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KR200413867Y1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기
WO2003039986A1 (en) Closer of beverage vessel
CN2835129Y (zh) 瓶盖装置
CA2692059A1 (en) Cap for a container
KR102416533B1 (ko) 원터치 개폐 장치
US20090152228A1 (en) Combination nipple and cap
KR200339588Y1 (ko) 원터치형 용기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71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19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18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10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12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51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