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411Y1 - Mobile device holder for separation of left and right sound and expansion - Google Patents
Mobile device holder for separation of left and right sound and expans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7411Y1 KR200457411Y1 KR2020110004182U KR20110004182U KR200457411Y1 KR 200457411 Y1 KR200457411 Y1 KR 200457411Y1 KR 2020110004182 U KR2020110004182 U KR 2020110004182U KR 20110004182 U KR20110004182 U KR 20110004182U KR 200457411 Y1 KR200457411 Y1 KR 20045741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 mobile device
- speaker
- output
- charging ca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101 oviduc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02—Mechanical acoustic impedances; Impedance matching, e.g. by horns; Acoustic resonat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 등 모바일기기를 별도의 전원 연결 없이 곡면 구조의 울림통을 통해 음향을 확성하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기 받침대, 충전케이블 통로, 좌우 음향 분리대, 좌/우 음향 울림통, 전면 덮개 및 전면 음향 분리대로 구성되어, 모바일 기기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을 좌우로 각각 분리하고, 분리된 음향을 울림통을 통해 확성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음향 분리와 확성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for amplifying sound through a curved ring of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and more specifically, device support, charging cable passage, left and right sound separator, left and right sound ring, It is composed of a front cover and a front sound separator, and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of the mobile device can be separated from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and the separated sound can be separated through a ring box, and the left and right sound separation is possible. A mobile device holder is disclosed.
Description
본 고안은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를 거치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좌우로 분리하고 울림통을 통해 확성해 주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nd relates to a cradle that separates the output sound from side to side and expands through the ring.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음향)을 곡면 처리된 기구물의 구조를 통해 좌우로 확성함으로써, 간편하게 언제 어디서나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보다 크고 선명하게 들을 수 있는 거치대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It is a technology for the cradle structure that allows you to listen to the sound output from the device more easily and loudly anytime and anywhere by expanding the sound (sound) output from the device to the left and right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curved surface without additional power supply. .
최근 통신환경과 정보통신 기기 제조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 등 휴대형 통신기기 즉, 모바일기기의 사용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기기는 휴대통신 등 유무선 통신환경에서 네트워크가 가능한 정보통신기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정보이용이 가능하게 한다. 가장 대표적이며 이용도가 높은 모바일기기인 스마트폰은 휴대폰의 통신기능에 휴대인터넷 기능 등이 결합된 형태로, 편리한 사용자환경( UI : User Interface)을 통해 다양한 기능으로 활용되고 있다. 기본적인 전화통화 기능 외에 휴대 인터넷과 게임, 음악 감상과 영화 등 동영상 컨텐츠 감상 등 그 활용도는 나날이 다양화되고 있다.Recently, the use of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smartphones, that is, mobile devices,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manufacturing technology. Such mobile devices enable information use anytime and anywhere through a network-enabl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in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Smartphone, the most representative and highly available mobile device, combines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with the mobile internet function, and is being used for various functions through a convenient user interface (UI). In addition to basic phone calls, the usage of mobile internet, games, music, and movie content such as movies is becoming more diverse.
스마트폰의 사용이 급속하게 증가하면서, 이와 관련된 주변기기들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들로는 태블릿PC 형태의 모바일기기와 연결되는 블루투스 핸드프리 세트,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기기를 보호하는 범퍼나 케이스 등이다. 이와 더불어 스마트폰이 기존의 MP3 플레이어나 DVD플레이어를 대체하면서 음향을 보다 실감있게 감상하려는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도크(Dock)형태로 거치대 기능의 스피커가 개발되는 사례들도 있다. As the use of smart phones is increasing rapidly, various peripheral devices are being developed and distributed. The most widely used ones include a Bluetooth hand-free set that connects to a tablet PC-type mobile device and a bumper or case that protects the device from external shocks. In addition, as smartphones replace existing MP3 players or DVD players, the desire to enjoy sound more realistically increases, and there are cases in which dock-type speakers are developed in a dock form.
가장 효과적으로 스마트폰을 개발하고 전세계적으로 보급하여 높은 이용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미국 Apple社의 아이폰(iphone)과 태블릿PC인 아이패드(ipad)는 기기 자체적으로 하단부에 좌/우로 소형이지만 출력에는 부족함이 없는 스피커가 구비되어 있다. 많은 사용자들이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사용함에 따라, 이와 연결되어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주변기기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중 어렵지 않게 찾아 볼 수 있는 제품이 스피커 세트이다. 대부분의 스피커 세트는 스마트폰의 이어폰 단자에 연결잭을 삽입하여 전달된 음향을 전기적으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형태로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 한다. 언제 어디서나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결되는 주변기기로 전원공급을 전제로 하는 스피커 세트는, 전원이 없는 야외의 공간에서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미 스마트폰 자체에 고음질의 소형 스피커가 구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 기능을 추가로 제공함에 따라 불필요한 소비로 지적되기도 하지만 이용자의 취향과 기능적 필요성 때문에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Apple's iPhone and tablet PC iPad, which is developing smartphones and distributing them globally, are growing in popularity. There is no speaker. As many users use iPhones and iPads, peripherals have emerged that can connect with them to enhance various entertainment effects. Among them, the speaker set is a product that can be easily found. Most speaker sets require a separate power supply by inserting a connection jack into the earphone jack of the smartphone to electrically transmit the sound transmitted through the speaker. The speaker set that presupposes power supply as a peripheral device connected to a smartphone, which can be used anytime and anywhere, can not be used in an outdoor space without a power source, and the smartphone itself has a high quality small speaker. Despite this, additional use of the same function is pointed out as unnecessary consumption, but its use is increasing due to user's taste and functional necessity.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의 모바일기기들은 대부분 대동소이한 구조로, 기기를 세로나 가로로 세웠을 때, 하단부의 중앙에 충전케이블 삽입구가 있고, 그 좌우에 출력 스피커가 위치한다. 이런 구조를 적절히 잘 활용하면, 별도의 스피커 없이 출력되는 음향을 확성하는 구조만으로도 충분히 적절한 음향 확성을 통한 스피커 구현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Most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have a similar structure, and when the device is plac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there is a charging cable insertion hole in the center of the lower part, and output speakers are locat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If the structure is properly used, a speaker that can amplify the output sound without a separate speaker will have a speaker implementation effect through adequate sound amplification.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마트폰 등 모바일기기의 하단부 좌우에 위치한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세로 칸막이형태의 음향 분리대로 분리하고 전면부를 덮어 후면 하단부로 유도하여, 하단부는 얕고 좁게, 상단부는 넓고 깊게 구비된 울림통을 통해 음향이 확성되도록 하는 구조의 모바일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lower end of the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s separated into a vertical partition-type sound separation and cover the front part to guide the lower part of the rear, the lower part Shallow and narrow, the upper end is to provide a mobile device cradle of a structure that the sound is amplified through a wide and deeply provided ring.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좌우 음향 분리와 확성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는 스마트폰 등 모바일기기를 지지하고, 충전 케이블이 지나갈 수 있으며, 스피커의 음향이 원활하게 출력될 수 있는 개방형 구조의 기기 받침대(101)와; 모바일기기의 충전케이블이 후면이나 사방으로부터 기기 하단부의 충전케이블 삽입구에 연결될 수 있는 공간인 충전케이블 통로(102)와; 모바일기기의 하단부에 위치한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좌/우 음향을 칸막이 형태로 분리하는 좌우 음향 분리대(110)와; 좌/우 분리된 각각의 음향을 유도하여 방향성을 부여하도록, 넓이와 깊이를 조절하여 곡면 처리된 구조의 음향 울림통(111, 112)과; 모바일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전면으로부터 뒷면의 음향 울림통으로 유도해주는 전면 덮개(120) 및 전면 음향 분리대(121);로 구성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mobile device cradle capable of separating and expanding the left and right 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charging cable can pass, and the sound of the speaker can be output smoothly. A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전원을 공급받아 출력 케이블을 통해 제공되는 음향을 스피커로 출력하는 기존의 모바일기기 연결 스피커 세트와 달리, 모바일기기 자체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하단부 좌우 각각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세로 칸막이를 통해 좌/우로 분리하고,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음향이 흐르도록 곡면처리된 울림통을 통해, 좁고 얕은 구조에서 넓고 깊은 구조로 완만하게 유도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음향이 소실되지 않고 확성되고 방향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원공급이나 기계 장치 없이 모바일기기 자체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existing mobile device connected speaker set that is supplied with power and outputs the sound provided through the output cable to the speaker, it is output from the speaker of each of the lower left and right of the mobile device itself The sound is separated from the left and right through the vertical divider, and through the sounding container curved to flow the sound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the sound is naturally enlarged and directional without being lost as it is gently guided from the narrow and shallow structure to the wide and deep structure. By having it, it can help to effectively provide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of the mobile device itself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or mechanical devic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좌우 음향 분리와 확성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좌우 음향 분리와 확성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의 후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좌우 음향 분리와 확성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의 결합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좌우 음향 분리와 확성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좌우 음향 분리와 확성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device holder capable of separating left and right sound and expa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eparation of the mobile device cradle capable of separating left and right 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upling diagram of a mobile device holder capable of separating left and right 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mplification
4 is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device holder capable of separating left and right sound and expa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device holder capable of separating left and right sound and expand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최근 급격하게 이용이 증가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의 모바일기기 사용을 보다 유용하게 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미국 애플사의 아이폰과 아이패드 등의 모바일기기가 특히 젊은 층 소비자에게 인기를 끌면서, 단순히 정보통신기기로써의 역할 뿐만 아니라, 문화적 아이콘으로써의 성격 또한 지니게 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 등의 소프트웨어(SW) 뿐만 아니라, 모바일기기 주변장치인 하드웨어(HW)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모바일기기 사용자 선택의 폭을 보다 넓게 해주며, 이용하는 즐거움을 배가시키고 있다. 본 고안은 그러한 문화적 배경에서 출발하였다. 모바일기기는 크게 영상과 음향을 통해 출력되는데, 영상은 기기자체의 컬러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되고, 스피커는 자체적으로 구비된 소형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아이폰이 큰 인기를 끌면서, 아이폰의 기기 구조가 스마트폰 등 모바일기기의 보편적인 표준으로 자연스럽게 인식되었다. 즉, 세로형의 기기에 상단부에 통화 시 상대방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소형 스피커, 본체 전면에 컬러 디스플레이, 기기 하단부 중앙에 충전 및 데이터 케이블 삽입구, 그 좌우에 음향 출력 스피커의 구조이다. 이 구조는 아이폰 뿐만 아니라, 안드로이드 운영체계를 탑재하는 다른 스마트폰에도 거의 동일하게 적용되는 구조이다. 본 고안은 모바일기기 하부의 충전 및 데이터케이블 삽입구와 출력스피커의 위치가 거의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모바일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그대로 활용하되, 곡면형태로 음각된 울림통 구조를 통해 음량을 확대하고 방향성을 증가시켜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확성효과를 통해 스피커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make more useful use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or tablet PCs that are rapid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Mobile devices such as Apple's iPhones and iPads have become particularly popular with young consumers, not only serving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but also as cultural icons.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not only software (SW) such as applications for smartphones, but also hardware (HW), a peripheral device for mobile devices, has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thereby broadening the choice of mobile device users and doubling the enjoyment of use. The invention originated from such a cultural background. The mobile device is largely output through video and sound. The video is provided through a color display of the device itself, and the speaker is output through a small speaker provided by itself. As the iPhone became very popular, the device structure of the iPhone was naturally recognized as a universal standard for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In other words, the vertical type device has a small speaker that can hear the other party's voice in the upper part, a color display in the front of the main body, a charging and data cable insertion hole in the center of the lower part of the device, and an audio output speak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This structure applies almost identically to not only iPhone, but also other smartphones with Android operating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positions of the charging and data cable insertion ports and the output speakers in the lower part of the mobile device are almost similar, and the sound output from the mobile device is used as it is, but the volume is enlarged through the curved sound box structure. By increasing the directionality, the speaker function is provided through the amplification effect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좌우 음향 분리와 확성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기기를 지지하고, 충전 케이블이 지나갈 수 있으며, 스피커의 음향이 원활하게 출력될 수 있는 개방형 구조의 기기 받침대(101), 모바일기기의 충전케이블이 후면이나 사방으로부터 기기 하단부의 충전케이블 삽입구에 연결될 수 있는 공간인 충전케이블 통로(102), 모바일기기의 하단부에 위치한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좌/우 음향을 칸막이 형태로 분리하는 좌우 음향 분리대(110), 좌/우 분리된 각각의 음향을 하단부는 좁고 얕게, 상단부는 넓고 깊게 곡면 처리된 구조의 음향 울림통(111, 112), 모바일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전면으로부터 뒷면의 음향 울림통으로 유도해주는 전면 덮개(120) 및 전면 음향 분리대(121)로 구성되어, 모바일 기기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을 좌우로 각각 분리하고, 분리된 음향을 울림통을 통해 확성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음향 분리와 확성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device holder capable of separating left and right sound and expan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supports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the charging cable can pass, the open
스마트폰 등 모바일기기의 출력 스피커는 소형이지만, 그 출력이 충분하여, 실내에서는 음악 감상 등에 부족함이 없다. 다만, 음량이 아니라 음질상의 차이, 즉 저음역대의 음향이 잘 들리지 않고, 좌우 스테레오 음향이 뒤섞여 들리는 한계가 있어서 음악 감상 등을 위해 별도의 스피커가 연결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본 고안은 기기 받침대(101)로 충분히 고정된 모바일기기 하단부의 좌우 출력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좌우 음향 분리대(110)로 좌측의 음향과 우측의 음향을 구조적으로 구분해낸다. 좌우측으로 분리된 음향은 깊이가 얕고 폭이 좁은 하단부와 깊이가 깊고 폭이 넓은 상단부의 형태로 곡면처리된 형상의 음향 울림통(111)을 통해 자연스럽게 흐르게 된다. 모바일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소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모바일 기기 전면 하단부에 덮개(120)를 구비하고, 추가적으로 음향 분리대(121)를 구비하여, 고스란히 좌우 음향을 각각의 울림통을 통해 흐르도록 유도해 준다. 울림통의 구조를 이와 같이 한 이유는 확성기 구조에서 착안한 것으로, 별도의 전원공급이 없이도 나팔관 형태의 확성기는 음량을 증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확성기와 유사하게 음향이 머무르며 흐르는 공간의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음량이 증가하고, 울림통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음향이 방향성을 갖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테레오 타입으로 좌우 음향이 분리된 출력음을 보다 확장하고 좌우 분리함으로써 실내는 물론이고, 실외에서도 간편하게 보다 나은 음향을 즐길 수 있다. 지속적으로 모바일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충전 케이블을 모바일기기에 삽입하는 충전케이블 통로(102)를 구비하고, 거치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지지대(130)를 더 구비한다.Although the output speaker of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is small, its output is sufficient, and there is no shortage of listening to music indoors. However, the difference in sound quality, that is, not the volume, that is, the low-end sound is not heard well, and the left and right stereo sound is mixed so that there is a limit that separate speakers are used for listening to music. The present invention structurally distinguishes the sound from the left and the right sound by the left and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좌우 음향 분리와 확성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의 후면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과 같이 전면 덮개(120)의 내측으로 전면 음향 분리대(121)을 구비하여, 모바일기기 하단부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좌우로 분리하여 후면의 좌우 음향 울림통(111, 112)로 유도한다. 울림통의 후면이나 하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대(130)는 구조적으로 최대한 간결하면서도 모바일기기와 거치대 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도면에서는 접이식의 구조로 설명하고 있으나 꼭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충전케이블 통로(102)를 통해 충전케이블(300)이 후면으로 연결되어 전원 공급 플러그에 연결됨으로써 지속적으로 모바일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일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충분할 경우, 굳이 충전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device cradle capable of separating and expanding the left and right 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ront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좌우 음향 분리와 확성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의 결합도이다. 도면의 실시예는 하트모양의 좌우 울림통 구조로 고안된 기구 형태이다. 이 경우 모바일기기 하단으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좁고 얕은 울림통 하단부로 유도되어 넓고 깊은 울림통 상단부로 진행되면서 음량이 증대되고 방향성을 갖게 되어, 좌우 각각 다른 음향으로 보다 멀리 전달될 수 있다. 이처럼 외형적으로도 미려한 구조로 모바일기기와 결합된다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모바일기기의 활용도를 더욱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고안은 스마트폰 하단부의 출력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유도하여 좌우로 분리하고, 음향이 지나는 공간의 깊이와 넓이를 조금씩 달리하는 곡면형태의 울림통을 통해 음량을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그 형태와 구조는 특정 한 형태에 한정하지는 않는 다. 3 is a coupling diagram of a mobile device holder capable of separating left and right sound and expa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of the figure is a mechanism form designed in the shape of a heart-shaped left and right ring. In this case, the sound output from the lower end of the mobile device is guided to the lower end of the narrow and shallow sound container, and the sound volume is increased and directional as it proceeds to the upper part of the wide and deep sound container, which can be transmitted farther to each other. If combined with the mobile device in the external and beautiful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further expand the utilization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output speaker of the smart phone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sound volume is characterized by expanding the volume through a curved ring-shaped tub that slightly differs in the depth and width of the space where the sound passes, Its form and structure are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form.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좌우 음향 분리와 확성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는 좌우 음향 분리대를 통해 음향을 분리하고 좌우 울림통의 하단부와 상단부 깊이만을 달리하여 방향성을 증가한 형태이다. 이처럼 반드시 울림통의 하단부를 좁게, 상단부를 넓게 할 필요는 없으며, 적절한 곡면구조를 통해 음량은 증가하고 방향성을 갖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보다 미려한 외관구조로 사무실 등에서 활용될 수 있다.4 is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device holder capable of separating left and right sound and expand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sound is separat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sound separators, and the directionality is increased by changing only the depths of the lower and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ring. As such, it is not necessary to narrow the lower end of the ring and widen the upper part, and through the appropriate curved structure, the volume may increase and have a directivity. This structure can be utilized in offices and the like with a more beautiful appearance structure.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좌우 음향 분리와 확성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는 좌우 음향 분리대를 통해 음향을 분리하고 좌우 울림통을 축음기의 나팔관처럼 구비한 형태이다. 이 구조는 재미있는 제품을 좋아하는 소비자를 위한 구조로, 나팔관 형태의 좌우 음향 울림통을 통해 자연스럽게 음량이 확대되어 방향성을 갖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은 그 형태와 구조를 조금씩 변형하면 다양한 형태의 기구물로 고안될 수 있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device holder capable of separating left and right 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sound is separat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sound separators, and the left and right sounding boxes are provided like the fallopian tubes of the phonograph. This structure is for consumers who like interesting products, and the sound volume naturally expands through the fallopian tubes.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vised in various forms of instruments by slightly changing its shape and structure.
상기와 같이 고안된 형태의 모바일 기기 거치대 구조를 통해, 기존의 모바일기기용 스피커와 달리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도, 음량을 확대하여 방향성을 갖게 함으로써 스피커의 음향 출력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다양한 형태의 구조로 제조하여 모바일 기기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효과를 더 기대할 수 있다.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mobile device holder of the type design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ound output effect of the speaker by expanding the volume to have a directionality,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unlike a conventional mobile device speaker. In addition, by manufacturing in a variety of structures can be expected a variety of effects to suit the taste of the mobile device user.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좌우 음향 분리와 확성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Although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obile device holder capable of separating and expanding left and right sou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various scope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transformation to this also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101 : 기기 받침대
102 : 충전케이블 통로
110 : 좌우 음향 분리대
111 : 좌측 음향 울림통
112 : 우측 음향 울림통
120 : 전면 덮개
121 : 전면 음향 분리대
130 : 지지대
200 : 스마트폰
300 : 충전 케이블 101: device stand
102: charging cable passage
110: left and right sound separator
111: left sound ring
112: right sound ring
120: front cover
121: front acoustic separator
130: support
200: smartphone
300: charging cable
Claims (2)
상기 모바일기기의 충전케이블이 후면으로부터 기기 하단부의 충전케이블 삽입구에 연결될 수 있도록 확보된 공간인 충전케이블 통로(102)와;
상기 모바일기기의 하단부에 위치한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좌/우 음향을 칸막이 형태로 분리하는 좌우 음향 분리대(110)와;
좌/우 분리된 각각의 음향을 유도하여 방향성을 부여하도록, 넓이와 깊이를 조절하여 곡면 처리된 구조의 음향 울림통(111, 112)과;
상기 모바일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전면으로부터 뒷면의 음향 울림통으로 유도해주는 전면 덮개(120) 및 전면 음향 분리대(121);로 구성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을 좌우로 각각 분리하고, 분리된 음향을 울림통을 통해 확성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음향 분리와 확성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Supports mobile phones with speakers at the bottom of the device, MP3 and video player, tablet PC, radio, navigation, mobile device, DMB receiver, charging cable can pass, and the sound of the speaker can be output without blocking An apparatus holder 101 of an open structure;
A charging cable passage 102 which is a space secured so that the charging cable of the mobile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cable insertion hole at the bottom of the device from the rear;
A left and right sound separator 110 for separating the left and right sounds outputted from the speaker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mobile device into a partition form;
Sound ring (111, 112) of the curved structure by adjusting the width and depth to induce each of the left and right separated sound to give direction;
Consists of the front cover 120 and the front sound separator 121 to guide the sound output from the mobile device from the front to the sound ring of the rear;
Mobile device holder capable of separating and expanding the left and right sound,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unction to separate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of the mobile device to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and to amplify the separated sound through an echo box.
상기 음향 울림통의 후면이나 하단부에 별도의 지지대(130)를 더 구비하여, 안정적으로 모바일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좌우 음향 분리와 확성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equipped with a separate support 130 on the rear or bottom of the sound ring, the mobile device holder that can separate and expand the left and right sound can securely mount the mobile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4182U KR200457411Y1 (en) | 2011-05-17 | 2011-05-17 | Mobile device holder for separation of left and right sound and expans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4182U KR200457411Y1 (en) | 2011-05-17 | 2011-05-17 | Mobile device holder for separation of left and right sound and expans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57411Y1 true KR200457411Y1 (en) | 2011-12-19 |
Family
ID=4556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4182U Expired - Lifetime KR200457411Y1 (en) | 2011-05-17 | 2011-05-17 | Mobile device holder for separation of left and right sound and expans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7411Y1 (en)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4015B1 (en) | 2012-03-22 | 2012-07-18 | (주)성민전자 | Speaker volume expanding apparatus combined with stand for smart phone |
KR101198961B1 (en) * | 2012-06-30 | 2012-11-07 | 주식회사 디자인모올 | Speakers For Smart Phones |
KR101319685B1 (en) | 2012-05-21 | 2013-10-17 | 임태희 | A apparatus for holding and fixing mobile phone |
WO2013162139A1 (en) * | 2012-04-27 | 2013-10-31 | (주)디자인모올 | Speaker for smartphone |
KR101374494B1 (en) | 2012-06-20 | 2014-03-13 | 정석환 | Container for taking acoustic effect |
KR101390752B1 (en) | 2012-04-27 | 2014-05-13 | 유국일 | Speakers For Smart Phones |
KR200480476Y1 (en) * | 2015-05-12 | 2016-06-02 | 서경원 | The resonating speaker for smart phone |
KR101849855B1 (en) * | 2016-11-30 | 2018-05-31 | 이유정 | Handphone speaker without electric power |
CN113573178A (en) * | 2020-04-28 | 2021-10-29 |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 Sound amplification base and display device |
KR102347597B1 (en) * | 2020-09-14 | 2022-01-06 | 송인관 | Speaker and Mount Holder for Smart Phones |
WO2024014647A1 (en) * | 2022-07-13 | 2024-01-18 | 서일용 | Mobile device holder provided with loudspeaker for means of transportation |
WO2023183824A3 (en) * | 2022-03-21 | 2024-01-25 | Barlow Darci | Audio enhancing devices and mobile device cases incorporating the same and related methods |
-
2011
- 2011-05-17 KR KR2020110004182U patent/KR200457411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4015B1 (en) | 2012-03-22 | 2012-07-18 | (주)성민전자 | Speaker volume expanding apparatus combined with stand for smart phone |
WO2013162139A1 (en) * | 2012-04-27 | 2013-10-31 | (주)디자인모올 | Speaker for smartphone |
KR101390752B1 (en) | 2012-04-27 | 2014-05-13 | 유국일 | Speakers For Smart Phones |
KR101319685B1 (en) | 2012-05-21 | 2013-10-17 | 임태희 | A apparatus for holding and fixing mobile phone |
KR101374494B1 (en) | 2012-06-20 | 2014-03-13 | 정석환 | Container for taking acoustic effect |
KR101198961B1 (en) * | 2012-06-30 | 2012-11-07 | 주식회사 디자인모올 | Speakers For Smart Phones |
KR200480476Y1 (en) * | 2015-05-12 | 2016-06-02 | 서경원 | The resonating speaker for smart phone |
KR101849855B1 (en) * | 2016-11-30 | 2018-05-31 | 이유정 | Handphone speaker without electric power |
CN113573178A (en) * | 2020-04-28 | 2021-10-29 |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 Sound amplification base and display device |
KR102347597B1 (en) * | 2020-09-14 | 2022-01-06 | 송인관 | Speaker and Mount Holder for Smart Phones |
WO2023183824A3 (en) * | 2022-03-21 | 2024-01-25 | Barlow Darci | Audio enhancing devices and mobile device cases incorporating the same and related methods |
WO2024014647A1 (en) * | 2022-07-13 | 2024-01-18 | 서일용 | Mobile device holder provided with loudspeaker for means of transport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57411Y1 (en) | Mobile device holder for separation of left and right sound and expansion | |
CN101258770B (en) | Multimode audio reproduction device | |
US9832554B2 (en) | Magnetic floating loudspeaker | |
US9706278B2 (en) | Wireless modular speaker | |
US20180014097A1 (en) | Integrated application assembly for a multimedia system | |
US9241055B1 (en) | Two-way passive acoustic concentrator for a mobile phone | |
US9918152B2 (en) | Peripheral audio output device | |
KR101691819B1 (en) | Neck band type bluetooth speaker | |
US20090047905A1 (en) | Stereo bluetooth headset | |
CN107659859A (en) | Audio amplifier and combinations thereof | |
KR101844379B1 (en) | Speaker for setting cellular phone | |
US20070045369A1 (en) | Backpack structure | |
GB2489289A (en) | Display stand includes sets of loudspeakers | |
JP2014064674A (en) | Furniture | |
KR101198961B1 (en) | Speakers For Smart Phones | |
US8484026B2 (en) | Portable audio control system and audio control device thereof | |
CN203057253U (en) | Acoustic type passive sound amplification base of handset | |
CN101945315A (en) | Portable voice control system and voice control device thereof | |
CN202889628U (en) | Seat-stand tablet computer physical loudspeaker | |
KR20140029899A (en) | Loudspeaker for mobile device | |
TWM456735U (en) | Protecting folder with slim speaker for mobile phone | |
CN212259321U (en) | Omnibearing multifunctional home cinema sound box combination | |
CN200941684Y (en) | Systemic acoustics | |
CN104811850A (en) | WIFI based intelligent sound box | |
CN204906477U (en) | Cell -phone suppo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517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3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17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620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110728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9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112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121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9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