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7232Y1 -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232Y1
KR200457232Y1 KR2020090005556U KR20090005556U KR200457232Y1 KR 200457232 Y1 KR200457232 Y1 KR 200457232Y1 KR 2020090005556 U KR2020090005556 U KR 2020090005556U KR 20090005556 U KR20090005556 U KR 20090005556U KR 200457232 Y1 KR200457232 Y1 KR 2004572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frames
opening
groove
support
fram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5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206U (ko
Inventor
이병렬
Original Assignee
비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55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232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2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2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23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지주(110)와 지주(110) 사이 공간에 다양한 형상 모양의 부재를 결합하는 난간(100)에 있어서, 상기 지주(110)와 지주(110) 사이 상하 측에 횡으로 결합하여 슬라이드홈(121)의 개구부(123)가 상호 대향되게 하되 슬라이드홈(121)의 하부에 홈부(122)를 형성하고 홈부(122)의 상부 좌우측에 제1걸림턱(124)을 형성하며 개구부(123)의 하부 좌우측에 제2걸림턱(125)을 형성한 상하프레임(120)과, 상기 상하프레임(120) 측면에서 상하프레임(120)의 슬라이드홈(121)에 슬라이딩시켜 삽입하되 길이방향으로 단부가 상하프레임(120)의 제1걸림턱(124)에 걸림 상태가 되는 삽입홈(131)을 형성하고 하향으로 돌출부(132)를 형성하며 돌출부(132)가 상하프레임(120)의 개구부(123)에 위치하여 개구부(123)를 차단하게 하면서 상하프레임(120)의 제2걸림턱(125)에 대응되는 걸림턱(133)을 돌출부(132)의 좌우측에 형성한 지지프레임(130)과, 상기 상하프레임(120)의 개구부(123)측으로 상하단인 결합부(151)가 삽입하는 세로프레임(150)으로 구성하므로, 지주 사이 공간부분에 다양한 부재를 간편하고 깔끔하게 조립할 수 있고 훼손에 따른 부분 교체 및 재시공이 용이하며 보수 유지가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 {Assembly structure for space part of guardrail}
본 고안은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울타리, 난간 등의 지주 사이 공간부분에 다양한 부재를 간편하고 깔끔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을 제작함에 있어 설치장소의 규격에 따라 분할 제작시킨 각각의 부재들을 용접에 의해 조립 완성시켰다.
이러한 난간 제작시 용접공정을 필히 거쳐야 되므로 용접불량의 우려가 높고 이로 인하여 난간의 미관을 해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또한 제작 완료된 난간은 그 부피가 커서 이를 설치 장소로 운반하기에도 많은 불편함이 따르게 됨은 물론 일단 설치한 뒤에는 교체수리가 거의 불가능하여 훼손시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교체수리를 위한 시공작업의 규모가 커지게 되어 그에 따른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등 매우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수반하였다.
따라서 난간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으며, 특히 지주와 지주 사이 공간부분에 다양한 부재를 간편하고 깔끔하게 조립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울타리, 난간 등의 지주 사이 공간부분에 다양한 부재를 간편하고 깔끔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난간 등의 훼손에 따른 부분 교체 및 재시공이 용이하고 보수 유지가 편리하도록 하는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는 지주와 지주 사이 공간에 다양한 형상 모양의 부재를 결합하는 난간에 있어서,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 상하 측에 횡으로 결합하여 슬라이드홈의 개구부가 상호 대향되게 하되 슬라이드홈의 하부에 홈부를 형성하고 홈부의 상부 좌우측에 제1걸림턱을 형성하며 개구부의 하부 좌우측에 제2걸림턱을 형성한 상하프레임과, 상기 상하프레임 측면에서 상하프레임의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딩시켜 삽입하되 길이방향으로 단부가 상하프레임의 제1걸림턱에 걸림 상태가 되는 삽입홈을 형성하고 하향으로 돌출부를 형성하며 돌출부가 상하프레임의 개구부에 위치하여 개구부를 차단하게 하면서 상하프레임의 제2걸림턱에 대응되는 걸림턱을 돌출부의 좌우측에 형성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상하프레임의 개구부측으로 상하단인 결합부가 삽입하는 세로프레임으로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는 지지프레임이 결합된 문양플 레이트 또는 세로프레임을 상하프레임에 끼워 슬라이딩시켜 결합하는 것으로, 지지프레임의 삽입홈측 단부가 상하프레임의 제2걸림턱에 걸려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지지프레임의 돌출부가 상하프레임의 홈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지지프레임의 걸림턱이 상하프레임의 제1걸림턱에 걸림 상태가 되어 견고하게 조립상태를 유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공간부분의 간격만큼의 지지프레임을 절단하여 뒤집어서 상하프레임에 결합하되 여기서 지지프레임의 걸림턱이 제2걸림턱에 걸림 상태가 됨과 동시에 돌출부가 상하프레임의 개구부에 위치하여 개구부를 차단하게 되고 지지프레임의 삽입홈측 단부가 상하프레임의 제1걸림턱에 걸림 상태가 되어 견고하고 깨끗하게 조립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 이로 인하여 지주 사이 공간부분에 다양한 부재를 간편하고 깔끔하게 조립할 수 있고 훼손에 따른 부분 교체 및 재시공이 용이하며 보수 유지가 편리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는 지주(110)와 지주(110) 사이 공간에 다양한 형상 모양의 부재를 결합하는 난간에 있어서, 상기 지주(110)와 지주(110) 사이에 결합하는 상하프레임(120)과, 상기 상하프레임(120)의 측면에서 상하프레임(120)의 슬라이드홈(121)에 슬라이딩시켜 삽입되는 지지프레임(130)과, 상기 지지프레임(130)에 상하단을 결합하여 상하프레임(120)에 조립하는 문양플레이트(140) 또는 상기 상하프레임(120)의 개구부(123)측으로 상하단인 결합부(151)가 삽입하는 세로프레임(150)으로 구성한다.
상기 상하프레임(120)은 슬라이드홈(121)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상측으로 개구부(123)를 형성하며 하부에 홈부(122)를 형성하되 개구부(123)의 좌우 폭과 홈부(122)의 좌우 폭을 동일하게 형성하고 개구부(123)의 측면 두께와 홈부(122)의 측면 두께를 동일하게 형성한다.
여기서 홈부(122)의 상부 좌우측에 제1걸림턱(124)을 형성하고 개구부(123)의 하부 좌우측에 제2걸림턱(125)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30)은 길이방향으로 삽입홈(131)을 형성하되 하향으로 돌출부(132)를 형성하고 제1걸림턱(124) 또는 제2걸림턱(125)에 대응되는 걸림턱(133)을 돌출부(132)의 좌우측에 형성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130)의 돌출부(132)의 폭은 개구부(123)와 홈부(122)의 폭과 동일 또는 약간 작게 형성하여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지지프레임(130)의 돌출부(132)의 상하 두께는 개구부(123)와 홈부(122)의 측면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한다.
더욱이 지지프레임(130)의 상하 두께는 상하프레임(120)의 홈부(122)와 개구부(123)를 포함한 슬라이드홈(121)의 깊이와 동일하게 형상한다.
상기 문양플레이트(140)와 세로프레임(150)의 상하단에는 지지프레임(130)의 삽입홈(131) 또는 상하프레임(120)의 개구부(123)에 삽입되는 결합부(141, 151)를 형성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측에 지주(110)를 입설하여 설치한 다음 상하프레임(120)의 일측단을 지주(110)에 횡으로 결합하되 상하프레임(120)의 개구부(123)가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한다.
또한 문양플레이트(140)의 결합부(141)에 지지프레임(130)을 상하 각각 결합하고 지지프레임(130)이 결합된 문양플레이트(140)를 상하프레임(120)에 끼워 슬라이딩시켜 결합한다.
이때 지지프레임(130)의 삽입홈(131)측 단부가 상하프레임(120)의 제2걸림턱(125)에 걸려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지지프레임(130)의 돌출부(132)가 상하프레임(120)의 홈부(122)에 삽입됨과 동시에 지지프레임(130)의 걸림턱(133)이 상하프레임(120)의 제1걸림턱(124)에 걸림 상태가 되어 견고하게 조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더욱이 세로프레임(150)과 같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지지프레임(130)은 상하프레임(120)에 삽입하는 세로프레임(150) 간의 간격만큼 절단한 길이로 세로프레임(150)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상하프레임(120)의 슬라이드홈(121)에 슬라이딩시키는 지지프레임(130)과 상하프레임(120) 개구부(123)측으로 결합부(151)가 삽입하는 세로프레임(150)이 교호로 상하프레임(120)에 결합되어 상하프레임(120)의 슬라이드홈(121)에서 지지프레임(130)이 세로프레임(150) 사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지지프레임(130)의 걸림턱(133)이 제2걸림턱(125)에 걸림 상태가 됨과 동시에 돌출부(132)가 상하프레임(120)의 개구부(123)에 위치하여 개구부(123)를 차단하게 되고 지지프레임(130)의 삽입홈(131)측 단부가 상하프레임(120)의 제1걸림턱(124)에 걸림 상태가 되어 견고하게 조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난간(100)의 공간부분을 간편하고 깨끗하게 마무리하면서 조립할 수 있는 것으로 공간부분의 설치 부재와 관계없이 모든 설치부재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로 조립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로 조립하여 나타낸 다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를 나타낸 다른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의 상하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의 지지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를 나타낸 다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난간 110 : 지주
120 : 상하프레임 121 : 슬라이드홈
122 : 홈부 123 : 개구부
124 : 제1걸림턱 125 : 제2걸림턱
130 : 지지프레임 131 : 삽입홈
132 : 돌출부 133 : 걸림턱
140 : 문양플레이트 141 : 결합부
150 : 세로프레임 151 ; 결합부

Claims (4)

  1. 지주(110)와 지주(110) 사이 공간에 다양한 형상 모양의 부재를 결합하는 난간(100)에 있어서,
    상기 지주(110)와 지주(110) 사이 상하 측에 횡으로 결합하여 슬라이드홈(121)의 개구부(123)가 상호 대향되게 하되 슬라이드홈(121)의 하부에 홈부(122)를 형성하고 홈부(122)의 상부 좌우측에 제1걸림턱(124)을 형성하며 개구부(123)의 하부 좌우측에 제2걸림턱(125)을 형성한 상하프레임(120)과,
    상기 상하프레임(120) 측면에서 상하프레임(120)의 슬라이드홈(121)에 슬라이딩시켜 삽입하되 길이방향으로 단부가 상하프레임(120)의 제1걸림턱(124)에 걸림 상태가 되는 삽입홈(131)을 형성하고 하향으로 돌출부(132)를 형성하며 돌출부(132)가 상하프레임(120)의 개구부(123)에 위치하여 개구부(123)를 차단하게 하면서 상하프레임(120)의 제2걸림턱(125)에 대응되는 걸림턱(133)을 돌출부(132)의 좌우측에 형성한 지지프레임(130)과,
    상기 상하프레임(120)의 개구부(123)측으로 상하단인 결합부(151)가 삽입하는 세로프레임(150)으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프레임(130)은 상기 상하프레임(120)에 삽입하는 세로프레임(150) 간의 간격만큼 절단한 길이로 세로프레임(150)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상하프레임(120)의 슬라이드홈(121)에 슬라이딩시키는 지지프레임(130)과 상하프레임(120) 개구부(123)측으로 결합부(151)가 삽입하는 세로프레임(150)이 교호로 상하프레임(120)에 결합되어 상하프레임(120)의 슬라이드홈(121)에서 지지프레임(130)이 세로프레임(150) 사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프레임(120)은 개구부(123)의 좌우 폭과 홈부(122)의 좌우 폭을 동일하게 형성하고 개구부(123)의 측면 두께와 홈부(122)의 측면 두께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30)은 돌출부(132)의 폭은 개구부(123)와 홈부(122)의 폭과 동일 또는 약간 작게 형성하되 돌출부(132)의 상하 두께는 개구부(123)와 홈부(122)의 측면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지지프레임(130)의 상하 두께는 상하프레임(120)의 홈부(122)와 개구부(123)를 포함한 슬라이드홈(121)의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
KR2020090005556U 2009-05-08 2009-05-08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457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556U KR200457232Y1 (ko) 2009-05-08 2009-05-08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556U KR200457232Y1 (ko) 2009-05-08 2009-05-08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206U KR20100011206U (ko) 2010-11-17
KR200457232Y1 true KR200457232Y1 (ko) 2011-12-09

Family

ID=44203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556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7232Y1 (ko) 2009-05-08 2009-05-08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23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372Y1 (ko) * 2006-03-06 2006-06-12 주재영 휀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372Y1 (ko) * 2006-03-06 2006-06-12 주재영 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206U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5156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2122981B1 (ko)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CN111719855A (zh) 用于楼板模板的连接条
KR101930844B1 (ko) 데크로드 난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042237B1 (ko) 케이블 트레이
JP4845226B2 (ja) せき板取付枠及び型枠工法
KR200457232Y1 (ko) 난간의 공간부분 조립구조
JP2012132198A (ja) 手摺
KR101702221B1 (ko)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KR101955162B1 (ko) 조립형 그레이팅
KR101144666B1 (ko) 케이블 트레이
KR20130002467U (ko)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
KR200449569Y1 (ko) 파티션 연결용 커넥터
KR101892635B1 (ko) 걸이형 난간 서포트
KR101381660B1 (ko) 거푸집용 간격 유지구
KR20160042374A (ko) 외장패널 고정용 조립식 프레임
KR100909607B1 (ko) 시스템화된 일체형 목재구조물
JP5350704B2 (ja) 建物の骨組
JP4823108B2 (ja) リフォームサッシ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207992B1 (ko) 천정패널 취부구조
KR200490448Y1 (ko)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
JP7154927B2 (ja) フェンス
JP2014051860A (ja) 耐震性間仕切パネル
JP2007308921A (ja) 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手摺
KR101060165B1 (ko) 교량난간용 지주앙카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5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32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120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9091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