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174Y1 - A ground terminal for multi-concent - Google Patents
A ground terminal for multi-conc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7174Y1 KR200457174Y1 KR2020090010689U KR20090010689U KR200457174Y1 KR 200457174 Y1 KR200457174 Y1 KR 200457174Y1 KR 2020090010689 U KR2020090010689 U KR 2020090010689U KR 20090010689 U KR20090010689 U KR 20090010689U KR 200457174 Y1 KR200457174 Y1 KR 20045717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outlet
- grounding terminal
- grounding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용이나 사무용 컴퓨터 시스템 등과 같은 전자 제품들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멀티 콘센트에서 단자의 구조를 개선하여 우수한 전기적 접촉성과 전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용 접지단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ing terminal for a multi-outlet that can ensure excellent electrical contact and electrical stability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in the multi-outlet used to connect electronic products such as home or office computer systems.
본 고안은 멀티 콘세트의 구성 부품 중에서 접지용 단자와 연결용 단자를 일체형으로 제작한 새로운 형태의 일체형 접지단자 어셈블리를 구현함으로써, 단자 조립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제작단가를 대폭 낮출 수 있고, 종전과 같은 접촉불량으로 인한 각종 문제점, 예를 들면 감전이나 화재 등 전기적 안전사고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등 우수한 전기적 접촉성 확보에 따른 전반적인 기능 향상은 물론, 전기적인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로 및 연결기기를 보호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전기적인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용 접지 단자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new type of integrated grounding terminal assembly that is made of the grounding terminal and the connecting terminal as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multi-conset, so that terminal assembly can be easily performed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greatly reduc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eliminate electrical problems such as electric shock or fire due to various problems caused by poor contact as in the past. This provides a grounding terminal for multiple receptacles that can protect circuits and connected devices and ultimately prevent the risk of electrical safety accidents.
멀티 콘센트, 접지단자, 연결단자, 일체형 Multi outlet, ground terminal, connection terminal, integrated
Description
본 고안은 멀티 콘센트용 접지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용이나 사무용 컴퓨터 시스템 등과 같은 전자 제품들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멀티 콘센트에서 단자의 구조를 개선하여 우수한 전기적 접촉성과 전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용 접지단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 terminal for a multi-outlet,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in a multi-outlet used by connecting electronic products such as a home or office computer system to secure excellent electrical contact and electrical st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 terminal for a multi-outlet.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전기의 옥내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하는 기구로서, 보통 다수의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n outlet is a mechanism for inserting a plug by connecting a wire to connect a cord used indoors in an indoor wiring of electricity, and a multi-outlet capable of inserting a plurality of plugs is commonly used.
예를 들면, 가정용/사무용 컴퓨터 시스템이나 홈시어터 시스템과 같은 전자 제품들은 주장치와 여러 개의 주변장치로 구성되며, 각각에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한다.For example, electronic products such as home / office computer systems or home theater systems consist of a main unit and several peripherals, each powered by a power supply.
이런 경우에는 주장치와 주변장치들에 일괄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멀티 콘센트가 주로 이용된다. In this case, multiple outlets are mainly used to collectively supply power to the main and peripheral devices.
또한, 사무소와 같이 다수의 사무용 컴퓨터 등을 사용할 경우, 다수의 멀티 콘센트를 사용하여 여러 대의 컴퓨터, 모니터, 프린터, 스캐너 등에 전원을 공급하고 있으며, 이 경우 멀티 콘센트를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when using a large number of office computers such as offices, power is supplied to a plurality of computers, monitors, printers, scanners, etc. by using a plurality of power outlets. It is common.
이러한 멀티 콘센트에는 다른 장치들의 플러그와 결합될 수 있는 여러 개의 포트가 구비되며, 각 포트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건물의 벽이나 바닥에 설치된 콘센트(Outlet)와 연결가능한 플러그가 갖추어져 있다. The multi-outlet has a number of ports that can be combined with plugs of other devices, and a plug that can be connected to an outlet installed on a wall or floor of a building to supply power to each port.
이때의 멀티 콘센트의 포트 개수는 규격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2구∼6구의 포트가 많이 사용된다. At this time, the number of ports of the multi-outlet depends on the standard, but usually two to six ports are used.
또한, 멀티 콘센트에는 자체적으로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도록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여 일괄적인 전원공급 및 차단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multi-outlet is provided with an on / off switch to turn on / off the power by itself, so that the power supply and the cutoff can be collectively performed.
최근에는 전원 입력단에 공통 연결을 위한 복수의 메인 콘센트 전원공급장치로서 PCB 모듈이 내장되어 부하 전력량을 제어하고 메인 전원 분배반 기능을 하며 복수 개의 콘센트들에 대한 소모 전류량을 계산하여 표시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가 제시되어 있다. Recently, a plurality of main outlet power supplies for common connection to a power input terminal have a built-in PCB module to control load power, function as a main power distribution board, and calculate and display a consumption current for a plurality of outlets. The outlet is shown.
그러나, 기존 멀티 콘센트의 경우 서로 분리되어 있는 연결용 단자와 접지용 단자를 조립시킨 형태의 접지단자를 채용하는 관계로 접촉저항에 의한 열발생시 변형에 취약하고, 결국 플러그와의 전기적인 접촉성이 떨어지면서 기능저하는 물론 전기적 안전성 측면에서도 취약한 면을 보이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existing multi-outlet, it is vulnerable to deformation in case of heat generation due to contact resistance, because th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grounding terminal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re adopt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functional degradation as well as the weak side in terms of electrical safety.
도 5는 종래 멀티 콘센트용 접지단자의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ground terminal for a conventional multi-outlet.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 콘센트는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플러그 체결구를 가지는 콘센트 상부 몸체(14), 단자들과 단자 플레이트(15)를 수용하거나 지지하는 콘센트 하부 몸체(16)와, 콘센트의 제어를 위한 PCB 모듈(17)과, 전원차단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배선용 차단기(18)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the multi-outlet includes an outlet
그리고, 상기 콘센트 상부 몸체(14) 및 콘센트 하부 몸체(16), PCB 모듈(17), 배선용 차단기(18) 등과 같이 멀티 콘센트를 구성하는 부품들은 알루미늄 케이스(19) 내에 수용되는 형태로 조립된다. In addition,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ulti-outlet such as the outlet
이러한 멀티 콘센트에서 접지와 전원 연결을 위한 단자들, 즉 도전단자(20)와 접지단자(10)는 단자 플레이트(15)를 사이에 두고 위아래에 배치되는 구조로 조립된다. In such a multi-outlet, terminals for connecting the ground and the power, that is, the
이때의 접지단자(10)의 경우에는 플러그측과 접속되는 접지용 단자(12)와 어스선측과 접속되는 연결용 단자(11)가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조립시 접지용 단자(12)와 연결용 단자(12)를 동시에 스크류 체결하게 되어 조립성이 좋지 못하다. In the case of the
즉, 기존 멀티 콘센트에서는 2개로 분리되어 있는 연결용 단자(11)와 접지용 단자(12)를 채용하고 있는 관계로 부품수 측면에서 불리하고, 이로 인해 연결용 단자에 많은 수의 접지용 단자를 일일이 나사체결작업으로 조립해야 하는 등 전체적인 조립 작업성을 저해할 뿐 아니라, 단가 측면에서도 불리하여 제작비용 상승으로 이어지는 단점이 있다. That is, in the conventional multi-outlet, since the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멀티 콘세트의 구성 부품 중에서 접지용 단자와 연결용 단자를 일체형으로 제작한 새로운 형태의 일체형 접지단자 어셈블리를 구현함으로써, 단자 조립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제작단가를 대폭 낮출 수 있고, 종전과 같은 접촉불량으로 인한 각종 문제점, 예를 들면 감전이나 화재 등 전기적 안전사고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등 우수한 전기적 접촉성 확보에 따른 전반적인 기능 향상은 물론, 전기적인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로 및 연결기기를 보호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전기적인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용 접지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such a point, and by implementing a new type of integrated grounding terminal assembly in which the grounding terminal and the connecting terminal are integrally manufactured among the components of the multi-conset, the terminal assembly work is simplified. Not only can it be carried out, but also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drastically lowered, and the overall function of securing excellent electrical contact, such as completely eliminating electrical safety accidents such as electric shock or fire, can be completely eliminat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ounding terminal for a multi-outlet that, of course, can maintain electrical safety, thereby protecting circuits and connected devices and ultimately preventing the risk of electrical safety acciden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멀티 콘센트용 접지단자는 플러그 삽입과 단자 수용을 위한 콘센트 몸체와, 접지 및 전원 연결을 위한 접지단자 및 도전단자와, 단자의 장착을 위한 단자 플레이트, PCB 모듈 및 배선용 차단기, 부품 수용을 위한 알루미늄 케이스 등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접지단자는 연결용 단자와 접지용 단자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접지용 단자는 연결용 단자의 몸체로부터 일체 연장되는 동시에 상방향으로 90°절곡 성형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grounding terminal for the multi-outle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cket body for plug insertion and terminal accommodation, a grounding terminal and a conductive terminal for grounding and power connection, and a terminal plate for mounting the terminal and a PCB. A grounding terminal includes a module, a circuit breaker, an aluminum case for accommodating parts, etc., while the grounding terminal is integrally formed with a connecting terminal and a grounding terminal, and the grounding terminal extends from the body of the connecting terminal and is upward.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90 ° bending molded form.
여기서, 상기 접지용 단자의 경우 기다란 바 형태의 연결단자 몸체로부터 일체 연장되는 연장편에 의해 형성되는 형태를 기본으로 하고, 연장편의 끝부분을 일정길이 수직으로 절곡시킨 형태의 제1수직부재와, 연장편의 가운데 부분을 길게 절개한 후 수직으로 절곡시킨 형태의 제2수직부재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n the case of the grounding terminal, the first vertical member is formed based on a form formed by an extension piece integrally extending from an elongated bar connection terminal body, and the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iece is vertically bent at a predetermined length; It is preferable to comprise in the form containing the 2nd vertical member of the form which bend | folded vertically after making the center part of an extension piece long.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멀티 콘센트용 접지단자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The grounding terminal for the multi-outle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연결용 단자와 접지용 단자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단자를 적용함으로써, 부품수를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전과 같이 많은 수의 접지용 단자를 체결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등 조립시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제작단가를 대폭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by applying a grounding terminal consisting of a connection terminal and a grounding terminal integrated,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number of parts,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fastening a large number of grounding terminals as in the past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significantly lowered.
둘째, 자체 텐션에 의한 유지력 확보로 플러그 착탈성이 우수하고, 접촉저항에 의한 열발생시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Second, the plug detachability is excellent by securing the retaining force by the tension,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deformation does not occur when heat is generated by contact resistance.
셋째, 접지용 단자의 경우 완만하게 휘어진 형태로 되어 있어서 접촉성이 우수하고, 감전보호 및 연결기기 보호 성능이 우수하다. Third, in the case of the grounding terminal, it is smoothly bent, so that the contactability is excellent, and the electric shock protection and the protection of the connection device are excellen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3, 도 4은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용 접지단자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1, 3, and 4 are plan views illustrating ground terminals for multiple outlet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지단자(10)는 플러그측 접지부와 접촉하는 부재로서, 콘센트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연결용 단자(11)와, 상기 연결용 단자(11)의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접지용 단자(12)로 구성된다. As shown, the
이때, 상기 연결용 단자(11)는 단자 플레이트(미도시)의 폭 중앙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볼트체결구조에 의해 고정되고, 각 접지용 단자(12)는 콘센트 몸체에 있는 각 플러그 삽입구에 하나씩 배속된다. At this time, the connecting
특히, 상기 접지단자(10)는 연결용 단자(11)와 접지용 단자(12)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접지단자의 전체적인 형태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고, 전기적인 접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이를 위하여, 상기 접지용 단자(12)는 연결용 단자(11)의 몸체로부터 일체 연장되는 동시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90°절곡 성형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To this end, the
예를 들면, 기다란 바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용 단자(11)의 몸체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다수의 연장편(13)이 일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연장편(13)의 끝부분을 일정 길이만큼 수직으로 절곡시켜서 제1수직부재(12a)가 형성되는 동시에 연장편(13)의 가운데 부분을 일면을 제외하고 길게 절개한 후 절개되지 않은 일면을 기준으로 절개된 부분을 수직으로 절곡시켜 제2수직부재(12b)가 형성됨으로써,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세워져 있는 제1수직부재(12a)와 제2수직부재(12b)로 이루어진 접지용 단자(12)가 완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 plurality of
여기서, 상기 연결용 단자(11)의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편(13)은 몸체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한쪽으로 연장 형성되거나(도 1), 또는 몸체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한쪽으로 연장 형성되거나(도 3), 또는 몸체 길이방향에 대해 일정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양쪽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도 4). Here, the
이때, 상기 접지용 단자(12)의 제1수직부재(12a)와 제2수직부재(12b)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완만하게 휘어진 곡선형태 이루어 있으며, 이에 따라 플러그측과의 우수한 접촉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예를 들면, 상기 접지용 단자(12)의 양쪽 수직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완만하게 휘어진 곡선형태 이루어져 있으며, 이렇게 곡선형태로 휘어진 특성을 이용하여 플러그 삽입시 플러그의 접지부측에 항상 탄력적으로 압착될 수 있으므로, 우수한 접촉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both vertical members of the
즉, 수직부재를 전체적으로 볼 때, 대략 "S"자 형태를 취하는 말림형 구조로 되어 있어서 플러그측과의 안정적인 접촉성을 유지할 수 있고, 결국 안정적인 접지성능의 확보로 감전으로부터 보호는 물론 연결기기를 손상 등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That is, when viewed vertically as a whole, it has a "S" shaped curling structure, which can maintain stable contact with the plug side, and as a result, ensures stable grounding performance and protects the connected devices as well as electric shocks. It can be safely protected from damage such as damage.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은 연결용 단자(11)와 접지용 단자(12)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단자(10)가 속해 있는 멀티 콘센트는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플러그 체 결구를 가지는 콘센트 상부 몸체(14), 단자들과 단자 플레이트(15)를 수용하거나 지지하는 콘센트 하부 몸체(16)와, 콘센트의 제어를 위한 PCB 모듈(17)과, 전원차단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배선용 차단기(18)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erefor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outlet belonging to the
그리고, 상기 콘센트 상부 몸체(14) 및 콘센트 하부 몸체(16), PCB 모듈(17), 배선용 차단기(18) 등과 같이 멀티 콘센트를 구성하는 부품들은 알루미늄 케이스(19) 내에 수용되는 형태로 조립된다. In addition,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ulti-outlet such as the outlet
이러한 멀티 콘센트에서 접지와 전원 연결을 위한 단자들, 즉 도전단자(20)와 접지단자(10)는 단자 플레이트(15)를 사이에 두고 위아래에 배치되는 구조로 조립된다. In such a multi-outlet, terminals for connecting the ground and the power, that is, the
특히, 이때의 접지단자(10)의 경우에는 플러그측과 접속되는 접지용 단자(12)와 어스선측과 접속되는 연결용 단자(11)가 일체형으로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조립시 연결용 단자(12)의 몇 군데에만 스크류를 체결하면 단자 조립을 쉽게 마칠 수 있어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즉, 종전과 같이 접지용 단자를 하나하나 연결용 단자에 조립한다거나, 또 접지용 단자의 체결구와 연결용 단자의 체결구를 맞춰가면서 체결을 한다거나 하는 등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업시, 또 많은 시간을 소비하지 않고도 조립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as long as the time and inconvenience, such as assembling the grounding terminal to the connecting terminal one by one, or to match the fastener of the grounding terminal and the fastening terminal of the connecting terminal as in the past The assembly work can be done quickly and easily, without consuming.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연결용 단자와 접지용 단자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접지단자를 채용함으로써, 부품수 절감과 함께 조립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또 제작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dopting a ground terminal composed of a connection terminal and a ground terminal, the assembly work can be efficiently carried out with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parts,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greatly reduced, thereby securing product competitiveness. can do.
그리고, 접지용 단자가 발휘하는 자체 텐션에 의한 형상 유지력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플러그 착탈성과 변형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nd since the shape holding force by the self-tension which the earthing terminal exerts can be ensured, the outstanding plug detachability and the deformation prevention effect can be expected.
이상으로 본 고안에 따른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이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vary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possible to carry out the chang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용 접지단자를 나타내는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a ground terminal for a multi-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용 접지단자의 설치시 절곡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ent state when installing the grounding terminal for a multi-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용 접지단자를 나타내는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a ground terminal for a multi-out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용 접지단자를 나타내는 평면도4 is a plan view showing a ground terminal for a multi-out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종래 멀티 콘센트용 접지단자의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ground terminal for a conventional multi-outle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접지단자 11 : 연결용 단자10: Ground terminal 11: Terminal for connection
12 : 접지용 단자 12a : 제1수직부재12
12b : 제2수직부재 13 : 연장편12b: second vertical member 13: extension piece
14 : 콘센트 상부 몸체 15 : 단자 플레이트14 outlet
16 : 콘센트 하부 몸체 17 : PCB 모듈16: outlet lower body 17: PCB module
18 : 배선용 차단기 19 : 알루미늄 케이스18: circuit breaker 19: aluminum case
20 : 도전단자20: Challenge terminal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0689U KR200457174Y1 (en) | 2009-08-17 | 2009-08-17 | A ground terminal for multi-conc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0689U KR200457174Y1 (en) | 2009-08-17 | 2009-08-17 | A ground terminal for multi-conc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1833U KR20110001833U (en) | 2011-02-23 |
KR200457174Y1 true KR200457174Y1 (en) | 2011-12-08 |
Family
ID=44207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10689U KR200457174Y1 (en) | 2009-08-17 | 2009-08-17 | A ground terminal for multi-conc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7174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3073B1 (en) * | 2015-03-30 | 2016-10-06 | 곽창용 | Ground terminal structure for multitap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9126Y1 (en) * | 2003-01-15 | 2003-04-03 | 주식회사 두남 | Ground terminal plate of multi-tap |
KR200311396Y1 (en) | 2003-02-05 | 2003-04-21 | 진흥전기 주식회사 | Earth for Plug Socket |
-
2009
- 2009-08-17 KR KR2020090010689U patent/KR200457174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9126Y1 (en) * | 2003-01-15 | 2003-04-03 | 주식회사 두남 | Ground terminal plate of multi-tap |
KR200311396Y1 (en) | 2003-02-05 | 2003-04-21 | 진흥전기 주식회사 | Earth for Plug Socke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1833U (en) | 2011-0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11937B2 (en) | Unitary member with multiple outlets having surge protection circuitry | |
EP2181487B1 (en) | Panelboard | |
US7905749B2 (en) | Ganged electrical outlets,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 |
CN106992482B (en) | Bus duct, bus-bar system and connection method | |
CN102324645A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20150038019A1 (en) | Triple extension adaptor | |
KR101055354B1 (en) | Multi outlet | |
US7329131B1 (en) | Electrical track and connector assembly | |
KR101389261B1 (en) | Connecting device for electric power distribution | |
US20050014409A1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US9787040B2 (en) | Energy-saving power strip | |
KR200457174Y1 (en) | A ground terminal for multi-concent | |
KR102083420B1 (en) | Distribution board | |
KR200460453Y1 (en) | Power outlet combination structure | |
JP4739967B2 (en) | Terminal block | |
KR200485071Y1 (en) | Assembling multi outlet box | |
JP2009004098A (en) | Mounting structure for additional-functionality unit | |
KR102249090B1 (en) | Mounting frame with PE-contact | |
TWI636629B (en) | Extension cord socket with wireless charging | |
CN106684623B (en) | A socket and socket | |
TWM507099U (en) | Conductive jaws fastening structure of socket | |
CN213905624U (en) | Electric connector structure | |
CA2591638C (en) | Unitary member with multiple outlets having surge protection circuitry | |
CN217740846U (en) | Socket module of power strip and power strip | |
KR200419218Y1 (en) | Multi-tap to electrically connect only the part where the multi-tap units are couple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817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92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17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318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1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112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120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0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