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021Y1 - Slippery golf club - Google Patents
Slippery golf club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7021Y1 KR200457021Y1 KR2020100004364U KR20100004364U KR200457021Y1 KR 200457021 Y1 KR200457021 Y1 KR 200457021Y1 KR 2020100004364 U KR2020100004364 U KR 2020100004364U KR 20100004364 U KR20100004364 U KR 20100004364U KR 200457021 Y1 KR200457021 Y1 KR 20045702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ip
- golf club
- present
- shape
- ha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238413 Octopu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101 oviduc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채(Golf Club)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초보 골퍼라도 골프채의 그립(Grip)을 용이하면서도 정확히 파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스윙시 그립을 파지한 손이 그립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윙의 정확도 및 파워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골프채에 관한 것이다.
한편, 통상적인 골프채의 그립은, 고무재질로 되어 있어 손으로 잡을 경우 미끄럽지 아니하나, 힘차게 스윙을 하다보면 손바닥이 그립에서 미끄러지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자 그립에 돌기를 형성하는 등 여러가지 미끄럼 방지 그립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나, 아직까지는 만족할 만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이 개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골프채 그립 및 그립에 끼워지는 고정링(일명 파워링)에 문어 다리에 형성된 빨판과 같은 형상의 흡착부재를 다수개 형성토록 함으로서 미끄러짐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club (Golf Club), in particular, even beginner golfer can not only grip the golf club (Grip) easily and accurately, but also to prevent the hand holding the grip during the swing does not slip on the grip, It relates to a golf club to improve the accuracy and power.
On the other hand, the grip of a typical golf club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is not slippery when grasped by hand, but if you swing with force, the palm slips from the grip.
Therefore, in recent years, various anti-slip grips have been developed, such as forming protrusions on the grips to prevent such slippage, but have not yet achieved satisfactory effect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slipping by forming a plurality of sucker-like suction member formed on the octopus leg in the golf club grip and the fixed ring (aka power ring) fitted to the grip.
Description
본 고안은 골프채(Golf Club)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초보 골퍼라도 골프채의 그립(Grip)을 용이하면서도 정확히 파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스윙시 그립을 파지한 손이 그립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윙의 정확도 및 파워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골프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club (Golf Club), in particular, even beginner golfer can easily grip the golf club grip (Grip) easily and accurately, as well as to prevent the hand holding the grip during the swing does not slip on the grip, It relates to a golf club to improve the accuracy and power.
일반적으로, 골프채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골퍼의 손잡이부인 그립(30, Grip)과, 상기 그립(30)의 하단에 몸체를 형성하는 샤프트(20, Shaft)와, 상기 샤프트(20) 하단에 골프공을 타격하는 타격면을 갖는 'ㄴ'자 형상의 헤드(10, Head)로 이루어져 있다.In general, the golf club, as shown in Figure 1, the grip of the golfer (30), the grip on the top, the shaft (20, Shaft) to form a body on the lower end of the
이러한 구조를 갖는 골프채는 그 모양과 사용목적에 따라 우드(Wood), 아이언(Iron), 퍼터(Putter) 등으로 구분되며, 이들도 각각 타격할 위치, 거리, 각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된다.Golf clubs having such a structure are classified into wood, iron, putter, etc. according to their shape and purpose of use.
상기 우드와 아이언은, 주로 필드에서 골프공을 강하게 타격하여 멀리 날려보내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퍼터는, 주로 그린에서 골프공을 정확하게 굴려 홀컵에 집어넣는데 사용된다.The wood and iron are mainly used for the purpose of hitting the golf ball strongly on the field and blowing it away, and the putter is mainly used to accurately roll the golf ball on the green and put it into the hole cup.
이러한 골프채는 필드나 그린상에서 골프공을 타격시 일관성 있고 흔들림이 없는 정확한 스윙자세를 유지하여야 만이 원하는 지점으로 골프공을 날려보낼 수 있기때문에, 골퍼는 골프 입문시부터 그립을 정확히 파지하는 방법과 올바른 스윙 자세를 익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Since these golf clubs can send the golf ball to the desired point only when the golf ball is hit on the field or the green,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consistent and stable swing posture so that the golfer can accurately grasp the grip from the beginning of golf. Learning the swing position is the most important thing.
한편, 통상적인 골프채의 그립(30)은, 고무재질로 되어 있어 손으로 잡을 경우 미끄럽지 아니하나, 타격을 하기 위해 골프채를 힘차게 스윙을 하게 되면 미끄러지게 되어 있어, 제대로 스윙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타격시 골프장갑을 착용하고 스윙을 하게 되나, 그립 잡는 손의 형태가 미숙한 초보나 중급은 물론 그립의 구조상 상급 골퍼까지도 미끄러지는 단점은 여전히 남아 있다.Therefore, while swinging wearing golf gloves at the time of hitting, the disadvantages of slipping even the beginner or intermediate who are inexperienced in grip-type hand as well as the advanced golfer due to the grip structure remain.
특히 골프를 잘 치기 위해서는 힘을 빼고 그립을 잡아야 하는 데, 골퍼들은 손바닥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손가락에 힘을 주어 그립을 강하게 잡는 경향이 있다.In particular, in order to play golf well, you need to release the grip and hold the grip. Golfers tend to hold the grip firmly by applying force to their fingers to prevent the palms from slipping.
그러나, 그립을 강하게 잡으면 손에 힘이 들어가기 때문에 손목과 어깨에 힘이 들어가 몸이 경직되어 백스윙이 제대로 되지 않아 골프공을 정확하게 칠 수 없게 된다. However, if you hold the grip firmly, the force enters your hands and your wrists and shoulders, which stiffens your body, causing you to lose your backswing and prevent you from hitting the golf ball correctly.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자 여러가지 고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 lot of various designs have been developed to prevent such slippage.
즉 그립에 돌기를 구성하거나, 그립을 손가락으로 잡기 쉽게 하기 위하여 그립의 외주면을 손가락 모양으로 굴곡지게 구성하기도 한다.In other words,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grip,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may be bent in the shape of a finger in order to easily hold the grip with a finger.
또한, 그립의 후미에 고정링(일명 파워링)을 부착하여 골퍼의 손바닥을 받쳐 줌으로서, 손바닥이 그립 아래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주기도 한다.In addition, by attaching a fixing ring (aka power ring) to the rear of the grip to support the golfer's palm, the palm may be prevented from slipping under the grip.
그러나, 그립의 후미에 끼워지는 고정링은 그 내측면이 평탄면으로만 되어 있어, 골퍼가 스윙시 힘을 주다 보면 그립에서 빠지기 쉬우며, 또한 그립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나 굴곡진 모양도 미끄럼 방지에 한계가 있어 아직까지는 만족할 만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However, the retaining ring fitted to the rear of the grip has only a flat surface, so that the golfer can easily lose the grip if the golfer gives a force during the swing, and the projections and curved shape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 also prevent slippage. There is a limit so far has not been satisfactory.
본 고안과 그 구성은 상이하지만 본 고안의 배경 기술로는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figuration are different,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공개특허 제10-2008-0037330호(골프채용 그립)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37330 (Golf Job Grip)
공개특허 제10-2009-0100256호(골프클럽의 그립 파지 지지구)Publication No. 10-2009-0100256 (grip gripping support of the golf club)
등록실용신안 제447934호(골프 그립용 커버)Utility Model No. 447934 (Golf Grip Cover)
등록실용신안 제387188호(골프그립 커버)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387188 (Golf Grip Cover)
등록실용신안 제339153호(골프클럽용 그립)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39153 (Golf Club Grip)
공개특허 제10-2006-0016151호(골프클럽용 링) 이 있다.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6-0016151 (Golf Club R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그립의 외표면에 흡착부재를 구비하여 골퍼의 손바닥이 미끄러지지 않고 효과적으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안정감 있는 스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adsorption memb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to ensure that the palm of the golfer is in close contact effectively without slipping, so that a stable swing is made.
클럽헤드, 샤프트, 그립, 그립의 상단에 끼워지는 고정링으로 이루어진 골프채에 있어서, 상단에 확관부(32)를 가지며 단면으로 형상을 가지거나 형상을 갖는 흡착부재(31)(31')를 그립(30)의 외주면에 다수개 형성토록 한 것이다.In a golf club consisting of a club head, a shaft, a grip, and a fixing ring fitted to an upper end of the grip, the golf club has an
상기에 있어, 흡착부재(31)(31')의 높이는 1~3㎜, 흡착부재 상단에 형성된 확관부(32)의 외주면의 직경은 3~10㎜ 이다.In the above, the diameter of the
상기 그립(30)의 상단에 끼워지는 고정링(40)의 내측면에도, 상단에 확관부를 가지며, 단면으로 형상이나 형상의 흡착부재(31)(31')가 다수개 형성되도록 구성한다.The inner side of the fixing
골퍼가 타격시 그립에서 손바닥이 미끄러지지 않기 때문에, 그립을 힘을 주지 않고도 가볍게 잡을 수 있어 정확한 타격을 행할 수 있는 잇점이 있어, 초보 골퍼 뿐만 아니라 중급, 상급 골퍼에게는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palm does not slip from the grip when the golfer is hitting, it can be used to hold the grip lightly without applying force, so it can be used for accurate hitting. It can be very useful for beginners as well as intermediate and advanced golfers. .
도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골프채의 일 실시예 사시도 및 확대도.
도2는 본 고안 골프채에 적용되는 고정링의 일 실시예 사시도 및 확대도.
도3은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흡착부재의 일 실시예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흡착부재의 타 실시예 단면도.
도5는 기존 고정링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nlarged view of an embodiment of a golf club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nlarged view of one embodiment of a fixing ring applied to the subject innovation golf club.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adsorption member of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adsorption member,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fixing ring.
클럽헤드, 샤프트, 그립, 그립의 상단에 끼워지는 고정링으로 이루어진 골프채에 있어서, 상단에 확관부(32)를 가지며 단면으로 형상을 가지거나 형상을 갖는 흡착부재(31)(31')를 그립(30)의 외주면에 다수개 형성토록 한 것이다.In a golf club consisting of a club head, a shaft, a grip, and a fixing ring fitted to an upper end of the grip, the golf club has an
상기에 있어, 흡착부재(31)(31')의 높이는 1~3㎜, 흡착부재 상단에 형성된 확관부(32)의 외주면의 직경은 3~10㎜ 이다.In the above, the diameter of the
상기 그립(30)의 상단에 끼워지는 고정링(40)의 내측면에도, 상단에 확관부를 가지며, 단면으로 형상이나 형상의 흡착부재(31)(31')가 다수개 형성되도록 구성한다.The inner side of the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은 골프채 그립(30)에 문어 다리에 형성된 빨판과 유사한 형상의 흡착부재(31)(31')를 다수개 형성하였다는 것이며, 또한 그립(30)에 끼워지는 고정링(40, 일명 파워링)의 내측면에도 상기 그립에 형성된 흡착부재(31)(31')와 동일한 형상의 흡착부재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First, the greates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도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골프채의 일 실시예 사시도인바,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 그립(30)의 외주면에는, 상단에 확관부(32)를 갖는 나팔관 형상의 흡착부재(31)(31')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golf club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as shown in the draw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흡착부재(31)(31')는 문어 다리에 형성된 빨판과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단면적으로는 형상의 흡착부재(31) 또는 형상의 흡착부재(31')로 구성되어 진다.The
상기에 있어, 단면적으로 형상을 갖는 흡착부재(31)는 나팔관처럼 위로 갈수록 넓게 벌어지는 확관부(32)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으로는 내경(33)이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는 문어 다리의 빨판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In the above, in cross
따라서, 골퍼가 그립을 손으로 쥐게 되면, 나팔관 모양의 흡착부재(31)가 문어 다리의 빨판처럼 골퍼의 손바닥에 달라붙게 되어 흡착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golfer grips the grip by hand, the fallopian tube-
즉, 그립(30)을 손바닥으로 움켜주게 되면, 흡착부재(31)의 확관부(32)가 골퍼의 손바닥에 밀착되어 짐과 동시에 약간 압착되면서 흡착부재(31)의 내경(33)에서 공기가 빠져 나오면서 어느 정도의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마치 부항기가 피부에 밀착되는 것처럼 흡착부재(31)의 확관부(32)가 골퍼의 손바닥에 딱 달라붙게 되어, 미끄러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한편, 타 실시예 흡착부재(31')로 그 단면을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 바, 상기 흡착부재(31') 또한 상면에 오목부(3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나팔관 형상의 흡착부재와 마찬가지 원리로 골퍼의 손바닥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ross section of the other embodiment the adsorption member (31 ') The
한편, 상기 흡착부재(31)(31')의 형상은 골프채의 그립(30)에 끼워지는 고정링(40)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suction member (31) (31 ') can be applied to the
원래,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골프채의 그립에 끼워지는 기존의 고정링(40A)은, 연질의 고무재로 구성되며, 몸체 하단에는 저지턱(41)이 형성되어 있어, 그립을 손으로 잡을 때, 맨 아래 새끼 손가락이 저지턱에 맞닿게 되어, 스윙시 아래로 밀려나는 것을 저지해 줌으로서, 손바닥이 그립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Originally, as shown in Figure 5, the existing retaining ring (40A) that is fitted to the grip of the golf club is composed of a soft rubber material, the lower end of the body is formed with a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고정링(40A)은 그 내측면(42)이 평탄면으로만 되어 있어 골퍼가 스윙시 힘을 주다 보면 그립에서 빠지기 쉬워 그 효과를 제대로 발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그러나, 도2의 본 고안처럼 고정링(40)의 내측면에 흡착부재(31)(31')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고정링(40)이 그립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지므로, 그립에서 이탈할 염려가 없게 되어, 원래 고정링이 갖는 지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However, when th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경한 균등 구성은 이를 모두 포함한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an equivalent configuration in which the above embodiment is appropriately modified will include all of them.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골프채는 기존의 골프채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그 효과가 뛰어나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은 충분하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golf clu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overall effect compared to the existing golf clubs, so the industrial applicability will be sufficient.
10 : 클럽헤드 20 : 샤프트 30 : 그립
31,31' : 흡착부재 32 : 확관부 33 : 내경
34 : 오목부 40 : 고정링 41 : 저지턱10
31,31 ': adsorption member 32: expansion pipe 33: inner diameter
34: recessed portion 40: retaining ring 41: blocking jaw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4364U KR200457021Y1 (en) | 2010-04-26 | 2010-04-26 | Slippery golf club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4364U KR200457021Y1 (en) | 2010-04-26 | 2010-04-26 | Slippery golf club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0305U KR20110010305U (en) | 2011-11-02 |
KR200457021Y1 true KR200457021Y1 (en) | 2011-12-02 |
Family
ID=45569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4364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7021Y1 (en) | 2010-04-26 | 2010-04-26 | Slippery golf club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7021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91379B2 (en) | 2019-06-07 | 2022-11-08 | Ronald MCCUAIG | Sporting apparatus and industrial products |
KR102604828B1 (en) | 2022-10-18 | 2023-11-22 | 아이오드 주식회사 | Golf grip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1436B1 (en) * | 2015-02-16 | 2017-02-01 | 홍수영 | Grip of golf clubs having functions to prevent sliding and to set direction of hea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18041A (en) * | 1994-02-10 | 1997-04-08 | Huang; Ben | Slip resistant sport grip |
-
2010
- 2010-04-26 KR KR2020100004364U patent/KR200457021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18041A (en) * | 1994-02-10 | 1997-04-08 | Huang; Ben | Slip resistant sport grip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91379B2 (en) | 2019-06-07 | 2022-11-08 | Ronald MCCUAIG | Sporting apparatus and industrial products |
KR102604828B1 (en) | 2022-10-18 | 2023-11-22 | 아이오드 주식회사 | Golf gri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0305U (en) | 2011-1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97968B1 (en) | Golf glove | |
US20170080308A1 (en) | Grip for a golf club | |
CN106999755B (en) | golf club grip | |
KR200457021Y1 (en) | Slippery golf club | |
CN207506943U (en) | A kind of base board of table tennis bat | |
KR100965695B1 (en) | Golf gloves | |
KR101701436B1 (en) | Grip of golf clubs having functions to prevent sliding and to set direction of head | |
KR200376174Y1 (en) | A grip for golf club | |
KR200473597Y1 (en) | Putter grip is equipped golf putter | |
KR20190032693A (en) | Sticker for hand grip | |
KR101992723B1 (en) | Finger ring for golf grip | |
KR20110107955A (en) | Golf recruiting grip | |
KR20100010650U (en) | Grip device for golf club grip | |
KR100548040B1 (en) | Golf Club Grip | |
JP2012040322A (en) | Table tennis racket | |
KR200376188Y1 (en) | The gloves for golf | |
KR200477322Y1 (en) | Positionning tape for right hand's thumb of golf clups | |
KR100659282B1 (en) | Golf club grip | |
KR20190013241A (en) | Golf safety grip customized to hand joint | |
KR101429829B1 (en) | Assistant grip apparatus for golf club | |
JP3137052U (en) | Finger wear | |
JP3137330U (en) | Regular octagonal tennis grip | |
KR20120060385A (en) | Tennis racket with attached velcro | |
JP3134348U (en) | Golf green fork | |
KR200401494Y1 (en) | Golf Grip Having The Anti-Slipping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426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111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1112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112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60804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5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U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6080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0090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804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