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6555Y1 - 전력커넥터용 소켓과 이를 구비한 랙장착용 캐비넷 - Google Patents

전력커넥터용 소켓과 이를 구비한 랙장착용 캐비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555Y1
KR200456555Y1 KR2020090007257U KR20090007257U KR200456555Y1 KR 200456555 Y1 KR200456555 Y1 KR 200456555Y1 KR 2020090007257 U KR2020090007257 U KR 2020090007257U KR 20090007257 U KR20090007257 U KR 20090007257U KR 200456555 Y1 KR200456555 Y1 KR 2004565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ocket
power connector
rack
conductive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414U (ko
Inventor
박재욱
조운제
노은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라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라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라또
Priority to KR2020090007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555Y1/ko
Publication of KR201000124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4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5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55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배선과 전력커넥터용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력커넥터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안은, 상부방향이 개구된 개구부를 구비한 소켓몸체; 상기 소켓몸체의 내부 양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전력커넥터용 플러그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인입부를 구비한 전도판; 상기 개구부의 양 측벽에 서로 대응하여 마련되며, 상기 인입부에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인입된 경우 상기 인입부의 양쪽 외부 측면을 사전에 정해진 압력으로 압착하여 고정하는 제1 압착부재; 상기 소켓몸체의 내부 하부면과 상기 소켓몸체에 고정된 전도판의 외부 하부면 사이에 존재하며 상기 전원배선을 끼움 연결하기 위한 끼움공; 및 상기 끼움공에 끼워진 전원배선을 상기 전도판의 하부면에 압착시켜 고정하는 제2 압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고안은 안정되면서도 용이한 전원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전력커넥터용 소자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전력커넥터용 소켓, 랙장착용 캐비넷, 제1 압착부재, 제2 압축부재

Description

전력커넥터용 소켓과 이를 구비한 랙장착용 캐비넷{Electric power socket and rack-mount cabinet including the same}
본 고안은 전력커넥터용 소켓 및 이를 적용한 랙장착용 캐비넷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전원의 연결작업이 용이한 전력커넥터용 소켓 및 이를 적용한 랙장착용 캐비넷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전원공급원으로부터 분배된 전기를 전달하는 케이블 및 커넥터가 필요하다. 최근, 전자기기가 시스템화 및 모듈화되면서, 전자기기에 전력을 원할하게 공급하는 것과 더불어 전력공급원과 전자기기 사이의 연결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배전 및 연결 기기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랙 형태로 제작된 전자기기의 경우, 캐비넷과 같은 시스템 장착구조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이 경우, 대부분, 랙의 후면에 전원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배치되어 있어 이를 캐비넷의 내부에 배선된 전원배선과 연결하는 작업은 번거러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하나의 캐비넷에 다수의 랙이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전력커넥터의 연결작업은 더욱 복잡하게 되며, 전자기기의 정비 및 유지를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자기기에 전원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소켓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전원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력커넥터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랙 형태의 전자기기가 장착되는 캐비넷에 개선된 형태의 전력커넥터용 소켓을 적용함으로써 전원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랙장착용 캐비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전원배선과 전력커넥터용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력커넥터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력커넥터용 소켓은 상부방향이 개구된 개구부를 구비한 소켓몸체; 상기 소켓몸체의 내부 양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전력커넥터용 플러그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인입부를 구비한 전도판; 상기 개구부의 양 측벽에 서로 대응하여 마련되며, 상기 인입부에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인입된 경우 상기 인입부의 양쪽 외부 측면을 사전에 정해진 압력으로 압착하여 고정하는 제1 압착부재; 상기 소켓몸체의 내부 하부면과 상기 소켓몸체에 고정된 전도판의 외부 하부면 사이에 존재하며 상기 전원배선을 끼움 연결하기 위한 끼움공; 및 상기 끼움공에 끼워진 전원배선을 상기 전도판의 하부면에 압착시켜 고정하는 제2 압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도판의 인입부는 상기 전력커넥터용 플러그의 단자와 접촉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볼록하게 대칭 절곡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압착부재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전도판은 상기 인입부의 종방향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켓몸체의 내부 양측면 각각에 별도로 고정되는 한쌍의 전도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도편 각각은 상기 제1 압착부재에 의한 압력을 전달받아 고정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2 압착부재에 의한 압력을 전달받아 고정되는 제2 영역을 각각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압착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양 측벽에 형성된 제1 볼트공을 통하여 각각 체결되며, 일단부가 상기 인입부의 외부 측면과 접촉하는 탄성체를 고정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볼트공을 통해 관통 체결되어 상기 개구부의 양 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된 타단부의 단부를 회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인입부의 양쪽 외부 측면을 압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압착부재는, 상기 소켓몸체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볼트공을 통하여 각각 체결되며, 일단부가 상기 전원배선과 접촉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볼트공을 통해 관통 체결되어 상기 소켓몸체의 하부면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된 타단부의 단부를 회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전원배선을 상기 전도판의 외부 하부면에 압착시켜 고정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다수의 랙을 장착할 수 있는 랙장착용 캐비넷에 관한 것으로, 상기 랙장착용 캐비넷은 상기 랙장착용 캐비넷에 장착된 각각의 랙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랙장착용 캐비넷의 내부 후방에 배선된 전원배선; 상기 랙장착용 캐비넷에 장착된 각각의 랙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각각의 랙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배선에 연결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전력커넥터용 소켓; 및 상기 전력커넥터용 소켓에 대응하여 상기 각 랙에 설치되며, 상기 각 랙이 상기 랙장착용 캐비넷의 해당 위치에 장착된 경우, 상기 설치된 전력커넥터용 소켓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커넥터용 플러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랙장착용 캐비넷은, 상기 전원배선 각각을 지지하도록 상기 캐비넷 내부의 후방에 설치된 지지브라켓을 더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력커넥터용 소켓은 전도판의 인입부를 통해 인입된 플러그의 단자를 제1 압착단자에 의해 작용하는 압착력을 조정하여 고정함으로써 안정되면서도 용이한 착탈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랙장착용 캐비넷은 전력커넥터용 플러그와 이에 대응하는 전력커넥터용 소켓을 통하여 랙의 장착과 동시에 캐비넷 내부의 전원배선과 안정된 연결이 가능하고 원터치로 전원의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여 전원의 배선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커넥터용 소켓과 이를 이용한 랙장착용 캐비넷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전력커넥터용 소켓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의 (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커넥터용 소켓에 전원배선이 연결된 상태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1의 (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커넥터용 소켓에 설치되는 전도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커넥터용 소켓에 전원배선이 연결된 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커넥터용 소켓에 전원배선이 연결된 상태를 저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커넥터용 소켓(100)은 소켓몸체(110), 소켓몸체(110)의 내부에 고정되어 전력커넥터용 플러그의 단자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전도판(120), 전도판(120)에 인입된 플러그의 단자를 압착하여 고정하는 제1 압착부재(130), 전원배선(P)과 접촉하기 위한 끼움공(140), 끼움공(140)에 끼워진 전원배선(P)을 압착하여 전도판(12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압착부재(1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소켓몸체(110)는 전력커넥터용 플러그의 단자와 연결하기 위해 상부방향이 개구된 개구부(112)를 구비한다. 여기서, 소켓몸체(110)는 절연성을 가진 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소켓몸체(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커넥터용 소켓(100)의 하우징 역할을 수행하며, 끼움공(140)을 통하여 사전에 설치된 전원배선(P)과 연결된다.
그리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판(120)은 소켓몸체(110)의 내부 양측면에 고정되며, 소켓몸체(110)의 개구부(112)를 통해 전력커넥터용 플러그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인입부(A)를 구비한다. 여기서, 인입부(A)의 입구는 플러 그 단자의 인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Y'자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전도판(120)의 인입부(A)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커텍터용 플러그의 단자와 접촉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볼록하게 대칭 절곡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도판(120)은, 도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부(A)의 종방향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된 2개의 전도편(122,12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도편(122,124) 각각은 소켓몸체(110)의 내부 양측면 각각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전도편(122,124)은 소켓몸체(110)의 내부 양측면 각각에 밀착되어 고정되며 각 전도편(122,124)에는 제1 압착부재(130)에 의한 압력을 전달받아 고정되는 제1 영역(1222,1242)과, 제2 압착부재(150)에 의해 고정되는 제2 영역(1224,1244)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전도판(120)을 2개의 대칭되는 전도편(122,124)으로 마련함으로써, 전도판(120)을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며, 전도판(120)의 크기에 비해 결합되는 소켓몸체(110)의 내부의 크기가 크더라도 사전에 정해진 허용범위 내에서는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전도판(120)과 소켓몸체(110)와의 결합은, 전기적 접촉을 위한 제1 압착부재(130) 및 제2 압착부재(150)의 압착방식과도 관련이 있다. 즉, 탄성체(134)와 접촉하여 제1 영역(1222,1242)에 가해지는 압착력과 전원배선(P)과 접촉하여 제2 영역(1224,1244)에 가해지는 압착력은 제1 압착부재(130) 및 제2 압착부재(150)의 회동에 의해 조정이 가능하다.
제1 압착부재(13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몸체(110)의 개구부(112)의 양 측벽에 형성된 볼트공을 통하여 체결된다. 제1 압착부재(130)는 소켓몸체(110)의 내부 방향을 향하는 일단부에 전도판(120)의 제1 영역(1222,1242)의 외부 측면과 접촉하는 탄성체(134)를 고정하는 돌기부(136)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 압착부재(130)의 타단부는 볼트공을 통해 관통 체결되어 소켓몸체(110)의 개구부(112)의 양 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렇게 돌출된 제1 압착부재(130)의 타단부의 단부(138)를 회동하는 것에 의해 돌기부(136)에 고정된 탄성체(134)가 전도판(120)의 제1 영역(1222,1242)을 압착한다.
도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공(140)은, 전도판(120)의 하부면과 소켓몸체(110)의 내부 하부면 사이의 공간으로 전원배선(P)이 끼워지는 공간이다. 전원배선(P)은 이러한 끼움공(140)을 통해 후술하는 제2 압착부재(150)에 의해 고정되기 전까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전원배선(P)은 도전체의 바(bar)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1의 (a)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압착부재(150)는 소켓몸체(110)의 하부면에 형성된 볼트공을 통해 각각 체결되며, 제2 압착부재(150)의 일단부(152)가 끼움공(140)에 끼워진 전원배선(P)과 접촉된다. 제2 압착부재(150)의 타단부(154)는 볼트공을 통해 관통 체결되어 소켓몸체(110)의 하부면에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렇게 돌출된 타단부(154)의 단부를 회동하는 것에 의해 전원배선(P)을 전도판(120)의 외부 하부면에 압착시켜 고정시킨다. 이에 의해 전원배선(P)과 전도판(12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커넥터용 소켓(100)은 전도판(120)의 인입부(A)를 통해 인입된 플러그의 단자를 제1 압착단자(130)에 의해 작용하는 압착력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안정되면서도 용이한 착탈이 가능하다.
이하,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장착용 캐비넷(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장착용 캐비넷의 측면도이고,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장착용 캐비넷의 평면도이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장착용 캐비넷(200)은 다수의 랙(210)을 장착할 수 있는 랙(210)의 하우징 역할을 수행하며, 캐비넷에 장착된 각각의 랙(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배선(P), 전원배선(P)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230), 전원배선(P)에 연결되어 랙(2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커넥터용 소켓(100), 각 랙(210)에 설치된 전력커넥터용 플러그(2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원배선(P)은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각 랙(210)에 연결되는 전원에 대응하도록 캐비넷의 내부 후방에 배선된다. 전원배선(P)은 절연성 결착부재(240)에 의해 지지브라켓(230)에 고정된다. 여기서, 지지브라켓(230)은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 내부의 후방에 설치된다.
전력커넥터용 소켓(100)은 전원배선(P)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각 해당하는 랙(210)에 공급한다. 따라서, 전력커넥터용 소켓(100)은, 도 4에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랙(210)에 설치된 전력커넥터용 플러그(220)의 위치에 대응하여 전원배선(P)에 연결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장착용 캐비넷(200)에 적용되는 전력커넥터용 소켓(100)은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전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커넥터용 소켓(100)과 동일한 것으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전력커넥터용 플러그(220)는 각 랙(210)의 배면에 설치되며, 랙(210)이 캐비넷(200)의 해당위치에 장착된 경우, 전원배선(P)에 고정된 전력커넥터용 소켓(100) 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랙(210)이 캐비넷(200)에 장착됨과 동시에 별도의 연결작업 없이도 전원배선(P)과 랙(2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랙장착용 캐비넷(200)에 장착된 랙(210)이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전자기기인 경우, 전원배선(P)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2상 또는 3상의 교류전원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커넥터용 플러그(220)와 소켓(100)의 결합에 의해 5개의 전원배선(P)이 연결된 경우 3개는 3상 교류전원, 2개는 2상 교류전원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장착용 캐비넷(200)은 랙(210)에 장착된 전력커넥터용 플러그(220)와 이에 대응하는 전력커넥터용 소켓(100)을 통하여 랙(210)의 장착과 동시에 캐비넷 내부의 전원배선(P)과 안정된 연결이 가능함과 동시에 원터치로 전원의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다.
본 고안은 전력커넥터용 소켓 및 이를 적용한 랙장착용 캐비넷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용 커넥터 부품 및 랙장착용 캐비넷과 관련된 분야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1의 (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커넥터용 소켓에 전원배선이 연결된 상태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의 (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커넥터용 소켓에 설치되는 전도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커넥터용 소켓에 전원배선이 연결된 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커넥터용 소켓에 전원배선이 연결된 상태를 저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장착용 캐비넷의 측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장착용 캐비넷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력커넥터용 소켓 110 : 소켓몸체
120 : 전도판 130 : 제1 압착부재
140 : 끼임공 150 : 제2 압착부재
200 : 랙장착용 캐비넷 210 : 랙
220 : 전력커넥터용 플러그 230 : 지지브라켓
240 : 절연성 결착부재

Claims (7)

  1. 전원배선과 전력커넥터용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력커넥터용 소켓에 있어서,
    상부방향이 개구된 개구부를 구비한 소켓몸체;
    상기 소켓몸체의 내부 양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전력커넥터용 플러그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인입부를 구비한 전도판;
    상기 개구부의 양 측벽에 서로 대응하여 마련되며, 상기 인입부에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인입된 경우 상기 인입부의 양쪽 외부 측면을 사전에 정해진 압력으로 압착하여 고정하는 제1 압착부재;
    상기 소켓몸체의 내부 하부면과 상기 소켓몸체에 고정된 전도판의 외부 하부면 사이에 존재하며 상기 전원배선을 끼움 연결하기 위한 끼움공; 및
    상기 끼움공에 끼워진 전원배선을 상기 전도판의 하부면에 압착시켜 고정하는 제2 압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커넥터용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판의 인입부는 상기 전력커넥터용 플러그의 단자와 접촉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볼록하게 대칭 절곡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커넥터용 소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착부재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전도판은 상기 인입부의 종방향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켓몸체의 내부 양측면 각각에 별도로 고정되는 한쌍의 전도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도편 각각은 상기 제1 압착부재에 의한 압력을 전달받아 고정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2 압착부재에 의한 압력을 전달받아 고정되는 제2 영역을 각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커넥터용 소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양 측벽에 형성된 제1 볼트공을 통하여 각각 체결되며, 일단부가 상기 인입부의 외부 측면과 접촉하는 탄성체를 고정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볼트공을 통해 관통 체결되어 상기 개구부의 양 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압착부재는 상기 제1 압착부재의 상기 돌출된 타단부의 단부를 회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인입부의 양쪽 외부 측면을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커넥터용 소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착부재는, 상기 소켓몸체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볼트공을 통하여 각각 체결되며, 일단부가 상기 전원배선과 접촉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볼트공을 통해 관통 체결되어 상기 소켓몸체의 하부면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압착부재는 상기 제2 압착부재의 상기 돌출된 타단부의 단부를 회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전원배선을 상기 전도판의 외부 하부면에 압착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커넥터용 소켓.
  6. 다수의 랙을 장착할 수 있는 랙장착용 캐비넷에 있어서,
    상기 랙장착용 캐비넷에 장착된 각각의 랙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랙장착용 캐비넷의 내부 후방에 배선된 전원배선;
    상기 랙장착용 캐비넷에 장착된 각각의 랙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각각의 랙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배선에 연결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전력커넥터용 소켓; 및
    상기 전력커넥터용 소켓에 대응하여 상기 각 랙에 설치되며, 상기 각 랙이 상기 랙장착용 캐비넷의 해당 위치에 장착된 경우, 상기 설치된 전력커넥터용 소켓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커넥터용 플러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장착용 캐비넷.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랙장착용 캐비넷은, 상기 전원배선 각각을 지지하도록 상기 캐비넷 내부의 후방에 설치된 지지브라켓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장착용 캐비넷.
KR2020090007257U 2009-06-05 2009-06-05 전력커넥터용 소켓과 이를 구비한 랙장착용 캐비넷 Expired - Lifetime KR2004565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257U KR200456555Y1 (ko) 2009-06-05 2009-06-05 전력커넥터용 소켓과 이를 구비한 랙장착용 캐비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257U KR200456555Y1 (ko) 2009-06-05 2009-06-05 전력커넥터용 소켓과 이를 구비한 랙장착용 캐비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414U KR20100012414U (ko) 2010-12-15
KR200456555Y1 true KR200456555Y1 (ko) 2011-11-07

Family

ID=44205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257U Expired - Lifetime KR200456555Y1 (ko) 2009-06-05 2009-06-05 전력커넥터용 소켓과 이를 구비한 랙장착용 캐비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5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17631A (zh) * 2020-04-10 2021-10-19 利思电气(上海)有限公司 一种电压稳定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2328A (ja) 2000-05-23 2001-11-3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端子接続構造
KR100346633B1 (ko) 1998-12-10 2002-07-26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소켓 및 커넥터
JP2003243114A (ja) 2001-12-21 2003-08-29 Bjb Gmbh & Co Kg ランプソケ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633B1 (ko) 1998-12-10 2002-07-26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소켓 및 커넥터
JP2001332328A (ja) 2000-05-23 2001-11-3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端子接続構造
JP2003243114A (ja) 2001-12-21 2003-08-29 Bjb Gmbh & Co Kg ランプソケ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17631A (zh) * 2020-04-10 2021-10-19 利思电气(上海)有限公司 一种电压稳定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414U (ko) 201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81838Y (zh) 电连接器
CN110571555B (zh) 板对板连接器组件
CN105637711B (zh) 插拔连接器模块
CN101369693A (zh) 电连接器
US9960514B1 (en) Double-sided pluggable power plug, power socket and combination structure thereof
US8137134B1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an insulating member with a bendable section with a pair of projections
US8262409B2 (en) Connection terminal with a base with two upwardly extending sections with angled and oblique edges to clamp an internal conductor of a coaxial cable
KR20160126171A (ko) Usb 타입-c 플러그와 압착 보조 커넥터의 결합 구조
EP2985839B1 (en) Plug
TWI580127B (zh) 電連接器組合
JP3157679U (ja) 電気コネクタ
CN107425356B (zh) 一种车用电连接器组件
KR200456555Y1 (ko) 전력커넥터용 소켓과 이를 구비한 랙장착용 캐비넷
GB2577359A (en) Wiring terminal and corresponding electrical component
CN106785654B (zh) 一种连接结构、电源适配器及电子设备
US9431736B2 (en) Card edge connector and card edge connector assembly
CN201498808U (zh) 电连接器
CN201122764Y (zh) 一种插座
KR100827961B1 (ko) 커넥터
CN203192963U (zh) 绝缘型同轴连接器
CN205680828U (zh) 一种fpc连接装置
CN111740239B (zh) 一种速插式电连接器
CN211404933U (zh) 电连接器组件
CN114883862B (zh) 板对板连接器及拆卸治具
CN202695858U (zh) 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6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12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11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