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6283Y1 -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283Y1
KR200456283Y1 KR2020080014742U KR20080014742U KR200456283Y1 KR 200456283 Y1 KR200456283 Y1 KR 200456283Y1 KR 2020080014742 U KR2020080014742 U KR 2020080014742U KR 20080014742 U KR20080014742 U KR 20080014742U KR 200456283 Y1 KR200456283 Y1 KR 2004562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torch
angle
coupled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949U (ko
Inventor
손동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주웰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주웰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주웰딩
Priority to KR2020080014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28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9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9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2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2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94Transport carriag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5/00Gas flame welding
    • B23K5/22Auxiliary equipment, e.g. backings, guides
    • B23K5/24Arrangements for supporting tor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7/00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 B23K7/10Auxiliary devices, e.g. for guiding or supporting the torch
    • B23K7/102Auxiliary devices, e.g. for guiding or supporting the torch for controlling the spa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pieces and the gas tor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6Controlling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and the gas tor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동작업을 위한 토치를 결합시켜서 자동이송 용접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이송 용접장치에서, 용접토치의 전,후 위치조절과 상,하 위치조절 및 용접 각도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토치클램프에 장착된 용접토치를 용접부위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고, 홀딩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용접장치의 이송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에 따른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는 자동이송 용접장치(60)의 베이스(61)상에 결합되는 수평이송유니트(10)와, 수평이송유니트(10)상에 결합되어 수평이송유니트(1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각도조절핸들(28)의 회전조작에 따라 용접토치(5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니트(20)와, 일단에 토치클램프(40)가 결합되고, 각도조절유니트(20)에 의해 각운동하여 토치클램프(40)에 장착된 용접토치(50)를 각운동시키는 토치클램프홀더(30)를 포함하되, 각도조절유니트(20)는 각도조절핸들(28)에 의해 회전하는 워엄(24)과, 워엄(24)과 맞물리는 각도변환 워엄휠부(25') 및 토치클램프홀더(30)와 연결되는 링크핀(25")이 결합된 각도변환링크(25)를 구비하여, 토치클램프홀더(30)는 일단에 토치클램프(40)가 결합되도록 하고, 타단이 각도변환링크(25)의 링크핀(25")에 결합되어, 중간부에서 수평이송유니트(10)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됨으로써, 워엄기어의 작동력과 지렛대구조에 의한 운동변환에 의해 각운동되도록 한다.
용접, 토치, 홀딩, 클램프, 웜, 웜휠

Description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welding torch holding device of Automatic transferable portable welding apparatus}
본 고안은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별도의 용접장치용 토치를 사용하지 않고 통상의 수동작업을 위한 토치를 결합시켜서 자동이송 용접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이송 용접장치에서, 용접토치의 전,후 위치조절과 상,하 위치조절 및 용접 각도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토치클램프에 장착된 용접토치를 용접부위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고, 홀딩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용접장치의 이송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이송 용접장치는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용접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용접장치로서, 용접부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용접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서 각종 산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자동이송 용접장치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0169936호 "수직 자동 용접장치",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2000-0005792호 "용접 보류부를 최소화한 용접캐리지"가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이송 용접장치는 용접토치를 클램프에 고정하여 자동이송시키면서 용접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본 고안자에 의해 제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8-0092212호 "에이치 빔 자동 용접장치"에서는 용접토치를 기울일 수 있도록 하여 모서리 작업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에이치 빔의 연결부를 용접할 시 비용접구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위빙부에 의해 용접작업시 이루어지는 위빙(weaving)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이송 용접장치는 용접대상 구조물에 따라 용접부의 전,후 또는 상,하 위치가 다양하게 변화되고, 용접부의 위치에 따라 용접토치의 용접각도가 여러 각도로 변화된다. 따라서, 자동이송 용접장치에는 용접토치의 전,후 위치 또는 상,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는 홀딩장치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와 관련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56666호 "토오치각도의 핸들조작이 가능한 자동용접 주행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이송 용접장치는 종래에 용접용 토치의 용접 각도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정하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핸들을 조작하여 설정된 각도로 미세하게 조절하고자 하였으나, 수평 및 수직이동부재를 수동조작하여 용접토치의 전,후 및 상,하 이동이 직선변위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용접토치의 용접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회동용 모터를 구동시키고, 그 구동력에 의해 워엄 및 워엄휠이 연동되어 용접토치의 몸체에 고정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용접토치의 위치와 각도를 용접조건에 맞도록 수동조작과 자동조작을 병행하여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회전축을 용접토치에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수평 및 수직이동부재, 모터와 워엄 및 워엄휠 등 구성요소의 체적으로 인해 홀딩장치의 부피가 비대해져 용접장치의 이송 및 설치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35544호 "토오치각도 슬라이드조절식 자동용접주행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용접토치가 설치되는 토치클램프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변위를 이루도록하고,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용접토치의 전,후 및 상,하 위치조절과 용접각도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용접토치의 각도를 슬라이드방식으로 조절하는 자동용접주행장치는 토치클램프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변위를 이루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 고정부와 볼트 고정부를 구비하고, 볼트 고정부에 상,하 단부가 결합되는 슬라이드 볼트와, 슬라이드 볼트에 나사결합되어 슬라이드 볼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는 슬라이드 힌지 및, 이송핀에 의해 슬라이드 힌지의 통공에 일단이 고정되어 토치클램프가 회전변위를 이루도록하는 캐리지를 구비하여, 슬라이딩 힌지가 슬라이딩 볼트상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승강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토치클램프의 회전변위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홀딩장치의 구성이 복잡할 뿐만아니라 그 부피가 여전히 비대하여 용접장치의 이송 및 설치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고안자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032897호 "자동 이송이 가능한 휴대형 용접장치 및 그를 제어하기 위한 용접용 토치의 점화 판별방법",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8-0007422호 "자동 이송이 가능한 휴대형 용접장치"에서 용접토치를 용접 부위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이송 용접장치를 제시한 바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본 고안자에 의해 선출원된 특허출원 제10-2008-0032897호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8-0007422호에서 제시된 자동이송 용접장치를 위한 용접토치 홀딩장치를 더욱 개선하여, 통상의 수동작업을 위한 토치를 결합시켜 자동이송 용접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이송 용접장치에서, 용접토치의 전,후 위치 조절과 상,하 위치조절 및 용접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고안은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베이스상에 슬라이딩가능토록 결합된 수평이송유니트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용접토치의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각도조절유니트의 워엄기어 작동력과 지렛대구조에 의한 운동변환에 의해 토치클램프홀더를 각운동시킴으로써, 토치클램프에 결합된 용접토치의 상,하 위치 및 용접각도를 동시에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토치클램프에 장착된 용접토치를 용접부위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토치클램프의 각도변환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요소들을 수평이송유니트상에 결합된 각도조절유니트에 내장하여 구성요소의 체적을 최소화함 으로써, 용접장치의 이송 및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자동이송 용접장치(60)를 위한 용접토치(50) 홀딩장치에 있어서, 자동이송 용접장치(60)의 베이스(61)상에 결합되는 수평이송유니트(10)와; 수평이송유니트(10)상에 결합되어 수평이송유니트(1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각도조절핸들(28)의 회전조작에 따라 용접토치(5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니트(20)와; 일단에 토치클램프(40)가 결합되고, 각도조절유니트(20)에 의해 각운동하여 토치클램프(40)에 장착된 용접토치(50)를 각운동시키는 토치클램프홀더(30)를 포함하되; 각도조절유니트(20)는 각도조절핸들(28)에 의해 회전하는 워엄(24)과, 워엄(24)과 맞물리는 각도변환 워엄휠부(25') 및 토치클램프홀더(30)와 연결되는 링크핀(25")이 결합된 각도변환링크(25)를 구비하여, 토치클램프홀더(30)는 일단에 토치클램프(40)가 결합되도록 하고, 타단이 각도변환링크(25)의 링크핀(25")에 결합되어, 중간부에서 수평이송유니트(10)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됨으로써, 워엄기어의 작동력과 지렛대구조에 의한 운동변환에 의해 각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에 있어 서, 수평이송유니트(10)는 자동이송 용접장치(60)의 베이스(61)상에 결합되는 브라켓(17) 및 브라켓(17)상에 결합되는 가이드(15)를 포함하고, 가이드(15)상에 끼워지는 가이드슬롯(13)이 형성되며, 가이드슬롯(13)의 상측에 스크류홀(14)이 형성된 이송블록(11)을 구비하되, 스크류홀(14)에 결합된 수평스크류(16)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에 있어서, 수평이송유니트(10)는 이송블록(11) 앞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이송블록(11)의 이송방향으로 평행되게 설치되는 힌지대(12)를 갖고, 토치클램프홀더(30)는 힌지대(12)에 힌지 결합되며, 각도조절유니트(20)는 수평이송유니트(10)의 이송블록(11)상에 결합되어 워엄(24)과 각도변환링크(25)를 지지하는 지지블록(21)을 구비하되; 지지블록(21)은 이송블록(11)의 이송방향에 대해 수직되도록 형성되어 워엄(24)이 위치되는 수직리세스(21')를 갖고, 수직리세스(21')와 연통되고 이송블록(11)의 앞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각도변환 워엄휠부(25')가 위치되는 수평리세스(21")를 구비하여, 수평이송유니트(10)의 이송블록(11)상에서 힌지대(12)의 후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에 있어 서, 지지블록(21)은 힌지대(12)의 방향에서 수평리세스(21")의 앞측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링크핀(25")이 삽입되는 제 1 장공(23)을 갖는 가이드부(22)를 더 구비하고, 토치클램프홀더(30)는 링크핀(25")이 결합되는 홀이 제 2 장공(31)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에 의하면, 통상의 수동작업을 위한 용접토치(50)를 결합시켜 자동이송 용접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이송 용접장치(60)에서, 용접토치(50)의 전,후 위치와 상,하 위치 및 용접각도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자동이송 용접장치(60)의 베이스(61)상에 슬라이딩가능토록 결합된 수평이송유니트(1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용접토치(50)의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수평이송유니트(10)상에 결합된 각도조절유니트(20)의 워엄기어의 작동력과 지렛대구조에 의한 운동변환에 의해 토치클램프홀더(30)를 각운동시킴으로써, 토치클램프(40)에 결합된 용접토치(50)의 상,하 위치 및 용접각도를 동시에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토치클램프(40)에 장착된 용접토치(50)를 용접부위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토치클램프(40)의 각도변환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요소들을 수평이송유니트(10)상에 결합된 각도조절유니트(20)에 내장하여 구성요소의 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용접장치의 이송 및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10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주 요소들의 결합 및 고정을 위한 보강 리브(판), 볼트 및 나사, 홀, 와셔, 너트 등의 도시는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으며, 통상의 자동이송 용접장치에 대한 기술과, 회동운동, 힌지운동, 각운동 등을 위한 메커니즘 및 그에 필요한 각종 기계 부품, 액추에이터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사용하기 위한 메커니즘 등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상태 전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자동이송 용접장치를 위한 용접토치 홀딩장치에 있어서, 자동이송 용접장치(60)의 베이스(61)상에 결합되는 수평이송유니트(10)가 구비되고, 수평이송유니트(10)상에 결합되어 수평이송유니트(1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각도조절핸들(28)의 회전조작에 따라 용접토치(5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니트(20)가 구비되며, 일단에 토치클램프(40)가 결합되고, 각도조절유니트(20)에 의해 각운동하여 토치클램프(40)에 장착된 용접토치(50)를 각운동시키는 토치클램프홀더(3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용접토치 홀딩장치에 있어서, 각도조절유니트(20)는 각도조절핸들(28)에 의해 회전하는 워엄(24)을 구비하고, 워엄(24)과 맞물리는 각도변환 워엄휠부(25') 및 토치클램프홀더(30)와 연결되는 링크핀(25")이 결합된 각도변환링크(25)를 구비하여, 토치클램프홀더(30)는 일단에 토치클램프(40)가 결합되도록 하고, 타단이 각도변환링크(25)의 링크핀(25")에 결합되어, 중간부에서 상기 수평이송유니트(10)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됨으로써, 워엄기어의 작동력과 지렛대구조에 의한 운동변환에 의해 각운동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접토치 홀딩장치를 자동이송 용접장치(60)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용접토치 홀딩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이송 용접장치(60)를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자동이송 용접장치(60)는 용접 레일을 사용하지 않고 용접을 할 수 있는 휴대용 자동이송 용접창치로서 수평과 수직 용접에 모두 사용 가능하고, 좁은 범위 내에서 유효 용접 길이를 확대할 수 있다. 예컨대, 종래 자동이송 용접장치는 최소 100mm 이상 자동이송 용접장치로 용접할 수 없는 비용접구간이 발생하였으나, 본 고안의 용접토치 홀딩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이송 용접장치(60)는 종래 자동 용접장치로 용접할 수 없는 비용접구간이 50mm로 축소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자동 용접토치와 수동 용접토치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장착한 후 용접을 수행하게 되는데, 특히 수동 용접토치(60)를 직접 적용하여 용접을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협소 공간에서는 자동이송 용접장치(60)에 장착된 용접토치(50)를 토치클램프(40)으로부터 빼낸 후 작업자가 직접 용접토치(50)를 손에 잡고 용접을 계속 수행할 수 있으므로, 용접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에 있어서, 수평이송유니트(10)는 자동이송 용접장치(60)의 베이스(61)상에 결합되는 브라켓(17) 및 브라켓(17)상에 결합되는 가이드(15)를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15)상에 끼워지는 가이드슬롯(13)이 형성되고, 가이드슬롯(13)의 상측에 스크류홀(14)이 형성된 이송블록(11)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수평이송유니트(10)는 브라켓(17) 후면에 위치하는 수평이송핸들(18)의 회전조작에 따라 스크류홀(14)내에서 회전하는 수평스크류(16)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에 있어서, 수평이송유니트(10)는 이송블록(11) 앞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힌지대(12)가 형성되며, 힌지대(12)는 이송블록(11)의 이송방향으로 평행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힌지대(12)의 상단에는 토치클램프홀더(30)가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각도조절유니트(20)는 수평이송유니트(10)의 이송블록(11)상에 결합되어 워엄(24)과 각도변환링크(25)를 지지하는 지지블록(21)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지지블록(21)은 이송블록(11)의 이송방향에 대해 수직되도록 형성되어 워엄(24)이 위치되는 수직리세스(21')가 구비된다. 또한, 수직리세스(21')와 연통되어 이송블록(11)의 전진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각도변환 워엄휠부(25')가 위치되는 수평리세스(21")가 구비된다. 또한, 지지블록(21)은 수평이송유니트(10)의 이송블록(11)상에서 힌지대(12)의 후측에 배치된다.
또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에 있어서, 지지블록(21)은 힌지대(12)의 방향에서 수평리세스(21")의 앞측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링크핀(25")이 삽입되는 호형의 제 1 장공(23)을 갖는 가이드부(22)가 구비된다.
그리고, 토치클램프홀더(30)의 일측에는 링크핀(25")이 결합되는 직선형의 제 2 장공(3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토치클램프(40)의 연결축(41)이 결합되는 클램핑홀(3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용접토치 홀딩장치는 각도조절유니트(20)의 지지블록(21)이 수평이송유니트(10)상의 힌지대(12)와 근접하여 배치되고, 각도를 변환하는 요소들이 각도조절유니트(20)의 지지블록(21) 내측에 장착되어 각도조절유니트(20)의 체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토치클램프홀더(30)가 힌지대(12) 상단에 결합되어 각도조절유니트(20)의 링크핀(25")과 근접하여 연결됨으로써, 수평이송유니트(10)와 각도조절유니트(20) 및 토치클램프홀더(30)의 거리를 최소화 하여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되어, 토치클램프(40)에 결합된 용접토치(50)의 전후 위치와 상하 위치 및 용접각도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자동이송 용접장치(60)의 이송 및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접토치 홀딩장치의 조립과정과 작동과정을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접토치 홀딩장치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이송 용접장치(60)를 위한 용접토치 홀딩장치는 도 4와 같이 분리된 상태에서 먼저, 자동이송 용접장치(60)의 베이스(61)상에 브라켓(17)과 가이드(15)를 결합한다. 그리고, 이송블록(11)의 가이드슬롯(13)을 가이드(15)상에 끼워넣고, 이송블록(11)의 스크류홀(14)에 수평스크류(16)를 결합하며, 수평스크류(16)의 단부에 수평이송핸들(18)을 결합하여 수평이 송유니트(10)의 조립을 완료한다.
한편, 지지블록(21)의 수직리세스(21')에 워엄(24)을 수직설치하고, 수평리세스(21")에는 각도변환링크(25)를 수평설치한다. 이때, 각도변환링크(25)의 각도변환 워엄휠부(25')는 워엄(24)과 맞물리고, 링크핀(25")은 지지블록(21)의 가이드부(22)에 형성된 제 1 장공(23)에 끼워지도록 결합되며, 각도변환링크(25)는 각도변환 워엄휠부(25')의 중심부가 지지블록(21)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관통하는 힌지볼트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워엄(24)은 하단이 지지블록(21)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토록 지지된다. 한편, 지지블록(21)의 전면에는 전면커버(27)를 결합하고, 상면에는 워엄(24)의 상단축부가 관통하는 홀이 뚫린 상면커버(26)를 결합하고, 상면커버(26) 상측으로 돌출된 워엄(24)의 상단축부에 각도조절핸들(28)을 결합하여 각도조절유니트(20)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각도조절유니트(20)는 수평이송유니트(10)의 이송블록(11)상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이송유니트(10)와 각도조절유니트(20)의 결합이 완료되면, 이송블록(11)의 힌지대(12) 상단에 토치클램프홀더(30)을 힌지결합한다. 이때 토치클램프홀더(30)는 중심부를 관통하는 힌지볼트에 의해 힌지대(12) 상단에 힌지결합되는 것이며, 일측에 뚫린 제 2 장공(31)에는 각도변환링크(25)의 링크핀(25")이 삽입된다.
이와 같이 수평이송유니트(10)와 각도조절유니트(20) 및 토치클램프홀더(30)의 결합이 완료되면, 토치클램프홀더(30)의 제 2 장공(31) 타측방에 형성된 클램핑홀(32)에 토치클램프(40)의 연결축(41)을 삽입하여 조임볼트로 조여주게 되면, 본 고안에 따른 용접토치 홀딩장치의 전체 조립과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접토치 홀딩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접토치 홀딩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토치클램프(40)에 장착된 용접토치(50)의 전후 위치와 상하 위치 및 용접각도를 조절할 시에는 먼저, 수평이송핸들(18)을 회전조작하여 수평스크류(16)를 회전시키면, 이송블록(11)이 가이드(15)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이와 동시에 이송블록(11)상에 결합된 각도조절유니트(20) 및 힌지대(12)에 결합된 토치클램프홀더(30)와, 토치클램프홀더(30)에 결합된 토치클램프(40)가 전후 방향으로 이송됨으로써, 용접토치(50)의 전후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용접토치(50)의 전후 위치조절이 완료되고, 용접토치(50)의 상하 위치 및 용접각도를 조절할 시에는 먼저, 각도조절유니트(20)의 각도조절핸들(28)을 회전조작하여 지지블록(21)의 수직리세스(21')에 장착된 워엄(24)을 회전시킨다.
워엄(24)이 회전하게 되면, 각도변환 워엄휠부(25')가 워엄(24)과 맞물린 각도변환링크(25)는 지지블록(21) 내에서 힌지볼트를 중심으로 각운동하게 되고, 각도변환링크(25)의 일측면에 결합된 링크핀(25")이 가이드부(22)에 형성된 호형의 제 1 장공(23) 내측에서 각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링크핀(25")이 각운동하게 되면, 링크핀(25")이 직선형 제 2 장 공(31)을 활주하면서 토치클램프홀더(30)를 힌지대(12)를 중심으로 각운동시키게 되며, 제 2 장공(31) 타측의 클램핑홀(32)에 결합된 토치클램프(40)가 토치클램프홀더(30)를 따라 각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링크핀(25")의 각운동을 전달받아 토치클램프(40)가 각운동하게 됨으로써, 토치클램프(40)에 장착된 용접토치(50)의 용접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용접토치(50)의 끝단 노즐부의 상하 위치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토치클램프(40)에 장착된 용접토치(50)를 용접부위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용접토치 홀딩장치의 전후 위치와 상하 위치 및 용접각도 조절과정에서 전후 위치와 상하 위치 및 용접각도 조절을 반복수행하게 되면 용접토치(50)를 용접부위에 더욱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상태 전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상태 후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상태 후면사시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접토치 홀딩장치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접토치 홀딩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접토치 홀딩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접토치 홀딩장치를 자동이송 용접장치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수평이송유니트 11:이송블록
12:힌지대 13:가이드슬롯
14:스크류홀 15:가이드
16:수평스크류 17:브라켓
18:수평이송핸들 20:각도조절유니트
21:지지블록 21':수직리세스
21":수평리세스 22:가이드부
23:제 1 장공 24:워엄
25:각도변환링크 25':각도변환 워엄휠부
25":링크핀 26:상면커버
27:전면커버 28:각도조절핸들
30:토치클램프홀더 31:제 2 장공
32:클램핑홀 40:토치클램프
41:연결축 50:용접토치
60:자동이송 용접장치 61:베이스

Claims (4)

  1. 자동이송 용접장치(60)를 위한 용접토치(50) 홀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이송 용접장치(60)의 베이스(61)상에 결합되는 수평이송유니트(10)와;
    상기 수평이송유니트(10)상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이송유니트(1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각도조절핸들(28)의 회전조작에 따라 용접토치(5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니트(20)와;
    일단에 토치클램프(40)가 결합되고, 상기 각도조절유니트(20)에 의해 각운동하여 상기 토치클램프(40)에 장착된 용접토치(50)를 각운동시키는 토치클램프홀더(30)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이송유니트(10)는 상기 자동이송 용접장치(60)의 베이스(61)상에 결합되는 브라켓(17) 및 상기 브라켓(17)상에 결합되는 가이드(15)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15)상에 끼워지는 가이드슬롯(13)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슬롯(13)의 상측에 스크류홀(14)이 형성된 이송블록(11)을 구비하되, 상기 스크류홀(14)에 결합된 수평스크류(16)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각도조절유니트(20)는 상기 각도조절핸들(28)에 의해 회전하는 워엄(24)과, 상기 워엄(24)과 맞물리는 각도변환 워엄휠부(25') 및 상기 토치클램프홀더(30)와 연결되는 링크핀(25")이 결합된 각도변환링크(25)를 구비하여, 상기 토치클램프홀더(30)는 일단에 상기 토치클램프(40)가 결합되도록 하고, 타단이 상기 각도변환링크(25)의 링크핀(25")에 결합되어, 중간부에서 상기 수평이송유니트(10)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됨으로써, 워엄기어의 작동력과 지렛대구조에 의한 운동변환에 의해 각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유니트(10)는 상기 이송블록(11) 앞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이송블록(11)의 이송방향으로 평행되게 설치되는 힌지대(12)를 갖고,
    상기 토치클램프홀더(30)는 상기 힌지대(12)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각도조절유니트(20)는 상기 수평이송유니트(10)의 이송블록(11)상에 결합되어 상기 워엄(24)과 각도변환링크(25)를 지지하는 지지블록(21)을 구비하되;
    상기 지지블록(21)은 상기 이송블록(11)의 이송방향에 대해 수직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워엄(24)이 위치되는 수직리세스(21')를 갖고, 상기 수직리세스(21')와 연통되어 상기 이송블록(11)의 전진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각도변환 워엄휠부(25')가 위치되는 수평리세스(21")를 구비하여, 상기 수평이송유니트(10)의 이송블록(11)상에서 상기 힌지대(12)의 후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21)은 상기 힌지대(12)의 방향에서 상기 수평리세스(21")의 앞측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링크핀(25")이 삽입되는 제 1 장공(23)을 갖는 가이드부(22)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토치클램프홀더(30)는 상기 링크핀(25")이 결합되는 제 2 장공(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
KR2020080014742U 2008-11-04 2008-11-04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 KR2004562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742U KR200456283Y1 (ko) 2008-11-04 2008-11-04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742U KR200456283Y1 (ko) 2008-11-04 2008-11-04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949U KR20100004949U (ko) 2010-05-13
KR200456283Y1 true KR200456283Y1 (ko) 2011-10-21

Family

ID=44450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742U KR200456283Y1 (ko) 2008-11-04 2008-11-04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28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302B1 (ko) * 2011-03-25 2013-03-21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용접피더기의 고정장치
CN109128620A (zh) * 2018-09-03 2019-01-04 广西嘉诚工业有限公司 汽车扰流板及副翼焊接工装
CN110052742A (zh) * 2019-02-14 2019-07-26 闫国忠 一种车辆后桥自动焊接机
KR102274374B1 (ko) * 2020-09-17 2021-07-07 주식회사대불용접산업 협소부용 관 클램핑 용접장치
CN114161039A (zh) * 2021-12-23 2022-03-11 杭萧钢构(河北)建设有限公司 一种小型多功能自动焊接小车
CN115213606A (zh) * 2022-04-08 2022-10-21 新疆大学 一种全位置管道焊机的双焊炬双驱升降机构
CN114799437A (zh) * 2022-04-08 2022-07-29 新疆大学 一种全位置焊接设备的双焊炬运动机构设计
CN117066640B (zh) * 2023-10-17 2024-01-16 佛山市嘉之润电业有限公司 一种智能调节手持焊接枪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321Y1 (ko) * 1999-12-24 2000-07-15 삼정산기주식회사 다중규격 브라운관 펀넬 가공용 지그
KR200213732Y1 (ko) * 2000-05-22 2001-02-15 주식회사두이엔지니어링 자동용접기용 토오치 각도 조절장치
KR100827194B1 (ko) * 2008-02-28 2008-05-02 최인수 자동 용접 캐리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321Y1 (ko) * 1999-12-24 2000-07-15 삼정산기주식회사 다중규격 브라운관 펀넬 가공용 지그
KR200213732Y1 (ko) * 2000-05-22 2001-02-15 주식회사두이엔지니어링 자동용접기용 토오치 각도 조절장치
KR100827194B1 (ko) * 2008-02-28 2008-05-02 최인수 자동 용접 캐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949U (ko)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6283Y1 (ko)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
KR100820040B1 (ko) 차량용 휠 용접장치
CN201120539Y (zh) 相贯线双环缝自动焊接机
EP3791994B1 (en) Carriage for pipe machining
KR101565323B1 (ko) 볼밸브 하우징용 자동 육성 용접장치
KR200391479Y1 (ko) 파이프 자동 용접장치
KR100893874B1 (ko) 수평위빙 구동장치를 갖는 강관 티그(tig) 자동용접장치
KR101880883B1 (ko) 용접부재용 가변 지지장치
KR20060080951A (ko) 러그 용접 장치
KR20130130311A (ko) 용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827194B1 (ko) 자동 용접 캐리지
KR101385297B1 (ko) 원형 용접 케리지
KR20180046804A (ko) 선박의 블록 내부재 자동용접장치
KR20100008312U (ko)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
KR100814620B1 (ko) 용접용 포지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식 용접장치
CN216504010U (zh) 一种焊管焊缝打磨清理装置
CN214024212U (zh) 一种直缝焊接装置
KR101265184B1 (ko) 하이브리드운동을 하는 토치를 포함하는 자동 용접장치
KR101734446B1 (ko) 자동 용접기용 용접토치 홀딩장치
KR20090016319A (ko) 포터블 타입 티그(tig) 자동용접장비를 포함한 강관연결시공방법
KR200246031Y1 (ko) 용접자세가 조정되는 자동용접장치
CN219561917U (zh) 一种便于定位调节的焊接设备
JP3413676B2 (ja) 多関節型ロボット
JP6934266B2 (ja) 溶接ビード切削装置
KR20220157670A (ko) 자동 용접 캐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110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0727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11012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0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10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70727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