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000Y1 - Hook type terminal block - Google Patents
Hook type terminal bl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6000Y1 KR200456000Y1 KR2020100004017U KR20100004017U KR200456000Y1 KR 200456000 Y1 KR200456000 Y1 KR 200456000Y1 KR 2020100004017 U KR2020100004017 U KR 2020100004017U KR 20100004017 U KR20100004017 U KR 20100004017U KR 200456000 Y1 KR200456000 Y1 KR 20045600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assembled
- terminal block
- coupling
- wir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1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08—Modular bloc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이 연결되는 단자분체 다수개가 후크식으로 조립 결합되는 후크식 조립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후크식 조립 단자대는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이 각각 삽입되는 인입홈과 인출홈, 상기 인입홈과 인출홈에 각각 연결되며 단자볼트가 삽입되는 두 체결홈을 포합하는 본체; 상기 단자볼트가 결합되는 양측의 볼트공이 각각 상기 인입홈과 인출홈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자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자분체 다수개가 조립결합되는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면에는 단부에 걸림턱이 구비되어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어, 단자분체의 돌출부가 다른 단자분체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후크식으로 조립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block that electrically connects an incoming wire and an outgoing wi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ok type terminal block in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 powders to which an incoming wire and an outgoing wire are connected are assembled by a hook type.
Hook type assembly termina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including two fastening groove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inlet groove and the outlet groove into which the inlet wire and the outlet wire are inserted, the inlet groove and the outlet groove are inserted; A plurality of terminal powders are assembled and assembled, including: bolt plates on both sides to which the terminal bolts are coupled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disposed in the inlet groove and the outlet groove, and a terminal plat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inlet wire and the outgoing wire. In the terminal block,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projection having a locking jaw at the end,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projection is inserted, and a locking groove extending from the insertion hole and engaging the locking jaw is form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of the terminal powd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other terminal powder is assembled by hook type.
Description
본 고안은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이 연결되는 단자분체 다수개가 후크식으로 조립 결합되는 후크식 조립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block that electrically connects an incoming wire and an outgoing wi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ok type terminal block in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 powders to which an incoming wire and an outgoing wire are connected are assembled by a hook type.
단자대는 주로 전기용품 또는 전자설비의 배전(전선) 연결장치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사용범위는 상당히 광범위하고, 단자대에 연결되는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을 통해 내외부의 두 전기전자장치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The terminal block is mainly used as a distribution (wire) connection device for electrical appliances or electronic equipment, and its range of use is quite extensive, and the two internal and external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coming and outgoing wires connected to the terminal block. You can.
단자대에는 한 쌍의 인입전선과 인출전선 하나만이 연결되는 싱글 단자대도 있지만, 한 쌍의 인입전선과 인출전선 다수가 연결되는 멀티 단자대도 있다.
The terminal block has a single terminal block in which only one pair of incoming wires and one outgoing wire are connected, but there are also multiple terminal blocks in which a pair of incoming and outgoing wires are connected.
도1은 한 쌍의 인입전선과 인출전선 다수가 연결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멀티 단자대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multi-terminal blo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which a pair of incoming wires and a plurality of outgoing wires are connected.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단자대는 As shown in Figure 1 the terminal blo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양측의 외벽(102)과, 두 외벽을 연결하는 중앙벽(103)과, 두 외벽 사이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격벽(101)으로 구성되는 본체와, A main body composed of
다수의 격벽으로 구획된 각 공간에 배치되는 단자판(106)과,A
단자판의 양측에 체결되어 각각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을 단자판에 체결하는 단자볼트(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is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terminal plate comprises a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단자대는 본체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어서, 한 쌍의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이 연결되는 갯수가 결정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terminal block of the prior art has an integral body, and the number of pairs of the lead wires and the lead wires is determined.
그래서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이 연결되지 않아 사용되지 않는 단자판이 발생하거나, 단자판이 부족한 일이 종종 발생한다.
As a result, the incoming wires and the outgoing wires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resulting in an unused terminal plate, or a shortage of terminal plates.
따라서 필요에 따라 한 쌍의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이 연결되는 단자판의 수를 수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즉, 한 쌍의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이 연결되는 단자판과, 단자판이 결합되는 분체로 이루어지는 단자분체들이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단자대에서 단자분체들의 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Therefore, if necessary,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adjust the number of terminal boards to which a pair of incoming and outgoing wires are connected at any time. In other words, a terminal plate consisting of a pair of incoming wires and outgoing wires connected to the terminal plate, and powders to which the terminal plate is coupled should be assembled in a prefabricated manner to arbitrarily control the number of terminal powders in the terminal block.
본 고안은 위와 같이 단자분체들의 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없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조립 단자대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assembly terminal block that can solve the inconvenience of not being able to arbitrarily adjust the number of the terminal powder as described above,
또한, 단자분체들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되고, 조립후에는 해체도 간편한 조립 단자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while the terminal powders are assembled easily and quickly, the assembly is also robust, and after assembl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imple assembly terminal block.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후크식 조립 단자대는 Hook type assembly termina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이 각각 삽입되는 인입홈과 인출홈, An inlet groove and an outlet groove into which an incoming wire and an outgoing wire are respectively inserted;
상기 인입홈과 인출홈에 각각 연결되며 단자볼트가 삽입되는 두 체결홈을 포합하는 본체;A main body connected to the inlet groove and the outlet groove and including two fastening grooves into which terminal bolts are inserted;
상기 단자볼트가 결합되는 양측의 볼트공이 각각 상기 인입홈과 인출홈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자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자분체 다수개가 조립결합되는 단자대에 있어서,
A plurality of terminal powders are assembled and assembled, including: bolt plates on both sides to which the terminal bolts are coupled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disposed in the inlet groove and the outlet groove, and a terminal plat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inlet wire and the outgoing wire. In the terminal block,
상기 본체의 일면에는 단부에 걸림턱이 구비되어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One side of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protrusion having a locking step at the end,
타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어, On the other side of the insertion hole is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and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extending in the insertion hole and the locking jaw is formed,
단자분체의 돌출부가 다른 단자분체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후크식으로 조립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otruding portion of the terminal powd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other terminal powd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ssembly by hook type.
그리고 상기 본체의 일면과 타면에는 결합돌기와 결합홀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단자체분들은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홀의 암수결합방식으로 조립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And one sid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nd coupling ho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body is assembled by the male and female coupling method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hole,
상기 결합돌기의 중앙에는 고정핀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The fixing pin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upling protrusion,
고정핀이 조립결합으로 연통되어 있는 상기 고정핀공과 결합홀에 삽입 관통된 후에, 너트가 고정핀의 양측에서 단자대를 조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After the fixing pin is inserted through the fixing pin hole and the coupl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assembly, the nut is characterized in that tightening the terminal block on both sides of the fixing pin,
조립결합되는 단자분체들 중에는 상기 본체의 하단 양측에 고정볼트가 결합되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는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포함되어 있고,Among the terminal powder to be assembled, the wing portion is formed with a fixing hole is coupled to the fixing bol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단자대의 양측에 배치되는 두 단자분체에는 사이드커버가 조립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wo terminal powder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erminal block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cover is assembled.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후크식 조립 단자대는 한 쌍의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이 연결되는 단자분체의 갯수를 사용자가 임의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매우 실용적이고,
Hook-type assembly termina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very practical, because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number of the terminal powder is connected to a pair of incoming and outgoing wires,
단자분체들이 돌출부와 삽입홀을 통해 후크식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되고, 결합돌기와 결합홀의 암수결합방식으로 단자분체들의 결합력을 높이고, 필요한 경우 고정핀을 통해 단자대의 양측을 조여줘 고정시키므로 보다 견고히 결합된다.
The terminal powders are easily and quickly assembled by the hook type through the protrusion and the insertion hole, and the coupling force of the terminal powder is increased by the male and female coupling method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hole, and if necessary, the terminal pins are fixed by tightening both sides of the terminal block. Combined.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단자대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후크식 조립 단자대의 결합 사시도.
도 3 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blo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ok-type assembly termina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도2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후크식 조립 단자대는 본체(10)와 단자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자분체(T) 다수개가 상호 조립결합되어 구성고, 양측 가장자리에는 사이드커버(50)가 결합된다. 그리고 각 단자분체(T)에는 인입전선(1)과 인출전선(2)이 체결되어 단자판(30)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As shown in Figures 2 and 3 hook-type termina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erminal powder (T) consisting of a
상기 단자분체(T)의 본체(10)에는 The
양측에 인입전선(1)이 삽입되는 인입홈(11)과 인출전선(2)이 삽입되는 인출홈(12)이 형성되어 있고, The
상부에는 상기 인입홈(11)과 인출홈(12)에 각각 연결되며 단자볼트(20)가 삽입되는 두 체결홈(13)이 형성되어 있고,Two
내측에는 전방에는 상기 단자판(30)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홈(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의 양측 측면은 단차져 수용된 단자판(30)의 양측면을 접촉지지한다.
On the inner side there is formed a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일면(도면에서 전방면)에는 돌출부(15)가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는 상기 돌출부(15)가 삽입되는 삽입홀(16)이 형성되어 있고, In addition, a
상기 돌출부(15)의 단부에는 걸림턱(15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홀(16)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턱(15a)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삽입홀(16)에서 연장된 걸림홈(16a)이 형성되어 있다.A catching
그래서 상기 돌출부(15)와 상기 삽입홀(16)은 후크식으로 조립결합된다. Thus, the
또한, 삽입시 서로 접촉되는 상기 걸림턱(15a)과 삽임홀은 경사져 있어 삽입시에 경사면을 타고 자연스럽게 삽입 전진되며, 삽입이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걸림턱(15a)이 삽입 전의 상태로 복귀되어 걸림홈(16a)에 걸리게 된다.
In addition, the locking step (15a) and the insertion hole in contact with each other during insertion is inclined so that the natural insertion is advanced on the inclined surface at the time of insertion, when the insertion is completed, the locking step (15a) is returned to the state before the insertion groove (16a) is caught.
그리고 상기 걸림홈(16a)은 하부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어, 조립된 단자분체(T)를 해체시에 걸림홈(16a)의 하부 개방부를 통해 걸림턱(15a)을 밀어올린 후 단자분체(T)를 후진시키면 간편하게 해체가 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일면과 타면에는 상호 암수결합방식으로 조립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돌기(17,17a)와 결합홀(18,18a)이 형성되어 있다.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도면을 보면 본체(10)의 일면 상부에는 제1결합돌기(17)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제2결합홀(18a)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0)의 타면 상부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17)가 삽입되는 제1결합홀(18)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제2결합홀(18a)에 삽입되는 제2결합돌기(17a)가 형성되어 있다.
1, the
상기 결합돌기(17,17a)와 결합홀(18,18a)은 단자분체(T)를 후크식으로 결합시키는 돌출부(15)와 삽입홀(16)의 결합력을 보완한다. 그리고 도면과 같이 같은 면에 결합돌기(17,17a)와 결합홀(18,18a)이 모두 구비되는 것이 단자분체(T)들의 결합력을 높이는데 유리하다.
The
그리고 단자분체(T)들 중 일부의 단자분체(T)에는 본체(10)의 양측에 날개부(1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개부(19)에는 고정볼트(b)가 결합되는 고정공(19a)이 형성되이 있다.
And some of the terminal powder (T) of the terminal powder (T) is formed with
상기 날개부(19)는 본 고안의 단자대를 바닥에 고정시킬 때 사용하며, 단자대를 구성하는 단자분체(T)들 중 적당한 위치의 단자분체(T)에 구비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단자대의 양측 가장자리 단자분체(T)에는 날개부(19)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자리부터 10번째 단자분체(T) 마다 날개부(19)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The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17,17a)들 중 일부의 결합돌기(17,17a) 중앙에는 고정핀공(19)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암수결합되어 상호 연통되는 상기 고정핀공(19)과 결합홀(18,18a)에는 고정핀(40)이 삽입 관통되고, 단자대의 양측으로 노출된 고정핀(40)의 단부에는 와셔(42)를 삽입시킨 후에 너트(41)가 체결되어, 양측에서 단자대를 조여줘 단자분체(T)들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부면에는 연결되는 인입전선(1)과 인출전선(2)의 용도를 식별하기 위한 문구가 기재되는 표시지트(6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시트홈(61)이 형성되어 있다.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단자대는 전기가 통하는 금속물질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단자볼트(20)가 체결되는 볼트공(31)이 형성되어 있다.
The terminal block is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etal material, and
상기 단자대는 상기 본체(10)의 수용홈(14)에 삽입 안착되어, 상기 양측의 볼트공(31)이 각각 상기 인입홈(11)과 인출홈(12) 및 체결홈(13)에 연결된다.
The terminal block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receiving
그리하여 양측에서 인입전선(1)과 인출전선(2)이 삽입된 후에 와셔(21)가 결합된 단자볼트(20)가 볼트공(31)에 스크류 결합됨으로써 인입전선(1)과 인출전선(2)이 각각 상기 와셔(21)와 단자판(30) 사이에서 가압되어 고정된다.
Thus, after the
상기 사이드커버(50)는 단자분체(T)들이 조립결합된 후에 양측 가장자리의 단자분체(T)에 조립결합된다.
The side cover 50 is assembled to the terminal powder (T) at both edges after the terminal powder (T) is assembled.
상기 양측의 사이드커버(50)에는 각각 단자분체(T)의 일면과 타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5), 삽입홀(16), 결합돌기(17,17a), 결합홀(18,18a)에 각각 조립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 삽입홀, 결합돌기,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다.
The side cover 50 on both sides has a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후크식 조립 단자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as been described for the hook-type assembly terminal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10 : 본체 11 : 인입홈
12 : 인출홈 13 : 체결홈
15 : 돌출부 16 : 삽임홀
17 : 결합돌기 18 : 결합홀
20 : 단자볼트 30 : 단자판
40 : 고정핀 50 : 사이드커버
60 : 표지시트 T : 단자분체10: main body 11: inlet groove
12: withdrawal groove 13: fastening groove
15: projection 16: insertion hole
17: engaging projection 18: coupling hole
20: terminal bolt 30: terminal plate
40: fixing pin 50: side cover
60: cover sheet T: terminal powder
Claims (4)
상기 인입홈과 인출홈에 각각 연결되며 단자볼트가 삽입되는 두 체결홈을 포합하는 본체;
상기 단자볼트가 결합되는 양측의 볼트공이 각각 상기 인입홈과 인출홈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인입전선과 인출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단자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자분체 다수개가 조립결합되는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면에는 단부에 걸림턱이 구비되어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어,
단자분체의 돌출부가 다른 단자분체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후크식으로 조립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식 조립 단자대. An inlet groove and an outlet groove into which an incoming wire and an outgoing wire are respectively inserted;
A main body connected to the inlet groove and the outlet groove and including two fastening grooves into which terminal bolts are inserted;
A plurality of terminal powders are assembled and assembled, including: bolt plates on both sides to which the terminal bolts are coupled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disposed in the inlet groove and the outlet groove, and a terminal plat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inlet wire and the outgoing wire. In the terminal block,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protrusion having a locking step at the end,
On the other side of the insertion hole is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and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extending in the insertion hole and the locking jaw is formed,
Hook assembly termina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terminal powd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other terminal powder to be assembled by hooks.
상기 본체의 일면과 타면에는 결합돌기와 결합홀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단자체분들은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홀의 암수결합방식으로 조립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식 조립 단자대. The method of claim 1,
Hook and assembled termina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projections and coupling holes, the coupling portion is assembled by the male and female coupling method of the coupling projection and the coupling hole.
상기 결합돌기의 중앙에는 고정핀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핀이 조립결합으로 연통되어 있는 상기 고정핀공과 결합홀에 삽입 관통된 후에, 너트가 고정핀의 양측에서 단자대를 조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식 조립 단자대.The method of claim 2,
The fixing pin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upling protrusion,
Hook assembly termina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nut tightens the terminal block on both sides of the fixing pin after the fixing pin is inserted through the fixing pin hole and the coupling hole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assembly.
조립결합되는 단자분체들 중에는 상기 본체의 하단 양측에 고정볼트가 결합되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는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포함되어 있고,
단자대의 양측에 배치되는 두 단자분체에는 사이드커버가 조립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식 조립 단자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mong the terminal powder to be assembled, the wing portion is formed with a fixing hole is coupled to the fixing bol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Hook type assembly termina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cover is assembled to the two terminal powde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erminal block.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4017U KR200456000Y1 (en) | 2010-04-16 | 2010-04-16 | Hook type terminal bl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4017U KR200456000Y1 (en) | 2010-04-16 | 2010-04-16 | Hook type terminal bloc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56000Y1 true KR200456000Y1 (en) | 2011-10-07 |
Family
ID=73079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4017U KR200456000Y1 (en) | 2010-04-16 | 2010-04-16 | Hook type terminal blo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6000Y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0323B1 (en) * | 2016-07-28 | 2017-12-18 | 서울텔레콤 주식회사 | Prefabricated terminal block |
KR102275148B1 (en) * | 2020-11-05 | 2021-07-09 | (주)인우이엔씨 | Assembly Terminal block |
FR3124029A1 (en) * | 2021-06-11 | 2022-12-16 | Speedinnov | Electrical connection set |
KR20230011072A (en) | 2021-07-13 | 2023-01-20 | 한국전력공사 | Structure for button type terminal block |
JP7563319B2 (en) | 2021-07-16 | 2024-10-08 | 住友電装株式会社 | Connectors and Wire Harnesses |
KR20250015442A (en) | 2023-07-25 | 2025-02-03 | 삼원액트 주식회사 | A Terminal Block |
-
2010
- 2010-04-16 KR KR2020100004017U patent/KR200456000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0323B1 (en) * | 2016-07-28 | 2017-12-18 | 서울텔레콤 주식회사 | Prefabricated terminal block |
KR102275148B1 (en) * | 2020-11-05 | 2021-07-09 | (주)인우이엔씨 | Assembly Terminal block |
FR3124029A1 (en) * | 2021-06-11 | 2022-12-16 | Speedinnov | Electrical connection set |
KR20230011072A (en) | 2021-07-13 | 2023-01-20 | 한국전력공사 | Structure for button type terminal block |
JP7563319B2 (en) | 2021-07-16 | 2024-10-08 | 住友電装株式会社 | Connectors and Wire Harnesses |
KR20250015442A (en) | 2023-07-25 | 2025-02-03 | 삼원액트 주식회사 | A Terminal Bloc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37940B1 (en) | Terminal block connector | |
KR200456000Y1 (en) | Hook type terminal block | |
KR100780456B1 (en) | Electrical Wiring Connectors | |
CN106159494B (en) | A kind of back panel connector female end and back panel connector component | |
US9437941B1 (en) | Splitter type terminal block connector | |
WO2018090675A2 (en) | Plug connector and socket connector | |
CN204991990U (en) | Combination formula of impressing fast multistation terminal platform | |
CN109449649B (en) | Small-size power strip | |
CN207426461U (en) | Wall-hanging power supply box | |
KR20080003684U (en) | Connector spacer | |
CN210607732U (en) | Plug spring, female seat and battery box | |
CN204927751U (en) | Hanging portable socket -outlet | |
CN210668764U (en) | Strong current module of polyhedral socket and polyhedral socket | |
CN211655114U (en) |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comprising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 |
CN203911071U (en) | Wire harness connector | |
CN208571013U (en) | A kind of communication engineering socket | |
CN216598163U (en) | Waterproof power plug | |
CN105789929B (en) | A kind of improved electric coupler | |
CN112072372A (en) | Bus type PDU | |
CN220628375U (en) | Built-in lock catch electric connector | |
CN220383398U (en) | Wiring subassembly and electrical apparatus in electrical apparatus | |
CN205723985U (en) | A kind of improved electric coupler | |
CN210074336U (en) | Power line end socket connecting structure of plug | |
JPS5943671Y2 (en) | Connector | |
CN222483976U (en) | Wiring structure of electric power electrical control cabin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416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7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109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1004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608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