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5793Y1 -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 Google Patents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793Y1
KR200455793Y1 KR2020080012279U KR20080012279U KR200455793Y1 KR 200455793 Y1 KR200455793 Y1 KR 200455793Y1 KR 2020080012279 U KR2020080012279 U KR 2020080012279U KR 20080012279 U KR20080012279 U KR 20080012279U KR 200455793 Y1 KR200455793 Y1 KR 200455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flow
hot air
dry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118U (ko
Inventor
오태준
Original Assignee
오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태준 filed Critical 오태준
Priority to KR2020080012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79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1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1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7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36Hair curlers or hair winder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drying means, e.g. electric, using chemical reaction
    • A45D2/367Hair curlers or hair winder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drying means, e.g. electric, using chemical reaction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52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adapted for heating by an external heating source, e.g. air stream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가능하도록 원통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외연 일측에 ON/OFF 스위치(110)가 마련되며, 일단에 토출구(104)가 형성되고, 타단에 흡입구(102)가 형성된 드라이어 본체(100)와;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의 흡입구(102)측에 내설되고, 상기 ON/OFF 스위치(110)의 전원인가에 따라 작동되는 구동모터(122)와 휀(124)이 구비되어 외부공기가 흡입되도록 마련된 흡입수단(120)과;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의 토출구(104)측에 내설되고, 상기 ON/OFF 스위치(110)의 전원인가에 따라 상기 흡입수단(120)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열선(142)에 의해 가열되어 토출구(104)측으로 열풍이 토출되도록 마련된 히팅수단(140)과;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타단이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 토출구(104)측 일단에 결합되고, 외주연 상측 중앙에 개방된 개구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로부터 토출되는 열풍이 상기 개구부(220)로 유도되도록 형성된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와;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 일단에 결합되는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타단 내측에 힌지결합되는 가압수단(300)과;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개구부(220)측 내부에 상기 가압수단(300)에 의해 전후유동되도록 내설되고, 사용자 모발이 밀착고정되도록 상측으로 다수의 압착유동빗살(430)이 형성된 헤어유동가압부재(400)와;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개구부(220)에 결합되고, 상기 헤어유동가압부재(400)의 상기 다수의 압착유동빗살(430)이 끼움결합되어 유동되도록 다수의 유 동공(520)이 형성된 헤어고정가압부재(500)와; 상기 헤어유동가압부재(400)가 상기 헤어고정가압부재(500)측으로 유동되어 가압장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 일단에 결합되는 장력조절수단(600);을 포함하는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헤어드라이어, 고대기, 빗.

Description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Hair dryer with drying and hair-styling}
본 고안은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헤어를 건조하기 위한 헤어드라이어와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고대기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할 필요없이 열풍이 토출되는 드라이어 본체 일단에 사용자의 헤어를 빗어 내리거나 파지하여 말아 토출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동시에 가능한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많은 사람들은 자신을 표출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외모를 중요시하고, 많은 비용을 지불하여 가꾸고 있다. 즉,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이러한 외모를 가꾸는 것은 자기 자신을 타인에게 뽑내거나 자신만의 개성연출 등을 통해 이성 및 비지니스 등에서 타인보다 우위에 서고 주목받기 위한 방법으로 제일 먼저 외모의 변화를 줄 수 있는 것이 헤어스타일이다.
이러한 헤어스타일(hairstyle)은 신체를 장식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얼굴의 형태나 유행에 따라 여러 가지 헤어스타일로 변화된다. 이러한 다양한 헤어스타일의 변화는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이 가능하지만, 그 중 가장 대중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 헤어드라이어와 헤어 고대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헤어드라이어와 헤어 고대기는 열풍 또는 고온의 열을 이용하여 단백질로 형성된 머리카락을 형태를 변형하는 방법으로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아온 것은 사실이다.
여기서, 전자의 일반적인 헤어드라이어는 머리를 감은 후 젖은 모발을 신속하게 건조하고, 헤어스타일링을 하기 위한 것으로, 이미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헤어드라이어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헤어드라이어의 정면도에 보는 바와 같이, 헤어드라이어 본체(1)와, 헤어드라이어 본체 일측에 열풍을 불어내는 토출구(2)와, 헤어드라이어 본체 타측에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3)와, 상기 헤어드라이어 본체(1) 내부에 송풍팬(4)과, 상기 송풍팬(4)의 작동을 위한 구동모터(5)와, 상기 헤어드라이어 본체(1)의 토출구(2) 측에 내장되는 히팅수단(6)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종래의 헤어드라이어는 구동모터(5)의 작동으로 회전되는 송풍팬(4)에 의해 외부공기가 흡입구(3)를 통해 헤어드라이어 본체(1) 내로 흡입되고, 흡입된 외부공기가 히팅수단(6)을 거치면서 가열된 다음, 토출구(2)로 열풍이 토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헤어드라이어의 토출구(2)에서 토출되는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젖은 모발을 자연상태에서보다 신속하게 건조하는 것이며, 헤어드라이어(1)를 이용하여 머리를 피거나 롤링 등을 하여 헤어스타일링을 해야 할 경우 별도의 빗을 이용하여 빗어 내려가면서 모발을 피거나 모발을 원형의 빗을 이용하여 감으면서 빗에 의해 감긴 모발에 헤어드라이어(1)의 토출구(2)측을 근접시켜 모발의 단백질을 변형시켜 헤어스타일링을 시도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헤어드라이어(1)을 이용하여 롤링과 같은 헤어스타일링을 하기 위해서는 앞서도 말한 바와 같이, 별도의 빗이 필요하여 한 손에는 빗을 들고 다른 한 손에는 헤어드라이어를 들어 동시에 사용하여야 가능함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롤링 모양의 헤어스타일링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후자의 종래의 헤어 고대기는 앞서 상술한 헤어드라이어의 헤어스타일링의 한계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고대기는 원통형상의 열판 외주연에 모발을 열판 외주연에 밀착 압압하기 위한 밀착레버가 결합된 형태 또는 상하로 열판이 구성되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모발을 열판에 밀착 압압하는 형태로 모발의 롤링 또는 스트레이트 등의 헤어스타 일링의 구현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헤어 고대기의 경우 모발의 건조는 수행할 수 없는 구성으로 사용자는 머리를 감은 후,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을 하기 위해서는 헤어드라이어에 의한 모발의 건조와 기초 헤어스타일링 작업을 수행한 후, 헤어 고대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헤어스타일링 작업을 번갈아 가며 병행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발의 롤링을 할 경우 별도의 밀착레버 또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한 모발의 고정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는 롤링되는 전체 모발을 한꺼번에 고정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모발을 밀착하는 외력이 한쪽으로 편향되어 작용된다. 따라서, 많은 양의 모발을 한 번에 롤링을 하는 경우 모발이 헤어 고대기의 열판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구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원하는 헤어스타일링을 구현하기 위해 재차 반복하여 헤어 고대기를 이용하여 헤어스타일링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장시간 모발이 열에 노출되어 모발의 손상 및 두피의 손상 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헤어스타일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드라이기와 고대기를 병행하면서 사용해야하므로 드라이 및 헤어의 고대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과 모발 및 두피의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함과 함께 헤어 드 라이기와 헤어 고대기를 별도로 각각 구입함으로써, 초기 구입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헤어드라이어와 헤어 고대기를 별도로 구입할 필요없이 하나로 헤어드라이어의 모발건조 기능과 헤어 고대기의 헤어스타일링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비용의 절감되는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모발을 파지하는 밀착력이 편향되지 않고 동시에 많은 양의 모발을 이탈 없이 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롤링, 스트레이트 등의 헤어스타일을 보다 용이하게 자유롭게 구현이 가능하고, 빠른 시간내에 원하는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하여 장시간 노출에 따른 모발의 손상과 두피의 손상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뛰어난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가능하도록 원통형상으로 길게형성되고, 외연 일측에 ON/OFF 스위치(110)가 마련되며, 일단에 토출구(104)가 형성되고, 타단에 흡입구(102)가 형성된 드라이어 본체(100)와; 상기 드라이어 본 체(100)의 흡입구(102)측에 내설되고, 상기 ON/OFF 스위치(110)의 전원인가에 따라 작동되는 구동모터(122)와 휀(124)이 구비되어 외부공기가 흡입되도록 마련된 흡입수단(120)과;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의 토출구(104)측에 내설되고, 상기 ON/OFF 스위치(110)의 전원인가에 따라 상기 흡입수단(120)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열선(142)에 의해 가열되어 토출구(104)측으로 열풍이 토출되도록 마련된 히팅수단(140)과;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타단이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 토출구(104)측 일단에 결합되고, 외주연 상측 중앙에 개방된 개구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로부터 토출되는 열풍이 상기 개구부(220)로 유도되도록 형성된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와;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 일단에 결합되는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타단 내측에 힌지결합되는 가압수단(300)과;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개구부(220)측 내부에 상기 가압수단(300)에 의해 전후유동되도록 내설되고, 사용자 모발이 밀착고정되도록 상측으로 다수의 압착유동빗살(430)이 형성된 헤어유동가압부재(400)와;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개구부(220)에 결합되고, 상기 헤어유동가압부재(400)의 상기 다수의 압착유동빗살(430)이 끼움결합되어 유동되도록 다수의 유동공(520)이 형성된 헤어고정가압부재(500)와; 상기 헤어유동가압부재(400)가 상기 헤어고정가압부재(500)측으로 유동되어 가압장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 일단에 결합되는 장력조절수단(6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는 일단에 상기 장력조절수단(600)이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의 토출구(104) 일단에 결합되는 헤어컬 하우징(210)과; 상기 헤어컬 하우징(210) 상측 외주연 중앙에 전후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개방되고, 상기 헤어고정가압부재(500)가 결합되는 개구부(220)와; 상기 헤어컬 하우징(210)의 일단과 타단 내주연 바닥측에 각각 돌출형성되고, 결합공(232)이 형성된 샤프트 고정리브(230)와; 상기 샤프트 고정리브(230)에 양단이 결합고정되고, 상기 헤어유동가압부재(400)와 상기 장력조절수단(600)이 결합되는 가이드 샤프트(2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압수단(300)은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 일단의 토출구(104)측에 결합되는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타단 내측에 회동되도록 힌지결합되고, 상기 헤어유동가압부재(400)를 일측으로 가압하여 유동되도록 마련된 회동밀대(310)와;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 타단 외연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밀대(310) 상하 일단에 축결합되고, 상기 회동밀대(310)를 회동시켜 상기 헤어유동가압부재(400)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전후 유동되도록 선회되는 레버(32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헤어유동가압부재(400)는 하부 타단에 상기 가압수단(300)의 회동밀대(310)의 회동에 의해 가압력을 전달받도록 수직판상으로 형성된 밀착편(410)과; 상기 밀착편(410) 일측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가이드 샤프트(240)에 가이드 결합되도록 가이드공(422)이 형성된 가이드편(420)과; 상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등간격배열되고, 상협하광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상향기립된 다수의 압착유동빗살(430);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장력조절수단(600)은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헤어컬 하우징(210) 일단에 공회전되도록 결합되되, 일측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도록 마련된 볼트두부(622)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수나사가 형성된 조절샤프트(624)가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된 조절볼트(620)와;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가이드 샤프트(240)에 안내결합되는 안내공(632)이 하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 동일수직선상 직상으로 상기 조절샤프트(624)가 나사결합되도록 조절너트공(634)이 형성된 조절편(630)과;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가이드 샤프트(240) 상에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조절편(630)에 위치되며, 타단이 헤어유동가압부재(400)의 일측 가이드편(420)에 위치되어 상기 조절편(630)이 상기 조절샤프트(624)상에서 조절편(630)과 상기 가이드편(42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어 탄성력이 제어되도록 마련된 장력스프링(6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볼트(620)의 상기 볼트두부(622) 외주연에 기어치차로 형성된 피니언 기어(622a)가 형성되되, 상기 피니언 기어(622a)에 치차결합되는 내측기어(612)가 내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헤어컬 하우징(210) 일단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어 내측기어(612)에 치차결합된 상기 조절볼트(620)가 회전되도록 되어 상기 장력스프링(640)의 탄성력이 제어되도록 조절다이얼(610)이 더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헤어고정가압부재(500)는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상측 개구부(220)에 고정결합되고, 열풍에 의해 가열되는 히팅커버(510)와; 상기 다수의 압착유동빗살(430)이 끼움결합되어 전후 이격되도록 상기 히팅커버(510) 상측 외연에 관통형성된 다수의 유동공(520)과; 상기 다수의 유동공(520) 좌우 외측의 상기 히팅커버(510) 외주연에 상기 드라이어본체(100)로부터 토출되는 열풍이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개구부(220)를 통해 안내되어 외부로 토출되도록 다수 형성된 송풍구(530)와; 상기 다수의 유동공(520) 전후 외측에 상기 히팅커버(5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압착유동빗살(430)과 상호작용되어 사용자 모발이 압착고정되도록 다수 형성된 압착고정빗살(540);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압착고정빗살(540)은 상협하광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요입형성되어 압착유동빗살(430)이 안치결합되는 안치홈(542)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히팅커버(510)의 외주연에 다수 형성된 송풍구(530) 외측에 사용자의 모발을 빗으면서 건조와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헤어빗살(550)이 더 형성된 것이 좋다.
본 고안은 헤어드라이어와 헤어 고대기를 별도로 구입할 필요없이 하나로 헤어드라이어의 모발건조 기능과 헤어 고대기의 헤어스타일링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비용의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모발을 파지하는 밀착력이 편향되지 않고 동시에 많은 양의 모발을 이탈 없이 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롤링, 스트레이트 등의 헤어스타일을 보다 용이하게 자유롭게 구현이 가능하고, 빠른 시간내에 원하는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하여 장시간 노출에 따른 모발의 손상과 두피의 손상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의 전체측면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의 요부 작동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의 요부 작동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의 장력조절수단의 요부 작동 단면도 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의 타실시 예시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의 장력조절수단의 타실시 측면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는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헤어스타일링시, 사용자 모발이 흐트러짐 없이 견고히 파지토록 밀착고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헤어스타일링을 자유롭게 구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어 본체(100),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 가압수단(300), 헤어유동가압부재(400), 헤어고정가압부재(500), 장력조절수단(600)을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한 후, 토출시키도록 구성된 일반적인 헤어드라이어의 구성과 동일구성인 흡입수단(120)과 히팅수단(140)을 포함하되, 사용자가 모발의 헤어스타일링을 구현하기 위해 빗질시 용이하게 파지하여 사용가능하도록 원통형상으로 길게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는 타단에 후술되는 흡입수단(120)에 의해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일단에는 후술되는 히팅수단(140)에 의해 가열된 외부공기가 열풍으로 토출되는 토출구(10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의 외연 일측에는 후술되는 흡입수단(120)과 히팅수 단(140)에 전원의 인가를 제어하도록 ON/OFF 스위치(110)가 마련된다.
상기 흡입수단(120)은 전술한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의 흡입구(102)측에 내설되고, 상기 ON/OFF 스위치(110)의 전원인가에 따라 작동제어되는 구동모터(122)와 휀(124)이 구비되어 외부공기가 흡입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히팅수단(140)은 전술한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의 토출구(104)측에서 흡입수단(120)측으로 내설된다. 여기서, 상기 히팅수단(140)은 ON/OFF 스위치(110)의 전원인가에 따라 상기 흡입수단(120)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열선(142)에 의해 가열되어 토출구(104)측으로 열풍이 토출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는 전술한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의 흡입수단(120)에 의해 흡입된 외부공기가 히팅수단(140)에 의해 가열되어 토출구(104)를 통해 배출되는 열풍이 후술되는 헤어고정가압부재(500)측으로 유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타단이 전술한 토출구(104)측 일단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는 헤어컬 하우징(210), 개구부(220), 샤프트 고정리브(230), 가이드 샤프트(240)로 구성된다.
상기 헤어컬 하우징(210)은 일단에 후술되는 장력조절수단(600)이 결합되고, 타단에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의 토출구(104) 일단에 결합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20)는 전술한 원통형상의 상기 헤어컬 하우징(210) 상측 외주연 중앙에 전후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개방된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220)는 후술되는 헤어고정가압부재(500)가 결합되도록 후술되는 헤어고정가압부재(500)의 형상에 대등되도록 절개형성된다.
상기 샤프트 고정리브(230)는 전술한 상기 헤어컬 하우징(210)의 일단과 타단 내주연 바닥측에 각각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 고정리브(230) 중앙에는 후술되는 헤어유동가압부재(400)가 가이드되어 축선상에어 이격되도록 마련된 후술되는 가이드 샤프트(240)의 양단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결합공(23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샤프트(240)는 후술되는 헤어유동가압부재(400)가 축선상에서 이격조절되도록 구비되고, 후술되는 장력조절수단(600)이 결합되어 후술되는 헤어유동가압부재(400)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가이드되는 것으로, 봉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술한 상기 샤프트 고정리브(230)의 결합공(232)에 양단이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결합고정된다.
상기 가압수단(300)은 후술되는 헤어유동가압부재(400)가 사용자의 외력에 따라 전술한 가이드 샤프트(240)상에서 안내되어 이격되도록 전술한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타단 내측에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회동밀대(310), 레버(320)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밀대(310)는 후술되는 헤어유동가압부재(400)의 후술되는 밀착편(410)에 접촉되어 회동 각도에 따라 후술되는 헤어유동가압부재(400)가 전술한 가이드 샤프트(230)상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전술한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타단 내측에 구비된 샤프트 고정리브(230) 외측으로 위치되어 회동되도록 힌지결합된다.
상기 레버(320)는 사용자의 외력이 직접전달되어 전술한 회동밀대(310)를 회동시키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320)는 전술한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 타단 외연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밀대(310) 상하 일단에 축결합된다. 즉, 전술한 상기 회동밀대(310)를 회동시켜 후술되는 헤어유동가압부재(400)가 가이드 샤프트(240) 상에서 전후 유동되도록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선회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헤어유동가압부재(400)는 후술되는 헤어고정가압부재(500)와 상호작용하여 사용자의 모발의 헤어스타일링 구현시, 모발을 견고히 파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헤어스타일링의 구현이 자유롭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헤어유동가압부재(400)는 전술한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개구부(220)측 내부에 전술한 상기 가압수단(300)에 의해 가이드 샤프트(240)상에서 전후유동되도록 내설되도록 밀착편(410), 가이드편(420), 압착유동빗살(430)로 구성된다.
상기 밀착편(410)은 상기 헤어유동가압부재(400)의 하부 타단에 준술한 상기 가압수단(300)의 레버(320)를 사용자가 작동하여 회동밀대(310)가 회동하게 되고, 상기 회동밀대(310)의 회동에 의해 레버(320)에 가해진 가압력이 회동밀대(310)를 회동시켜 전달받도록 수직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편(420)은 전술한 상기 밀착편(410) 일측으로 다수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편(420)은 전술한 상기 가이드 샤프트(240)상에서 전후 이격되록 가이드 결합되되, 일면 중앙으로 관통형성되어 전술한 가이드 샤프트(240)에 결합되는 가이드공(422)이 형성된다.
상기 압착유동빗살(430)은 후술되는 헤어고정가압부재(500)의 유동공(520) 내에서 이격조정되어 후술되는 압착고정빗살(540)에 전술한 가압수단(300)의 외력작용에 의해 사용자 모발을 파지하여 밀착압착함으로써, 사용자의 모발의 헤어스타일링시 모발의 흐트러짐 없이 헤어스타일링이 자유롭게 구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착유동빗살(430)은 헤어유동가압부재(400)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등간격배열되고, 상협하광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상향기립되어 다수 형성된다.
상기 헤어고정가압부재(500)는 전술한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개구부(220)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드라이어본체(100)로부터 토출되는 열풍이이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개구부(220)를 통해 안내되어 열풍이 헤어고정가압부재(500)를 가열함과 함께 열풍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헤어고정가압부재(500)는 히팅커버(510), 유동공(520), 송풍구(530), 압착고정빗살(540)로 구성된다.
상기 히팅커버(510)는 드라이어본체(100)으로부터 토출되는 열풍에 의해 전체면이 가열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히팅커버(510)는 전술한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상측 개구부(220)에 고정결합되어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원통형상의 외주연에 일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히팅커버(510)는 드라이어본체(100)로부터 토출되는 열풍에 의해 쉽게 가열되도록 열전도가 우수한 금속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공(520)은 전술한 상기 다수의 압착유동빗살(430)이 각각 하부에서 상측으로 끼움결합되어 전후 이격되도록 전술한 상기 히팅커버(510) 상측 외연에 관통형성되되, 전술한 압착유동빗살(43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다수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동공(520)의 폭은 전술한 압착유동빗살(430)이 가압수단(300)에 의해 이격되는 유효거리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구(530)는 전술한 상기 다수의 유동공(520) 좌우 외측으로 상기 히팅커버(510) 외주연 상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구(530)는 전술한 상기 드라이어본체(100)로부터 토출되는 열풍이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개구부(220)를 통해 안내된 후, 사용자에 의해 사용시, 모발의 건조를 수행하면서 헤어스타일링을 구현하도록 외부로 토출되도록 다수 형성된다.
상기 압착고정빗살(540)은 전술한 상기 압착유동빗살이 유동공(520) 내에서 가압수단(300)에 의해 가이드샤프트(240)상에서 이격되어 사용자의 모발을 파지하여 용이하게 밀착압착되도록 지지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압착고정빗살(540)은 상협하광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술한 상기 다수의 유동공(520) 전후 외측으로 각각 다수 형성되고, 상기 히팅커버(5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압착유동빗살(430)이 이격되어 모발의 파지시 밀착압착력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압착고정빗살(540)은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요입형성되어 전술한 상기 압착유동빗살(430)이 안치결합되는 안치홈(542)이 더 형성되어 최소의 길이로 압착유동빗살(430)의 이격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헤어고정가압부재(500)의 상기 히팅커버(510)의 외주연에 다수 형성된 송풍구(530) 외측에는 사용자의 모발을 빗으면서 건조와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헤어빗살(55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력조절수단(600)은 전술한 압착유동빗살(430)이 가압수단(300)의 레버(320)를 눌러 가이드 샤프트(240)상에서 이격조정됨과 함께 상기 헤어고정가압부재(500)의 유동공(520) 내에서 압착고정빗살(540)측으로 이격된 후, 사용자가 가압수단(300)의 레버(320)를 손으로부터 이탈시켰을 경우 압착고정빗살(540)측에 접촉되어 있는 압착유동빗살(430)이 이격된 반대편측 압착고정빗살(540) 측의 안치홈(542)측으로 되돌아가려는 힘을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력조절수단(600)은 조절볼트(620), 조절편(630), 장력스프링(6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절볼트(620)는 사용자가 회전작동하면 후술되는 조절편(630)이 전후이격되어 후술되는 장력스프링(640)이 위치되는 조절편(630)과 전술한 가이드편(420) 사이간격을 조절하여 헤어유동가압부재(400)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볼트(620)는 전술한 헤어컬 하우징(210)의 일단에 공회전되게 결합되어 일측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도록 볼트두부(622)가 마련된다. 그리고, 볼트두부(622)의 타측으로 후술되는 조절편(630)이 볼트두부(622)의 회전에 따라 직접적으로 전후이격 조절되도록 수나사가 형성된 조절샤프트(624)가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된다.
상기 조절편(630)은 후술되는 장력스프링(640)의 일단이 일면에 위치되고, 장력스프링(640)의 타단이 전술한 헤어유동가압부재(400)의 일측 가이드편(42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편(630)은 사각형상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며, 하측에는 가이드 샤프트(240)상에서 전후로 안정적으로 이격 안내되도록 결합되는 안내공(6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공(632)의 동일수직선상의 직상으로 전술한 상기 조절샤프트(624)가 나사결합되도록 조절너트공(634)이 형성된다.
상기 장력스프링(640)은 전술한 가이드 샤프트(240) 상에 결합되되, 일단이 상기 조절편(630)에 위치되고, 타단이 헤어유동가압부재(400)의 일측 가이드편(420)에 위치되어 조절편(630)이 조절샤프트(624)상에서 위치에 따라 조절편(630)과 가이드편(42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어 장력스프링(640)의 탄성력이 제어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볼트(620)의 상기 볼트두부(622) 외주연에 기어치차로 형성된 피니언 기어(622a)가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볼트두부(622)에 피니언 기어(622a)가 형성됨에 따라 치차결합되어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기 볼트두부(622)가 회전작동되도록 조절다이얼(610)을 더 형성하여도 바람직히다.
여기서, 상기 조절다이얼(610)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전술한 상기 헤어컬 하우징(210) 일단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주연에 기어(6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다이얼(610)은 전술한 볼트두부(622)의 외주연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622a)에 치차결합되는 내측기어(612)가 내주연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조절다이얼(610)은 전술한 상기 헤어컬 하우징(210) 일단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정역회전되어 내측기어(612)에 치차결합된 상기 조절볼트(620)의 볼트두부(622)가 정역회전되고, 이에 따라 전술한 조절편(630)이 조절샤프트(624) 상에서 전후이동되어 장력스프링(640)의 탄성력이 제어되도록 형성하여도 앞서 상술한 볼트두부(622)의 사용자에 의한 직접회전과 동일한 작용을 하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의 작용 및 효과를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최초 머리를 감고 난 후, 모발을 건조하고 헤어스타일링을 구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기를 이용하여 드라이어 본체(100)를 손으로 파지한다. 이후, 드라이어 본체(100) 일면에 형성된 ON/OFF 스위치(110)를 ON 상태로 위치시켜 전원이 흡입수단(120)과 히팅수단(14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전원이 인가하면 드라이어 본체(100)의 흡입구(102)를 통해 외부공기가 흡입수단(120)에 의해 흡입되고, 이후 외부공기는 드라이어 본체(100) 내부의 히팅수단(140)측으로 이동되어 가열된다. 이후, 히팅수단(140)에 의해 가열된 외부공기는 열풍으로 드라이어 본체(100)의 토출구(104)로 토출된다.
다음으로, 토출구(104)를 통해 토출되는 열풍은 토출구(104)에 결합된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헤어컬 하우징 내부로 이동되고, 개구부(220)로 안내된다. 이후, 개구부(220)로 안내된 열풍은 개구부(220)에 결합된 헤어고정가압부재(500)의 송풍구(530)를 통해 사용자의 모발로 토출되어 건조를 실시한다.
여기서, 열풍은 헤어고정가압부재(500)의 히팅커버(510)를 일차 가열하여 사용자가 모발의 건조하기 위해 헤어고정가압부재(500)의 외주연에 형성된 헤어빗살을 통해 모발을 빗어 내려가면서 히팅커버(510)와 모발이 접촉되면서 건조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송풍구(530)을 통해 방출되는 열풍이 상호연계작용하여 건조함과 함께 모발의 스트레이트 헤어스타일링을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모발의 스트레이트 헤어스타일링을 좀도 용이하게 하기위해서는 가압수단(300)의 레버(320)를 손으로 누른다. 이후, 레버(320)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게 되면 레버(320)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회동밀대(310)가 헤어컬 하우징(210)의 샤프트 고정리브(230)에 고정결합된 가이드 샤프트(240)상에 이격되도 록 가이드편(420)이 결합되어 있는 헤어유동가압부재(400)의 타측 밀착편(410)측으로 회동한다.
다음으로, 밀착편(410)측으로 회동밀대(310)가 회동되면 밀착편(410)은 헤어컬 하우징(210)의 장력조절수단(600)측으로 가이드 샤프트(240)상에서 이격된다. 이때, 헤어유동가압부재(400)의 상측에 등간격으로 다수 배열형성되어 헤어고정가압부재(500)의 유동공(520) 내에 유동되도록 끼움결합되어 있는 압착유동빗살(430)이 동시에 이격된다.
이후, 압착유동빗살(430)이 장력조절수단(600)측으로 유동공(520)내에서 이격되면 헤어고정가압부재(500)의 압착고정빗살(540)의 타측면에 밀착된다. 이때, 사용자가 모발을 빗어 내려갈 때, 모발은 압착고정빗살(540)과 압착유동빗살(430) 사이에 위치되어 압착유동빗살(430)이 장력조절수단(600)측으로 유동되면 모발은 압착고정빗살(540)과 압착유동빗살(430)의 상호 밀착작용에 의해 파지되어 밀착고정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20)를 사용자가 선회작동하면 최초 압착고정빗살(540)의 안치홈(542)에 위치된 압착유동빗살(430)이 유동공(520) 내에서 이격되어 사용자 모발의 파지가 가능한 것이다.
이후, 사용자는 모발을 압착유동빗살(430)이 계속해서 압착고정빗살(540)측으로 가압되도록 가압수단(300)의 레버(320)를 계속해서 누른 상태로 모발을 빗어 내려가고, 열풍에 의해 가열된 히팅커버(510), 압착고정빗살(540), 압착유동빗살(530) 및 송풍구(530)을 통해 건조와 동시에 스트레이트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는 롤링 등의 헤어스타일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모발을 압착고정빗살(540)과 압착유동빗살(430)에 의해 최초 고정하고, 헤어고정가압부재(500)의 헤어빗살(550)을 이용하여 둥글게 말아 드라이 본체(100)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을 통해 모발의 단백질을 변형하여 롤링형태의 헤어스타일링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조절수단(600)의 볼트두부(622)를 사용자가 회전하게 되면 볼트두부(622) 타측으로 연장형성된 조절샤프트(624)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조절수단(600)의 조절다이얼(610)을 사용자가 회전하게 되면 조절다이얼(610) 내연에 형성된 기어(612)와 치차결합된 조절볼트(620)의 두부에 형성된 피니언기어(622a)가 회전하게 된다. 이후, 피니언기어(622a)의 회전에 따라 타측으로 연장형성된 조절 샤프트(624)가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조절샤프트(624)의 회전에 따라 조절편(630)이 조절샤프트(624)에 조절너트공(634)을 통해 나사결합되어 있어 전후로 이격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볼트두부(622)를 조절함에 따라 조절볼트(620)가 정역회전하고, 정역회전에 따라 조절편(630)이 전후로 조절샤프트(624)상에서 이격조정된다. 여기서, 조절편(630)은 안정적인 이격조정이 되도록 하측에는 가이드 샤프트(240)에 안내공(632)을 통해 결합되어 상하로 안정적으로 이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조절편(630)의 전후이격에 따라 조절편(630)과 헤어유동가압부재(400)의 일측 가이드편(420) 사이에 위치된 장력스프링(640)의 탄성력을 조절한다. 즉, 조절편(630)을 드라이어 본체(100)측으로 이격하면 장력스프링(640)이 압착되어 헤어유동가압부재(400)를 드라이어 본체(100)측으로 가해지는 탄성력이 증가되고, 조절편(630)을 볼트두부(622)측으로 이격하면 장력스프링(640)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넓게 퍼져 헤어유동가압부재(400)측으로 가해지는 탄성력이 감소된다.
따라서, 장력조절수단(600)에 의해 헤어유동가압부재(400)가 드라이어 본체(100)측으로 가압수단(300)의 별도 외력없이 이동되는 힘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헤어유동가압부재(400)의 드라이어 본체(100)측으로 이격되려는 탄성력은 장력스프링(640)의 장력 조절에 따라 압착유동빗살(430)이 압착고정빗살(540)의 안치홈(542)측으로 이동되는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최초 레버(320)를 작동 하여 압착유동빗살(430)과 압착고정빗살(540)의 안치홈(542)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 후, 그 사이에 사용자의 모발이 위치하도록 하여 계속해서 레버(320)를 작동하지 않고도 최초 모발을 압착유동빗살(430)과 압착고정빗살(540)의 안치홈(542) 사이에 밀착고정되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의 헤어스타일링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장력조절수단(600)의 외관과 사용상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형성된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조절수단(600)의 조절볼트(620)의 볼트두부(622) 외주연에 형성된 피니언기어(622a)에 치차결합된 조절다이얼(610)을 사용자가 회전하게 되면 조절다이얼(610) 내연에 형성된 기어(612)와 치차결합된 조절볼트(620)의 두부에 형성된 피니언기어(622a)가 회전하게 된다. 이후, 피니언 기어(622a)의 회전에 따라 타측으로 연장형성된 조절 샤프트(624)가 회전하게 되어 조절편(630)이 조절샤프트(624) 상에서의 전후 이격조절을 앞서 상술한 볼트두부(622)의 사용자에 의한 직접조작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한편, 도 9의 타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치홈(542)이 형성된 압착고정빗살(540)을 반대로 돌려놓게 되면 사용자가 레버를 계속해서 눌러서 사용해야 하는 경우와 반대되는 작용으로 앞서 안치홈(543) 사이에 모발이 위치되는 것과 동일한 작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레버(320)를 작동하면 압착유동빗살(430)이 일측의 압착고정빗살(540)의 안치홈(542)측으로 이동된 후, 레버(320)를 원상태로 놓게 되면 장력조절수단(600)에 의해 압착유동빗살(430)이 타측의 압착고정빗살(540)측으로 장력스프링(640)의 탄성력에 의해 모발을 파지하여 밀착압착하여 롤링, 스트레이트 등의 헤어스타일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헤어드라이어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의 전체측면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의 요부 작동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의 요부 작동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의 장력조절수단의 요부 작동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의 타실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의 장력조절수단의 타실시 측면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드라이어 본체 102 : 흡입구
104 : 토출구 110 : ON/OFF 스위치
120 : 흡입수단 122 : 구동모터
124 : 휀 140 : 히팅수단
142 : 열선 200 : 열풍안내 헤어컬부재
210 : 헤어컬 하우징 220 : 개구부
230 : 샤프트 고정리브 232 : 결합공
240 : 가이드 샤프트 300 : 가압수단
310 : 회동밀대 320 : 레버
400 : 헤어유동가압부재 410 : 밀착편
420 : 가이드편 422 : 가이드공
430 : 압착유동빗살 500 : 헤어고정가압부재
510 : 히팅커버 520 : 유동공
530 : 송풍구 540 : 압착고정빗살
542 : 안치홈 550 : 헤어빗살
600 : 장력조절수단 610 : 조절다이얼
612 : 기어 620 : 조절볼트
622 : 볼트두부 622a : 피니언기어
624 : 조절샤프트 630 : 조절편
632 : 안내공 634 : 조절너트공
640 : 장력스프링

Claims (9)

  1.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가능하도록 원통형상으로 길게형성되고, 외연 일측에 ON/OFF 스위치(110)가 마련되며, 일단에 토출구(104)가 형성되고, 타단에 흡입구(102)가 형성된 드라이어 본체(100)와;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의 흡입구(102)측에 내설되고, 상기 ON/OFF 스위치(110)의 전원인가에 따라 작동되는 구동모터(122)와 휀(124)이 구비되어 외부공기가 흡입되도록 마련된 흡입수단(120)과;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의 토출구(104)측에 내설되고, 상기 ON/OFF 스위치(110)의 전원인가에 따라 상기 흡입수단(120)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열선(142)에 의해 가열되어 토출구(104)측으로 열풍이 토출되도록 마련된 히팅수단(140)과;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타단이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 토출구(104)측 일단에 결합되고, 외주연 상측 중앙에 개방된 개구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로부터 토출되는 열풍이 상기 개구부(220)로 유도되도록 형성된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와;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 일단에 결합되는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타단 내측에 힌지결합되는 가압수단(300)과;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개구부(220)측 내부에 상기 가압수단(300)에 의해 전후유동되도록 내설되고, 사용자 모발이 밀착고정되도록 상측으로 다수의 압착유동빗살(430)이 형성된 헤어유동가압부재(400)와;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개구부(220)에 결합되고, 상기 헤어유동가압부재(400)의 상기 다수의 압착유동빗살(430)이 끼움결합되어 유동되도록 다수의 유동공(520)이 형성된 헤어고정가압부재(500)와;
    상기 헤어유동가압부재(400)가 상기 헤어고정가압부재(500)측으로 유동되어 가압장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 일단에 결합되는 장력조절수단(600);을 포함하는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는 일단에 상기 장력조절수단(600)이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의 토출구(104) 일단에 결합되는 헤어컬 하우징(210)과;
    상기 헤어컬 하우징(210) 상측 외주연 중앙에 전후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개방되고, 상기 헤어고정가압부재(500)가 결합되는 개구부(220)와;
    상기 헤어컬 하우징(210)의 일단과 타단 내주연 바닥측에 각각 돌출형성되고, 결합공(232)이 형성된 샤프트 고정리브(230)와;
    상기 샤프트 고정리브(230)에 양단이 결합고정되고, 상기 헤어유동가압부재(400)와 상기 장력조절수단(600)이 결합되는 가이드 샤프트(2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300)은 상기 드라이어 본체(100) 일단의 토출구(104)측에 결합되는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타단 내측에 회동되도록 힌지결합되고, 상기 헤어유동가압부재(400)를 일측으로 가압하여 유동되도록 마련된 회동밀대(310)와;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 타단 외연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밀대(310) 상하 일단에 축결합되고, 상기 회동밀대(310)를 회동시켜 상기 헤어유동가압부재(400)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전후 유동되도록 선회되는 레버(32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유동가압부재(400)는 하부 타단에 상기 가압수단(300)의 회동밀대(310)의 회동에 의해 가압력을 전달받도록 수직판상으로 형성된 밀착편(410)과;
    상기 밀착편(410) 일측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가이드 샤프트(240)에 가이드 결합되도록 가이드공(422)이 형성된 가이드편(420)과;
    상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등간격배열되고, 상협하광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상향기립된 다수의 압착유동빗살(430);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수단(600)은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헤어컬 하우징(210) 일단에 공회전되도록 결합되되,
    일측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도록 마련된 볼트두부(622)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수나사가 형성된 조절샤프트(624)가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된 조절볼트(620)와;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가이드 샤프트(240)에 안내결합되는 안내공(632)이 하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 동일수직선상 직상으로 상기 조절샤프트(624)가 나사결합되도록 조절너트공(634)이 형성된 조절편(630)과;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가이드 샤프트(240) 상에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조절편(630)에 위치되며, 타단이 헤어유동가압부재(400)의 일측 가이드편(420)에 위치되어 상기 조절편(630)이 상기 조절샤프트(624)상에서 조절편(630)과 상기 가이드편(42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어 탄성력이 제어되도록 마련된 장력스프링(6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볼트(620)의 상기 볼트두부(622) 외주연에 기어치차로 형성된 피니언 기어(622a)가 형성되되,
    상기 피니언 기어(622a)에 치차결합되는 내측기어(612)가 내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헤어컬 하우징(210) 일단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어 내측기어(612)에 치차결합된 상기 조절볼트(620)가 회전되도록 되어 상기 장력스프링(640)의 탄성력이 제어되도록 조절다이얼(61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고정가압부재(500)는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상측 개구부(220)에 고정결합되고, 열풍에 의해 가열되는 히팅커버(510)와;
    상기 다수의 압착유동빗살(430)이 끼움결합되어 전후 이격되도록 상기 히팅커버(510) 상측 외연에 관통형성된 다수의 유동공(520)과;
    상기 다수의 유동공(520) 좌우 외측의 상기 히팅커버(510) 외주연에 상기 드라이어본체(100)로부터 토출되는 열풍이 상기 열풍안내 헤어컬부재(200)의 개구부(220)를 통해 안내되어 외부로 토출되도록 다수 형성된 송풍구(530)와;
    상기 다수의 유동공(520) 전후 외측에 상기 히팅커버(5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압착유동빗살(430)과 상호작용되어 사용자 모발이 압착고정되도록 다수 형성된 압착고정빗살(540);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고정빗살(540)은 상협하광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요입형성되어 압착유동빗살(430)이 안치결합되는 안치홈(542)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커버(510)의 외주연에 다수 형성된 송풍구(530) 외측에 사용자의 모발을 빗으면서 건조와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헤어빗살(55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KR2020080012279U 2008-09-10 2008-09-10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KR200455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279U KR200455793Y1 (ko) 2008-09-10 2008-09-10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279U KR200455793Y1 (ko) 2008-09-10 2008-09-10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118U KR20100003118U (ko) 2010-03-18
KR200455793Y1 true KR200455793Y1 (ko) 2011-09-27

Family

ID=44198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279U KR200455793Y1 (ko) 2008-09-10 2008-09-10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79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692B1 (ko) * 2012-10-16 2014-04-04 하종석 헤어드라이어
KR101748094B1 (ko) 2016-11-15 2017-06-15 장흥식 강한 송풍력으로 수분을 불어 날리는 방식을 채용한 헤어드라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793Y1 (ko) * 2008-09-10 2011-09-27 오태준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607B1 (ko) 2006-05-19 2007-06-04 배수원 선택적 듀얼 타입 헤어 드라이기
KR20100003118U (ko) * 2008-09-10 2010-03-18 오태준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607B1 (ko) 2006-05-19 2007-06-04 배수원 선택적 듀얼 타입 헤어 드라이기
KR20100003118U (ko) * 2008-09-10 2010-03-18 오태준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692B1 (ko) * 2012-10-16 2014-04-04 하종석 헤어드라이어
KR101748094B1 (ko) 2016-11-15 2017-06-15 장흥식 강한 송풍력으로 수분을 불어 날리는 방식을 채용한 헤어드라이어
WO2018093128A1 (ko) * 2016-11-15 2018-05-24 장흥식 수분을 불어 날리는 방식의 헤어드라이어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118U (ko)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441B1 (ko) 회전식 실린더를 갖는 헤어 스타일링 기구
US9259069B2 (en) Hair styling tool with rotatable cylinder
JP7486710B2 (ja) ヘアスタイリング装置
KR200451656Y1 (ko) 헤어드라이어 노즐
CN210747781U (zh) 一种多功能电动卷发直发器
KR20110002484U (ko) 헤어드라이어 열축적 디퓨저 구조
CN218278926U (zh) 一种吹风机的风向转换配件
KR200455793Y1 (ko)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EP1124466A1 (fr) Accessoire pour le lissage des cheveux
US20200069021A1 (en) Multifunctional hair straightening and curling device
KR20080036822A (ko) 고데기형 헤어 드라이기
KR200428971Y1 (ko) 고대기 겸용 헤어드라이 빗
KR200452425Y1 (ko) 건조 및 헤어스타일링이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JP5192594B2 (ja) ヘアーカールドライヤー
WO1982003757A1 (en) Apparatus for grooming hair
KR102433454B1 (ko) 빗형 헤어 드라이기
WO2014064520A1 (en) Hair styling device
KR200451657Y1 (ko) 헤어드라이어 노즐
US5983517A (en) Hair drying and styling appliance
CN106666990A (zh) 一种快干按摩吹风机
WO2021021056A1 (en) Novelty in relation to a hair-dryer
KR200187535Y1 (ko) 헤어드라이어
TWI383759B (zh) 具有可旋轉式圓柱之頭髮造型器
KR20110000819U (ko) 헤어드라이어의 디퓨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91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111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091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508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